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9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09년 2월 석사학위논문

노년기 여성 우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정 호 영

(3)

노년기 여성 우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ontheInfl uenci ngFactorsofDepressi oni n theEl derl yWomen

2009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정 호 영

(4)

노년기 여성 우울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오 을 임

이 논문을 사회복지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10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정 호 영

(5)

정호영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印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印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印

2008년 11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 i -

목 목 목 차 차 차

AAABBBSSSTTTRRRAAACCCTTT

제제제 111장장장 서서서 론론론···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제제제 222장장장 이이이론론론적적적 배배배경경경···5

제1절 노년기 여성 ···5

1.노년기의 정의 ···5

2.노년기 여성의 특성 ···10

제2절 노년기 여성의 우울 ···20

1.노년기 우울의 개념 ···20

2.노년기 우울의 원인 ···26

3.노년기 우울의 증상 ···28

4.노년기 우울의 치료 ···30

제3절 노년기 여성 우울의 영향요인 ···32

1.인구통계학적 요인 ···32

2.건강 요인 ···34

3.가족환경적 요인 ···35

4.경제적 요인 ···37

5.노후관련 요인 ···38

제제제 333장장장 연연연구구구설설설계계계···40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40

제2절 변수의 조작화 ···41

제3절 자료의 수집과 분석 ···43

(7)

- ii -

제제제 444장장장 실실실증증증분분분석석석···44

제1절 표본의 특성 ···44

제2절 일반적 특성별 노년기 여성의 우울정도 ···48

1.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우울정도 ···49

2.가족환경 요인별 우울정도 ···51

3.경제적 요인별 우울정도 ···52

4.노후관련 요인별 우울정도 ···54

제3절 노년기 여성의 우울 결정요인 ···56

제4절 분석결과의 논의 ···57

제제제 555장장장 결결결 론론론···61

제1절 요약 및 결론 ···61

제2절 연구의 제언 및 제한점 ···63

참참참고고고문문문헌헌헌···64

부부부록록록(((설설설문문문지지지)))···75

(8)

- iii -

표 표

표 목 목 목 차 차 차

<표 2-1> 자살 사망자와 우울증 환자수 증가 현황 ···22

<표 2-2> 정신장애의 진단 기준 및 통계 편람 제4판 (DSM-Ⅳ)···23

<표 2-3> 노인 우울증과 자살의 개념적 모델 ···29

<표 4-1> 인구통계학적 요인 ···44

<표 4-2> 가족환경 요인 ···45

<표 4-3> 경제적 요인 ···46

<표 4-4> 노후관련 요인 ···47

<표 4-5> 조사대상자가 지각하는 우울정도 ···48

<표 4-6>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우울정도 ···50

<표 4-7> 가족환경 요인에 따른 우울정도 ···52

<표 4-8> 경제적 요인에 따른 우울정도 ···53

<표 4-9> 노후관련 요인에 따른 우울정도 ···55

<표 4-10> 우울감 결정요인 ···56

(9)

- iv -

그 그

그 림 림 림 목 목 목 차 차 차

<그림 2-1> 남녀의 수급자 백분율표 ···14

<그림 3-1> 연구모형 ···40

(10)

- v -

ABSTRACT

A StudyontheInfl uenci ngFactorsofDepressi oni nthe El derl yWomen

JeongHo-Young

Advisor:Prof.OhEul-Im Ph.D.

DepartmentofSocialwelfare,

GraduateSchoolofChosunUniversity

This study is about how people in the community use the services in social welfare center.Itfocuses on how this is related to depression levelofsenior women and analyzesthepossiblereasonsforit.Thepurposeofthisstudy isto provide the initialinformation for preventing and alleviating depression levelin seniorwomen.Thisstudyfoundthefollowing.

First,findingsofthisstudywerebasedonthesurveyof97respondents.48.5% of them fellwithinthenormalrange,and51.5% fallwithinthescopeofunusual.This is because 78.3% ofthem (from 70-year-old to 89-year-old)didn'tthink their healthisingoodcondition,and86.6% duetothelow incomeissue.

Second,from the demography,itshows thatthe age,education,and the health condition haveinfluenceon thedegreeofdepression.Peopleabove81yearswith noeducationandinbadhealthconditionhadthedeepestlevelofdepression.

Third,from family environment,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how the

(11)

- vi -

familyinfluencesthedegreeofdepression.Thestudyfoundnothingofsignificance from theinfluenceofaspouseofasexualpartner.

Forth,from theeconomics,one-wayAnovawasalsousedtoanalyzethedegreeof depression.Themonthexpense,living costandsalarycaninfluencethedepression degree. Theperson whosemonthly expensesarelessthan 300,000won,lacking livingcostsanddependingonthegovernmentsubsidyshoweddeepdepression,and thepeoplewhoareonpensionhadlightdepression.Thisshowsthatstableincome hasthegreatinfluenceonthelevelofdepression.

Fifth.from the supersaturation, theburdenofdietaryhasrelationwithdepression degree.In the survey,the people who have burden ofdietary life showed deep depression.Health condition of senior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depression,thefinancialproblem isthesecond.

Sixth, this study uses regression analysis to analysis the final reasons of depression degree.Reasonsforhigh levelofdepression on seniorwomen include:

education,healthconditionandmedicalcareexpenses.Depressionlevelhasnothing to do with age,religion,spouse,children,cohabitation relationship or economic activity.

The demography ofthe surveyed senior women was as follows:78.5% were 70-year- old or older, 86.6% graduated from elementary school,67% were peoplewhothinktheirhealthconditionisnotverygood,76.3% werewidows and 58.7% were single women.86.6% had no salary,and 82.5% their monthly expenses were less than 600,000 won.78.3% gottheirincome from children or governmentsubsidy.

Thisstudy showsthatlack ofaccessto education leadsto no socialstatus.No socialstatuswillleadtoeconomicproblems.

Withagingandtheweakeningofthebodycategory,51.5% hadnoincomeandthe

(12)

- vii -

unstableincomefrom children andgovernment,andtheotherexpensesofmedical carehavethenegativeinfectofdepressiondegreeonseniorwomen.

Itshould be noted thatwe should putan attention on earned income,financial support,and medicalservice support.In aging society,we should provide these kindsofservicestomakesuretheseniorwomen livemoremeaningfullives.The majordifficultforseniorsisfinancial,andinordertosolvethis,politiciansshould beinvolved.

(13)

제 제 제 1 1 1장 장 장 서 서 서 론 론 론

제 제 1 1 1절 절 절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목 목 목적 적 적

노년기는 인생주기의 맨 마지막에 위치해 있어서 인생의 의미를 통합하고 평가하는 시기이다.불과 반세기 전만 해도 노년기는 인간의 전 생애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했다.그러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인생의 1/4혹은 1/3에 해당하는 기간이 되는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의미 또한 매우 중요해졌으며,수명이 길어지면 길어질수 록 그 중요성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한편 의료 및 보건 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 장된 노인들은 신체적 노화에 따른 건강약화로 유병장수하게 되었고,급변하는 현대사 회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하여 주위로부터 소외되고 고독감을 느끼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노년기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노년기로 접어든 노인들은 신체적 노화로 인하여 한두 가지 이상의 질병을 지니고 생활하게 된다.또한 신체적 건강뿐 아니라 노년기의 신체적 건강약화로 인한 심리적 부담,배우자나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경제적 능력의 상실과 빈곤,사회적 역할상실로 인한 고립,일상생활에 대한 통제력 약화,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등의 부정적 상 황들로 인한 스트레스로 정신건강에 장애를 가진 노인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단순히 질병이나 허약성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 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로 정의하고 있다.이 정의에서는 건강의 개념 을 신체적 측면에 국한하지 않고,개인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하게 기능하 는 상태를 건강으로 보고 있다.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노인들은 양호한 정신보건을 유 지하지만,대략 65세 이상 노인들의 20% 정도가 정신장애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된 다.노인들에게 가장 보편적인 정신보건문제들은 우울,자살,치매,불안장애,알코올남 용,약물오남용 등이 있다.그 중에서도 우울은 슬픔과 절망 등과 같은 감정으로 특징 지어지는 장애인데,그 심각성의 정도는 경미한 것에서 치명적인 것까지 범위의 폭이 넓다.

사람은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번쯤은 우울증상을 경험할 수 있는데,특히 노년기는 우울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기다.노년기의 우울증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을 포함하는 심리적 반응의 한 형태로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예후가 나쁜 편이며,

(14)

여러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노인 자살에서 우울증이 단일요인으로는 가장 결정적인 위험요인이라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최근 고령화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사회 각 부문에서 노인의 삶에 대 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노인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려는 많은 연구 들이 있었다.선행된 연구나 보고에 따르면 자살자의 약 60%가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 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우울증 환자의 20-30%만이 치료를 받는다고 한다.특히 2006년 발표된 정신질환역학조사 결과를 살펴보면,2001년에 비해 주요 우울장애 평생유병율 이 4%에서 5.6% 증가했고,일년유병율 역시 1.5%에서 2.5%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 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에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2.9%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2008년 7월 현재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0.3%로 10년 전 (1998년)의 6.6%에 비해서 3.7%가 증가하였다.또한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 상 노인의료비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10년 전 대비 성별․연령별 사망률을 보면 남녀 모두 전 연령층에서 사망률이 감소하였고,연령이 높을수록 사망률 감소폭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통계청,2007).이는 고령화가 급속하게 전개되어,앞으로 한국 사회 가 안게 될 노인 문제의 심각성을 예견케 해주며,노인문제의 해결을 위한 준비 기간이 길지 않음을 예상하게 한다.

한편 노인인구 증가현상과 관련하여 간과할 수 없는 또 다른 사실은 노인인구의 대 부분이 여성이라는 것이다.2007년 12월 현재 주민등록 연령별 인구현황에 따르면 60 세 이상 노인인구의 57.66%가 여성이고,80세 이상에서는 69.98%가 여성이며,90세 이 상 장수노인 81,258명 중에서는 무려 79.54%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2007,통계청).

이미 많은 실태조사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긴 평균수명,열악한 취업여건,건강상태 의 악화,유배우율의 감소,낮은 교육수준 등으로 인해 노후에 더 심각한 상황에 노출 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또한 이들의 취약한 경제력으로 인한 욕구충족의 어려움은 노인 정신건강문제에 심각한 영향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고령층으로 갈수록 남성에 비해 여성이 훨씬 더 많은 현실은 건강이나 부양과 관련된 가족갈등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평균수명의 연장에 의해 이들이 겪 게 되는 문제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서 노년기 여성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정책적인 배려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또한 가부장제적인 사회제도에서 살 아온 노년기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사회생활의 제 영역에서 취약한 위치에 있으며, 노년기 여성이 겪는 제반 문제들은 노년기라는 생애주기상의 특정시점에서 발생하는

(15)

문제뿐만 아니라 이전의 생애주기단계에서 누적된 문제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심화된 결과임을 인식하고 접근하려는 의식의 전환을 촉구하는 연구들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 이다.

그러나 노년기 여성은 전 생애에 걸친 남녀 간 불평등으로 인해 노후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경제적‧사회적 자원을 확보할 수 없었기에,상대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는 남 성까지 포함한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결과들을 노년기 여성에게 적용시키 기는 적합하지 않다.또한 현재 많은 경험적 자료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는 와중에도 여성과 노년이 맞물려서 형성되는 노년기 여성의 삶을 이해하게 해 주는 이론은 여전 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현재 고령층의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제는 노년기에 관한 여러 연구들에서 여성만을 위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까지 선행된 노인 우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일정한 노령선을 기준으로 전체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어서,조사대상자인 노인을 단지 편리에 따라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으로만 구분할 뿐,노년기 여성만을 대상으로 한 우울연구는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범위를 노년기 여성으로 한정시켜 서 우울의 영향요인을 연구한 사례로서 의의를 갖는다.또한 브린(L.B.Breen,1976) 이 정의한 '생리적 및 생물학적인 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그리고 사회적인 면에 서 지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이라는 부정적 선입견을 갖게 하는 노인에 대한 그릇된 고정관념에서 탈피하고자,‘여성노인’이라는 용어를 지양하고 인생주기상의 변화과정인 노년기를 살아가는 여성을 지칭하는 뜻으로 ‘노년기 여성’이라는 보다 포괄적이고 긍정 적인 용어를 본 연구에서는 사용하기로 한다.

지역사회 노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노년기 여성 우울의 영향요인들을 알아내어 우울증의 예방적 접근과 노년기 여성문제를 폭넓고 깊이 있게 접근하려는 노 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노년기 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수준을 파악한다.

둘째,노년기 여성의 인구통계학적요인,가족환경요인,경제적요인,노후관련요인에 따른 우울 정도를 분석한다.

셋째,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16)

제 제 2 2 2절 절 절 연 연 연구 구 구의 의 의 범 범 범위 위 위 및 및 및 방 방 방법 법 법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년기와 노년기 여성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이와 연관된 노년기 우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한다.또 한 노년기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가족환경 요인,경제적 요인,노후관련 요인에 의한 우울정도는 어떠하며,우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은 어 느 정도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본 연구목적을 위해 나주시 소재 노인복지회관을 이 용하는 65세 이상의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서 우울 수준을 파악한 후,어떠한 요인들이 노년기 여성 우울에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제시까지를 본 연구의 범위로 한다.

나주시 노인복지회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도시와 농촌의 생활이 양립하고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에 대한 연구 가 미흡했기 때문이다.기존의 우울에 관한 거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도시에 거주 하거나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로 양분되어서 이루어졌다.때문에 도농을 겸비한 지역 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의 우울의 정도는 도시와 농촌을 대상으로 했던 선행연구 결과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나주시 소재 노인복지회관을 이 용하는 노인들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였다.또한 원활한 설문조사를 위하여 나주시 노 인복지회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표집하게 되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사회과학의 연구방법론에서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문헌연구방법을 이용한 자료는 기 존 선행된 관련학위논문,학술논문,단행본,노인복지 관련서적,공공기관에서 발표한 통계자료 등을 참고로 하였다.조사연구는 나주시 소재 노인복지관을 선정한 후 그곳 을 이용하는 노년기 여성을 임의 표집하여 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관련사실을 검증하는 계량적 통계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17)

제 제

제 2 2 2장 장 장 이 이 이론 론 론적 적 적 배 배 배경 경 경

제 제 1 1 1절 절 절 노 노 노년 년 년기 기 기 여 여 여성 성 성 1

1

1. . .노 노 노년 년 년기 기 기의 의 의 정 정 정의 의 의

최대한 오래 살려는 사람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의학 및 과학기술의 발달,생활환경 의 개선,소득의 증가에 의해서 인간의 오랜 열망이었던 장수의 꿈이 이제 현실로 다 가왔다.반세기 전만 해도 회갑을 맞이한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부러움을 받는 일이 었고 장수한 사람들만이 누릴 수 있는 축복이었다.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보건의료기 술의 발달로 인한 질병퇴치와 영양상태 증진으로 사망률이 감소하였고,건강‧의료관련 서비스의 발달과 교육 및 소득 수준의 증가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 등에 기인하여 이 제 노년기는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시기가 되었다.그러나 오래 살게 되었다는 사실을 축복만으로 생각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녹록치 않는 장해요인들이 도처에 산재해있으며,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고 각자의 삶에서 노년기가 길어짐으로서 일생에서 노년기가 차 지하는 의미와 그 중요성도 한층 증가하게 되었다.

노년기는 2가지 개념의 정의를 갖는다.하나는 개인의 인생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를 뜻하며,또 하나는 전체인구 중에 가장 나이 많은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연령집단 또는 세대를 말한다.그러나 각 사회별로 또는 한 사회 내부에서도 노년층이라고 간주하는 보편적 연령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다.한 사회가 몇 살을 노령의 기준으로 보는가 하 는 것과 어느 정도의 연령을 늙었다고 생각하는 것 사이에는 종종 괴리가 있다(브리태 니커백과사전,2002).

아직까지 노년기에 대해 일치된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따라서 생물학을 비롯해 사망률과 유병률의 상태를 말하는 인구학,고용과 퇴직,그리고 사회학 등 분야마다 각 각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노년기의 정의에 대한 견해도 학자마다 차이를 보이 는데 국내외 학자들의 노년기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비거스트(Havighurst)는 생의 주기를 6단계로 구분하면서 노년기를 60세 이후부터 사망하기까지의 시기로 보고 있으며(박태룡,2004:11),에릭슨(Erikson)은 자아의 8단계

(18)

발달과정 중 통합과 절망의 양극감정이 대립하는 성인후기인 65세 이상을 노년기로 간 주하고 있다(홍숙자,1999:13).

국내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인간발달단계를 근거로 하여 50대 후반을 후기 성 인기 또는 초기 노년기로,60세 또는 65세부터 노년기로 분류하며 75세 이후를 후기 노년기로 구분한다.(권중돈,2004:21).또한 “65세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마지 막 단계로서 신체적 능력의 쇠퇴와 사회적 관계의 축소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의 하 락과 같은 쇠퇴가 일어나는 시기”(김동배‧권중돈,1999:170),“60세 혹은 65세 이후 사 망할 때까지의 시기”(오세진 외,2000:241),“60세 이후부터 사망할 때까지로 노쇠하여 자기중심적이고,외양에 무관심하며 사회적으로 은둔적인 특성을 갖는 시기”(김경희, 2001:300에서 재인용)등으로 정의하고 있다.노년기에 관한 이들 정의의 공통된 의미 를 살펴보면 노년기란 인생주기의 마지막 단계로서 사회활동의 제한 혹은 중단과 현저 한 사회적‧신체적 능력의 쇠퇴를 거쳐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의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한편,노년기에 관한 여러 정의는 노년기가 시작되는 연령의 기준에 대해서도 서로 일치하지 못하고 있다.비록 모든 정의가 노년기를 성인기 이후의 시기들로 규정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노년기가 시작되는 연령을 규정짓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이는 급 격하게 변화하는 사회의 발달과 함께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면서 건강하게 생을 영위하 는 사람들의 노년에 대한 인식들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의료기술이 발달하지 못한 과거에는 50세만 되어도 노인의 반열에 들어가서 주변에 서 어르신이라는 호칭으로 불리었으나,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늘어나는 노인인구의 추세에 힘입어 갈수록 노년기의 시작 연령은 높아지고 있다.실제로 노익장을 자랑하 는 노인들 사이에서는 ‘인생은 60부터’라는 표현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외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노인들의 공공부조 연령기준을 65세에서 70세 혹은 75세로 연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최옥채,1996)

비록 많은 국가나 사회가 40대 중반에서 70대까지를 노령으로 보고 있으나,현재 대 부분의 서구국가에서는 60세 또는 65세 이상의 인구를 퇴직 또는 노년사회복지제도의 대상으로 적용시키고 있다.통계청의 ‘2008고령자통계’를 보면 고령자의 범위를 ‘주 로 65세 이상 인구’로,또한 국민연금법에서는 60세부터를 노령연금 급여대상자로 규 정하고 있으며,노인복지법에서도 경로연금의 지급대상을 65세 이상의 국민으로 정의 하고,보건복지부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에서 제시하는 생애주기에서는 노년기를 65세 이상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65세는 각종 연금의 혜택이 주어지고 정년퇴직을 하는 시기로 되어 있어

(19)

국가 간 비교를 위해 ‘65세 이상 인구’라는 기준연령은 사회통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에는 '환갑'이라는 일종의 사회의식이 있고,정년퇴직이 60세 안팎인 것을 이 유로 노인의 기준이 65세보다는 60세가 타당하다는 주장도 있었다(장인협,최성재, 1987).그러나 2005년 현재 평균수명이 77.9세로 늘어났고 65세 이상 노인인구도 전체 인구의 9.1%에 이르는 등 사회인구학적 변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또한 노인들 사 이에도 환갑보다는 고희를 기념하고 있고,노인들이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인식하는 연 령이 70-74세(47.2%)혹은 65-69세(30.8%)로 나타나,70세 전후가 노인 자신이 인정하 는 노년기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정경희 외,2005)라는 지적도 있다.

대개 서구사회나 국제지표에서는 65세 이상의 연령을 노령선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환갑선 내지는 퇴직연령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노령선의 규정 이 모호하다.따라서 노년에 대한 현실적이고도 타당성 있는 연령정의가 새롭게 세워 져,이를 토대로 노인복지정책이 입안되어야 할 것이다(이철우,2006:202).

이렇게 노년기 시점을 규정하기가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노년기의 시점은 노인복 지법이 정하는 연령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65세라는 연령은 노인이 되는 법적,정책 적 및 행정적 기준으로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학술적으로도 이 시기부터 노인 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노년기의 시작을 65세로 보 는 것이 타당할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대체로 65세가 성인 후기와 노년기의 구분기 준 나이로 주지되고 있다(Zastrow & Kirst-Ashman,2001:556).

가가가...노노노년년년기기기의의의 특특특성성성

노년기는 인생의 황혼기이며 완숙기다.전통사회에서는 풍부한 경험과 삶의 지혜를 지닌 노인들이 사회발전을 위하여 절대적으로 중요한 존재였고 연장자로서 존경을 받 아 왔다.그러나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노인에게서 얻던 경험과 지혜는 교육 및 인쇄물 등을 통해 전수되면서 노인의 권위는 위협을 받고 있다.현대 사회에서는 노인인구의 증가뿐 아니라 산업화되면서 변화된 사회적 환경,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의 가족구조의 변화,서구 사상과 문명의 유입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의 등 장 등으로 인해 다양한 노인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모선희 외,2007:32).

신체 각 기관의 기능도 노년기에 이르면 급격하게 저하되며,정신적 제반 능력도 점 차 감퇴한다.노년기는 초로기‧노화기‧노쇠기로 나눌 수 있으나 개인차가 크고,기능이

(20)

나 기관의 감퇴는 반드시 일정하지 않으므로 분명하게 연령적으로 구분하기는 곤란하 다.그러나 일반적으로 노년기에 이르면 신체적‧심리적‧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 게 되고 이로 인해 인생살이 전반에 걸쳐 부적응 내지는 부조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가 많다(박석돈 외,2004:24).

신체적 특성을 살펴보면,생물학적인 노화로 인하여 노인의 신체조직의 성분은 지방 분이 크게 늘어나고 고형분과 수분이 상당히 많이 줄어든다.골격은 연골의 탄력성이 많이 약화되어 관절부분의 움직임이 더욱 굳어져 관절부분의 움직임에 제약을 받게 되 어 연령증가와 더불어 관절염에 걸린 노인들이 많이 증가하게 된다.팔,다리 및 골격 에 붙어있던 수의근은 수축력이 약해져 뼈에 상당히 많은 부담을 주게 되며,근력의 활동력이 많이 약화된다.또한 치아결손,소화효소량 감소,근육 약화 등으로 소화기능 이 감퇴되며,호흡기능 및 혈액순환 기능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그와 더불어 시력 과 청력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장인협‧최성재,1994:55-56).

또한 청‧장년기에 비해 신체기능이 떨어지고 만성질환과 장애를 경험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자신의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노년기의 건강 역시 다양한 요 인들의 영향을 받는다.가깝게는 노인 개인의 건강행위와 생물학적인 요인이 노인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사회‧경제적 환경,물리적 환경,보건서비스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건강은 사회적 역할이나 사회적 관계와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이러한 요소들의 영향을 받는데,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사회적 관계가 다르므로 남성 노인과 여성노인의 건강이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남성노인에게 많은 건강문제의 원인은 여성노인과 마찬가지로 사회적,경제적,문화적,심리적 과정 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하지만 여성노인의 건강문제가 남성노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 는 것보다 남성노인의 건강문제가 여성노인의 삶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WHO,1999:12-13).

성역할 지각의 변화도 노년기의 특성 중의 한 가지인데,노인이 되면 지금까지 자기 에게 억제되어 드러나지 않았던 성역할 쪽으로 성격이 바뀌어간다.그리하여 나이가 들수록 남성은 여성들의 특징인 친밀성,의존성,관계지향성,가족동기가 더 증가하고 여성은 공격성,자기주장성,자기중심성,권위적 동기가 더 증가한다.따라서 젊었을 때 보이던 성차가 줄어들면서,남녀 모두 노년기에는 양성화되어 간다고 할 수 있겠다(이 장호 외,2006:24).

노인들에게 심리적인 위기감을 느끼게 하는 요소로는 신체적 노화와 더불어 지적 능 력이 쇠퇴함으로 인해 나타나는 기억력 저하,학습능력 저하,문제해결능력 저하 등이

(21)

있다.그리고 노화로 인해 질병에 노출되거나 경제소득의 구조 변경에 따라 경제적 위 기를 느끼게 되면 노인들은 몸에 대한 안전이나 경제적인 안정과 생활 기본 필수품들 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이러한 어려움에 봉착할 때 노인들은 고립감을 느끼게 되며 심리적인 평형상태가 깨지게 된다.즉 더 이상 건강하지 않고,더 이상 경 제적으로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느낄 때 심리적인 위기가 시작된다.그리고 그동안 소원했었던 가족원과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가족과의 관계나 이웃,친구와 같은 새로운 관계를 갖게 되는데,이들과 관계를 원만히 이루는 일은 노년기의 심리적 안정 에 영향을 미치며,이런 적응에 실패하였을 경우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또한 노년기는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신체적인 변화를 비롯한 사회적 역 할의 변화와 그 변화에 대한 적응 여부는 심리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이호선, 2005:205).

또한 노년기에는 노년에 이르는 사람들로 하여금 새로운 적응을 요구한다.일로부터 삶의 의미를 찾고,일을 통해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일을 중심으로 인간관계가 형 성되던 삶으로부터의 이탈과 동시에 질적으로 다른 환경으로의 진입을 요구한다.즉 전일노동에서 전일여가로의 전환은 긴 노년기를 보내야 하는 노인들의 삶에 엄청난 변 화를 가져다준다.더구나 노년기의 삶은 노인들의 신체적 약화와 심리적,정신적 위축 을 가져와 생활환경의 범위를 축소시키고 주위 사람들에 대한 의존성을 증가시킨다(김 응렬 외,2004:290).

에릭슨(Erikson,1964)의 심리사회 발달단계 이론에 따르면 마지막 제 8단계인 노년기 는 외부적 성취를 위한 계속적인 도전을 하지 않게 되면서 지금까지 외부로 향했던 심 리적 에너지들이 이제껏 돌보지 않았던 내면의 세계를 위해 사용하게 되어 내향성이 증가한다고 말한다.내향성 증가와 더불어 나타나는 노인의 특징 중 하나는 수동성의 증가이다.청장년에 비해 노년기에는 심리적 에너지가 내면으로 향하며,실제로 적극적 으로 개입해야 할 일이 많지 않으므로 노인들은 문제해결에 있어서 수동적이 되고,새 로운 일에 도전하려는 경향이 감소된다.

노년기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다양한 장애와 위기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알츠하 이머와 같은 기억력 장애나 정신장애와 같이 유전적이거나 생물학적인 요소를 갖는 경 우에는 건강한 신체를 가진 노인일지라도 어려움에 처할 수밖에 없다.그러나 노인들 의 노력과 치료를 통해 상당 부분의 정신건강은 향상될 수 있으며,노년기의 왕성한 사회활동과 알코올이나 약물류의 적절한 사용,스트레스의 조절 등은 최상의 정신건강 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2)

인생의 다른 시기에 비해 노년기에는 건강이나 경제력의 약화,직장에서의 은퇴,가 족이나 친구의 사망 등 상실을 경험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Heffermanetal.1997:533).노년기 정신건강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이다.노년기에 겪는 여러 가 지 상실,즉 배우자의 죽음,악화된 건강,재정적 악화,친구들의 사망과 같은 상실은 노인들로 하여금 부정적인 생각과 무기력감,절망감,포기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한다.

이때 긍정적인 사고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보다 만족스런 노년기를 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호선,2005:205).

2 2

2. . .노 노 노년 년 년기 기 기 여 여 여성 성 성의 의 의 특 특 특성 성 성

가가가...인인인구구구통통통계계계학학학적적적 특특특성성성

통계청의 ‘2008고령자통계’에 따르면 현재 총인구 중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 는 비율은 10.3%에 달하며,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5,016천명이고 그 중 2,984천명 이 여성이다.65세 이상 인구의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인구)는 68.1%로 65세 이상 인 구의 구성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통계청,2008).또한 보건복지 가족부의 ‘2008OECD 건강데이터’를 보면 2006년 현재 평균수명은 남성 75.74세와 여 성 82.36세로 조사되어 여성이 남성보다 6.62년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인실태조사(통계청,2004)에서는 노인독신가구의 증가로 65 세 이상 노인의 노인독신 비율이 2000년 16.2%에서 2004년 20.6%로 4.4% 증가했는데, 남성노인의 독신가구가 6.6%인데 비해 여성노인의 독신가구는 29.3%에 달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그리고 가족과 함께 거주하는 비율도 남성노인(33.4%)보다는 여성노인 (41.8%)이 자녀와 같이 살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수에서 남성노인보다 여성노인의 인구비율이 훨씬 높으며,여성 노인이 남성노인보다 더 장수한다.그리고 고령이 될수록 노인인구의 대부분을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이유로는 남녀 간의 결혼연령의 차이로 인해서 고령이 된 남자 노인들 이 먼저 사망하거나 평균수명에 있어서 유리한 여성들이 더 장수하기 때문이다.

여성 노인은 대체로 남성에 비해 재혼율이 낮고 경제적으로 더 빈곤하다.유배우자 율에 있어서도 남성노인의 88.4%에 비해 33.9%의 낮은 분포를 나타낸다.이는 혼자

(23)

된 여성노인의 경우 경제적,심리적 이유로 인하여 재혼을 꺼려하고,사회‧문화적 규범 으로 인한 재혼 금기나 재혼 기회의 부족으로 남성에 비해 혼자 사는 경우가 많기 때 문으로 풀이된다.

또한 초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의 비율에 있어서도 남성노인이 83.7%,여성 노인이 45.1%로 거의 두 배에 가까운 교육수준의 차이를 보인다(통계청,2004).여성노 인의 낮은 학력수준은 여아교육에 대한 성차별적인 접근과 실행으로 인한 결과인데, 이러한 학력수준의 차이는 결국 인적자본이 형성되거나 축적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 고,소득기회의 상실을 가져와서 노년기 빈곤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되고 이로 인해서 노년기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여성노인은 노후에 경제적 능력 없이 홀로 남게 되고,신체적 지병과 사회참여의 부 족 등으로 자녀들에게 더욱 의존하게 되어,자녀들의 가정에서 다른 가족원을 돌보는 책임을 떠맡는 경우가 많다.현재 우리나라 여성은 남성보다 약 7년을 더 장수한다.결 과적으로 여성노인의 상대적 증가는 곧 미망인으로서의 여성노인의 증가를 의미하게 된다.노인인구의 유배우율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현격하게 감소 한다.이는 사별 후 남성노인에 비해 여성노인은 재혼하지 않고 홀로 사는 경향이 높 기 때문이다.배우자를 상실한 여성노인의 증가는 고부간의 관계,생계문제와 더불어 가정생활에서 다양한 변인에 따라 많은 연구 과제를 제시해 주고 있다.아울러 성별 인구수의 불균형 상태는 노년인구층에 있어서의 성문제,혼인상태 및 노후의 고독,외 로움 등의 여러 문제들과 연결되어 있다(홍숙자,1999:44).

노년기 여성들은 교육수준,취업여건,결혼의 기회,사회적 관계와 도움,연금혜택 등 전 생애에 걸쳐서 편견과 차별을 받으면서 살아온 세대이다.성차별주의(sexism)와 연 령차별주의(ageism)는 차별의 대상이 되는 여성과 노인에 대해 잘못된 믿음을 갖게 한 다.한쪽 성이 다른 쪽 성보다 우월하다는 믿음에 기초한 성차별주의와 특정 연령집단 이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열등하다는 믿음에 기초한 연령차별주의로 인해 여성은 남성 보다,노인은 젊은이보다 ‘덜’능력 있고 ‘덜’생산적인 존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DuBois& Miley,1996).이처럼 성과 연령이라는 이중적 차별의 대상이 되는 여성노 인은 종종 부정적인 편견의 대상이 되어 왔다(모선희 외,2007:408).

예를 들어 결혼적령기의 차이,재혼에 대한 성별 편견,고용에서의 연령,성별 차별 등은 사회에 존재하는 나이듦에 대한 이중기준이 존재함을 잘 보여준다.특히 노동시 장내 성별화된 연령주의(gendered ageism)가 고용이나 퇴직에서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여,여성들이 충분한 연금을 축적시킬 기회를 감소시킨다.여성들은 노년기에도

(24)

남성노인들에 비해 가정 일에 대한 의무가 더 많으며,권력의 성불평 등이 결혼관계에 도 지속되어 홀아비가 과부보다 재혼할 가능성이 더 높다(이기홍 외,2006).

남성과 여성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각기 다른 역할수행에 따른 다른 경험들을 하게 된다.즉 많은 문화권에서 여성은 혈연관계에 의한 자손들을 양육하는 역할을 수행하 도록 기대되는 것처럼,성별 바탕의 기대차이는 인간발달 과정상 뿌리 깊은 결과라고 볼 수 있다.여성들의 양육 역할은 자녀들,손자들과 보다 강한 유대관계를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노년에는 후손들에 의해 보살핌을 받을 수도 있다.또한 여성들 은 임신,수유 및 월경과 같은 갑작스런 신체적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이미 배웠기 때 문에 노화와 관련된 변화에 있어서 남자보다는 충격을 덜 받는 것으로 보인다(Keith, 1990).

여성들이 젊었을 때보다 노년기에 오히려 더 잘 생활하는 이유를 보면 여성들은 중 년 말기부터 보다 자유롭고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고,더 이상 행동적 제약을 받지 않고 다른 친족에게 권위를 갖게 되며,가족 밖에서의 특별한 역할수행과 자격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여성의 연령 증가와 더불어 가정 의무와 관련된 비난이 줄어들고 남성과 유사한 권위와 세력의 역할수행도 허용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장호 외,2006:22).

남성노인들에 비해 여성노인들은 인구학적 배경이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 불리한 위 치를 차지한다.우선 여성노인들은 남성노인들보다 전반적으로 고령자 비율이 높다.또 한 배우자가 없는 비율이 높으며,학력수준도 매우 낮다.학력수준의 차이는 여아교육 에 대한 가족과 사회의 성차별적인 접근과 실행을 반영한다.이러한 학력수준의 차이 는 결국 인적자본이 형성되거나 축적될 수 있는 기회를 제한하게 된다.여성들에게서 무배우율의 증가는 생활보장문제,장기보호문제,자녀와 갈등,심리적 고독감 및 재혼 문제 등 제반 영역에 걸쳐 해결되거나 예방해야 할 많은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그러 므로 배우자가 가장 필요한 시기에 혼자 남아 10년 이상을 더 살게 되는 노년기 여성 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특별한 대책이 더 필요함을 알 수 있다(한동근,2007:644).

나나나...경경경제제제적적적 특특특성성성

평균 수명이 30-40대였던 시절 60대 이상의 노인이란 사회적으로 희소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충분한 부양 잠재율을 견지하고 있었기 때문에,굳이 사회적으로 생산적

(25)

주체일 필요가 없었다.따라서 시대와 문화적으로 차이는 있었겠지만,노인은 사회적으 로 존경과 우대의 대상이었고,경쟁의 대상이 아니었다.또한 유학사상으로 충만한 동 양권에서는 오히려 충효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노인에 대한 공경을 사회적으로 제도화 했다.그러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노인층 인구가 급증하고 사회‧경제적 환경이 급변함 에 따라 노인의 희소성이 사라졌을 뿐 아니라,경제적 피부양자로서의 사회적 부담이 크게 증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Frank,2005:88-89).

노년기 여성들은 전 생애동안 남성에 비해 취업의 기회가 제한되어 있고 연금제도를 포함한 사회보장의 수급기회에서도 제한되어 있으므로 경제적 지위가 약화되어 있다.

게다가 여성노인의 대부분이 전업주부로서 가정 내 자신의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의존적인 존재로 인생을 보내는 것도 노후의 빈곤과 많은 관련이 있다(박석돈 외, 2004:37).

여성노인의 낮은 수준의 경제활동참여는 노후소득보장체제의 미비와 엇물려 소득수 준의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또한 남성노인의 51.9%가 생계비를 일부 또는 전부 지원 받는 것에 반해서 여성노인은 77%가 생계비를 지원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통계청, 2002),이러한 결과를 볼 때 대부분의 여성노인들은 남성노인에 비해 경제활동참여율 이 낮고 남성보다 평균수명이 높아 생계비를 지원받아 생활하는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대부분의 여성노인들이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이고,국민연금도 1988년에 야 도입되어 노후 소득보장 장치로서의 역할이 미비하며,공적부조제도도 예산제약으 로 인해 급여요건 및 급여규모 면에서 큰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모선희 외, 2002:409-410).

여성노인의 소득을 살펴보면 소득규모가 남성노인 소득의 70%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만 아니라,소득의 구성을 보면 무배우 노인의 경우 경제적 자립률이 아주 낮다.따 라서 무배우 노인이 대부분인 여성노인의 경제적 의존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무배우 여성노인들은 주로 자녀들에게 의존하게 되는데 이 또한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담’이 될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다.노후대책의 현황을 보면 주택소유,저축,보험 등 모든 측면에서 여성노인의 준비율이 낮다.이는 대부분이 경제적 실권이 남편에게 있으며 남편 사망 시 부인이 그 경제권을 인계받기 보다는 자녀들에게 분산되거나 생계를 위 해 처분하게 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또한 무배우 여성노인의 대부분이 후기노인 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자금축적이 이루어지지 못 한 데도 그 원인이 있다(정경희,1997).

여성노인들의 열악한 경제적 상황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에서도 잘 나타난

(26)

다.‘2008 고령자통계’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38만 6천명으로,수급률은 8.0%이다.성별 수급률을 보면 남성이 5.2%(10만1천명)인데 반해 여성은 9.9%(28만5천명)로 여성의 수급률이 4.7%나 높다.<그림> 2-1의 연령별 수급자 현황에서 여성은 노년기가 가장 높은 33.9%로 나 타났다(보건복지가족부,2007).

<그림 2-1> 남녀의 수급자 백분율표

2 . 4 1 . 7

6 . 5 4 . 6

2 5 . 2

1 8 . 3

1 2 . 3 1 2 . 8

3 7 . 2

2 8 . 7

1 6 . 3 3 3 . 9

0 5 1 0 1 5 2 0 2 5 3 0 3 5 4 0

영 유 아 기 학 령 기 청 소 년 기 청 년 기 중 년 기 노 년 기

남 자 여 자

(

출처 :보건복지가족부,고령자통계,2008.

이혜경(1998)은 1982-1995년의 도시가계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빈곤인구의 2/3가 여성 이며,빈곤한 노령인구 중에 4/5가 여성이라는 점을 밝혀,한국에서 빈곤의 여성화에 대해 최초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65세 이상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빈곤율을 보였다.65세 이상 노인이 가구주인 가구의 경우,10가구 중 4가구가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그중에서도 여성노인 가구주 가구의 경우 빈곤율이 56.1%로 10 가구 중 5-6가구가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남성노인 가구주의 경우 빈곤율이 29.3%로 나타나,여성노인 가구주의 빈곤위험이 역시 1.9배 높았다(한국도시연구소, 2006:249).

여성의 노후 경제적 안정에는 결혼관계의 유지가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여성을 남 성에 종속시키던 사회구조 내에서 노년기 여성의 경우 배우자의 상실이 빈곤과 바로 직결된다.그러므로 이혼이나 배우자가 사별할 경우 빈곤에 처할 위험이 더욱 높아진 다.이런 점은 남성을 통한 간접적인 수입의 한계성을 드러내어,결혼관계가 여성의 경

(27)

제적 안정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여성이 이혼하거나 사별할 경우 수입의 원천을 상실 하게 되어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그래서 배우자가 있는 여성노인이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보다 경제적으로 더 나은 위치에 선다는 연구결과도 볼 수 있다(남정림, 1992).

노년기 여성의 경제적 빈곤은 가족구조의 변화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여 성은 자신의 생물학적 노화에 의하여 경제문제에 직면하게 되기보다는 남편의 정년이 나 남편과의 사별에 의하여 경제문제에 직면하게 된다.이는 여성의 성역할과도 직접 관련이 있다.여성의 젊은 시절 경험이 남성과는 판이하게 달라서 노동시장에서 이차 적 지위를 점유해온 경험이나 무임금 가사노동에의 종사자로서 여성의 낮은 사회적 지 위와 여성의 빈곤은 연결되어 있다.자본주의적 경제제도와 가부장제적 가족제도는 여 성의 경제적 지위와 활동을 제한하게 된다.그 결과 여성들은 노후에 여전히 배우자나 자녀들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된다.한편 노인복지정책의 미비는 여성노인들을 가 족에게 더욱 의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데,이 과정에서 자신들을 위해 개별적으로 자원을 확보하기 어려운 여성노인들의 의존성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한동근,2007:

654)

통계청(2008)의 고령자통계를 살펴보면,65세 이상 인구의 노후준비방법에 있어서 노 년기 여성의 74.2%가 노후를 준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생활비 마련방법에 있 어서도 성별로 보면 남성은 ‘본인 및 배우자부담’이 많은 반면에 여성은 ‘자녀 또는 친 척지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여성이 남성에 비해 경제적으로 더 빈곤해서 자녀 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데,가구형태별로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의 빈곤은 남성의 빈곤과는 그 원인이나 실태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 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노인의 경우 ‘남성부양자-여성피부양자’모델에 근거해 살아온 세대로 개별적으 로 본인의 노후대책을 충분히 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평균수명 연장과 함께 소득원이 없는 노년기가 연장되면서 노년기 빈곤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황정임,2005).

사회정책적인 소득보장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우리 사회에서 노인의 가장 큰 걱정 거리는 바로 노후생활을 어떻게 영위해 나가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노 인들의 취업욕구는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2008고령자통계’에 의하면 고령층 인구(55-79세)중에서 향후 취업 희망자의 비율은 57.1%였으며,성별로 살펴보 면 남성은 71.8%,여성은 44.5%가 취업하기를 원했다(통계청,2008).여성들의 취업희 망 이유로서는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가 26.6%로 가장 높게 나타나,노인의 소득보장

(28)

에 대해 이제는 사회‧정책적 배려가 마련되어야 할 시점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다다다...신신신체체체적적적 특특특성성성

노화가 진행되면서 여성들은 다양한 신체변화를 경험하는데 신체변화에 대해 여성들 은 더 이상 젊지 않다는 사실에 우울해지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볼까를 고민 하기도 한다.신체적인 변화와 더불어 여성노인들은 류머티스성 관절염,요실금,골다 공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 인한 수술과 약물반응을 경험하게 된다.이런 경험들을 통해 여성노인들은 젊고 건강했을 때의 자신의 모습과 지금의 모습이 현격히 차이가 난다는 것을 실감한다.그러나 젊은 시절부터 외모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던 여성 노인들은 노년기의 노화에 따른 신체변화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다(이호선,2005:47).

노인의 신체적 건강은 노인 자신의 삶의 질은 물론 노인을 부양하는 가족의 행복과 밀접하게 연관된다.연령증가에 따라 심신기능은 지속적으로 약화되기 때문에 노인들 은 건강문제를 가장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인다.특히 대다수 노년기 여성들은 만성질 환과 퇴행성 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젊은 층과 비교할 때 발병률이 2배 내지 3 배가 높다.또한 병이 낫는다 해도 재발률이 높고 치료기간이 길고 잘 낫지 않는다.이 러한 상황에서 자식에 의한 보호를 이전과 같이 기대할 수 없어 여성노인들의 삶은 더 욱더 불안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이철우,2006:217).

노년기 여성은 신체적 측면에서 여성의 성역할과 관련된 문제를 가진다.여성은 자 녀의 출산,육아,가사노동으로 인한 여성특유의 건강문제를 지니며,남성보다 오래 살 긴 하지만 병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남성보다 높으며(정경희 외,1998),여성 유병률 현황을 보면,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유병률이 높고,만성퇴행성 질환의 유형별로 도 여성의 상병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여성노인의 경우 관절염,요통,좌골통,고 혈압,소화성궤양,백내장 순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노화할수록 발병률이 높은 고 혈압성 및 뇌혈관 질환과 치매성 질환은 신체적 거동의 어려움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 으며 이에 따라 장기적 요양보호의 필요성도 증가한다(유은주,2003).

통계청의 ‘2008고령자 통계’를 보면 65세 이상의 여성노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어려 운 점은「건강문제」로 밝혀졌으며,다른 항목들과 비교할 때 47.9%로 가장 높았다.

여성노인의 신체적 건강상태는 질병의 유무와 거동불편 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먼저 노인들은 대개 한두 가지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데 여성노인에게는 관절염‧요통‧좌골통

(29)

‧고혈압의 유병률이 높다.노인의 거동불편 정도는 집안활동과 바깥활동을 할 수 없을 정도로 파악할 수 있다.혼자서 집안,바깥활동을 할 수 없는 노인이 5.1%였으며,연령 이 높아질수록 혼자서 집안일이나 바깥활동을 할 수 없는 거동불편 노인이 증가하여 90세 이상에서는 32.6%로 높아진다(보건복지부,2002).

여성노인은 긴 평균 수명,그리고 높은 질병 이환율로 인하여 사망 전의 오랜 기간 을 배우자 없이 급‧만성 질환과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불편한 삶을 영위하게 된다(박 인덕,박정은,이영세,김인순,1989).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질환 유병율 증가와 함께 활동제한 일수가 높고,무배우자 시기가 길고,오랫동안 한국사회의 남성 중심적 사회 관행에 의한 노인차별과 여성차별 등으로 여성노인의 건강문제는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으며(김정선,2001),여성노인들은 만성 및 퇴행성 질환 등이 증가하여 활동성이 감소되면서 타인과의 관계나 상호작용이 어려워져 심리적 위축과 우울의 요인이 되기 도 한다(김남초와 양수,2001).

만성질환의 경우 발생빈도가 높은 5대 질환 중 호흡기계 만성질환을 제외하고는 모 두 여성노인의 상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특히 관절통과 만성요통의 경우 는 여성노인의 상병률이 두 배에 달하고 있다.또한 만성질환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률이 80.6%에 달하고 있어서 전체여성노인의 절대 다수가 만성질환으로 인해 일상생 활에서 고통 받고 있음을 볼 수 있다(정경희,1997).

손광영(2006)의 연구에 따르면 연령별 건강상태에서 65세-69세의 건강상태가 가장 좋고,80세 이상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농촌 여성노인의 건강 상태가 좋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또한 배우자가 있는 농촌 여성노인이 배우자가 없 는 여성노인보다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배우자가 없는 농촌 여성노 인은 사회적 지지체계의 결여로 인해 건강상태도 좋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정혜정,1999)에서는 아파서 활동하기 어려운 점을 제 외하고 아플 때 문제가 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것이 치료비와 자식에게 부담을 주는 것,돌봐 줄 사람이 없는 것이었다.남성노인이 아플 때 병시중을 드는 사람이 주 로 배우자인 여성노인인 데 비해 여성노인이 아플 경우에는 주로 아들,며느리나 딸이 시중을 들어 부담이 되고 또 시중을 들 자녀가 없는 경우에는 더 큰 문제가 됨을 알 수 있다.즉,여성노인들은 만성질환으로 인해 치료보다는 장기적인 보호나 간호가 필 요한 경우가 많은데,보호나 간호를 할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병 시에 자녀나 타인에게 의존해야 하는 이중의 고통을 겪거나 병원 이외의 대체서비스가 부족 해 불필요한 장기입원을 하기도 한다.

(30)

라라라...심심심리리리사사사회회회적적적 특특특성성성

노인 정신건강 문제의 원인은 노인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다.노인은 노화현상에 따른 신체 및 정신적 기능의 저하,신체적 독립과 죽음에 대한 위협,배우자,친구 등 친근한 대 상의 상실,자녀의 독립,사회적,직업적,역할의 상실,가족이나 사회로부터의 소외,경 제적 능력의 상실 등으로 인하여 빈곤,고독감,소외감,열등감,무력감,의존성이 생겨 정신건강에 위협을 받는다.게다가 노년기는 안정,승인,지식,애정,생존욕구 등과 같 은 기본적인 신체적 욕구와 사회 심리적 욕구가 더 강하게 느껴지는 시기이다.따라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노화로 인한 여러 역할 및 기능의 상실,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무심 등으로 인한 욕구충족의 어려움은 노인 정신건강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준 다(Barefoot,1993:Krause,1990재인용).

여성노인의 대표적인 정신건강문제로 우울증과 치매를 들 수 있다.대부분의 노인들 은 양호한 정신보건을 유지하지만,대략 55세 이상 고령자들의 20% 정도가 정신장애 를 경험하고 있다고 보고된다.노인들에게 가장 일반적인 정신보건문제들은 우울,자 살,치매,불안장애,알코올남용이다.그 중에서 자살의 예를 본다면 일반적으로 노인들 은 타연령층에 비해 자살률이 높으며 치료되지 않은 우울이 자살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층 자살위험의 단서로 우울증의 전력 등이 포함된다(모선희 외,2007:412).

여성들은 나이가 들면서 외모나 성욕,친밀감이 변한다.여성 노인들에게 있어 이러 한 변화는 자존감,생활만족감,우울감,불안,고독감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사람 들은 대개 여성들이 나이가 들면서 우울해지고,고독감을 느끼고 성에 대해 무감각해 진다고 생각하며,여성노인들은 젊은 시절보다 노년기가 더 낫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 다.여성들 중에는 나이가 들어도 외모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관심을 가지거나 강한 성적 관심을 보이기도 하고 모든 개인적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려 하기도 한다(여 성한국사회연구회,2001).

송양순(2001)에 따르면 노년기 정신건강을 논의함에 있어서 신체적 건강상태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심각한 신체질환은 신체상 자신감,주체성,일에 대한 능력, 사회,가족,결혼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강력한 스트레스 인자로 작용하여 우울증 상의 이차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며,또한 특정 신체질환이 생물학적으로 우울 증상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31)

한편 노년기 여성의 생활불안에는 빈곤과 건강문제 외에도 자녀라든가 사회로부터의 고립으로부터 오는 정신적 문제가 있다.경제적,정신적으로 어려움에 직면할 경우,자 녀와 친척의 원조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화할 수가 있지만 노인을 둘러싼 사회 환경의 변화는 노인의 정신적 문제인 고독감은 완화하기 어려워 노후생활의 불안요소로 지적 되고 있다(김응렬 외,2004:84).

노년기의 심리적 위축감은 가족과의 관계에서도 강하게 나타나는데,특히 여성 노인 들은 자녀들이 다 자라서 출가하게 되면서 육아와 자녀에 대한 책임감을 벗게 되어서 홀가분함을 느끼게 되지만 이제 자신에게 의지할 대상도,자녀에게 해 줄 일도 없다는 양가감정이 생김에 따라 심리적 위축감을 느낀다고 한다.

남성노인은 공동체 사회생활 영역에서 은퇴하여 그로부터 배제되는 과정에서 상처를 받기 쉬운 반면 여성은 신체적으로 심리적으로 모‧자녀간,조모‧손자녀간 유대가 유지 되기 쉬워 노년후기에 정신적 편안함을 유지할 가능성이 많다(박석돈 외,2004:37).그 러나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가족과 함께 사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가사전담자나 보조자로서의 역할을 더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가족과 관련된 고민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오래 살고 남성들의 결혼 연령이 배우자보다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녀가 성장하고 남편이 사망하면서 중요한 역할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 여성들이 관심을 가지기는 하지만 점차 이러한 문제에 적응하는 경우 스트레스의 주요 요인은 되지 않는다.그리고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고 건강을 유 지하며,젊었을 때의 어려움을 이미 겪은 후라면 신체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 리게 된다.그러나 이런 변화를 경험하면서 외모라든지 신체 이미지로 인해 우울증,치 매 및 다른 정신과적 질병이 발생하기도 한다(이호선,2005:46-47).

이종화(2005)는 우울은 여성노인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요소로서 일상생활에 있어 각 종 기능장애,자살충동 증가,사망률증가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또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여러 가지 활동으로 우울 발생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 하고 대처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한편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정 신건강 관련 의료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우울장애 빈도나 자살률을 적 절히 평가하기 어려운 면도 있다.우울장애와 기분장애를 나타내는 사람들은 자살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이들의 치료와 보호가 중요하다.노인의 경우 자살을 하기 전에 가족이나 친구에게 자신의 자살의사를 미리 표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의 깊은 관 찰을 통해 자살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장호‧김영경,2006:114).

(32)

대개의 사람들은 노인의 정신보건문제는 개인의 연약함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는 그릇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이 때문에 노인들은 자신들의 정신적인 문제로 인한 여러 증상들을 인정하지 않으려하고 주위에 도움도 요청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상태 에 이를 수도 있다.따라서 노년기의 정신보건욕구를 이해하는 관건은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 제 2 2 2절 절 절 노 노 노년 년 년기 기 기 여 여 여성 성 성의 의 의 우 우 우울 울 울 1

1

1. . .노 노 노년 년 년기 기 기 우 우 우울 울 울의 의 의 개 개 개념 념 념

가...우우우울울울의의의 개개개념념념 및및및 특특특징징징

우울증은 기분,인지 및 운동 기능의 영역에 증상을 수반하며 전반적인 직업 및 사 회생활 기능에 장애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정신질환이다.우 울증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언급할 정도로 전 세계적으 로 중요한 공중건강문제로 부각되고 있다(오병훈,2003).세계보건기구(WHO)는 2020 년에 이르면 우울증이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건강 저해 요 인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우울의 기원을 살펴보면 기원 전 400년경 히포크라테 스가 처음으로 우울한 상태를 ‘melancholia’라고 명명했으며,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 는 ‘depression’이라는 말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인 오이겐 블로일러가 처음으로 사용 한 것이다(JeremyHolmes,2006:10,31).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삶의 경험을 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우울 감정을 경험 하게 된다.즉,어느 정도의 두려움,슬픔,분노,놀라움,즐거움 등은 정도 차이는 있겠 지만 누구나 경험하는 일반적인 정서라고 할 수 있다.그러나 이러한 정서상태가 비정 상적이고 부적응 상태일 때 나타나는 현상을 우울이라고 본다.우울은 슬픈 감정이 무 척 심하고 생활에 흥미와 관심이 결여되어 있고,활동 수준이 저하되고 비판적인 생각 이 팽배하여 결국에는 자아 존중감이 낮아지며 자신이 처한 현재와 미래의 상황을 어 둡게 보는 특성이 있다(정인숙,2002).

일반적으로 우울은 우울증과 구분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울증은 정신과의

(33)

전문용어로서 울적한 기분을 억누른다는 뜻인 넓은 의미의 ‘억울’이라고 부른다.여기 에 비하여 우울은 울적함을 걱정하고 염려한다는 보다 넓은 정서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노국희,1998).그러나 일반적으로 우울과 우울증을 명확히 구분하 여 사용한다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로 그렇게 사용하고 있지 않으며 같은 개 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우울(depression)은 슬픔과 절망 등과 같은 감정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애인데,그 심 각성의 정도는 경미한 것에서 치명적인 것까지 범위의 폭이 넓다.우울기분이 일시적 인 상태를 넘어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때는 치료가 필요한 의료적 질병이 다.우울증은 일차적으로 기분의 장애를 말한다.기분은 지속적인 정서 상태를 의미하 는 것으로서 일시적 감정 상태와는 뚜렷이 구분된다.즉 우울증은 우울한 기분이 지속 되는 불쾌하고 고통스러운 정서 상태를 뜻하며,이유가 분명하지 않은 슬픔,좌절감, 죄책감,무가치감,허무감 등을 느끼게 된다(모선희 외,2007:248).

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는 도중에 크고 작은 실패와 좌절을 느끼게 된다.이처럼 실패 나 좌절을 겪은 다음에 일시적으로 가벼운 우울을 느끼는 것은 매우 정상적이고 자연 스러운 일이기도 하다.그러나 우울한 상태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우울의 정도가 점차 악화된다면 전문적인 치료를 요하는 병적인 우울 상태로 발전하기도 한다.

병적인 우울은 정상적 우울에 비해서 우울 증상이 현저하게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나 타난다.자신은 무능하고 열등하며 무가치하다는 생각이 확고하며 일상생활에 대한 흥 미,의욕,활력도 현저하게 감소한다.아울러 식욕 감퇴나 불면증이 심하게 나타나고 자살에 대한 생각뿐만 아니라 실제로 자살시도를 하게 된다.이처럼 병적인 우울은 정 상적 우울에 비해 지속 기간이 길며,보통 6개월 이상 지속된다.병적인 우울은 심각한 학업적,직업적,사회적 부적응 상태를 초래하게 되는데,좌절요인의 강도에 비해 지나 치게 확대되고 과장된 우울반응을 볼 수 있다.이러한 기준들에 의해서 병적인 우울 상태라고 평가된 경우를 우울증이라고 한다(권석만,2007:21,24).

우울증은 일생 중 어느 시기에도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후기 성인기에 가장 흔한 기능적 정신질환이다.우울증은 노화 자체에 그 이유가 있다기보다는 삶 속에서 발생 하는 특정 사건들,특히 개인이 처해 있는 여건의 격변으로 사회적 역할의 효과적인 수행을 어렵게 하는 사건들이 그 이유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한편 신체생물학적으 로 우울증은 세로토닌이나 노에피네피린과 같은 호르몬이 감소되는 등 여러 가지 복합 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이다.우울증에도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하나는 우울할 만한 일이 있어서 우울해지는 반응성 우울증이고,또 하나는 그럴 만한 일이

(34)

없는데도 우울해지는 내인성 우울증이다.내인성 우울증은 증상의 정도가 훨씬 심해서 자살의 위험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홍숙자,1999:89).

한겨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가 전년도보다 14.3% 늘어나는 등 2000년 이후 단 한해를 빼고 해마다 자살자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또 자살을 유 발하는 가장 큰 요인은 우울증으로 알려졌으며,이로 인해서 병‧의원을 찾는 이들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간 자살 사망자는 1983년의 3471명에서 꾸준히 늘 고 있으며,외환위기 이듬해인 1998년에는 8622명으로 전년 대비 42%가 늘어나는 기 록적인 증가세를 보였고,2003년에는 1만 명을 훌쩍 넘어섰다.우리나라 자살 사망자는 인구 10만 명당 24.8명으로 경제협력기구(OECD)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연령별 로는 40대 자살이 전체의 20%(2231명)로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으며,노년층 자살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아울러 우울증 진료 실적도 2000년 이후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이 며,2000년만 해도 20만 명대였던 연간 우울증 진료인원이 지난해에는 50만 명대를 넘 어섰는데,정신과 진료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점을 헤아리더라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표 2-1>참조).

<표 2-1> 자살 사망자와 우울증 환자수 증가 현황

구 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자살 사망자 1만 897명 1만 1491명 1만 2010명 1만 652명 1만 2174명 우울증 진료인원

(건강보험) 39만 5457명 42만 2663명 45만 9222명 47만 9095명 52만 5466명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통계청,2007.

우울증은 사회적 개입을 통해 완화될 수 있으며,경미한 우울증인 경우에는 이러한 형태의 지원이 중요하다(WHO,1998:34).다양한 스트레스나 생화학적 장애에서 유발 되는 우울증은 내적 기분상태가 괴로움,깊은 슬픔,무관심,무기력감,초조인 기분장애 다.우울증이 있는 경우에는 신체기능이 저하되고 자신의 건강을 나쁘게 인식하며 안 녕감도 낮다(Ormeletal.,1998).

우울증은 일상생활이나 사회적 관계를 하는 개인의 능력 기능을 지속적으로 방해하 며,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 중에 15% 정도는 자살한다.미국 정신의학회의 DSM-Ⅳ 에 의하면(<표 2-2>참조)주요 우울장애는 다음의 증상 중 5개 혹은 그 이상의 증상

참조

관련 문서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갑상선은 다양한 형태적인 변화를 보 이는데, 최근의 다양한 역학연구에서는 연령에 따른 혈청 갑 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의 상승이

또한 연령에 따른 NTM 동정 결과를 보면,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 p&lt;0. 654) .지역적 차이로 인한 균 동정의 차이는 있었지만,같은 지역 내에 서의

&lt;표 6&gt;은 4개의 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연령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 한 결과이다. 자 극추구 요인, 유대관계 요인, 자연감화 요인은

또한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성별에 따라 전통시장의 입체녹화 구성요인 중 생태적 측면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입체녹화 구성요인의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가 정환경과 유아의 학습행동의 전반적인

“상사의 리더십은 직무 스트레스 반응과 부(-)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1, 그리고 “상사의 리더십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또한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성별에 따라 전통시장의 입체녹화 구성요인 중 생태적 측면에 유의 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입체녹화 구성요인의

구체물단서 과제에서 유아의 수학이야기문제해결력이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 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