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방 특별호 “유방암의 선별검사” 발간에 부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방 특별호 “유방암의 선별검사” 발간에 부쳐"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

Copyrights © 2019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서문 J Korean Soc Radiol 2019;80(1):7-7

https://doi.org/10.3348/jksr.2019.80.1.7 pISSN 1738-2637 / eISSN 2288-2928

유방 특별호 “유방암의 선별검사” 발간에 부쳐

김 학 희(유방 특별호 초청 편집장)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유방암은 모든 여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암 중의 하나로 세계적으로 여성 암 중 가장 발생빈도 가 높고, 여성 암 사망원인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유방암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 여 2001년부터 여성 암 중 발생률 1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최근 연 발생환자 수가 2만 명을 넘어섬 에 따라 관심도와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방암의 효과적인 치료와 사망률의 감소를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인 진 단목적(diagnosis)의 검사기기와는 달리 선별검사(screening)에 사용할 수 있는 기기의 조건은 우선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없어야 하고,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어서 어디서나 쉽게 검사가 가능해야 하며, 검사방법이 간단하고 쉬워서 단시간에 많은 사람을 검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비용대비 효과가 높아야 선별검사법으 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기기를 개발 및 선택할 때 이 기기가 과연 선별검사로 사용할 수 있 을지에 관해서 고려를 해야 한다.

현재 유방암의 선별검사(screening)에 유방촬영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밀유방의 경우 제한적 이며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권 여성에서는 작고 치밀한 유방이 많아서 보조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요즘 의학계의 주요 화두 중 하나는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과 맞춤의학(personal- ized medicine)이다. 평균적인 환자를 기준으로 경험과 확률로써 질병을 예측하고 치료하는 방식 인 기존의 의학개념과 달리, 각 개인마다 다른 유전적요소, 생활환경 및 습관, 질병력, 진료정보 등 을 고려하여 개개인에 최적화된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발병 전 질병을 예측, 예 방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라 유방암의 선별검사방법도 각 개인에 따라 점차 바뀌고 있다.

따라서 최적화된 개인별 맞춤형 유방암의 선별검사에 사용될 수 있는 최근 개발되었거나 개발 중인 영상검사방법들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참조

관련 문서

제품 젂체가 잘 익어야 하고 껍질색이 황금갈색을 나타 내며 찌그러짐이 없어야 핚다. 측면의 터짐이나 윗면에 기공 및

어음은 자국통화를 일정 환율로 금과 바꿀 수 있는 나라에서 발행 하기 때문에 각국은 이 나라를 통해 화폐단위와 금의 등가관계를

이뿐만 아니라 모든 모델에는 Yamaha CFX의 대표적인 콘서트 그랜드 피아노와 비엔나에서 만든 유명한 Bösendorfer 그랜드 피아노의 샘플을 통해 생성된

이메일 마케팅에 관심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으며 현재 이메일 마케팅을 하고 있는 230명의

본 건강신념모형은 건강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 모형 중 하나로서,1950 년대 처음 발표한 이후 건강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질병 의 조기진단을

• 환경규제: 환경문제는 국제적이기 때문에 국내 뿐만 아니라 대상국가 현지사정 에 밝아야 하고 사회적으로도 환경인식이 고조됨에 따라 친환경적 기업이미지

그러나 그보다 훨씬 하등한 동물들은 스스로 번식 을 하기 때문에 동일한 개체만을 생산해낼 뿐 유전자 의 다양성은 확보할 수 없다.... 간단히 생각하면 자웅동체야말로

 미지변수의 개수가 일차방정식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일반적 으로 수없이 많은 해가 존재.  일차방정식의 수가 미지변수의 수보다 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