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두하악관절골관절염의보존적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측두하악관절골관절염의보존적치료"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학교실 유 지 원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이환된 관절부위의 경조직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관절염의 증상 및 징후는 염증성 진행과정과 연관되어 나타나게 된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의 경우, 치료의 목표는 관절의 부하를 줄여주고,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며, 통증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치료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법과 외과적 치료법으로 나눌 수 있다. 환자교육, 물리치료,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시행한 후 증상의 개선이 없는 경우 외과적 치료법을 고려하게 된다.

본 종설에서는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의 치료법 중 보존적 치료법을 중심으로 기존에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여 소개하고 자 한다.

주제어: 골관절염, 측두하악관절, 치료

1)

골관절염(Osteoarthritis)은 이환된 관절부위의 경조 직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관절염의 증상 및 징후는 염증성 진행과정과 연관되어 나타나게 된다.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은 관절운동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의 관절면을 이루는 연 골조직은 다른 관절과 달리 섬유성 연골조직으로 구 성되어 있다. 이처럼 다른 관절과 구분되는 기능해부 학적 특성이 존재하나, 측두하악관절에서 발생하는 골관절염의 생화학적 병리기전은 다른 관절과 비교 하였을 때 큰 차이점을 보이지는 않고 있어1), 측두하 악관절의 골관절염의 치료법은 다른 관절의 골관절 염 치료과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측두하악관절 의 골관절염의 경우, 치료의 목표는 관절의 부하를 줄 여주고,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며, 통증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2)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 치

교신저자 : 유지원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421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구강내과 구강내과학교실 전화: 062-220-3897

Fax: 062-234-2119

료법은 크게 보존적 치료법과 외과적 치료법으로 나 눌 수 있다. 환자교육, 물리치료, 약물치료와 같은 보 존적 치료를 충분히 시행한 후 증상의 개선이 없는 경우 외과적 치료법을 고려하게 되며, 보존적 치료법 의 치료 효과는 약 75% 정도라고 보고되어 있다.3) 본 종설에서는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의 치료법 중 보존적 치료법을 중심으로 기존에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1.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보존적 치료법은 비약물 적 치료법(1) 환자 교육, 2) 물리치료, 3) 장치치료)과 4)약물 치료로 나뉠 수 있다.

1) 환자 교육 (Patient education)

환자의 교육과정은 모든 측두하악장애(Temporo- mandibular Disorder)의 경우 가장 먼저 시행하게 된다.

골관절염의 경우, 환자에게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일반적인 병태생리 및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한 교육이 필 요하다. 즉, 단단한 음식을 피하고 이를 악물거나, 입 을 과도하게 벌리는 행동, 껌 씹기 등을 자제하는 것

(2)

조절하도록 해야 한다. 환자들은 때때로 골변화 과정 이 예전 상태로 완전히 치유되지 않거나, 염발음 (crepitus)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못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골관절염의 특성 및 진행과 정을 설명하는 것은 환자로 하여금 치료에 대한 비현 실적인 기대감을 줄여주는데 있어 필요하며, 이는 해 당 치료를 시행하고 나서 발생하는 좌절감, 우울감을 예방하게 된다.

2) 물리 치료(Physical therapy)

물리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얻는 기대효과는, 관절의 운동성 회복, 관절면 유착 예방, 근육 및 주위조직 혈 류의 정상화, 교합력의 회복이라 할 수 있다.4)측두하 악관절 골관절염의 물리치료는 환자 스스로 할 수 있 는 하악운동을 하는 방법을 교육하여 관절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는 자가요법(self program)과 진 료실에서 기구를 이용하는 전문가 물리치료(In-office physical therapy)로 나뉜다.

자가요법은 악골운동을 시행할 수 있도록 환자에 게 교육을 하고, 증상이 존재하는 부위에 열 또는 냉 찜질을 하도록 설명하는 것이다. 하악과 혀의 위치를 교육하는 방법으로는, “N” position exercise와 악골 경 첩운동(jaw hinge exercise)이 있다.5) N position exercise는 환자로 하여금 “N” 발음을 하고 10을 세도 록 하게 하며, 매 시간마다 이를 시행하게 하여 하루 에 12회 정도 운동을 하도록 한다. 본 운동요법의 목 적은 치아와 입술이 닿지 않는 상태에서 악골이 가장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시 행하여 환자의 초기 증상이 감소될 경우, 악골 경첩 운동을 교육한다. 환자에게 거울을 들고 있는 상태에 서 하악이 수직으로 개구되는 상태로 약 15mm 정도 개구를 하게 한 다음, 천천히 입을 다무는 방법으로 개구 및 폐구 운동을 15회 반복하게 한다. 악골 경첩 운동의 경우 2-3시간 간격으로 하루 6회 시행하도록 설명한다. 이 운동요법은 하악과두가 활주운동을 하 지 않는 상태에서, 윤활액이 관절낭으로 이동할 수 있 도록 촉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운동요법과 더불어 통증이 있는 부위에 약 20 분간 하루 2회 온열요법(온습포)을 시행하는 것이 증 상의 완화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가 물리치료법으로는 초음파(Ultrasound), 이온 영동요법(Iontophoresis), 음파영동법(Phonophoresis), 경 피성 신경자극(Transcuateni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TENS) 등이 있다.

초음파 요법은 매질을 통해 심부열을 가함으로써, 조직 내 혈류를 개선시키고, 대사산물의 제거를 도와 주며, 조직의 탄성을 회복시키도록 하기 위해 시행한 다.6) 초음파용 젤을 관구에 도포하여 0.5~1.0W/cm2 강도로 약 3~5분간 이환부에 적용한다. 이 때 열의 흡 수를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이동법을 사용하는데, 이 환부를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1초에 1바퀴 정도의 속 도로 관구를 이동하게 된다. 초음파 요법의 경우, 외 상이나, 급성 염증 소견을 보이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 을 금하며, 만 14세 미만의 아동의 경우 골탈회, 성장 판의 손상, 골성장의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경우 적용시간을 단축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 장한다.6)

이온영동요법은 전류를 이용하여 약품을 이온화시 켜 이온을 조직 내로 통과시켜 약효를 극대화하는 치 료법이다. 이온영동요법에 쓰이는 약제는 이온화가 가능한 상태로 약제의 이온용액을 동일한 이온극성 을 가지는 전극에 연결시켜 이용한다. 스테로이드, 리 도케인, 살리실산 및 진통제 등이 염증성 관절이나 조 직에 투여되며6), 진료실에서는 dexamethasone(음이온 성)과 lidocaine(양이온성)을 적용하는 방법을 주로 시 행한다. 이온영동요법을 통해 조직 내 염증을 개선시 키고, 관절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으나 통증의 개선은 문헌 상 효과가 의문시되고 있다.4)

음파영동법은 전류를 이용하여 약제의 침투를 돕 는 이온영동법과 달리 초음파를 이용하여 약제의 침 투를 돕는 치료법이다. 측두하악관절의 적용에 대한 연구는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나, 인도메타신을 이용 한 음파영동법을 측두하악관절에 시행한 연구에서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통증이 감소되고 압박성 동 통역치(Pressure pain threshold)가 증가되었다고 한다.7) 음파영동법에 쓰이는 약제는 이온영동요법에 사용되 는 약제와 거의 유사하며, 진료실에서는 피부 투과성 이 높은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HCl) 또는 비 스테로이드성 소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를 초음파 젤과 섞어 적용하게 된다.

이 때 약제의 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초음파요 법과 달리 고정법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경피성 신경자극은 통증과 기능장애의 치료에 자 주 사용되며, 골관절염에 적용하는 경우는 관절 주변 근육의 통증이 이환된 경우, 근육이완 및 통증의 경감 에 주로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3)

3) 장치치료(Appliance therapy)

근육의 과활성화 및 과다한 교합력은 골관절염의 일차 원인이 될수 있으며, 이와 같은 요소는 측두하악 관절염의 골관절염, 특히 다발성 관절염 (Polyarthritides)의 경우 조직의 파괴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4) 교합안정장치의 경우, 주로 근육의 과활성화 및 긴장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상대적으로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에 관한 교합안정장치의 효과 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그러나 Forsell 등은 골 관절염시 교합안정장치는 초음파요법 및 기타 대증 요법, 구개장치(palatal splint)보다 우월한 치료효과를 보인다고 하였다.8) 또한 관절의 부하를 줄여주는 관 점에서 볼 때, 교합안정장치치료는 이갈이나 이악물 기 등 조절할 수 없는 악습관이 존재하거나, 불안정한 교합상태를 보이는 경우 필요하다 할 수 있다.5) 장치 는 전악을 피개하여야 하며, 교합변화의 양상을 보이 는지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4) 약물치료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의 약물치료는 투약방법 에 따라, 약물투약(systemic application), 도포치료 (topical application), 관절강내 약물주입(intra-articular injection)으로 나뉜다.

전신적으로 투약하는 약제의 경우, 진통제 (analgesics),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주로 사용하며, 술자가 친숙하게 사용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 장 좋다.

진통제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아세트아 미노펜(acetaminophen)으로, 해열효과는 있지만 프로 스타글란딘의 합성 및 염증반응, 혈소판의 응집을 저 해하는 효과는 부족하다. 그러나 통증을 억제하는데 있어 아스피린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며,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경도 또는 중등 도의 통증을 보이는 골관절염의 경우 최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권장한다.4)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경우, 측두하악관절의 염증반응을 줄이고, 이에 따른 통증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는 cyclooxygenase (COX)의 생성을 억제하여 아라키돈산으로부터 프로 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을 감소 시키며,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하여 유발되는 통증성 자극을 줄이는 진통효과를 나타낸다.9)다양한 구조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가 시중에 시판되고 있으며, 모두 비슷한 약리작용을 보이고 있다. Cycloxygenase 를 비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기존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가 통증감소와 하악운동범위의 개선에 더 효 과적이라는 보고가 있으나, 위장관계 질환(위궤양, 위 장관 출혈)의 병력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위점막보호 제를 투약시 추가하거나, 선택적 COX-2 억제제(coxib 계통의 약제)를 투약하게 된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 성 소염제를 장기간 투약하게 될 경우, 심각한 부작용 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투여는 권장되지 않고 있다.4)

이 외에도 건강기능식품으로 알려진 glucosamine sulfate, chondroitin sulfate도 골관절염의 치료에 도움 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0) 앞서 언급 한 이 두 가지 성분은 연골 및 주위조직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기존 약제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연골 대사 의 균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3) 이처럼 건강기능식품이 약제의 효과를 보이는 경우, nutracuetical이라 지칭한다. 주로 추천되는 용량은, glucosamine의 경우 하루 1500mg, chondroitin sulfate의 경우, 하루 1200mg이다. 무릎 및 대퇴부 관절의 골관 절염의 경우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측두하악관 절의 경우, 예비연구에서 glucosamine 하루 1500mg, chondroitin sulfate 하루 1200mg를 같이 복용한 결과, 동통을 줄이고, 촉진검사시 압통 소견이 개선되었다 고 보고하고 있다.12) 따라서 측두하악관절에 관한 연 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효과가 입증될 경우, 이와 같은 nutraceutical의 사용을 고려해보는 것 또한 필요 하다 할 수 있다.

도포치료의 경우, 주로 사용하는 약제는 크림 타입 의 제형을 주로 사용하게 되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제, 스테로이드계 약제, 그리고 캡사이신(capsaicin)을 주로 추천한다.4)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도포치료의 경우, 급성 또는 만성의 근골격계 통증을 치료할 때, 대조군에 비해 효과적이며, 약물투여와 유사한 결과 를 보이게 된다.4)골관절염의 경우, 메타분석 연구에 서 캡사이신을 도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통증이 개선됨이 보고되었으며,13)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 염의 이중맹검(double blind trial) 연구시, 4주간 도포 를 시행한 결과, 골관절염의 경우 33%, 류마티스 관 절염의 경우 57%의 통증 개선을 보고하였다.14) 도포 치료는 약물투약시 발생하는 부작용이 심하여 투약 을 기피하는 환자, 또는 관절강내 약물주입을 원치 않 는 경우 주로 시행한다.

관절강내 약물주입을 시행하는 경우, 그동안 글루 코코티코스테로이드(glucocorticosteroid)에 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히알루론산

(4)

(Hyaluronic acid)에 관한 연구도 많이 보고 되고 있다.

Glucocorticosteroid를 관절강내 자입하는 경우, 윤활조 직에 관한 항염효과를 보이게 되며, 따라서 동통의 감 소 부종 및 기능이상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는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통풍 등 전신적 다발성 골관절염에도 효과를 보인다.4) 또한 위염 또는 위식 도역류 증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게 약물투약시 발 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3) Glucocorticoid 중 관절강 주입에 주로 사용하는 것은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이며, 한 관절당 10-20mg 을 주입한다. 상관절강에 주로 주입하며 환자의 불편 감을 줄이기 위해 국소마취제를 혼합하여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관절강내 주입 후 염증반응을 최소화하 기 위해 48시간 동안 연식(soft diet) 및 냉찜질을 하도 록 환자에게 설명한다. 그러나 자주 주입하게 될 경우 골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1년에 2회 이상 주 입은 피하는 것이 좋다. 만일 Glucocorticosteroid 주입 이 한시적인 효과를 보일 경우, 히알루론산 주입을 권 장한다. 히알루론산은 연골 및 윤활액의 구성성분으 로 관절강내 주입을 할 경우, 점성보충효과 (viscosupplementation)를 보인다.4) 히알루론산 주입은 염발음을 보이는 관절염의 초기 증상에 도움이 되며, 수개월간 동통 억제 및 기능 개선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은 최근 무릎관절의 치료법 으로 승인을 받은 바 있다.15)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환자에게 corticosteroid와 히알루론산 주입에 따른 효 과 및 부작용을 분석한 연구에서, 히알루론산이 코티 코스테로이드보다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하고 있 다.16)관절강내 주입 주기는 1달 간격으로 3회 투약을 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것을 권장한다.3) 관절강내 주 입을 시행할 때, 참고점으로 외부 안각(outer canthus of eye)과 이주(tragus)를 잇는 가상선에서 전방으로 10mm, 하방 2mm에 해당되는 위치를 이용한다.2)해당 부위를 소독한 뒤, 23 게이지 주사바늘을 이용하며 주 사바늘의 방향은 전상방으로 위치하고, 약 20mm 정 도 깊이로 바늘을 자입한다. 상관절강에 위치하는지 를 자입하면서 촉각으로 확인하고, 흡인 후 관절강 내 로 약제를 주입한다.

2.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의 외과적 치료

외과적인 치료법을 고려하게 되는 경우는, 보존적 인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하악의 형태 및 기능의 변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는 상태일

경우이다.17) 외과적 치료법은 적용 술식의 침습적인 정도에 따라 최소한의 침습적 치료(minimally-invasive treatment), 침습적 치료(invasive treatment)로 나뉠 수 있다. 최소한의 침습적 치료법으로는 관절세척술 (arthrocentesis), 관절경술(arthroscopy)이 있으며, 연구 자에 따라 관절강내 약물주입술을 최소한의 침습치료 로 보기도 한다. 침습적 치료법은 윤활조직절제술 (synovectomy), 관절성형술(arthroplasty), 악교정 수술 (orthognathic surgery), 관절치환술(total joint replacement) 등이 있다. 최소한의 침습적 치료는 관절 염으로 인한 동통조절, 하악 기능개선을 주목적으로 시행하게 되며, 침습적 치료법은 동통조절, 기능개선 을 위해 시행하기도 하지만, 관절염으로 인해 발생된 형태학적 변형을 개선하기 위한 술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골관절염의 특성상 상기 술식 후 골관절염의 염증성 변화가 진행되어 치료결과에 악영향을 끼치거 나 치료가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18) 한 침습적인 치료를 시행하기에 앞서 골관절염의 진 행이 억제되었다는지에 대한 기준은 임상가에 따라 다르며, 명확한 기준을 정하기 쉽지 않다. 앞서 언급하 였듯이 보존적인 치료법으로 골관절염의 임상적 증상 에 대한 치료 성공율은 75%로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외과적인 치료법을 고려하기 전 충분한 보존적 치료 를 시행하고, 환자에게 골관절염으로 인한 변화를 수 용하고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 현재까지는 가장 안정 적인 치료방법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을 성공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질환의 활성화에 끼칠 수 있 는 여러가지 요소를 주의깊게 평가하는 과정이 우선 되어야 한다. 관절의 부하를 줄여주고,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며,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앞서 소개한 다양 한 치료법을 고려하며, 충분한 시간을 들여 치료하도 록 해야 한다. 또한 골관절염의 특성상 만성적 퇴행성 질환임을 감안하여, 치료기간 동안 환자의 지속적인 동기 유발 및 교육을 통해, 환자 또한 스스로 증상의 진행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을 하게 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골관절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합변 화 안모변형에 대한 치료를 시행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하나, 골관절염의 특 성상 치료의 한계가 존재함을 미리 주지시켜 신중히 치료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5)

참고문헌

1. Lee JY: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Korean J Oral Med 2013;38(1):87-95.

2. Yair Sharav, Rafael Benoliel. Orofacial Pain & Headache.

Edinburgh, 2008, Elsevier. pp. 172-174.

3. Glenn T. Clark, Raymond A. Dionne.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itis. In Orofacial Pain: A guide to medications and management. Oxford, 2012, Wiley-Blackwell. pp.

311-325.

4. Daniel M. Laskin, Charles S. Greene, William L. Hylander.

Medical Management of TMJ arthritis. In Temproman- dibular Disorders: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Singapore, 2006, Quintessence.

pp. 441-453.

5. Broussard JS Jr. Derangement, osteoarthritis, and rheuma- toid arthritis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mplica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Dent Clin North Am 2005;49(2):327-342.

6.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편저. 가동술 및 물리치 료. In 구강안면통증과 측두하악장애. 서울, 2012, 예낭 아이앤씨. pp. 176-201.

7. Shin SM, Choi JK. Effect of indomethacin phonophoresis on the relief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Cranio 1997;15(4):345-348.

8. Forssell H, Kalso E, Koskela P, Vehmanen R, Puukka P, Alanen P. Occlusal treatment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ain 1999;83(3):549-560.

9.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편저. 약물치료. In 구강안 면통증과 측두하악장애. 서울, 2012, 예낭아이앤씨. pp.

226-240.

10. Henrotin Y, Lambert C. Chondroitin and glucosamine in the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an update. Curr Rheumatol Rep 2013;15(10):361.

11. McAlindon TE, LaValley MP, Gulin JP, Felson DT.

Glucosamine and chondroitin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 systematic quality assessment and meta-analysis. JAMA 2000;283(11):1469-1475.

12. Nguyen P, Mohamed SE, Gardiner D, Salinas T.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of the effect of chondroitin sulfate and glucosamine hydrochloride 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 pilot study. Cranio 2001;19(2):130-139.

13. Zhang WY, Li Wan Po A. The effectiveness of topically applied capsaicin. A meta-analysis. Eur J Clin Pharmacol 1994;46(6):517-522.

14. Deal CL et.al., Treatment of arthritis with topical capsaicin:

a double-blind trial. Clin Ther 1991;13(3):383-395.

15. Cianflocco AJ. Visco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Postgrad Med 2013;125(1):

97-105.

16. Bjørnland T, Gjaerum AA, Møystad A. Osteoarthr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and complications of corticosteroid injection compared with injection with sodium hyaluronate. J Oral Rehabil 2007;34(8):583-589.

17. Daniel M. Laskin, Charles S. Greene, William L. Hylander.

Surgical Management of TMJ arthritis. In Tempromandi- bular Disorders:An Evidence-Based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Singapore, 2006, Quintessence. pp. 455-468 18. 태일호, 송윤헌, 김연중 치과진료에서 악관절 골관절염

의 중요성.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13;51(2): 92-98.

(6)

ABSTRACT

Conservative Treatment of Temporomansdibular Joint Osteoarthritis

Ji-Won Ryu, D.D.S., M.S.D.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Osteoarthritis is considered a degenerative process affecting the articular surfaces. It is associated with many of its symptoms and signs because of the inflammatory components. Treatment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should aim towards joint unloading, joint mobilization and pain control. The treatments can be devided into conservative treatment(patient instruction, physical therapy, splint therapy and medication) and surgical treatment. For those who do not respond of conservative treatment, surgical treatment can be considered.

In this article, the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focused on conservative treatment, will be introduced reviewing by published reports.

Key Words : osteoarthritis, temporomandibular joint, treatment

참조

관련 문서

• 두 변수값들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같이 증가 또는 감 소), 공분산값은 크고 양의 값을 가진다0.  양의 선형관계(positive linear

-따라서 절대 돌려막기를 하지 말고, 차라 리 신용회복지원제도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사채(대부)업자(사금융)에게

따라서 비밀 상자 안에 오징어와 같은 물건을 숨겨 이 물건이 무엇 읶지 예상하게 핚 후 , 오감을 이용해 물건을 맞춖 다음 감

OCW 7.. 염증성 심질환의 주요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류마티스성 심질환, 세균성 심내막염, 심근염, 심낭염 및 심근증의 원인을 기술할 수 있다. 류마티스성

내인성 통증 조절 이론 (endogenous pain

이러한 조경공간은 내부공간의 분위기를 향상시켜 건물전체의 질을 높여 주며,사용자의 심리적 건강에도

새로운 음악을 탐구하는 것은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해 주며 이는 즐거움뿐 만 아니라 음악 연주와 음악이 생활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관한 인식도 새롭 게 할

Grade 3: definite osteophytes, moderate diminu- tion of joint space narrowing.. Grade 4: lar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