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학교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박현주*

조선대학교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yunJu Park*

Chosun University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science examination of middle school 7th grade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 total of 645 test items from 10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examination it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behavior and contents area, question types,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when the distribution of behavioral objectives was considered, the items emphasized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nd were scientific knowledge oriented. The tests consiste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at a relatively high rate, compared to short answer questions. Comparing the rate of teachers' expectations to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ratio of "top" was low and that of "medium"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 and multiple levels of content and behavior enabled more effective evaluation of the diverse thinking powers and learning of the students.

keywords : science, middle school, objectives of assessment, question types, degree of difficulty

Ⅰ. 서 론

학습 평가는 학습목표가 교육내용을 통해 실현되 는 정도를 가늠하는 과정으로 중요한 학교 교육 활 동 중의 하나이다(김재춘 등, 2008). 학습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향하여 올바르게 도달 했는지를 점검하고, 교사와 학생의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받거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파 악할 수 있다(권재술 외, 1998; Marzano, 2006;

Mintzes, Wandersee, & Novak, 2000).

‘내신’은 “상급 학교 진학이나 취직과 관련하 여 선발의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지원자의 출신 학

교에서 학업 성적, 품행 등을 적어 보냄. 또는 그 성적”이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2). 현 재 우리나라 중학교 학습 평가는 일반 고등학교 입 시 전형이 중학교 과정의 내신으로 결정되고 특수 목적 고등학교나 자율학교 등과 같은 상급 학교 진 학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학교 내신의 중요도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중학교 과학 교과의 내신은 포트폴리 오, 보고서, 실험, 시연 등의 다양한 방법이 포함된 수행평가와 정기고사와 같은 지필평가로 이루어진 다(이기영, 안희수, 2005; 오현석, 이기영, 2006).

그러나 내신을 위한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반영 비율은 20~30 대 70~80으로, 여전히 지필평가가

*교신저자 :박현주(hjapark@chosun.ac.kr)

**2012년 10월 20일 접수,2012년 12월 17일 수정원고 접수,2012년 12월 17일 채택

(2)

내신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수행평가는 문 항을 제작하고 평가하는 데 지필평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과제의 수가 적기 때문에 평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 기 어렵다. 또한 수행평가에서 학생들에게 주어지 는 기본 점수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이나 평가 를 통한 학습자의 변별을 어렵게 한다(이홍우, 2009; 현미라, 2007; Linn et al., 1991).

지필평가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다수의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고, 분명한 답과 채점기준이 있어 정 해진 시간에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효율적이며 객관 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용이하다(조희형, 최경희, 2007).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한 학기에 두 차례의 정기적인 지필평가를 시행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필평가는 학교교육 현 장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지필평가 문항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학교 밖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 문항 관련 연구(김찬종, 1992), 학생선발 기능의 평가 문항 관련 연구(배영부, 1994; 이상법 외, 1999), 평가 문항의 질 향상 방안 관련 연구(이기 영, 안희수, 2005) 등과 같이 학생 선발이나 경시 대회, 올림피아드와 같은 대규모의 표준화 검사 (standardized test) 문항 관련 연구가 주된 경향 이었다.

그러나 내신 지필평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교 내신 지필평가 문항에도 관심을 가지고 간헐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예를 들면, 박주영 (1998)은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필평 가 문항’ 실태를 과학적 지식과 탐구내용으로 분 류하여 조사함으로써, 탐구 능력 평가의 개선 방향 을 제시 하였다. 그 결과, 6차 교육과정은 과학의 탐구과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지필평가에서의 탐구 능력을 묻는 문항의 비율이 낮았으며, 문항형식도 다양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일호 등(2008)은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과학 과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과 교사용지도서의 수 업목표를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에 따라 비 교분석하여 지필평가 문항이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 육 목표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는 ‘과학적 탐구 과정’의 항목이 ‘지식과 이해’의 항목과 비슷한 비율로 제시되어 있지만, 실제적인 지필평 가의 문항은 ‘지식과 이해’에 치우쳐서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오현석, 이기영(2006)은 중등학교 과학교과 지 필평가 문항을 내적 문항 분류틀(내용, 지식 및 탐 구과정, 맥락 차원)과 외적 문항 분류틀(문항표현, 문항유형, 문항형식 범주)을 구안․분석하여 내신 지 필평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지필평가의 문항은 지식영역의 비율이 높으며 탐구과정 영역의 문항 비율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 었다.

김윤희, 윤기순, 권덕기(2010)는 중학교 과학 생 물영역의 총괄 평가문항의 평가 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 목표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사실적 지식에 대한 평가를 목표로 하는 문항이 대부분(67.6%)을 차지 하고, 문항의 주된 평가 목표들이 Bloom의 신교육 목표 분류체계 중 특정 영역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학교에서 실제적으 로 진행되고 있는 내신 지필평가 관련 연구는 문항 의 평가 실태와 교육 목표에 따른 분류 등과 관련 된 것에 대하여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내신 평가 중 과학과 지필 평가 문항을 행동영역과 내용영역, 그리고 문항유 형과 난이도를 조사하여 지필평가 문항의 출제 경 향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1학년 1 학기 지필평가는 학생들이 초등교육을 마치고 중등 교육에 들어서서 공식적으로 처음 만나는 정기고사 이며, 학생들의 학습내용, 학습방향, 학습에 대한 흥미 등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시험이다. 이 연 구는 중학교 1학년 1학기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을 행동영역과 내용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지필 평가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 구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는 중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의 경향을 이 해하여 과학교육의 방향을 점검하는데 기초적인 도 움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3)

첫째, 평가문항 행동영역의 분포는 어떠한가?

둘째, 평가문항 내용영역의 분포는 어떠한가?

셋째, 평가문항 문항유형은 어떠한가?

넷째, 평가문항 난이도 분포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호남 지역의 20개 중학교의 지필평가 문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중학교의 학교장과 과학 교사들은 연구진들의 연구 및 연구 목적에 대 한 설명을 듣고, 학교명이나 교사명이 거론되지 않 는다는 전제하에 지필평가 문항을 연구대상 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동의하였다.

최초 연구대상 20개의 중학교 중, 1학년 1학기 의 1차, 2차 지필평가 문항지와 정답 및 정답률이 모두 있는 10개의 중학교를 최종 연구대상학교로 선정하였다. 분석한 총 지필평가문항 수는 1차 지 필평가 319개, 2차 지필평가 326개의 총 645개이 다(Table 1).

Table1.연구대상

학교명 1차 지필평가 2차 지필평가 선다형 서답형 선다형 서답형 합계

A학교 25 0 25 0 50

B학교 33 0 33 0 66

C학교 33 0 33 0 66

D학교 33 0 33 0 66

E학교 27 5 28 3 63

F학교 30 3 30 3 66

G학교 30 0 30 0 60

H학교 30 3 33 0 66

I학교 27 6 36 5 74

J학교 31 3 31 3 68

합계(개) 299 20 312 14 645

2. 연구 절차

이 연구는 Fig. 1과 같은 절차를 따라서 진행되 었다.

자료 수집

선행연구 - 평가 분석틀 조사

평가 분석틀 선정

문항 분석

-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

결과 처리

결론 도출 Fig.1. 연구절차

중학교 1학년 1학기 과학과 지필평가의 문항지 를 수집한 후 Klopfer의 분석틀을 수정하여 분석틀 을 구성한 후, 지필평가 문항의 출제경향을 분석하 였다. 지필평가 문항을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 형, 난이도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고, 결론 을 도출하였다.

3. 분석틀의 구성

중학교 과학과 지필평가의 출제경향 분석은 국립 교육평가원의 분석틀(박주영, 1998)을 수정 보완한 후, 그 분석틀에 평가문항 유형과 난이도를 분석할 수 있는 내용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국립 교육평가원의 분석틀은 Bloom 교육목표 체계와 Klopfer의 목표 분류체계을 재구성하여 구성된 것 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분석틀과 정의는 Table 2와 같다. 평가문항 유형은 선다형과 서답형으로 구분 하고, 선다형은 정답형, 최선다형, 부정형, 불완전형 으로, 서답형은 단답형, 완성형, 서술형으로 세분화 하여 조사하였다. 난이도는 각 문항의 정답률에 근 거하여 분석하였다.

(4)

평가 영역

문항 번호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탐구과정 선다형 서답형

상 중 하

1 2 3

직、

념、

향、

미、

과、

값、

율、

( )

실、

념、

( 델、

) -

-

제、

리、

( 표、

)

( 리、

합、

연、

)

어、

구、

나、

3

%0 로、

0 5

% 다。

3

%0

8

%0 로、

0 5

8

%0 다。

8

%0 로、

다。

Table2. 지필평가의 분석틀 구성

(5)

4. 자료처리 및 분석

이 연구는 수집된 645개의 지필평가 문항을 행 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 측면의 항목별 분류체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기 위하여 첫째, 교 육 경력의 8-10년의 과학교사 2인과 각각 분석 후, 문항 분석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일 치하지 않은 경우, 그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분류기준 및 결과에 대 한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셋째, 비슷하거나 똑같은 문항을 묶어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일치도를 확인 한 후 전체적인 빈도수를 통해 연구결과를 정리하 였다.

학교장이나 담당 교사가 지필평가 문항지가 공개 되는 것을 꺼려하는 분위기 등과 같은 현실적 교육 여건으로 인하여, 특정 시도 지역에 제한된 지필평 가 문항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 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지필평가 문항의 전반적인 특징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Ⅲ. 연구결과 및 논의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1학기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을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별로 분석하였다.

1. 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분포

문항의 행동영역을 행동 수준에 따라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 필평가 문항이 학습자의 과학적 지식과 이해에 편 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식수준 (51.47%)과 이해수준(46.36%)이 전체 문항수의 97.83%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를 평가하는 문항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3).

Table3. 행동영역 분석결과

행동영역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합계 빈도수(개) 332 299 6 2 4 2 645

%* 51.47 46.36 0.93 0.31 0.62 0.31 100

* 전체문항수 대비 차지하는 비율 (문항수/ 전체 문항 수)×100

이러한 결과는 지필평가의 문항이 학습된 내용에 대한 기억이나 이해 정도를 묻거나 또는 학습된 내 용을 다른 방식으로 설명해보는 정도의 수준에서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중학교의 총합평 가 문항을 분석한 박주영(1998)의 연구결과 ‘지 필평가 문항에서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을 평가하는 문항이 전혀 없었던 것’와는 다소 다르게,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지식과 이해’ 영역의 문항이 약 9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연구 결 과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은준(2006)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많은 교사들이 이원목표분류표을 형식적으로 작성하고, 실제적으로 문항을 개발하는데 고려하지 않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지식과 이해, 그리고 적용 등과 같은 항목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교사들이 작성 한 이원목적분류표는 일반적인 행동수준의 6단계를 구분하지 않고 지식, 이해, 적용의 세 단계로 구분 하여 문항이 출제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 가를 위한 이원목적분류표는 과학과 교육의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목표는 종체적이며 탐 구적 창의력을 강조하고, 이와 같은 사고를 향상시 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목표 분석, 종합, 평가 수준 의 행동영역 문항을 출제하여 학생들이 좀 더 고차 원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2. 평가 문항의 내용영역 분포

내용영역은 과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 과학 적 탐구과정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분류할 수 있다.

(6)

Table4. 내용영역 분석결과

내용영역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탐구과정

사실

용어 개념 법칙 이론 관찰

측정

문제 설정

실험설계

및 수행 결과 처리 일반화 조작 능력

빈도수(개) 231 207 11 0 7 0 20 137 16 16

비율(%)*

[비율(%)]**

35.81 [51.45]

32.09 [46.10]

1.71 [2.45]

0.0 [0.0]

1.09 [3.57]

0.0 [0.0]

3.10 [10.20]

21.24 [69.90]

2.48 [8.16]

2.48 [8.16]

* (문항수/ 전체 문항수)×100

** (문항수/ 과학적 지식 문항수 혹은 과학적 탐구과정 문항수)×100

과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은 사실·용어, 개 념, 법칙, 이론수준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세분화하 였으며, 과학적 탐구과정을 평가하는 문항은 관 찰·측정, 문제설정, 실험설계 및 수행, 결과처리, 일반화,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으로 세분화하였 다.

분석 결과, 과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은 449 개(69.61%), 과학적 탐구과정을 평가하는 문항은 196개(30.39%)로, 과학적 탐구과정보다는 과학적 지식의 평가를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과학적 지식을 평가하는 448 문항 중에서 사 실·용어를 평가하는 문항은 51.45%, 개념을 평가 하는 문항은 46.10%으로 조사되었다. 법칙과 관련 된 문항의 비율이 낮고, 사실, 개념, 법칙들이 모여 서 이루어진 하나의 통일된 체계인 이론을 평가하 는 문항은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탐구과정 196문항 중에서 표나 그래프를 이용하여 자료를 정리하거나, 자료를 표나 그래프 로 정리하는 결과처리 문항이 69.9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찰·측정, 문제설정, 실 험 설계 및 수행, 일반화, 조작능력을 평가하는 문 항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로 출제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결과처리 부분에 편중하여 문제가 출 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관찰·측정은 과학수업 중 실험을 직접 수행하는 과정에서 더 효율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영역이기 때문에 지필평가에서는 거 의 출제가 되지 않았음을 추측할 수 있다. 문제설 정영역은 한 문항도 출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를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틀로 분석한 김상달 등 (2005)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학교과서의 학습 목표는 지식과 이해에 관한 목표가 과학적 탐구과 정에 관한 목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구성 되었다. 따라서 학습목표와 평가가 일관성이 있어 야 타당한 평가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가 지식과 이해 영역을 많이 제시 하고 있고, 그러한 교과서로 학습한 학생들을 평가 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지식을 주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지필평가 문항을 출 제할 때, 과학 지식과 이해의 영역과 더불어 과학 적 탐구과정에 대해서도 총체적인 평가가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3. 평가문항의 문항 유형

지필평가 645문항은 선다형 611개(94.7%), 서 답형 34개(5.3%)로 서답형 문항수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학교에서는 서답형 문 항의 유형은 출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 다형 평가 문항은 채점기준이 정확하여 평가하기가 쉽고,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또한, 학 교에서 통일된 평가 문항의 유형을 요구하기 때문 에(이은준, 2006) 선다형 평가문항을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7)

Table5. 문항유형 분석결과

문항유형 선다형 서답형

정답형 최선다형 부정형 불완전형 단답형 완성형 서술형 합계

빈도수(개) 424 23 142 22 29 4 1 645

비율(%)*

[비율(%)]**

65.74 [69.39]

3.57 [3.76]

22.02 [23.24]

3.41 [3.60]

4.50 [85.29]

0.62 [11.76]

0.16 [2.94]

* (문항수/전체 문항수)×100

** (문항수/선다형 문항수 혹은 서답형 문항수)×100

학교명

A학교 1차 1 17 7

2차 0 23 2

B학교 1차 2 17 14

2차 1 26 6

C학교 1차 1 21 11

2차 0 26 7

선다형 문항은 정답형(69.39%)과 부정형 (23.24%)이 전체 선다형 문항의 92.63%를 차지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답형 문항 중 단답형 문 항(85.29%)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습 평가는 학생들의 학습 방향에 많 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평가 문항 제시를 통하여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의 학생의 창 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4. 평가문항의 난이도 분포

중학교 1학년 1학기 지필평가 난이도를 조사하 기 위하여, 학생들의 성적에 근거한 난이도의 분류 기준을 정답률 30%이하의 문항은 '상'으로, 정답률 30%~80%의 문항은 '중'으로, 정답률 80%이상의 문항은 '하'로 문항의 난이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결 과, 난이도 ‘중’인 문항의 비율은 73.95%였다.

학교마다 문항수와 비율은 다르지만, 대부분 학교 에서 1차, 2차 지필평가를 모두 난이도 '중'에 해당 하는 문제로 출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6. 난이도 분석결과

학교명

D학교 1차 1 21 11

2차 1 28 4

E학교 1차 2 25 5

2차 1 27 3

F학교 1차 1 23 9

2차 1 22 10

G학교 1차 2 24 4

2차 1 21 8

H학교 1차 0 21 12

2차 0 20 13

I학교 1차 1 27 5

2차 0 38 3

J학교 1차 0 27 7

2차 0 23 11

합계(개) 16 477 152

비율(%)* 2.48 73.95 23.56

* (문항수/전체 문항수)×100

그러나 교사가 평가 문항을 개발할 때 작성한 이 원목표분류표를 이용하여 고려하였던 난이도의 비 율(상 22.45%, 중 52.65%, 하 24.89%)과 비교하 면 다소 상이한 결과이다. 교사가 작성한 평가문항 은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고 변별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는 문항의 난이도를 '상', ' 중', '하'의 적절한 비중으로 출제하고자 하는 경향 이 있다. 노국향 등(2000)의 연구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한 문제를 선택형과 주관식으로 문항 유 형을 달리 제시하였을 때, 학생들이 문제에 대한 체감난이도는 차이를 보였다는 결과를 고려하여 서 답형의 문항수가 적은 것을 감안하여 생각한다면, 난이도 '상'의 비율은 교사의 목표 비율에 비해 매

(8)

우 낮고, '중'의 비율은 교사의 목표 비율에 비해 많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교사의 의도와 는 다르게 학습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변별할 수 있는 문항의 비율이 적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Ⅳ.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1학기 과학과 지필평가 의 문항을 분석하였다. 지필평가가 학생들을 인지 적 영역에서 다양한 행동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는 지, 과학적 지식과 과학적 탐구과정이 적절한 비중 으로 평가가 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 필평가가 어떠한 문항 형태로 출제되고 있으며, 문 항의 난이도는 분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은 ‘지식, 이 해’ 수준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중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의 문항이 학생들의 다양한 행동 영역을 평가하기 는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중학교 1학년 학생은 분석적, 논리적 사고가 충분히 가능한 시기이며, 분 석적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 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행동 수준의 문항이 출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내용영역은 과학지식은 전체문항의 69.61%, 과학적 탐구과정은 30.39%로 기존의 연 구의 결과에 비해 과학적 탐구과정 관련 문항의 출 제가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과학 지식을 묻는 문항이 과학적 탐구과정의 문항과 비 교하여 두 배 이상의 비율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학적 지식 영역에서는 사실·용어 와 개념을 평가하는 문항(97.55%) 중심으로, 과 학적 탐구과정에서는 결과처리(71.35%) 중심으로 문항이 구성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양한 영역의 평 가와 과학교육의 목표 지향을 위하여, 과학과 문항 의 행동영역을 보다 세분화된 수준으로 나누어 정 확하게 구분하여 평가 문항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문항의 행동영역과 구성에 대한 교사의 평가 및 문 항 개발의 전문성과 전문성 개발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할 것이다.

셋째, 문항유형은 선다형 문항(94.7%) 중심으로 출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선다형 문항이 출제 및 출제의 용이성, 객관성과 신뢰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교사들이 서답형 문항보다 선 다형 문항의 출제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의 창의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위 하여 교사는 서답형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문항을 이용하여 학생의 과학학습을 평가해야 할 것이다.

넷째, 정답률을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 한 결과, 전체적인 빈도수에서 '상'에 해당하는 문 항의 비율은 교사가 목표로 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낮았으며, '중'의 비율은 교사가 생각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는 학생들 의 학습정도에 따라 문항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 도록 문항의 내용 수준을 구성하며, 학생들을 변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교육과정이 새로 고시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 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와 학습 경험을 제공하도록 수업방식이 변해가고 있다. 이와 같이 교수방식은 지식위주의 주입식교육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학생 들을 평가하는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지필평가는 여전히 지식과 이해를 제한된 유형으로 묻는 문항 으로 구성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평가 문항이 학습을 이끄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있어서, 지필평 가 문항지에 제한된 연구대상에서 벗어나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평가와 학습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각․시도 교육청의 단위 학교별로 교육과정, 교과서, 지필평가 문항을 단원 별로 비교하여 평가 문항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 안을 제시하는 등과 같은 일은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9)

참 고 문 헌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 (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상달, 이용섭, 최성봉(2005). Klopfer의 교육목 표 분류에 따른 제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 학교육목표 분석-7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지 구과학회지, 26(7), 640~651.

김윤희, 윤기순, 권덕기(2010). Bloom의 신교육목 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과학교육지, 34(1), 164~174.

김재춘, 부재율, 소경희, 채선희(2008).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 과학사.

김찬종(1992). 대학수학능력시험 제5차 실험평가 수리탐구 영역에서 지구과학 분야의 문항 분 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4), 539~550.

나종철(2006). 초등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 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 문.

노국향, 김신영(2000). 문항의 형태에 따른 피험자 의 인지적 정의적 반응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평가연구, 13(1), 181~194.

박주영(1998). 중학교 과학과 총합 평가 문항 분 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 문.

배영부(1994). 국민학교 과학 우수 아동을 위한 과학탐구능력 경시대회의 객관식 문항분석. 한 국지구과학회지, 15(4), 247~258.

양일호, 나종철,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2008).

Klopfer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초등 학교 과학과 지필평가 문항 분석:5학년 1학기 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7(3), 221~232.

오현석, 이기영(2006). 현행 중등학교 과학 교과 지필평가 문항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1), 405~424.

이기영, 안희수(2005).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평가 유형과 채점방식 및 신뢰도 분석.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25(2), 173~183.

이상법,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1999). 과학영재센 터 학생선발문항분석 및 선발방법에 대한 제 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04~621.

이은준(2006). 학업성취도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 분석 및 평가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 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 문.

이홍우(2009). 과학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교 학생 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조희형, 최경희(2007).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현미라(2007). 과학교육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효 과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irasian, P. (2000). Assessment in the classroom: A concise approach. Fairfield, PA: McGraw-Hill Higher Education.

Linn, R, L., Baker. E. L., & Dunbar, S.

B(1991). Complex, performance-based assessment: Dxpectations and validation criteria. Educational Researcher, 20(8), 15~21

Marzano, R.J. (2006). Classroom assessment and grading that wor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Mintzes, J., Wandersee, J., & Novak, J.

(2000). Assessing Science Understanding.

San Diego, CA: Academic Press.

국 문 요 약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출제경향을 조사하기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에 대하여 조사․분석하 였다. 10개의 중학교의 1차와 2차 지필평가 문항

(10)

의 총 64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 영역은 ‘지식, 이해’ 수준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내용영역은 기존의 연구의 결과에 비해 과학적 탐구과정의 출제 빈도수가 많 아졌지만, 여전히 과학지식을 묻는 문항이 과학적 탐구과정의 문항과 비교하여 두 배 이상의 비율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항유형은 선다형 문항 중심으로 출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 정답률을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빈도수에서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은 교사가 목표로 하는 난이도 비율보 다 낮았으며, '중'의 비율은 교사가 생각하는 난이 도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총체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교 사의 평가 및 문항 개발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 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요어: 과학, 중학교, 지필평가문항, 내신, 문항 유형, 난이도

수치

Tabl e4.   내용영역  분석결과 내용영역 과학적 지식 과학적 탐구과정사실• 용어 개념 법칙 이론 관찰 •측정 문제 설정 실험설계 및 수행 결과 처리 일반화 조작 능력 빈도수(개) 231 207 11 0 7 0 20 137 16 16 비율(%)* [비율(%)]** 35.81 [51.45] 32.09 [46.10] 1.71 [2.45] 0.0 [0.0] 1.09 [3.57] 0.0 [0.0] 3.10 [10.20] 21.24 [69.90] 2.48 [
Tabl e5.   문항유형  분석결과 문항유형 선다형 서답형 정답형 최선다형 부정형 불완전형 단답형 완성형 서술형 합계 빈도수(개) 424 23 142 22 29 4 1 645 비율(%)* [비율(%)]** 65.74 [69.39] 3.57 [3.76] 22.02 [23.24] 3.41 [3.60] 4.50 [85.29] 0.62 [11.76] 0.16 [2.94] *  (문항수/전체  문항수)×100 **  (문항수/선다형  문항수  혹은  서답형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learning sequence of Science(area of matters) and Chemistry contents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NICU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o research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practitioners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hich is technical statistics, and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revision,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ltural contents of English textbooks (Grade 7)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Keyword: HRD, the science policy, the educational policy, the Humanities, Th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for Education, the Presidential Committee for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