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8.(1)시조 두 수(형성평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8.(1)시조 두 수(형성평가)"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4] [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나)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 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地方) 우희 치라 안자 이수(以 手)로 가액(加額)고 오가 가가 건넌 산(山) 라보 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 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른 듸 희지 말고 워렁 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 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 주추리 삼대  드리도 날 소겨라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 우일 번 괘라 1. (가)의 표현상 특징과 그 효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규칙적인 음보를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다. ② 색채 대비를 통해 이미지를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③ 계절의 변화를 제시하여 화자의 미래를 암시하고 있다. ④ 관용적인 표현을 통해 주제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⑤ 과거 회상의 방식을 통해 화자의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2. (가)에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살려 섬세하고 감각적으 로 표현한 부분을 모두 찾아 쓰시오. • 음성 상징어의 사용에 주목할 것. ★고난도 3. 다음 중 (가)와 같은 시적 발상 및 표현이 드러나는 것 은? ① 넓은 벌 동쪽 끝으로 /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 얼룩백이 황소가 / 해설피 금빛 게으 른 울음을 우는 곳 – 정지용, 「향수」 ②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 만히 들여다봅니다. //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 니다. – 윤동주, 「자화상」 ③ 내 마음속 우리 임의 고운 눈썹을 /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 동지섣 달 날으는 매서운 새가 /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 서정주, 「동천」 ④ 들길은 마을에 들자 붉어지고 / 마을 골목은 들로 내 려서자 푸르러진다 / 바람은 넘실 천(千)이랑 만(萬)이 랑 / 이랑 이랑 / 햇빛이 갈라지고 / 보리고 허리통이 부끄럽게 드러났다 – 김영랑, 「오월」 ⑤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 규정할 수 없는 물결이 / 무엇을 향하여 떨어진다는 의미도 없이 / 계절과 주야를 가리지 않고 / 고매한 정 신처럼 쉴 사이 없이 떨어진다 – 김수영, 「폭포」 4. (나)의 표현상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유사한 시어를 반복하고 있다. ② 소박한 일상어를 구사하고 있다. ③ 상황을 과장하여 표현하고 있다. ④ 화자의 심정을 우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⑤ 음성 상징어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고난도 5. ㉠과 시적 기능이 가장 유사한 시어를 <보기>에서 찾 아 2어절로 쓰시오. 창밖이 어른어른커늘 님만 여겨 펄떡 뛰어 뚝 나서 보니 님은 아니 오고 으스름 달빛에 녈 구름 날 속였구나. 마초아 밤일세 망정 행여 낮이런들 남 우일 뻔하여라. - 작자 미상 8. 한국 문학의 빛깔

(1) 시조 두 수-①

보기 조건 [2/4] [6~1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나)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 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地方) 우희 치라 안자 이수(以 手)로 가액(加額)고 오가 가가 건넌 산(山) 라보 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 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른 듸 희지 말고 워렁 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 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주추리 삼대 ㉠  드리도 날 소겨라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 우일 번 괘라 6. (가)의 표현상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직접적인 감정 표출 ② 음성 상징어의 사용 ③ 대조적 이미지의 사용 ④ 추상적 개념의 구체적 형상화 ⑤ 계절감이 드러나는 시어의 사용 7.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시구를 (가)에서 찾아 4어 절로 쓰시오. • 임이 부재(不在)한 겨울밤의 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화자의 의지가 드러나 있다. 8. (가)에 드러나는 어조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절망적이고 절박한 어조 ② 남성적이고 단호한 어조 ③ 사색적이고 담담한 어조 ④ 원망이 담긴 비관적 어조 ⑤ 외로움이 담긴 애틋한 어조 9. 다음 중 ㉠과 같은 표현 방법이 사용된 것은? ① 나뷔야 청산(靑山)에 가쟈 범나뷔 너도 가쟈. 가다가 져무러든 곳듸 드러 고 가쟈. 곳에서 푸졉거든 닙헤셔나 고 가쟈. ② 도 쉬여 넘 고, 구름이라도 쉬여 넘 고, 산진이 수진이 해동청(海東靑) 보라도 다 쉬여 넘 고봉(高峯) 장성령(長城嶺) 고, 그 너머 님이 왓다 면 나 아니  번도 쉬여 넘어 가리라. ③ 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요 치 얄믜오랴. 뮈온 님 오게 되면 리를 회회 치며 치락 나리락 반겨서 닷고, 고은 님 오게 되면 뒷발을 바등바등 므 로락 나오락 캉캉 즛요 도리암키 쉰밥이 그릇 그릇 난진들 너 먹일 쥴이 이시랴. ④ 두터비 리를 물고 두험 우희 치라 안자 것넌 산(山) 라보니 백송골(白松鶻)이  잇거 가슴 이 금즉여 풀덕 여 내다가 두험 아래 쟛바지거고. 모쳐라 낸 낼싀만졍 에헐질 번 괘라. ⑤ 귀리 져 귀리 여엿부다 져 귀리 어인 귀리 지 새 밤의 긴 소 쟈른 소 절 절(節節)이 슬픈 소 제 혼자 우러 녜어 사창(紗窓) 여 왼 을 리도 오고야. 두어라, 제 비록 미물(微物)이나 무인동방(無人洞房)에 내  알리는 너인가 노라. 10.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주로 고유어를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② 장면에 따른 화자의 처지 변화가 생동감을 주고 있다. ③ 의성어와 의태어를 통해 화자의 과장된 행동을 묘사하 고 있다. ④ 화자의 어리숙한 모습이 독자들에게 해학성과 연민을 느끼게 한다. ⑤ 임과의 재회에 흥분한 화자의 모습과 반전된 상황이 웃음을 유발하고 있다. 보기

(2)

[3/4] [11~15]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나)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 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地方) 우희 치라 안자 이수(以 手)로 가액(加額)고 오가 가가 건넌 산(山) 라보 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 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른 듸 희지 말고 워렁 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 겻눈을 흘긧 보니 상 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주추리 삼대 드 리도 날 소겨라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 우일 번 괘라 11. (가)와 (나)의 형식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가)는 평시조, (나)는 사설시조이다. ② (가)가 (나)보다 형식적 제약이 더 심하다. ③ (나)가 (가)보다 시기적으로 나중에 등장하였다. ④ (가)와 (나) 모두 4음보의 율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⑤ (가)와 (나) 모두 3장으로 구성되며, 종장의 첫 음보가 3음절이다. ★고난도 12. (가)의 ㉠, ㉡을 <보기>와 같이 정리할 때, 빈칸에 들 어갈 내용을 쓰시오.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 부정적 시간(임의 부재)의 단축 ⇓ 봄바람처럼 따뜻한 이불 아래 넣어둠. ⇓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 ) 13. (가)와 <보기>의 화자의 공통적 태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도 열두  도 설흔 날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편작(扁鵲)이 열히 오나 이 병을 엇디리.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① 돌아오지 않는 임을 원망하고 있다. ② 이별의 상황으로 인해 절망하고 있다. ③ 외로움 속에서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④ 떠나는 임을 붙잡고 놓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⑤ 이별을 운명의 탓으로 돌리며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고 있다. 14. (나)의 종장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임을 마중 나간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있다. ② 임에 대한 자신의 애정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 ③ 임이 오지 않은 것에 대한 서운함을 드러내고 있다. ④ 주추리 삼대를 임으로 착각한 자신의 실수를 겸연쩍어 하고 있다. ⑤ 자신의 행동을 목격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동을 변명 하고 있다. 15. (나)를 낭송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을 <보 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ㄱ. 전체적으로 임에 대한 그리움이 묻어나는 어조로 낭송 한다. ㄴ. 중장은 반복 구절이 많으므로, 운율을 살려서 낭송한다. ㄷ. 종장은 임을 만난 기쁨이 담긴 어조로 낭송한다. ㄹ. 종장은 낮이 아니었음을 안도하는 느낌으로 낭송한다.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ㄷ, ㄹ ④ ㄱ, ㄴ, ㄹ ⑤ ㄴ, ㄷ, ㄹ 보기 보기 보기 [4/4] [16~2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동지(冬至)ㅅ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 춘풍(春風) 니불 아레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나) 님이 오마 거 저녁밥을 ⓐ 일 지어 먹고 중문(中門) 나서 대문(大門) 나가 지방(地方) 우희 치라 안자 ⓑ 이 수(以手)로 가액(加額)고 오가 가가 건넌 산(山)  라보니 거머흿들 셔 잇거 져야 님이로다 보션 버서 품에 품고 신 버서 손에 쥐고 곰븨님븨 님븨 곰븨 쳔방지방 지방쳔방 즌 듸 른 듸 희지 말고 워렁 충창 건너가셔 정(情)엣말 려 고 겻눈을 흘긧 보니 ⓒ 상년(上年) 칠월(七月) 사흔날 가 벅긴 주추리 삼대 ⓓ 드리도 날 소겨라 모쳐라 밤일싀만졍 혀 낫이런들 ⓔ  우일 번 괘라 16. (가)와 (나)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화자는 떠난 임을 원망하고 있다. ② 화자는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 있다 . ③ 화자는 부정적 현실을 받아들이고 있다. ④ 임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의 정서가 드러나 있다. ⑤ 오지 않는 임에 대한 냉소적 태도가 드러나 있다. 17. (가)에 나타난 화자의 상황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한자 성어는? ① 와신상담(臥薪嘗膽) ② 오매불망(寤寐不忘) ③ 전전긍긍(戰戰兢兢) ④ 안분지족(安分知足) ⑤ 후회막급(後悔莫及) 18. 시적 발상 면에서 (가)와 <보기>의 공통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이 못 오던가, 무 일로 못 오던가. 너 오길에 무쇠 성(城)을 고 성 안에 담 고 담 안 에 집을 짓고 집 안에 두지 노코 두지 안에 궤(櫃)를 고 그 안에 너를 필자형(必字形)으로 결박여 너코 쌍배목 (雙排目) 외걸쇠 금(金)거북 자물쇠로 슈긔슈긔 잠가 잇더 냐. 네 어이 그리 아니 오더니. 해도 열두 이오, 한 도 셜흔 의 날 볼 니 업 스랴. ① 시적 대상을 주관적으로 변용하고 있다. ② 자연물을 매개로 시상을 반전시키고 있다. ③ 구조가 유사한 문장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④ 관습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⑤ 색채의 선명한 대조를 통해 시적 분위기를 환기하고 있다. 19. ㉠의 이미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산뜻하고 깊다. ② 온화하고 넓다. ③ 서늘하고 높다. ④ 따뜻하지만 짧다. ⑤ 포근하고도 길다. 20. ⓐ ~ ⓔ의 현대어 풀이가 바르지 않은 것은? ① ⓐ : 일찍 지어 먹고 ② ⓑ : 손으로 이마를 가리고 ③ ⓒ : 올해 칠월 ④ ⓓ : 알뜰하게도 ⑤ ⓔ : 남을 웃게 할 보기

참조

관련 문서

[r]

즉 사각형 ABCD가

③ 분자가 반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충돌이 필요하며 그 충돌은 분자가 활성화에너지 이상 의 에너지를 갖고 화학적 반응에 필요한 방향이 알맞을 때 반응을 일으킬

따라서 계산

재무제표

(financial liabilities) 나 지분상품 (equity instruments) 을 발생시키는 계약 금융상품의 양면성 : 한 거래당사자에게는 금융자산 ( 권리 ) 을 발생시키고 ,

- 축산업으로 인한 환경부담을 낮추고, 사회로부터 인정받아야 중장기적으로 축산업 성장 가능 - 주요과제: 가축분뇨 적정 처리, 온실가스 저감, 축산악취 저감

Our analysis has shown that automation is already widespread among both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in Vietnam, and that both groups plan to continue inves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