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실태조사 비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실태조사 비교분석"

Copied!
8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7

8

석사학위논문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실태조사 비교분석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과정

(3)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실태조사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ife Satisfaction

Investigation of Foreign Workers

2017

8

25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과정

(4)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실태조사 비교분석

지 도 교 수

이 논문을 경영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합니다.

2017

5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학위 과정

(5)
(6)

ABSTRACT

서 론

I.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 4 논문의 구성 1.3. ··· 5

이론적 배경

.

··· 6

외국인 근로자의 개념 2.1 ··· 6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 2.2 ··· 9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 2.3 ··· 13 생활만족도의 개념 2.3.1 ··· 13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2.3.2 ··· 17 외국인근로자 생활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2.4 ··· 20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

··· 23

연구모형의 설계 3.1 ··· 23 가설의 설정 3.2. ··· 24

연구방법

.

··· 25

표본의 선정 및 특성 4.1. ··· 25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4.1.1 ··· 25

(7)

표본의 특성 4.1.2 ··· 25 설문지 구성 및 측정 4.2. ··· 28 자료분석 방법 4.3. ··· 30

실증분석

.

··· 31

5.1. 외국인 근로자의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 31 국적에 따른 생활만족도 5.1.1 ··· 31 비자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 5.1.2 ··· 32 체류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 5.1.3 ··· 33 5.1.4 동거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34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5.1.5 ··· 35 가설 검증 5.2. ··· 37

결 론

.

··· 40

연구결과의 요약 6.1. ··· 40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6.2. ··· 42 참고문헌 설 문 지

(8)

표 목 차

표 < 2-1> 한국 체류 외국인 총괄 현황 ··· 10 표 취업 < 2-2> 자격에 따른 전문인력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 체류, , 현황 11 표 < 2-3> 자격별 외국인 현황 ··· 12 표 < 2-4> 외국인근로자 생활만족도 선행연구 ··· 22 표 <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 27 표 < 4-2> 설문지 구성··· 29 표 < 5-1> 외국인 근로자 국적에 따른 생활만족도 ··· 31 표 < 5-2> 비자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 ··· 32 표 < 5-3> 체류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 ··· 33 표 동거인 < 5-4> 에 따른 생활만족도 ··· 34 표 < 5-5>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 35 표 < 5-6>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 37 표 가설 검증표 < 5-7> ··· 39

(9)

그 림 목 차

그림 연구모형

(10)

ABSTRACT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Life Satisfaction

Investigation of Foreign Workers

Byeong-chae Jeong. Advisor : Prof. Jong-rok Yoon, Ph.D. Department of Business Adminstra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In Korea, the avoidance of 3D jobs -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 - has worsened due to rapid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low-birth rate, ageing and income growth since 1990s, and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was 629,671 and occupied about 34%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at the end of November, 2015.

National small business was compelled to employ foreign workers for cheap labor and in this situation, foreign workers residing in Korea have suffered from prejudice that they came from poor countries and

racial discrimination along with linguistic and cultural problems.

Therefore, their job and living satisfaction were low and has become a very seriou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actors of foreign workers on their living satisfaction and presented strategies to enhance it.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various Nationality of foreign workers residing in Gwangju and Jeonnam with the use of questionnaire and for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conducted a frequency test, a t-test and ANOVA and Regres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1)

First, nationalities of the foreign workers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foreign workers from Kyrgyzstan Republic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Philippines, Cambodia, Uzbekistan,

Vietnam, China and Nepal.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ore care is needed for foreign workers from Vietnam, China and Nepal whose living satisfaction in Korea.

Second, visa types of the foreign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Third, stay period of the foreign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Fourth, cohabitants of the foreign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Fifth, dwelling patterns of the foreign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living satisfaction.

Therefore, to increase living satisfaction in foreign workers,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wage levels, working and living environment, and child care facilities.

(12)

서 론

.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유엔 미래보고서는 2050년에는 세계 인구 20-30억 명 정도가 이동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21세기가 이주민 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김성희( , 20 10). 우리나라는 2016년 현재 외국인 체류자의 비율을 보면 중국이 49.6% 로 2위 베트남의 7.3%, 3위 미국의 6.8%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대다수가. 방문 취업이나 관광 비자로 방문하는 것이다. 한국은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근로자의 3D 직종분야의 취업기피 현상이 발생하면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인력난이 심화되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공장의 해외 이전 및 외국인 근로자들의 고용을 통해 중소기업들은 인력난을 해결하고 있어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한국노동연구 원, 2013). 최근 국내에 있는 외국인 비전문취업자 수를 보면 외국인 합법, 및 불법 체류자의 수는 2007년 17만명, 2009년 18만명, 2011년 23만명, 년 만 천명 년 만 천명 년 만 천 명으로 꾸준히 증 2013 24 6 , 2015 27 6 , 2016 28 9 가하였으며 인구의 극심한 고령화와 저출산 및, 3D 직종 취업 기피현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특히 광주 전남지역에서 향후· 5년 동안 외국인 근로자가 매년 10% 증가한 다고 가정하면 내국인 근로자, 2만~3만여명이 감소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광주일보 2017.6.29). 년 말 기준 국내 체류외국인은 명으로 년 대비 2016 2,049,441 2015 7.9% 명 증가하였고 년 명 이후 연평균 증가하였 (149,922 ) , 2012 (1,445,103 ) 9.2% 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6.9%(552,036 )명 로 가장 많고 30대 24.7%, 40대 대 등의 순이고 성별로는 남성이 명 여 16.4%, 50 15% , 54.5%(1,117,206 ), 성이 45.5%(932,235 )명 이었다 중국 및 동남아 국가 국민에 대한 사증 발급. 절차 간소화로 인한 관광객 증가에 따라 일반연수(D-4)자격 체류자 수가 년 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명 가 큰 폭으로 증가하 2016 41,592 31%(9,782 )

(13)

였고 단기방문, (C-3)자격 체류자 수가 2016년 190,443명으로 전년도에 비 해 약 24%(36,338 ),명 방문동거(F-1)자격 체류자 수도 103,826명으로 전 년도에 비해 약 21%(18,067 )명 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문 인력 취업자격 체류자 수는 2016년 48,334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명 감소 으로 증가가 둔화되는 가운데 비전문취업 자격 체 -0.6%(273 ) (E-9) 류자 수는 2016년 279,187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1.1%(3,145명 으로 증) 가가 예년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방문취업, (H-2)자격 체류자 수는 2016년 명으로 전년도에 비해 명 감소 으로 취업 자격 체류 254,950 -10.7%(30,392 ) 자 수는 전체적으로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현재 갈수록 우리사회는 높은 교육수준과 생활 문화 출산감소 고령화, , , , 등과 3D 기피현상 등으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맥락. 에서 볼 때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은 노동력 보충에 필수적인 요소로 판단된 다(박찬식 2010,1). 노동 시장에서 이들의 비중이 중요한 인력임을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이. 들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 문제 야기는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임병주( 이들을 국내 노동시장에서 꼭 필요한 인력으로 인정 한다면 보다 2009,6). 적극적인 수용과 포용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들 또한 꿈을. 이루기 위한 마음으로 외국 생활을 시작하지만 결국 외국인 근로자는 일반적 으로 한국에 거주하면서 주로 단순 노동 활동을 하는 외국인을 지칭한다 이. 들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들로는 외국인 근로자 이주 노동자 외국인 노동자, ,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한국에서 주로 통용하고 있는 외. “ 국인 근로자(foreign workers)”로 칭한다 그들도 한 인간으로서 필요한 기. 본적인 본능과 표현과 사회적 인격체로 살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적응이 필 요함을 인식하는 게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외국인 근로자들은 내국인들. 이 기피하는 업종에서의 인력난을 해소시키는데 있어서 한국 경제에 큰 부분 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외국인근로자들이 연. 수를 목적으로 한다는 이유 혹은 신분이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보호받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14)

특히 미등록 혹은 불법 체류자들의 불안전한 신분을 이용하여 비인간적이 고 비인격적인 처우를 서슴지 않는 일부 한국인 고용주들의 인권유린은 근로 자들에게 한국인과 한국 사회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런 그릇된 인식과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 파생되어지는 열악한 작업. 환경 인권문제 사회적 신분문제 가족문제 그리고 의료문제 등의 문제들은, , , , 우리 사회에 큰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제가. 이제 더 이상 그들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 전체에 주어진 과제라는 사실 을 인지해야만 한다. 최근에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범죄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은 언어 및 문화 생활방식 등과. , 관련하여 갈등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이 산업 현장에서도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상대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은 노. 동에 비해 낮은 임금과 비인간적인 대우 억압적 행동 및 폭행 등으로 인한, , 비인격적인 대우에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서로의 갈등을 해소하. 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결국 한국은 외국인 근로자를 대규모 유입함에 따라 효과적으로 이들을 관 리해야 한다는 새로운 도전에 놓여있다 노동력과 기술의 상호교환은 이제. 세계 어느 시장을 보아도 일반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한국 사회도 고. 령화의 진전과 출산율의 감소로 인한 노동력 감소와 높아진 생활수준과 교육 수준으로 인해 일부 업종은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이. 를 보안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력은 불가피한 현상이다(이순희 2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은 근로자로서 권리를 제 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 생활 적응과 생활. 실태를 잘 파악하여 이들로 하여금 사회적 범죄 예방뿐만 아니라 한중간 관 계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외국인. 근로자는 더 이상 우리나라 속의 이방인이 아닌 한시적으로나마 우리와 더 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한 구성원이다 특별히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근로자.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한국 생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적응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15)

방안 및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과 관련된 문제들의 상당부분이 입 국 전 후 미흡한 적응 훈련교육과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이들의 근로실태와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한국생활만족도에 미 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서 근로자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및 생활 실태를 조사한다, . 둘째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와 한국생활에 대한 심리적 적응을, 조사한다. 셋째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생활실태 및 직무 만족도에 따른 적응의 차이, , 와 각 국가별 비자유형별 주거형태별 체류기간 등에 따른 생활만족도, , , 에 차이분석을 실시한다. 넷째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 미치는 요인을 인과관계를 규명한다, . 다섯째 위의 조사 분석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들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 , 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인 근로자와 내국인 서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근로자들이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모색하고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생활에 잘 적응 하고 만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적 고찰을. 통해 국내 외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외국인 근로자의 실태 및 현황과 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모형을 살 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 적 연구는 설문지를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16)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방법은 우편조사 및 직접 방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직무만족 및 생 활만족도 개인 일반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실증조사는 광주 전남지역에 있, . 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모두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논문의 구성내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논문의 구성

1.3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Ⅰ장은 서론 부분으로서 문제제기와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논문 구성을 기술하였다. 제Ⅱ장은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과 실태 생활만족도에 관한 접근 방법과, 측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Ⅲ장은 Ⅱ장에서 검토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연구의 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제Ⅳ장 연구방법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 구성에 관하여 기술하고 표본의 추출과 특성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Ⅴ장은 실증자료에 대한 분석내용으로 검증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한 추정결과를 기술하였다. 제Ⅵ장은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갖는 시사점을, 제시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17)

이론적 배경

.

외국인 근로자의 개념

2.1

외국에서 한국에 체류하면서 일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명칭은 그 사람의 방문 목적과 입장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정부와 기업 그. 리고 사회단체들은 이와 같이 한국에 체류하면서 일하는 사람들의 입장과 체 류방법 그리고 상황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 이주근로자 외국인 노동자 이주, , , 노동자 계약근로자 등 약간의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칭한다 하지만 일정기, . “ 간 다른 나라에 가서 돈벌이를 하는 사람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 은 동일하다(설동훈 2005). 세계화에 따른 국가 간 경쟁의 심화 개방 압력 등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선, 진국으로 선진국에서 선진국으로 이주민들이 증가하고 있다 오늘날 세계인, . 구의 3.1%인 2억3,000만 명이 이민자로 이민은 이미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었다(세계은행, 2015). 한국은 1990년대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 발전 저출산 고령화 및 소득증가, · 로 중소 제조업체의 3D 업종 기피현상이 심화되었다 이들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난 해소를 위하여 정부가 1991년 산업연수생제도(industrial trainee 를 도입한 것을 계기로 외국인 근로자의 이주가 가속화되기 시작하 system) 였다 외국인 근로자는. 2016년 12월말 현재 597,783명으로 국내체류 외국인 명의 약 를 차지하고 있다 2,049,441 29% (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국제노동기구는 한국의 생산가능 인구(working-age population)가 년까지는 매년 만 명씩 감소할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2015-2030 27 (Geoffrey, 2013). 국제연합(UN,2014)도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여 노동력 부· 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2050년까지 1,259만 명의 이민을 받아들여야 할 것 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한국의 외국인 근로자는 이주 당시에 가졌던 본인들의 희망과는 달리

(18)

대부분 3D업종에 종사하고 있으며 언어소통 체불임금 근로조건 폭행 인, , , , , 권 침해 차별 등 문제들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나아가서, . 2016년 말 현재 일반고용허가제(E-9)근로자와 특례고용허가제(H-2)근로자 47,882명이 불 법체류자(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로 전락되어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러한 어려움에 당면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사회적 비용부담 및 인권문제 대두에 따른 행정력 낭비 등 국가적 손실이 커지고 있어 그 대, 책마련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한국사회 적응과 생활만족. 도와 관련 요인으로 사회적 관계망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외국인 근로자, 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친구나 가족 친척이 많은 사람, 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원이, 제한적인 빈곤한 사람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정 재문,2012). 또한 외국인 근로자들은 한국의 직장동료나 상사에게 의존하는 것보다 모 국인 중심 집단과의 유대관계, 경험이나 정보를 공유하였다(최광묵, 2014). 이는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관계망이 모국인 중심이었고 정부산하 기관이, 나 기타 종교단체의 도움 역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최서리, 2015). 따라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관계망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외국인의 삶의 환경은 인간 삶의 본질 그 자체이며 가능성과 잠재, 력을 찾는 과정으로 고통 속에 있는 인간의 성장과 삶의 의미를 찾게 하는 원동력이다. 우리나라의 출입국 관리법 제 항2 2에서는 외국인을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로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근로기준법 제 조” . 4 4항을 통해 근 로자를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 를 제공하는 자 로 정의내리고 있다” . 이 두 가지를 종합해 보았을 때 우리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한민국의 국적“ 을 가지지 않은 자로서 직업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수입을 대가로 노동을 제공하는 자 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 은

(19)

외국인 근로자를 대한민국의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로서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하고 자 하는 자 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들이 정해진 체류기간” . 을 초과해서 우리나라에 머무를 경우 이들을 “불법 체류 외국인근로자”, “초 과 체류 외국인근로자”, 또는 미등록 외국인근로자 라고 칭“ ” 한다.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LaborOrganization:이하) “ILO”에서는 이들을 표현 하는데 있어서 이주 노동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국제노동기구협정 제43호 4의 제11장 1조를 통해 이주노동자를 자국적이 아닌“ 다른 나라에서 보수 활동에 종사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거나 현재 종사하고 있거나 또는 종사하 여온 자 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의들에 입각하여 외국인 노동자 이주노동자 혹은 계, 약 노동자 등의 법적 용어인 외국인근로자 를 사용 한다 또한 체류기간이 초“ ” . 과하여 취업이 허가되지 않은 미등록근로자인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 들도 넓“ ” 은 의미에서 이에 포함한다. 년 서울올림픽으로 인해 한국의 국제적위상은 이전과 대비하여 크게 1988 높아졌다 이를 계기로 국내에 입국하고 체류하면서 기술연수를 받으려는 외. 국인의 숫자들이 크게 늘어났고 이에 대한 방책으로 정부는 1991년에 산업 기술 연수생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의 초기 목적은 해외 투자기업의 현. 지고용노동자들을 국내로 데려와 기술연수를 시킨 후 본국으로 돌려보내 그 곳에서도 일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산업연수생 제도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뚜렷 하지 않은 연수생의 신분이다 산업연수생의 신분으로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 근로자들은 한국인근로자들과 같은 현장에서 같은 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연수생 이라는 신분으로 인해 그들에게는 한국의 노동법 산재보험 등이 제, 대로 적용되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많은 노동력 착취와 인권침해가 발. 생했고 기존에 계약된 외국인 근로자들은 불법체류자의 신분으로 한국에 남 게 되는 사례들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경제발전으로 인한 한국인들의. 3D 업종에 대한 기피현상으로 인해 이 제도는 본래의 취지를 잃고 말았다 본래. 의 목적과는 다르게 국내에 입국한 산업연수생들은 장기간 동안 낮은 임금,

(20)

열악한 근무환경 인권침해 폭행 등에 시달렸고 그 결과로 외국인 노동자는, ,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외국 인력고용관. 리 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2004년 고용허가제가 실시되었다 고용허가제는. 송출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국내에 합법적으로 취업한 외국인 근로자에게는 국내 근로자와 동등한 노동관계법을 적용하고 합리적인 대우를 제공하고 외 국인 인력 도입 선정과정에서 투명성과 공정성 그리고 책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전엔 민간단체에서 관리하던 도입 관리주체를 국가공공기관으로 변경 하였다 이 제도를 실현시키기 위해 국가 간 양해각서인. MOU를 체결하여 인력수출국과 수입국 정부 간에 주체적으로 노동력 이동절차를 구축하고 법 적인 규제가 강화되었다 하지만 고용허가제 역시 몇 가지 문제점들을 가지. 고 있었다 이 제도는 근로자들의 이직을 제한하였다 외국인 근로자들은 휴. . 업 폐업 혹은 자의가 아닌 사유로 회사를 옮겨야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직, 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마저도. 1회로 제한되어졌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 주의 폭행 비인격적 행위 차별 혹은 부정이 일어나도 사업주의 동의 없이는, , 합법적으로 직장을 바꿀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생겼다 이러한 사유들은. 외국 인근로자들의 무단이탈로 나타났고 또한 그 결과는 불법체류자로 나타났다, . 년도에는 해외로 이주 한 중국 및 구소련지역의 동포들에게 자유 왕 2007 , 래를 보장하고 국내에서 일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방문취업제(H-2)가 생 겼다 방문취업제는. 5년 이내에 출입국이 자유롭고 취업 할 수 있는 업종도 다양하다는 점 그리고 이직의 자유가 있다는 점에서 고용허가제와 큰 차이, 를 가지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

2.2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전체 외국인 수는 2007년 1,066,276명에서 2010 년에는 1,261,415명으로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는 1,546,325명으로 2016년 에는 2,049,441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출입국사무 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21)

이와 같은 외국인 수의 꾸준한 증가는 한국 내 중소기업이 인력난을 계기 로 동남아 등지의 유휴 인력이 한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한국 사회로 급속히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농촌과 도시의 격차로 인해서. 농촌에 시집오기를 꺼려하는 풍조 및 젊은 층이 결혼 기피로 인한 문제 등으 로 인해서 결혼을 통한 이주여성의 유입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의 문화가 세계로 진출함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 공부 하러오는 유학생들이 국내 체류 외국인의 상당수를 차지하게 된 것도 최근 몇 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유입의 추이는 다음 <표 2-1>과 같다. 표 한국 체류 외국인 총괄 현황 < 2-1> 단위 명 ( : ) 연도 총계 등록 단기체류 거소신고 2007 1,066,276 765,746 266,011 34,516 2008 1,158,866 854,007 263,402 41,457 2009 1,168,477 870,636 247,590 50,251 2010 1,261,415 918,917 258,673 83,825 2011 1,395,077 982,461 277,596 135,020 2012 1,445,103 932,983 324,504 187,616 2013 1,576,034 985,923 356,842 233,269 2014 1,797,618 1,091,531 419,673 286,414 2015 1,899,519 1,143,087 431,646 324,786 2016 2,049,441 1,161,677 518,902 368,862 자료 : 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22)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자격별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에 취업하는 외국인 은 크게 전문 인력과 단순기능 인력으로 구분 할 수 있다. 2016년 12월 말 기준으로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수는 597,783명으로 그 중에 합법체류 자 수가 539,463명 불법체류자 수가, 58,320명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 중에서 다음 <표 2-2>와 같이 전문 인력 수는 48,334명 단순기능 인력, 수는 549,449명이다. 전체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근로자수의 92%인 대다 수가 단순기능 인력이고, 전문 인력은 비교적 적은 수에 그치고 있다. 표 취업 자격에 따른 전문인력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 체류 < 2-2> , , 현황 단위 명 ( : ) 구분 총계 전문인력 단순기능인력 총체류자 597,783 48,334 549,449 합법체류 539,463 43,376 496,087 불법체류 58,320 4,958 53,362 자료 : 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다음 <표 2-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문 인력 수중에서 취업 자격도 회화지도(B-2)가 32%를 차지하고, 취업 자격을 가진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단순기능 인력은 크게 방문취업과 비전문취업으로 나누어져 있는 데 방문취업, (H-2)에 의한 외국인 근로자 수는 254,950명으로 전체 단 순기능 인력의 46.4%에 해당된다 방문취업은 특혜고용 가능자로서 중국. 을 중심으로 한 조선족과 구소련 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려인들이 주를 이 루고 있는 단순기능 인력을 말한다.

(23)

표 자격별 외국인 현황 < 2-3> 단위 명 ( : ) 구분 총체류자 합법체류자 불법체류자 총계 597,783 539,463 58,320 전문 인력 소계 48,334 43,376 4,958 단기취업 (C-4) 594 460 134 교수 (E-1) 2,511 2,507 4 회화지도(E-2) 15,450 15,409 41 연구 (E-3) 3,174 3,167 7 기술지도 (E-4) 187 184 3 전문직업 (E-5) 618 610 8 예술통행 (E-6) 4,302 2,515 1,787 특정 활동(E-7) 21,498 18,524 2,974 단순 기능 인력 소계 549,449 496,087 53,362 비전문취업(E-9) 279,187 233,620 45,567 선원취업(E-10) 15,312 9,832 5,480 방문취업 (H-2) 254,950 252,635 2,315 자료 : 출입국사무소 외국인정책본부, . 2016 비전문취업 자격을 가진 단순기능 인력은 현재 15개국에서 입국한 일반 외국인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서 일반 외국인이란 특례외국인과 구. 분된다 즉 특례외국인은 국적동포를 통칭하는 용어이고 일반외국인은 한국. 에 고용허가제를 통해 취업하려는 목적으로 입국하는 15개국의 외국인 근로 자를 통칭한다.

(24)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

2.3

생활만족도의 개념

2.3.1

생활만족도는 학자에 따라 여러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생활의 질, 복지 행복 만족 등으로 쓰이며 선행연구들의 개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 , 다 생활만족도란 개념을 최초로 사용한. Neugarten(1961; 김성훈, 2000에 서 재인용 에 의하면 생활만족의 개념을 다섯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째 현재 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활동으로부터 얻는 즐거움 둘째. , , , 본 인의 인생을 의미 있는 것으로 여기고 지금까지의 생활에 대한 절대적 수용, 셋째 바라던 목적과 성취한 목적간의 일치를 이룸으로써 인생의 주요목적을, 달성하였다는 감정 넷째 긍정적인 자아상 그리고 다섯째 행복 및 낙관적, , , 태도의 기분에 대한 유지라고 하였다. 1961년 Neugarten 외 2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 지표를 개발하였는데 지표로는 생에 대한 열의 결심과 인내 바, , , 라던 목표와 성취한 목표와의 일치정도 긍정적인 자아개념 낙관적인 분위, , 기 등이 있다. 김성훈 에서 재인용 는 생활만족도를 개인의 정신건 Medley(1980; , 2000 ) 강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개념을 정의하였는데 개인은 다른 사람과 상, 호작용을 통해 기대가 형성되며 이러한 기대는 다른 사람과 비교를 통해 자 신을 평가하는 근거가 된다 따라서 생활만족도란 개인의 기대수준이 합리적. 으로 충족되는가에 대한 평가라고 보았다. 성영실 에서 재인용 는 생활만족도는 자신의 생애를 의 Kalish(1975. , 2009 ) 미 있게 받아들이고 효율적으로 주의의 환경과 잘 적응하여 정서적 사회적으, 로 어려움을 겪지 않고 개인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정도라고 하였다. 윤진(1985)에 의하면 생활만족도란 개인에게 행복을 부여하는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인지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Quick(1886)은 생활만족은 일 상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기쁨을 느끼며 긍정적인 자아관념을 가지고 자신의 현재 약점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기고 낙천적인

(25)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이지영, 2001). 또한 생활만족도란 생활에 대한 기대와 현실적인 충족간의 합체에서 오는 주관적인 만족감이나 행복한 느낌으로 정의되고 있으며(김경애, 1998 ; Meeberg, 1993) 현재 상황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살아온 생활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를 의미한다(김태현, 1998). 김재인(1987)은 생활만족은 개인차원에서의 가치판단과 관련되어 있기 때 문에 정의 측정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성인자신의 측정에 기초를 두고 있으․ , 며 적응 행복감 사기 심리적 복지 능력 등의 용어로 구사되며 그 측정기, , , , , 술도 다양하다고 하였다. 는 생활만족도가 주로 사기 또는 행복감

George “ (morale)” “ (happiness)"이라

는 개념과 상호 교환적으로 또는 혼용되어 오고 있음에 대해 세가지 개념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즉 사기. (morale)는 용기 훈련 확인‘ , , , 열의 및 고난을 참고자 하는 의지에 대한 정신적인 상태 로써 현재와 미래의’ 상태에 대한 평가와 기대라고 보았으며 행복감은 현재 유쾌한 감정을 느끼, ‘ 는 일시적인 기분 이라고 봄으로써 현재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주안점으로’ 삼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서로 비슷한 현상의 속성을 나타. 내는 것으로 혼용되고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생활만족도는 사기 행복, , 감과 같은 개념 군에 속하나 좀 더 종합적인 개념으로써 보편적으로 사용되 고 있다(김종숙, 2006). 최성재(2008)의 연구에서는 생활만족도란 과거 및 현재의 삶과 활동에 대 한 전반적인 평가와 미래의 삶과 활동의 전반적인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정 도라고 정의하였다 이처럼 생활만족이란 개인에게 있어서는 눈에 보이지 않. 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는 가족과의 관 계 의사소통 사회 경제적 지위 여가생활 자아실현 가치관 건강 주거환, , · , , , , , 경 부모자녀 관계 등이 포함되며 이를 요소에 따라 생활만족은 차이를 나타, , 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성영실 에서 재인용 등은 생활만족의 영역으로 물질 Adelman(1989; , 2009 ) 적 복지 관계 개인의 발달 오락 등 다섯 가지 영역으로 보았다 영역별 행, , , . 복만족은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객관적인 생활만족을 강조하면서 생활

(26)

만족 영역을 신체 주택 가족 종교 그리고 여가 및 사회생활 등의 영역으로, , , 나누어서 지표화 하고 있다(장종휘, 2005).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일 학교( ), 여가 가정 대인관계 자기개발, , , 자기자신만족 로 정리 될 수 있다 생활만족도는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매 ( ) . 우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많은 정의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생, 활만족도를 전체적인 개념으로 보고 이를 구성하는 하위영역을 가정생활만족 도와 직장생활만족도 여가생활만족도 개인생활만족도의 네 영역으로 살펴, , 보고자 한다.

가정생활만족도

(1)

이정우 외 7인(1997)은 가정생활만족은 가족과의 생활을 통하여 경험하 는 즐거움 만족 행복 등의 주관적인 감정 및 태도로 가정생활 전반에 대하, , , 여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충족된 느낌이라고 하였다 즉 가정생활에서의 만. , 족은 개인이 속한 가정생활의 환경적 요소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심리적 요 소를 반영하는 측면으로서 개인의 전체 생활만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임정빈(1988)은 가정생활만족이란 기대와 실제로 받는 보상간의 일치에 서 느끼는 충족감뿐만 아니라 가정생활 전반에 대해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충족된 느낌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Burr(1979)의 척도 를 기초로 하여 일반적 만족 생활표준 일치 경제적 만족 의사소통 가사, , , , 노동 자녀와의관계 남편과의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이러한, , , , 8개의 하위영 역으로 나누어 만족을 양극연속형의 형태로 조사하였다고 하였다.

최동숙(1991)은 Hayes와 Stinnett의 생활만족 척도(MYLSS)와 임정빈

(1988)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일반적인 만족과 가정생활의 여러 양상에

따른 7가지 하위영역 즉 생활표준의 일치 가사수행 재정상태 부부관계, , , , ,

자녀관계, 여가 및 지역사회 참여 주부자신의 위치 및 역할에 대한 만족,

(27)

직장생활만족도

(2)

유기현(1983)은 조직 활동측면에서 직무만족은 개인의 태도와 신념 가치, 및 욕구 등의 수준이나 차원에 따라 구성원이 직무와 관련지어 갖게 되는 감 정적 상태라고 정의하였다 김용흔. (2007)은 직장생활만족도는 직무에 대한 태도의 하나로서 한 개인의 직무나 직무경험 평가 시에 발생하는 유쾌하고 긍정적인 정서 상태라고 하였다 즉 직장생활만족도가 높은 수준에 있는 개. 인은 자신의 직무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직장생활, 만족도의 수준이 낮은 사람은 직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직업만족도는 자신의 직업과 관련된 경험에 대하여 평가할 때. 갖는 만족스러운 또는 바람직한 정서상의 태도(Locke, 1955)로서 직업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일에 대한 동기가 높으며 생산성도 증 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직업만족도는 직업 뿐 아니라 가정. , 사회생활의 성취 면에서도 아주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김우영 김응규( , , 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2001) .

여가생활만족도

(3)

여가만족도란 일반적인 여가 경험이나 상황에 대해 즐겁거나 만족하는 정 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여가의 만족스러운 감정은 개인의 의식적 무의식적 욕․

구가 충족됨으로써 야기된다 이종길( , 1992). Regheb & Beard(1980)는 만

족을 활동의 선택과 그에 따른 참여의 결과로서 개인적으로 형성된 감정이나 인지 혹은 일반적인 경험이나 상황에 즐거워하거나 만족하는 정도라고 정의 하였고 여가만족은 개인이 선택한 여가활동에 참여한 후에 형성되는 긍정적, 감정이나 인지의 정도라고 설명하고 있다 임번장 정영린. · (1995)은 여가만족 을 여가활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욕구의 충족 또는 만족에 대한 개인의 인식 정도라고 정의하였으며 정영린, (1997)이 연구한 생활체육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연구에서는 여가만족을 일반적인 여가의 경험이나 상황에 대하여 즐거 워하거나 만족해하는 주관적 지각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여가활동의 선택정도

(28)

가 참가 결과로서 개인이 형성하거나 획득하는 긍정적 인식 또는 감정으로 정의하고 있다.

개인생활만족도

(4)

많은 연구에서 개인생활 즉 자기 계발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직장생활, 만족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생활만족이란 개인의 자기 계발활동. 에 대한 개인의 기대와 그 기대에 대한 충족 여부 및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주관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같은 결과에도 각자의 기대수준. 에 따라 충족여부와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본다. 이런 맥락에서 레몬과 그의 동료에 의한 활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도식 화해 보면 학습참여활동 → 역할지지 → 자아개념 → 생활만족으로 전개된 다 활동이 능동적이고 많을수록 역할지지를 더 받게 되며 후기성인의 자아. 개념 확립계기를 마련해주어 높은 생활만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2.3.2

사회 인구학적 특성

(1)

생활만족도와 사회 인구학적 특성 변수와의 관계에서 소득의 경우 소득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타났다 박경숙. (1993)의 연구에서도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임정빈(1988), 최동숙(1991), 조미환 임정빈· (1991), 이정우 의 연구에서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93) . 공은경(1995)의 연구에서는 중년들의 심리적 안정과 생활만족의 주 결정 요인이 가족수입과 사회경제적 지위로 나타났다. 방하남(2000)의 연구결과에서 성별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 성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Loscocco(1997)에 의하면 여성 자영업자들의,

(29)

경우 시간 사용을 융통성 있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만족도

가 높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연령은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및.

연구에서 직업만족도나 생활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

다. 홍경아(2001)의 연구에서 대상자들의 생활전반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연령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으로도 보고하고 있는데, Herzberg(1957)와 Oswald와 Warr(1996)의 연구

에 의하면 연령과 직업만족도는 확연한 U자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김우( 영 김응규, , 2001)고 설명하고 있다. 방하남(2000)에 의하면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기대수준이 낮기 때문에 전 반적인 생활에 기대가 없어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경향이 높다고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측정요인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 휴가사용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 , , .

가정 환경적 특성

(2)

신기영 옥선화· (1997)연구에서는 중년기 주부의 가족역할 수행이 심리적 복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생활만족도를 높여준다는 선행연구가 있는 반면 김재경(1992)의 연구에서는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낮다고 했으 며 임희재(1995)의 선행연구에서는 중년기 가족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부 정적 영향을 미쳐 생활만족도를 낮게 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취업여부에 대한 결과는 일관되지 않아서 취업주부가 만족도가 높다는 연 구 조미환 임정빈( · , 1991; 김경숙 이정우· , 1993; 조혜정,1994)와 부적관계라 는 연구 두경자( , 1990; 이기영 조영희· , 1992), 그리고 상관이 없다는 연구 임정빈 최동숙 로 분류된다 ( , 1988; , 1991) . 그 밖에 자가 주택일수록 가족 수가 적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임, ( 정빈, 1988; 두경자, 1990; 최동숙, 1991). 가족 수가 많을수록 가사분담이 높고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가족 수가. 많다는 것은 가족구성원 중 어린 자녀나 노인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 기 때문에 직장생활과 가족생활을 함께 하는 성인에게 가족역할의 부담을,

(30)

증가시키며 또한 갈등을 발생시키고 생활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직업 환경적 특성

(3)

김재경(1992)은 남편의 직업지위가 주부의 생활만족도에 영향력 있는 변 수로 고려되고 있다 재택근무나 재택기업은 주로 기혼여성의 취업과 관련된. 연구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기제로 밝혀졌다 재택근무는 가정생활과 일의 통. 합을 허용함으로써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더욱 시간적인 융통성을 크게 한 다 박미혜( , 1998). 일반적으로 재택근무형태는 자녀양육 가사노동병행 의복비 교통비 외식, , , , 비 등과 관련된 잠재소득을 얻을 수 있어 가정의 재정 상태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는 것 김순미 홍성희( , , 2000)으로 나타나 생활만족에도 긍정적 영향 을 준다 홍경아. (2001)의 연구결과에서 생활만족도는 기업연수가 길어질수 록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기업의 지나치게 긴 근무시간은 부부 및 가족원과 대화할 수 있는 시간, 가족원과의 여가활동시간 등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가정생활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 연구에 의하면 상당수의 기업자들이 믿을 수 없을 만 Loscocco(1997) 큼 오랜 시간 동안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영업자들의 기업의 생. 존과 경제적 성공에 대한 전적인 책임이 있으며 결국 자영자들은 기업이 제, 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스로를 착취하는 방향으로 자율성을 발 휘하게 된다 그러나 기업 종사자들의 과도한 근무시간이 주말까지 연장되는. 것은 기업 종사자들의 여가만족도를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 차성( 란, 2001)도 있다 그러나 홍경아. (2001)의 연구결과에서는 근무시간이 길수록 생활만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1)

지역사회 환경적 특성

(4)

임효영(2001)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친정친족의 정서적 지원 시가친족의 접촉빈도 친구의 정서적 지원 순으로, , 생활만족도를 30% 설명해주고 있다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활만족도를 높이. 기 위해서는 가족 이웃 친구 사회단체 등 사회적지원망의 중요성을 올바로, , ,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선행연구가 있다 사회활동과 삶의 질 관. 계를 보면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살 수 없, 으며 개인적인 활동보다는 집단적인 활동을 통하여 만족도가 높아진다 노유, ( 자, 2006).

외국인근로자 생활만족도에 대한 선행연구

2.4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측정요소와 영향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을 통하 여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생활만족. 도에 대한 특정요소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김한정. (2012)은 외국인 근로자의 직장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근로자들의 고용실태를 파악하고 생활 환경 근로환경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국적 성별 결혼여, , . , , 부 학력 거주주택 동거인 수 체류기간 근무시간이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 , , , , 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nom Sodbileg(2014)는 서울 에서 공부하는 몽골 유학생들의 생활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선행연구결. 과 주거환경 의료환경 학교 학습 시설 서비스 환경과 서비스 장학금 비자, , ( , , ) ( , 획득 편의성 아르바이트 환경이 유학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 ) 타났다 상경위. (2014)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선행연구결과 인. 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생활만족도는 보통이였 고 국적 생활비 부담감 사회적 지지수준 여가활동 참여정도에 따라 대학, , , , 생활만족도는 차이를 보였다.

(32)

김보미(2007)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자녀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진 행했다 선행연구의 결과로는 이주노동자 자녀의 생활만족도에 문화적응 스. 트레스 차별경험 사회적 지지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 .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낮으며 생활만족도는 작으며 사 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높이 나타났다 차별경험은 생활만족도. 에 영향을 미쳤고 거주기간 연령 한국어 실력 성별은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 ,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였다. 강남모(2008)는 외국인근로자의 생활과 근로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로는 한국에 대한 인상은 좋거나 보통으로. 나타났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의 어려 움으로 한국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으. 로는 만족하였고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여가시간에 개인 활동에 대한 생 활만족도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호체랙(2013)은 재한몽골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관 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결과 중 재한몽골노동자의 향수병 차. , 별 편견 문화충격 직장에서의 어려움 의사소통 어려움 대인관계 어려움이, , , , , 생활만족도에 낮게 나타났다 특히 향수병이 생활만족에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김종서(2012)는 다문화가족 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인식 다문화 정책지원 다문화 서비. , , 스 한국어 이해 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다, . 문화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사업별 중복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정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다문화 조직 및 인력 등의 확충과 부서의 통합으로 다문화정책이 원활하게 진행 될 수 있도 록 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미자(2011)는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 하였다 측정요소로는 자기효능감 인식도 사회적지지도 등이 있다. , , .

(33)

외국인근로자의 생활만족도의 측정도구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 2-4>와 같다. 표 외국인근로자 생활만족도 선행연구 < 2-4> 연구자 측정요소 김한정(2014) 국적 성별 결혼여부 학력 거주주택 동거인 수 체류기간, , , , , , Sodnom Sodbileg(2014) 주거환경 의료환경 학교환경 서비스, , , 상경위(2014) 국적 생활비부담금 사회적 지지수준 여가활동 참여정도, , , 김보미(2007) 사회적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생활의 차별 경험, . 강남모(2007) 생활 근로환경 언어습득 문화 한국에 대한 인상, , , , 행복감 의사소통의 주거환경, 영호체랙(2013) 향수병 차별 편견 문화충격 직장에서의 어려움, , , , , 의사소통의 어려움 대인관계 어려움, 김종석(2012) 다문화인식 다문화 정책지원 다문화 서비스, , , 한국어 이해능력 김미자(2011) 정신건강 자기효능감 며느리특성 문화적응 갈등, , , , 사회적지지 자료 : 연구자정리

(34)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

연구모형의 설계

3.1

앞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과 실태에 관해 살펴보 았다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해 살펴보. 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 도 태도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계의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급여수준 근로시간 작업환경 생활환경 한국인과의 관계 의료시설이용 ( , , , , , , 보육 및 탁아시설 외국인 비자종류 체류형태 체류기간 를 독립변수로 설, , , ) 정하였으며 생활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 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간의 관계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 고자 <그림 3-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생 활 만 족 도

그림 연구모형 < 3-1> 직장 근로조건 급여수준 -근로시간 -작업환경 -복리후생 -보육 및 탁아시설 의료시설 이용 -기타 생활환경 -한국인과 관계 -입국비자 유형 -체류기간

(35)

-가설의 설정

3.2

김한정(2012)은 외국인 근로자의 직장생활 만족도를 중심으로 근로자들의 고용실태를 파악하고 생활환경 근로환경 생활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 , . 과로는 국적 성별 결혼여부 학력 거주주택 동거인 수 체류기간 근무시간, , , , , , , 이 외국인 근로자들의 직장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모(2008)는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과 근로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로는 한국에 대한 인상은 좋거나 보통으로. 나타났고 한국인에 대한 인상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이 어려 움으로 한국생활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환경으. 로는 만족하였고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여가시간에 개인 활동에 대한 생 활만족도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제시한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 급여수준 근로시간 작업환경 생활환경 한국인과의 관계 의료시설이( , , , , , 용 보육 및 탁아시설 입국비자유형 체류기간 과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 , , ) 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통해 도출된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가 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급여수준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근로시간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작업환경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생활환경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 한국인과의 관계는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의료시설이용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7. 보육 및 탁아시설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 입국비자유형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 체류기간은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6)

연구방법

.

표본의 선정 및 특성

4.1

표본의 선정 및 자료수집

4.1.1

앞에서 제시한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 급여수준 근로시간 작업환경 생활환경 한국인과의 관계 의료시설이( , , , , , 용 보육 및 탁아시설 입국비자유형 체류기간 과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 , , ) 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2017년 6월 15일까지 이루어 졌으 며 조사대상은 광산구에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설문조 사를 위해 각 나라별 외국인 상담사들의 도움을 받아 별도의 설문지 한국어( ,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캄보디아어 우즈베키스탄어 를 제작하여, , , , ) 400부의 설 문지를 배포하였으며 35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322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표본의 특성

4.1.2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된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 <표 4-1>과 같다. 표본에 대한 국적별 특성을 살펴보면 필리핀이 33.8%로 조사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캄보디아가 19.6%, 베트남이 15.8%, 중국 한족( ) 이 10.9%로 나타났으며 네팔이 6.8%, 중국동포는 6.2%, 키르기스스탄이 로 나타났다 비자종류의 특성을 살펴보면 비전문취업 이 4.0% . (E-9) 54.3% 로 조사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거주(F-2)가 12.1%, 방문 취업(H-2)이 11.2%, 결혼(F-6)이 8.7%로 나타났으며 영주(F-5)가

(37)

3.4%, 동반(F-3)은 2.2%,로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는 총. 322명 중에 남자는 184명으로 58%이며 여자는, 42%로 조사대상 중 남자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인 외국인 근로자의 연령별. 특성을 살펴보면 21-30세가 45.6%로 조사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였으며 31-40세는 31.3%, 41-49세는 15.5%로 나타났으며 50세 이상은 4.3%, 20세미만은 3.4%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결혼여부를. 살펴보면 미혼이 49.43%로 조사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미혼과 유사한 비율로 기혼은 42.9%, 사별이1.8%, 이혼이 3.5%로 나타났 다 한국에서의 체류비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고용허가제가. 54.3%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미등록노동자 27.0%, 기타가 15.5% 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형태에 따른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조사. 대상 외국인 근로자 중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가 33.2% 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아파트가 21.7%, 단독주택이 19.9%, 비주거용건물 상가( , 식당 이) 5.9%로 나타났으며 가건물 컨테이너( , 비닐하 우스 가) 5.0%, 연립 다세대는· 5.0%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타 여관( , 찜질 방 이) 3.7%, 쉼터가 1,2% 기타가 4.0%로 나타났다. 동거인 특성을 살펴보면 같은 나라 사람이 50.6%로 조사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가족 및 친척이 23.6%, 다른 나라 사람이 한국인이 로 나타났으며 기타는 로 나타났다 18.6%, 10.9% 0.9% . 근무기간을 살펴보면 36개월 이상이 33.5%로 전체조사 대상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12개월과 13-18개월이 동일하게 17.7%로 나타났으며 25-36개월이 14.3%, 19-24개월이 개월 이내는 로 나타났다 표본의 직장변경 경험을 살펴보면 9.9%, 6 6.5% . 없다가 60.6%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직장을 변경한 경험이 있는 경 우도 39.4%를 차지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의료보험 가입여부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 중 의료보험에 가입한 외국인 근로자는 60.2%로 절반이상 의 외국인근로자가 의료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의료보험에 가입되지 않 은 경우는 39.8%를 차지하였다 외국인근로자의 산재보험 가입여부를 살. 펴본 결과 조사대상 중 산재보험에 가입한 외국인 근로자는 53.7%로 절

(38)

반이상의 외국인 근로자가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며 산재보험에 가입 되지 않은 경우는 46.3%롤 차지하였다. 표 인구통계학적 특성 < 4-1> 구 분 빈 도 백분율(%) 국적 네팔 22 6.8 베트남 51 15.8 우즈베키스탄 8 2.4 중국 한족( ) 35 10.9 중국동포 20 6.2 필리핀 107 33.8 캄보디아 65 19.6 키르기스스탄 13 4.0 비자 종류 방문동거(F-1) 20 6.2 거주(F-2) 39 12.1 동반(F-3) 7 2.2 영주(F-5) 11 3.4 결혼(F-6) 28 8.7 방문취업(H-2) 36 11.2 비전문취업(E-9) 175 54.3 결혼 고용허가제 185 57.4 미등록 노동자 87 27.0 기타 50 15.5 성별 남 184 58 여 138 42 연령 세미만 20 11 3.4 세 21-30 137 45.6 세 31-40 100 31.3 세 41-49 50 15.5 세이상 50 14 4.3

(39)

설문지 구성 및 측정

4.2

본 연구에서 사용할 설문지는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의 범위를 크게 선 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 결정요인 급여수준( , 근로시간, 작업환경, 생활환경, 한국인과의 관계, 의료시설이용 보육 및 탁아시설 입국비자유형 체류기간 과 외국인 근로, , , ) 자의 생활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으로 설문조사를 구 분 빈 도 백분율(%) 체류 기간 개월 이내 6 12 3.7 개월 7-12 37 11.5 개월 13-18 48 14.9 개월 19-24 52 16.1 개월 25-35 45 14.0 개월 이상 36 127 39.4 근무 기간 개월 이내 6 21 6.5 개월 7-12 57 17.7 개월 13-18 57 17.7 개월 19-24 32 9.9 개월 25-36 46 14.3 개월 이상 36 108 33.5 직장 변경 있다 127 39.4 없다 185 60.6 의료 보험 가입 194 60.2 미가입 128 39.8 산재 보험 가입 173 53.7 미가입 149 46.3 계 322

(40)

실시하였다. 설문항목은 선행연구에서 검토되어진 것으로서 신뢰성이나 타당성이 검증된 사항을 선별적으로 본 연구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 보 완하여 측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설문지 구성은 다음 <표 4-2>와 같다. 표 설문지 구성 < 4-2> 변 수 문 항 수 문항번호 국적 1 1 비자종류 1 2 체류비자 1 3 성별 1 4 결혼 1 5 연령 1 6 학력 1 7 주거형태 1 8 동거인 1 9 거주인원 1 10 체류기간 1 11 근무기간 1 12 사업장변경 1 13 의료보험 1 14 산재보험 1 15 한국생활만족도 1 16 월수입 1 17 급료사용 1 18 급여수준 1 19 근로시간 1 20 작업내용 1 21 작업환경 1 22 생활환경 숙소 시간 등( , ) 1 23 한국인과의 관계 1 24 의료시설 1 25 휴일보내는 시설 1 26 보육 및 탁아 1 27 공공시설이용 1 28 직장에서의 어려움 1 29 한국생활에서의 어려움 1 30 공공기간의 활용과 만족도 7 31 한국에서 필요한 서비스 7 31

(41)

자료분석 방법

4.3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 , 상관관계 분석에는 SPSS 21.0 KO for Windows를 사용하며 확인적요인 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과 계층적 회귀분석과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42)

실증분석

.

외국인 근로자의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

5.1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살펴보기 위해 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T-test .

국적에 따른 생활만족도

5.1.1

먼저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 5-1>과 같다. 표 외국인 근로자 국적에 따른 생활만족도 < 5-1> 국가 생활만족도 F 유의도 평균(M) 표준편차(SD) 키르기스스탄 4.2308 .36300 4.285*** .009 필리핀 3.9346 .33094 캄보디아 3.3226 .58259 중국동포 3.3000 .45993 베트남 3.1961 .31657 중국 한족( ) 2.9143 .47393 네팔 2.7647 .37541 전 체 14.529(1.851) *** p<.001, ** p<.01, * p<.05

(43)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통계 < 5-1>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국적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나라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중 키르기스스탄의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필리핀 캄보디아 중, , 국동포 베트남 중국 한족, , ( ), 네팔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 로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베트남이나 중국 네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세심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자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

5.1.2

외국인 근로자의 비자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 5-2>와 같다. 표 비자종류에 따른 생활만족도 < 5-2> 비자종류 생활만족도 F 유의도 평균(M) 표준편차(SD) 영주(F-5) 3.63 .278 3.742** .004 방문취업(H-2) 3.60 .432 비전문취업(E-9) 3.58 .292 결혼(F-6) 3.44 .525 방문동거(F-1) 3.32 .525 거주(F-2) 3.02 .315 동반(F-3) 2.98 .462 전 체 16.966(2.531) *** p<.001, ** p<.01, * p<.05

(44)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비자 종류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있 < 5-2> 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비자 종류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중 영주(F-5) 비자를 가진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생활 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방문취업 비전문취업 결혼 방문동거 거주 동반 (H-2), (E-9), (F-6), (F-1), (F-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주 의 경우 안정 (F-3) . (F-5) 적으로 한국생활을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 되며 방문취업(H-2)이나 비전문취업(E-9)의 경우에는 사무직이나 전문 직 종 등이 포함되어 있거나 비교적 자유롭게 자신의 적성에 맞거나 근로조건이 좋은 직종에 종사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체류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

5.1.3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과 같다 5-3> . 표 체류기간에 따른 생활만족도 < 5-3> 체류기간 생활만족도 F 유의도 평균(M) 표준편차(SD) 개월 25-35 3.61 .375 4.663** .011 개월 이상 36 3.54 .473 개월 13-18 3.51 .316 개월 19-24 3.42 .582 개월 7-12 3.37 .582 개월이내 6 2.91 .330 전 체 13.224(1.994) *** p<.001, ** p<.01, * p<.05

(45)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체류기간에 따라 생활만족 < 5-3> 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체류기간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중 25-35개월을 한국에서 체류한 외국인 근로자가 한 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36개 월 이상, 13-18개월, 19-24개월, 7-12개월, 6개월 이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의 체류기간이 길면 길수록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한. 국에서의 체류기간이 길면 길수록 한국생활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환경이나 생활에 있어서 익숙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반면에 체류기간이. 2년 미 만인 경우에는 한국의 문화나 생활여건에 대한 적응이 잘 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생활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동거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5.1.4

외국인 근로자의 동거인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5-4>와 같다. 표 동거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 5-4> 동거인 생활만족도 F 유의도 평균(M) 표준편차(SD) 가족 친척, 3.87 .525 3.421** .001 다른나라 사람 4.03 .392 같은나라 사람 3.56 .525 한국인 3.11 .415 전 체 18.116(1.760) *** p<.001, ** p<.01, * p<.05

(46)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동거인에 따라 생활만족도 < 5-4> 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 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동거인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중 가족이나 친척과 함께 지내는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그 다음으로는 다른 나라 사람 같은 나라 사람 한국인 순으로 나타났는. , , 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에서 가족이나 친척과 함께 살게 되면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검증결과. 는 가족이나 친척과 함께 있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로 심리적인 안정과 편안함 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반면 한국에서의 한국인과 함께 지내는 경우에 생활만족도가 낮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한국인 과의 이질감 등으로 인해 생활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5.1.5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와 같 5-5> 다. 표 주거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 < 5-5> 주거형태 생활만족도 F 유의도 평균(M) 표준편차(SD) 연립 다세대, 3.87 .316 2.773** .004 아파트 3.57 .582 단독주택 3.51 .582 기숙사 3.44 .330 여관 찜질방, 3.12 .363 가건물 컨테이너 ( ) 2.98 .299 비 주거용건물 상가 식당 ( , ) 2.82 .573 쉼터 2.77 .310 전 체 18.553(2.744) *** p<.001, ** p<.01, * p<.05

(47)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주거형태에 따라 생활만족 < 5-5> 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주거형태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 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 중 연립주택에서 지내는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아파트 단독주택. , , 기숙사 여관 찜질방 가건물 컨테이너, , , ( ), 비 주거용 건물 상가 식당( , ), 쉼터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생활에 대한 만족에 있어서 주거형태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주거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 생활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 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환경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수치

표 목 차 표&lt; 2-1&gt; 한국 체류 외국인 총괄 현황 ···························································· 10 표 취업&lt;2-2&gt; 자격에 따른 전문인력 단순기능인력 외국인근로자 체류,, 현황 11 표&lt; 2-3&gt; 자격별 외국인 현황 ············································································ 1
표 자격별 외국인 현황&lt;2-3&gt; 단위 명(: ) 구분 총체류자 합법체류자 불법체류자 총계 597,783 539,463 58,320 전문 인력 소계 48,334 43,376 4,958단기취업(C-4)594460134교수 (E-1)2,5112,5074회화지도(E-2)15,45015,40941연구 (E-3)3,1743,1677 기술지도 (E-4) 187 184 3 전문직업 (E-5) 618 610 8 예술통행 (E-6) 4,302 2,515 1,78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비자 종류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있&lt;5-2&gt; 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비자 종류에 따라서 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표 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에서의 동거인에 따라 생활만족도&lt;5-4&gt; 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분석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분
+2

참조

관련 문서

첫째,공익근무요원의 자격 및 역할에 있어 특수교사와 공익근무요원간의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공익근무요원의 학력으로 특수교사는 대학 졸업의

첫째, 초등학교 비장애 학생과 지적장애 학생 간에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근 지구력, 순발력에 있어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라 선호이유에 차이를 검증한 결과 건강상태에 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건강과 체력유지 및 증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협동미술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필요하 , ‘ 다 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

34kg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둘째 댄스스포츠를 활용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중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 , 성에 따라 사회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외국인 근로자 활용 시 애로사항 외국인 근로자 활용의 파급효과 외국인 근로자 고용정책 평가 고용허가제 고용절차 평가.. 앞으로 외국인력 활용여부와 근로자

설정하였다.먼저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정도가 높아졌으며,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