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品切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品切"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한자(汉字)는 "모양(形), 소리(音), 뜻(义=意)"의 결합체(삼위일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세 가지 요소를 한자(汉字)의 3요소라 한다. 주지하다시피 중국과 한국은 모두 한자(汉字)문화 권으로 같은 한자(汉字)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한자(汉字)의 3요소에 있어서 중국어와 한 국한자(汉字)어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현재 중한양국이 사용하는 汉字의 形(모양)이 달라졌다.

시기적으로 봐서, 중국어는 크게 고대중국어(先秦선진 시대부터 19세기 전까지 쓰였던 중국 어)와 현대중국어(20세기에 들어오면서부터 言文一致언문일치 운동이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중국어)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우리는 고대 중국에서 고서(논어, 맹자, 노자, 장 자, 중용, 대학, 시경, 역경, 고시古诗, 삼국지, 수호지, 서유기, 초한지 등등)나 불경을 통해 전래된 고대중국어(古文고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중국에서는 고대중국어와 현 대중국어를 엄격히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 즉 고대중국어는 한자의 형태가 변하지 않았으 나 현대중국어에서는 누구나 쉽게 쓰고 기억할 수 있도록 3500개의 상용자 중 2274개의 한자의 형태를 간략화(简略化)시켰는데 이 간략화 시킨 한자를 “간체자(简体字)”라 한다. 다 시 말해 간략화 되기 이전의 한자는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의 정자正字에 해당되고 간략화 된 후의 한자는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의 약자略字나 속자俗字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한국 한자의 약자나 속자가 간혹 중국의 간체자와 같은 경우가 있으나 그 수(51개, 아래 표 참조) 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현재 한국에서 쓰고 있는 한자와 현재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현대중국어를 기록한 한자는 그 글자의 형태에 있어서 다르다.

둘째, 중한양국이 사용하는 한자(汉字)의 音(음)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 할 때 중국의 많은 운서를 참고했기 때문에 간혹 어떤 한자(韩汉한,

正政정 등)는 그 발음이 유사하나 중국어와 한국어는 근본적으로 그 발음 체계가 다르기 때 문에 중국한자와 한국한자의 발음이 대부분 다르다. 특히 중국어에는 다른 언어에 없는 4성 声(4가지의 소리의 높낮이)이 있기 때문에 한국한자와는 그 발음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2)

- 2 -

셋째, 한국한자(汉字)어휘의 意(뜻)이 중국어와 다소 달라졌다.

언어는 크게 "표음문자(表音文字)"와 "표의문자(表意文字)"로 나누어진다. "표음문자(表音文 字)"란 "음(音)"으로써 그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를 말하고, "표의문자(表意文字)"란 "뜻(意)"으 로써 그 의미를 나타내는 문자를 말하는데, 한글은 "표음문자(表音文字)"에 속하고 한자는"표 의문자(表意文字)"에 속한다. 예를 들어 "표음문자(表音文字)"인 한글은 "집"하고 발음하면 우 리는 그 발음을 듣고 "집"이라는 의미를 바로 알게 되나, "표의문자(表意文字)"인 중국어는

"家"라 써 놓으면 그 글자를 보고 바로 "집"이라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한자 어휘의 80% 이상이 형성문자(形声文字)로, 형(形)부는 의미(意)를 성(声)부는 소리(音)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花"의 "艹"는 "형(形)"으로 풀과 관련 있는 식물임을 나타내고, "化"는 "성(声)"으로 이 글자의 소리(音)를 나타내고 있다. 또 예를 들면 "清"의 "氵"는 "형(形)"으로 물과 관련 있 는 것을 나타내고, "青"은 "성(声)"으로 이 글자의 소리(音)를 나타내고 있다. 한자는 이 같이 의미(意)와 소리(音)를 나타내는 형성문자(形声文字)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에는 한자를 "표의문자(表意文字)"라기 보다는 "이음문자(意音文字: 뜻과 소리가 합쳐진 글 자)" 라 한다.

고대중국어는 대부분이 단음절어(한 글자)로 그 글자 하나하나가 완전한 뜻을 나타냈다. 예 를 들면 "天,日,月, 耳,目,口,鼻 "등등. 그래서 우리의 옛 조상들은 중국어를 말하고 알아듣지는 못했으나 붓으로 글씨를 써서 중국인과 필담(笔谈)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 중국어에 들어와서는 동음이의어(同音异义语: 발음은 같으나 뜻이 다른 글자)가 많아지면서 한자 어휘가 단음절에서 다음절, 특히 쌍 음절(이 음절)화 되는 추세가 강하다. 이 과정에서 다음절어의 뜻이 고립성을 잃으면서 한자 한글자로서는 그 낱말의 뜻을 완전히 나타낼 수 없게 되어 우리 한자어어휘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새로운 어휘가 다소 생겨났다. 예를 들면 고대중국어에서는 위에서 예를 든 "天,日,月,耳,目,口,鼻 "등의 단음절어를 사용하 였으나 현대중국어어휘에서는 "天 →天空,日 →太阳,月 →月亮,耳→耳朵,目→眼睛 , 口→嘴巴,鼻 → 鼻子"로 바꾸어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음절어가 다음절어로 바뀌면서 한자 한글자의 뜻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의미 의 어휘가 다소 생겨났다. 예를 들면 현대중국어에서 "大家"라는 단어는 큰 대(大)와 집 가 (大)가 결합된 합성어이나 그 뜻은 "크다"나 "집"과는 전혀 관계없는 "모두"라는 뜻이다. 또 하나 예를 들면 "东西"는 "东"과"西"가 결합된 합성어이나 그 뜻은 "동쪽"이나 "서쪽"과는 전 혀 관계없는 "물건"라는 뜻이다.

한편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중국한자를 우리 사상문화와 언어체계에 맞도록 고쳐서 사용해

(3)

- 3 -

왔다. 예를 들면 현대중국어에서는 “언어”를 "语言"이라 하나 우리는"言语"라 한다. 또 예를 들면 현대중국어에서는 “평화”를 "和平"이라 하나 우리는"平和"라 한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중국의 한자를 이용해 우리만이 쓰는 한자 어휘를 창조해왔다. 예를 들면 "合乘(합승)"이라는 낱말은 중국어에는 없는 우리만의 한자 어휘이다. 또 예를 들면 "品切" 이나 "冷温"등의 낱 말도 중국어에는 없는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한자 어휘들이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이 똑 같은 한자를 쓰면서도 한자 어휘에 있어서 어떤 어휘는 중국에서만 사용되고 있고 또 어떤 어휘는 한국에서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중한양국이 사용하는 한자(汉字)어휘 의 뜻(意)이 다소 달라졌다. 그렇지만 저자의 통계에 의하면 전체 한자어어휘의 약 80%가 그 뜻에 있어서는 현대중국어어휘와 한국한자어어휘가 여전히 같으나 현대중국어어휘의 약 20%(예를 들면: 汽車 →자동차, 大家→ 모두, 人家 → 남. 다른 사람, 生氣→ 화내다, 學院

→ 단과대학, 語言→ 언어, 和平→ 평화, 介紹→소개, 光榮→ 영광 등등)은 한국한자와 전혀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 점이 한국인이 중국어를 쉽게 익힐 수 있으면서도 또 한편으로 는 한국한자 어휘로 중국어어휘를 대체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인이 중국어어휘를 잘못 사용하 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종류도 다양하고 신선하기 때문이다.. 매우 환영할만한

As comparing between the process of the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 manner of them i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which has been published in Korean,

What follows are the notable dictionaries: the Dai Kan-Wa Jiten ( 大漢和辞典 , The Great Chinese – Japanese Dictionary) compiled by Tetsuji Morohashi in 1960,

러한 사실은 祖上이 누구인지에 따라 그들의 사회적 신분이 결정되고 또 동일한 門閥을 소유한 貴族 사이에서만 婚姻이 이루 어지는 현상이 더욱 강화된 점을 통하여 확인할

정말 내가 뭘 하고 싶었는지,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자기소개서의 기업이 정말 내가 가고 싶었던 기업인지, 남들 이 다 가니까 써보라고 하니까 쓰고 있는

근로장려세제는 근로연계형 복지정책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DJ정부가 도입한 ‘기초생활수급정책’과 사실상 중복됩니다... 사회주의가

우리가 시장 중심의 사고방식 을 갖고 있는 까닭은 재화의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이보다도 성공한 방식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 장주의는

[ ]  에 따라 팽윤과 수축을 할 수 있는 고분자 젤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에 따라 팽윤과 수축을 할 수 있는 고분자 젤을 이용한 약물전달 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