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져 왔으며, 한편, T aylor (1977)는 중간 정도의 우울증 환자 28명에게 우울증과 낮은 자아존중감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매회 40분씩 6회에 걸쳐 인지적 인 접근, 행동적인 접근, 인지- 행동적인 접근의 효과를 비교하였는데,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그 중 인지적 행동적인 접근이 가장 효과 적이었다.

Rogers (1969)는 참 만남의 집단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였으며, Jonson (1979) 은 다양한 집단 상담 접근들이 자아개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 표하였다. Marks (1974)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중적 소집단 훈련을 실시하여 POI(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 두 유형의 소집단 훈련이 모두 통제 집단보다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윤용준(1987)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 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휴성(1988)은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한 소집단 상담이 고등학생들의 자아수용, 자아행동,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 격적 자아 및 총 자아 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김선남(1979)은 집단 경험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직적, 전통적 집단 경험이 자아개념을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 시킬수 있는가를 조사하 였는데 조직적 집단 경험을 한 학생의 자아개념의 평균득점은 긍정적인 방향으 로 유의하게 변화되었으나 전통적 집단 경험은 중학생의 자아개념 변화에 유의 한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김창은(1990)은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훈련을 한 결과 대인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2 . 스포츠 수행과 대인관계 지향성

1) 대인관계 지향성의 개념

청소년기의 대인관계는 출생 후 가족중 주로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가 점차 주변의 사회적인 관계들 속의 친구들을 통해 지향되며 초등학교를 거 쳐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이르는 청소년기에 들어서면서 친구라는 상호관계 및 교사, 이웃 등으로 확대되어 간다. 특히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등의 사회적 생활 공간이 확대되면서, 중・고등학교에 이르는 청소년기부터는 가까운 같은 연령 친구의 영향이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 소년의 대인관계에서 같은 동료 및 친구 관계는 청소년들에게 풍부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사회적 경험을 통해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 동료간의 대인관계를 통하여 자기중심적인 미분화된 상태에서 점차 타인들에게 자신과는 다른 내적 세계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타인의 감 정, 사고, 의도를 아동기 보다는 보다 사고적인 이해와 추론해 나간다고 한다 (최상진, 1989).

한편 Schutz(1966)는 인간은 다른 인간을 필요로 한다 는 사실이 대인관계 행동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미비함을 지적하면서 그는 모든 개 인은 포함 통제 애정이라는 세가지의 대인관계 욕구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 세가지 욕구의 분석을 통하여 각 개인의 대인관계 행동을 충분히 예측하고 설 명할 수 있다고 주장 하였다.

대인관계 욕구는 일정한 목적이나 결정에 의해서 서로에게 의미 있다고 여겨 지는 2명 이상의 사람이 관계되는 대인적인 상황에서 일어나는데, Schutz(1966)

는 대인관계에서 포용 통제 애정의 세 가지 대인관계욕구의 평형 상태가 필 요하다고 하였다.

첫째, 대인간 포용욕구(interpersonal need for inclusion)는 다른 사람과 친밀 하게 상호작용하고 교제하는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둘째, 대인간 통제욕구(interpersonal need for control)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 에서 통제나 권력에 관하여 만족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셋째, 대인간 애정욕구(interpersonal need for affection)는 대인관계에서 사랑 과 애정에 관하여 만족할 만한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특히, 일대일의 관계에서 친밀하고 사적인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하면서 심리적 으로 편안함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으로 부터 사랑 받고자하는 욕구이다.

3 . 스포츠 수행과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

청소년기의 대인관계는 유아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또래 및 학교 집단의 단 체 생활부터 대인관계가 확대되면서 유아시기부터 타인으로부터 수용이나 거부 의 반응을 인식하게 된다. 청소년이 격는 이러한 사회적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고, 청소년 자신의 사회적 능력을 수행하는데 자신에 대한 평가 차원 에서 기초를 이룬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청소년 스스로 확대된 사회적 관 계들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Pelham, 1989).

Bebout (1972)는 집단 훈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인간 관계의 친 밀도가 높아졌다고 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의사소통 훈련을 실 시한 결과 대인관계 과정을 비디오 테이프로 피드백을 받은 훈련 집단이 참 만 남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는 공감, 자아실현, 동료와의 관계에 있어서 의미있는 향상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한편, 부모의 태도는 청소년 대인관계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부모의 태 도가 민주적일수록 청소년들은 대인관계 차원에서 더 높은 자아 동일성을 형성 하게 되며, 그리고 안정되고 애착된 삶일수록 자신에 대해서 자신감을 갖고 있 고 자신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대인관계에서도 보다 긍정적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김남순, 1976: 박은경, 1992).

즉, 이것은 청소년기에 있어서 집단활동은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지향성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