•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변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둘째, 자아존중감 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1)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자아존중감

(1)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차이

표- 5.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4.398 5 .880 2.074 .069

성별 .743 1 .743 1.752 .187

연령 .267 1 .267 .628 .429

부모의 직업 1.226 1 1.226 2.891 .090 부모의 교육수준 .003 1 .003 .006 .939 체격 2.396 1 2.396 5.647** .018 주효과 7.601 2 1.267 2.986** .008 경기력 수준 7.601 2 1.267 2.986** .008 설명변인 12.000 7 1.091 2.571** .004 잔 차 125.996 297 .424

전 체 137.996 308 .448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

(3)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에 따른 가정적 자아존중감 차이

표- 7.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가정적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2.513 5 .503 1.149 .335

성별 1.414 1 1.414 3.231 .073

연령 .013 1 .013 .030 .863

부모의 직업 .232 1 .232 .529 .468 부모의 교육수준 .415 1 .415 .949 .331

체격 .698 1 .698 1.596 .207

주효과 6.413 2 1.069 2.443 .025

경기력 수준 6.413 2 1.069 2.443 .025

설명변인 8.926 7 .811 1.855 .045

잔 차 130.381 298 .438 전 체 139.307 309 .451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 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은 2.443으로서,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 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배경변인들을 통제한 공변인들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이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표- 8. 선수들의 경기력에 따른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의 공변량 분석

변산원 자승화 자유도 변량추정치 F 유의도

공변인 3.329 5 .666 1.474 .198

성별 .102 1 .102 .227 .634

연령 .093 1 .093 .206 .650

부모의 직업 1.958 1 1.958 4.336 .038 부모의 교육수준 .178 1 .178 .395 .530

체격 .803 1 .803 1.778 .183

주효과 2.826 2 .471 1.043 .397

경기력 수준 2.826 2 .471 1.043 .397

설명변인 6.155 7 .560 1.239 .260

잔 차 129.594 287 .452 전 체 135.749 298 .456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주 효과인 유도선 수들의 경기력 수준의 F값은 1.043으로서, 경기력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력 수준 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변인 중 에서 부모의 직업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1) 자아존중감과 포용적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표- 9. 자아존중감이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 .017 .055 - .023 - .309 .758

사회적 .175 .047 .259 3.737*** .000 11.70 가정적 .082 .052 .121 1.582 .115 ( .000) 학 교 .123 .040 .168 3.105** .002

상 수 2.218 .155 14.355*** .000 MR = .368 R Square = .135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포용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표- 9)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량중 약 13.5%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35),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인 자 아존중감 및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포용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의 포용적 대인관계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에 있어서는 사회적 자아 (B=.259), 학교 자아(B=.168), 가정적 자아 (B=.121), 총체적 자아(B=- .02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자아존중감과 통제적 대인관계지향성의 관계

표- 10. 자아존중감이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118 .074 .121 1.601 .110

사회적 .287 .066 .308 4.323*** .000 14.78 가정적 .003 .071 .003 .042 .966 ( .000) 학 교 .179 .053 .186 3.389*** .001

상 수 1.611 .212 7.599*** .000 MR = .420 R Square = .176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통제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에 보여진 바와 같이 자아존중감은 통제적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 량중 약17.6%를 설명해주고 있으며(R² =.176),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인 자아존중감 및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제적 대인관계지향성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이 통제적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아(B=.308), 학교 자아(B =.186), 총체적 자아 (B=.121), 가정적 자아(B=.00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자아존중감과 애정적 대인관계지향성의 관계

표- 11. 자아존중감이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기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041 .076 .040 .536 .592

사회적 .362 .066 .389 5.454*** .000 15.88 가정적 .013 .069 .014 .185 .853 ( .000) 학 교 .060 .053 .061 1.129 .260

상 수 1.650 .208 7.924*** .000

MR = .426 R Square = .181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애정적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대인관계지향성의 전체 변량중 약 18.1%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81),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아 존중감은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이 애정적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 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B =.389), 학교(B=.064), 총체적(B=.040), 가정적 (B

=.014)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

표- 12.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중다회귀분석

배경변인 B SE B Beta T Sig T F (s g. F ) 총체적 .070 .066 .087 1.060 .290

사회적 .266 .059 .352 4.532*** .000 14.72 가정적 .013 .061 .017 .204 .838 ( .000) 학 교 .141 .047 .177 3.020** .003

상 수 1.777 .187 9.510*** .000 MR = .445 R Square = .198

*p< .05 **p< .01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에 의하면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의 전체변량중 약 19.8%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R² =.198),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관련 변인인 대인관계 지향성을 설명하는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사회적(B =.352), 학교(B =.177), 총체적(B =.087), 가정적(B =.017)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