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

배포

,

전송

,

전시

,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l

귀하는

,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

Disclaimer

저작자표시

.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

비영리

.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

변경금지

.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

(2)

2018년 2월 석사학위논문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영양교육 효과평가

(3)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영양교육 효과평가

Nutrition Educ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ectomy Surgery

2018年 2月 23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4)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영양교육 효과평가

지도교수 이 주 민

이 논문을 이학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7年 10月

(5)

정윤희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이 재 준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이 주 민 (인)

위 원 조선대병원 영양팀장 양 명 자 (인)

2017年 11月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ABSTRACT ··· ⅶ

제 1 장 서 론 ···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 1

제 2 절 용어의 정의 ··· 5

제 2 장 연구내용 및 방법 ··· 6

제 1 절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 6

1. 연구대상 ··· 6

2. 선정기준 ··· 6

3. 제외기준 ··· 6

4. 중도탈락기준 ··· 7

5. 조사기간 ··· 7

제 2 절 연구내용 및 방법 ··· 8

1. 연구설계 ··· 8

2. 설문조사 ··· 10

가. 일반적 특성 ··· 10

(7)

아. 영양소 섭취율 ··· 12

자. 삶의 질 ··· 13

차. 영양상태 ··· 14

카. 영양교육 만족도 ··· 14

3. 질병관련 특성 ··· 14

4. 혈액검사 ··· 15

5. 영양교육 ··· 15

6. 자료 분석 방법 ··· 16

제 3 장 연구결과 및 고찰 ··· 17

제 1 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 17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7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 19

3.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 22

4.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 ··· 24

5.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 26

6.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 28

7.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 30

8.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 32

9.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 34

10.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 37

11.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 ··· 39

12.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 ··· 41

제 2 절 영양교육 효과 비교 ··· 44

1.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변화 ··· 44

2.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변화 ··· 48

3.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 ··· 50

(8)

5.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변화 ··· 56

6.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변화 ··· 59

7.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변화 ··· 63

8.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변화 ··· 68

9.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 변화 ··· 72

10.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 변화 ··· 75

11. 연구대상자의 영양교육 만족도 ··· 78

제 4 장 요약 및 결론 ··· 80

참 고 문 헌 ··· 86

부 록 ··· 92

(9)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표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 20

표 3. 연구대상자의 수술 후 %IBW 상태 변화 ··· 21

표 4.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 23

표 5.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 ··· 25

표 6.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 27

표 7.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 29

표 8.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 31

표 9.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 33

표 10.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 36

표 11.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 38

표 12.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 ··· 40

표 13.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 ··· 43

표 14.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변화 ··· 46

표 15. 연구대상자의 %IBW 변화 ··· 47

표 16.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변화 ··· 49

표 17.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 ··· 51

표 18.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변화 ··· 54

표 19.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변화 ··· 57

표 20.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변화 ··· 60

표 21.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변화 ··· 65

표 22.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변화 ··· 69

표 23.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 변화 ··· 73

표 24. 연구대상자의 %IBW 평가 변화 ··· 74

표 25.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 변화 ··· 76

표 26. 연구대상자의 영양교육 만족도 ··· 79

(10)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 설계 ··· 9

(11)

부 록 목 차

부록 1. 연구 참여 설명문 ··· 92

부록 2. 연구 참여 동의서 ··· 94

부록 3. 사전 설문지 ··· 95

부록 4. 사후 설문지 ··· 100

부록 5. 교육 자료 ··· 106

(12)

ABSTRACT

Nutrition Educatio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Gastrectomy Surgery

by. Jung, Yoon Hee

Advisor : Prof. Lee, Joomin, Ph. D.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is in order to help gastric resection patients staying healthy and improving their life quality by applying nutrition education in their healthy life.

Methods: This research has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irty one out-gastric resection patients who has operated anastomosis such as Billroth-Ⅰ (gastroduodenostomy), Billroth-Ⅱ(gastrojejunostomy), Roux-en-Y(esophago jejunostomy) at C University Hospital. The very beginning, they had two sessions for a nutrition education and survey to check their prior body conditions. After three months, we took a second survey used same question as the prior survey.

The survey questioned and checked how a nutrition education had an effect such

(13)

collected research material from the statistic program named SPSS 18.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18.0) and tested by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aired t-test.

Results: Along the data of anthropometry investigation in the change of %IBW, nutrition education is influenced to the eating habit, 14.3% very low weight – patients become normal weight that showing very low difference(p<0.001), eating habit changes from 21.0±3.1 point to 22.3±2.7 point(p=0.009), eating time(p=0.005) and amount of food(p=0.020) are in a slight increase compared before the surgeries.

It also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ease duration 1-2(p=0.003), eating time(p=0.005), amount of food(p=0.001) compared to the before. Food intake frequency increases from 27.1±3.9 to 28.3±4.6(p=0.031), there are found significant changes in anastomosis Billroth-Ⅰ(p=0.042) and disease duration 1-2(p=0.033), therefore there are critical relation between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intake frequency. Only 29.0% of the survey group also experiences dumping syndrome compared to 48.4% before the education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n impact on symptom after meals. Especially, there is a dramatic change in Billroth-Ⅱ from 57.1% to 0%, the symptom can be assumed in remission. Nutritional control for gastrostomy patients increased from 31.7±7.4 to 34.5±6.6(p=0.024), the patients in disease duration 1-2 show significant differency(p=0.015), it also effect on the gastronomy. There is dramatic increase in percentage of average requirement of nutrients uptake rate vitamin C 155.0% to 251.4%(p=0.001), folic acid 159.4% to 199.7%(p=0.004). Vitamin C shows (p=0.022) in anastomosis B-1, (p=0.001) in the duration 1-2, in case as well folic acid (p=0.021) in B-1, (p=0.006) in the duration 1-2, phosphorus (p=0.003) in the duration 3-4. There also ar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enough requirement of nutrients uptake rate; cellulose (p=0.035) in the duration 1-2 and (p=0.012) in anastomosis B-II, manganese (p=0.042) in the duration 1-2. There is a decrease in cholesterol (p=0.045) in the duration 3-4 sector in the percentage of target requirement of nutrients uptake rate. As mentioned, the nutrition education impact on nutrients uptake rate the following nutrients; vitamin

(14)

C, folic acid, phosphorus, cellulose, manganese, cholesterol. The life quality is in increase from 82.3±11.4 to 85.6±11.2(p=0.018), poor health(p=0.048), anorexia(p=0.002), anxiety(p=0.009), overall life quality(p=0.045) show similar differences. Anastomosis B-Ⅰ increases from 86.1±9.5 to 89.0±9.0(p=0.001). In additional questions, poor health(p=0.004), anorexia(p=0.049) demonstrate variances. The duration 1-2 increases from 82.7±11.6 to 86.7±11.1(p=0.007),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anorexia(p=0.005), anxiety(p=0.017), depression(p=0.043), overall life quality(p=0.040). The result says nutrition education also effects on the life quality. PG-SGA in nutritive conditions falls from 4.5±3.8 to 3.7±3.0(p=0.023). In the blood test, Albumin(g/dl) rises from 4.1±0.4 to 4.3±0.3(p=0.014), shows similar changes in the duration 1-2(p=0.014).

Hematocrit(%) from 37.5±5.1 to 39.6±4.8(p=0.004), anastomosis B-Ⅰ(p=0.009), the duration 1-2(p=0.004) appearances similar distinction before and after, As the previous data, nutrition education impacts on Albumin, Hematocrit in blood test.

The satisfaction of the nutrition education scores total 21.0±3.1, male 22.1±2, female 18.7±2.8(p=0.003). In addition,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helping in real life(p=0.004), cooking explanation(p=0.039), educational resources(p=0.001), comprehension of the education(p=0.007).

Conclusion: Along the research, nutrition education helps gastric resection patients in the sectors; eating habits, food consuming frequency, nutritional control,

nutrients uptake rate, nutritive conditions, better result in blood tests. The survey group recognize the necessary of crucial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ry to use the knowledge in their life time. However, single nutrition education can be memorized everything, it is necessary following additional educational programs and

(15)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암은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과 함께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 2016년 인구 10만 명당 153.0명이 사망하는 사망원인 1위로 조사되었다(통계청, 2017). 우리나라 기 대수명인 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이며, 남자 기대수명 79세에는 5명 중 2명인 38.7%, 여자 기대수명 85세에는 3명중 1명인 33.1%가 암이 발생하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위암은 2014년 남녀 전체에서 갑상선암(14.2%) 다음으로 많이 발생되는 암(13.8%)으로, 연령군 별 35-64세에서 3위, 65세 이상에서 2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국가암정보센터, 2017).

한국인에게 위암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로는 식사 중에 뜨겁고, 맵고, 짠 자극적인 음 식을 많이 섭취하고, 김치 등 소금에 절인 식품, 고추장 및 된장 같은 염장 저장식품이 주요 반찬이 되며, 저지방, 고탄수화물의 식단이 주를 이루어 위 점막의 손상을 초래하 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정재심, 1986). 또한 일정하지 않은 식사량, 불규칙적 인 식사시간, 잦은 외식, 가공식품의 빈번한 이용 등이 위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 고하여 전반적인 식습관 불량이 위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염필영, 김선희, 1998).

위암의 초기 진단 시, 수술적인 방법으로도 90.0% 이상 장기생존율을 보이고 있으나 (배재문, 2011) 그로인한 사망률은 현재까지도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현재까지 위암에 대한 진단 및 수술 방법 등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장기 생존률이 높아지는 추 세이다. 위절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영양관리 및 영양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김지영 등, 2001). 위암 수술 후, 다수의 환자에서 발생되는 영양적 문제점은 크게 덤핑증후군, 체

(16)

중감소, 빈혈 등이 있다(김영혜, 박춘식, 2007). 주로 나타나는 임상학적 증상으로는 이 른 만복감이나 식후 덤핑증후군, 역류증상, 식욕부진 등이 있고, 이런 증상이 계속되는 동안 영양불량에 대한 문제는 환자의 삶의 질과도 연관되어질 수 있다(Haverkort, 2010). 덤핑증후군이란 수술 후 정상적인 위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저하되면서 충분히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소장으로 유입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인 증상 및 증후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식후 15-30분 내외로 나타나는 조기증상과 식후 2시간이 지나 나타나는 후기증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조기증상으로는 복통, 설사 등의 위장 관 증상과 가슴 두근거림, 빈맥 등의 혈관계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후기증상으로 저혈당, 현기증 등을 호소할 수 있다(Tack, Arts, Caenepeel, Wulf & Bisschops, 2009). Randall(1958)은 덤핑증후군 발생빈도를 위부분절제술의 경우 2-75%, 위전절제 술의 경우 66-100%로 보고하였다. 위암으로 인해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1차적으 로 설사, 오심과 구토 및 조기포만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이들 증상은 다시 지방흡 수장애, 덤핑증후군 및 위저류로 구분되며, 결국 체중감소가 초래된다(Rogers C, 2011).

Oble L. 등(1987)과 Vanamee p.(1960)은 위암 환자의 영양장애 주요 원인으로 흡수 장애보다 열량섭취 부족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실제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많은 환자에서 수술로 인한 걱정과 염려로 식사 섭취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으며(한소라, 2012), 식사로 인한 섭취량이 권장섭취량보다 부족하고, 과대사로 인한 체중 감소와 영 양 불균형을 경험 한다고 하였다(Slone, 2004). 위절제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수술방법 의 성공여부와 외과적 치료의 적응에 대한 관심이 더 높으며, 섭취불량과 다른 합병증

(17)

1958).

위절제술 후 영양장애는 환자의 사회복귀를 지연시키고 활동능력을 감소시켜 삶의 질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안수미 등, 2002). 경구섭취의 부족은 전신 쇠약감 및 활동량 감소로 연결되고, 이는 체중감소의 원인이 되며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 게 된다(이현수 등, 2005). 우울감은 암환자의 영양섭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Ravasco, Monteriro-Griilo & Camilo, 2003),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영 양상태가 좋지 못한 집단에서 발생하는 불안감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Lim HS 등, 2015), 심리사회적 요인이 수술 후 영양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Min JA 등, 2013).

따라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실시는, 수술 직후 심각한 체중감소를 피하고 좋은 영양 상태를 유지 또는 회복하기 위해 충분한 열량섭취가 필 요하다는 것을 지속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김태현 등, 1994 ; 김지영 등, 2001). 위암과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 영양교육, 그룹 영양교 육, 일반 영양교육을 시행한 연구 결과, 개별 교육과 그룹 교육에서 체중, BMI, 삶의 질 면에서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개별 교육이 그룹 교육보다 체중증가와 BMI 수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고 보고하였다(Persson 등, 2002). 또한 환자에게 이상 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환자 개인의 경험, 생활환경, 기대 수준이 다름을 인지해야 하 고,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개인 영양중재들이 개발되어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였다(Marin 등, 2007).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는 섭취불량 및 영양불량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환자의 개별 상태를 파악하여 영양교육이 수행되어야 환자가 식 사섭취에 잘 적응하고 영양상태가 나빠지지 않을 수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 또한 개 선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장경자, 2003).

암에 대한 생존율 향상으로 인해, 암은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닌 당뇨나 고혈압과 같 은 장기적인 관리를 요하는 ‘만성질환’의 개념으로 변화하였다(오복자 등, 2012). 암 환 자 건강관리에 대한 책임은 환자와 가족에게 집중되고 있으며(최자윤 등, 2008), 적극 적으로 대처하는 영양관리는 위암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 및 재원일수의 감소에도 도

(18)

움을 준다고 하였다(최우식 등, 2006). 영양교육의 목적은 환자의 균형적인 영양소 섭 취가 우선적이긴 하나, 환자의 상황을 공감해주고 정서적으로 안정을 줌으로서, 환자와 의 유대감을 높이는 상담가로서의 역할도 중요할 것으로 여겨짐으로 영양교육의 중요 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까지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는 지속적인 영양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퇴원 후 위암수술을 시행한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김지영 등, 2001 ; 김진복 등, 1993 ; 김태현 등 1994 ; 배재문 등 1989 ; 유항종 등, 199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암으로 위절제수술을 받았던 외래 진료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위절제 범위에 따른 문합방법별, 위암의 병기별로 구분하여 영양교육 전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절제수술을 받은 위암환자에게 영양교육 활동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고 위암환자의 실 생활에 도움을 주어, 영양상태 개선 및 건강수준 향상 뿐 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서 영양교육이 신체계측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2.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서 영양교육이 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3.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서 영양교육이 식습관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4.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서 영양교육이 식품섭취빈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5.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서 영양교육이 식후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다.

(19)

제2절 용어의 정의

1. 문합방법

문합방밥은 장기와 장기를 접합시켜 잇는 수술방법으로, 위부분절제술과 위전절제술 에 따라 구분된다. 위부분절제술(위아전절제술)에는 위와 십이지장을 연결하는 문합벙 법인 Billroth-Ⅰ(B-Ⅰ, 위십이지장문합술)과 위와 공장을 연결하는 문합방법인 Billroth-Ⅱ(B-Ⅱ, 위공장문합술)가 있다. 위전절제술에는 식도와 공장을 연결하는 문합 방법인 Roux-en-Y(R-Y, 식도공장문합술)를 많이 사용한다. 문합방법의 결정은 암의 진행정도 보다는 암의 위치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서 시행하게 된다.

2. 병기

암의 진행정도를 병기라고 하는데, 위암의 병기는 암세포의 위벽 침윤정도인 T(tumor)병기, 림프절의 전이 개수인 N(node)병기, 다른 장기로의 원격 전이 여부 정 도인 M(metastasis)병기를 종합하여 1, 2, 3, 4기로 나뉜다. 숫자가 커질수록 암이 더 진행된 상태이고, 수술 후 조직 검사 결과가 나와야 확실하게 정해진다.

3. 덤핑증후군

덤핑(dumping)이란 ‘한꺼번에 쏟아버린다’라는 뜻으로 말 그대로 다량의 음식물이 소장으로 급격히 쏟아지면서 일으키는 증상을 말한다. 덤핑증후군은 초기단계와 후기 단계로 나누어진다. 개인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초기단계는 식후 15-30분 정도에 나타나며, 상복부 팽만, 복부경련, 구토, 설사, 빈맥, 기립성저혈압, 발한, 조홍, 실신 등 의 증상을 보인다. 후기단계는 식후 약 2시간쯤 나타나는데, 저혈당으로 인한 공복감, 메스꺼움, 불안, 경련, 발한, 무력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

(20)

제 2 장 연구내용 및 방법

제1절 연구대상 및 조사기간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C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진단되고 위절제술을 받았던 외래 진료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연구담당자는 연구 참여 설명문을 환자에게 설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연구대상자 에게 서면으로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1차) 설문조사와 영양교육은 37명이 참여하였으나, 건강과 개인사정으로 6명이 중도 탈락하였고, 최종적 으로 사후(2차) 설문조사까지는 31명이 참여하였다.

2. 선정기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았던 외래 환자 중에서 문합방법은 Billroth-Ⅰ(위십이지장문 합술), Billroth-Ⅱ(위공장문합술), Roux-en-Y(식도공장문합술)를 시행한 환자이며, 병

(21)

4. 중도탈락기준

피험자가 연구동의를 철회하였거나, 연구에 참여하지 못할 상황이 발생한 경우는 중 도 탈락하였다.

5. 조사기간

본 연구의 조사기간은 2016년 6월부터 2017년 4월까지이고, 조선대학교 기관생명윤 리위원회(IRB)의 승인(IRB No.2016-04-009)을 받고 연구하였다. 

(22)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그 특성을 알아보고, 신체계측, 생 활습관,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후증상,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율, 삶의 질, 영양상태, 혈액검사에서 영양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그림 1).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에 적합한 환자가 외래 진료를 받으러 왔을 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자발적 서면동의를 받은 후 사전(1차) 설문조사와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설 문조사는 자기기입식으로 진행하였고, 영양상태는 연구담당자가 기입하였다. 사후(2차) 설문조사는 3개월 이상 경과 후 외래 진료를 받으러 온 31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실시하 였다.

연구대상자의 문합방법, 병기, 수술 전 키와 체중, 혈액검사 자료는 간호정보조사지, 수술기록지, 초진기록지, 임상병리 결과 등의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23)

외래 진료 환자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받았던 환자

연구참여 설명

·연구 참여 설명문 ·연구 참여 동의서

사전 설문조사

·일반적 특성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후증상

·위절제술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율

·삶의 질

·영양상태

영양교육

·위의 기능

·식사요법의 필요성

·식사요령

·식사원칙

·위절제 환자의 음식과 영양관리

(3개월 이상 경과) 사후 설문조사(N=31)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후증상

·위절제술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율

·삶의 질

·영양상태

·영양교육 만족도

의무기록 수집

·문합방법

·병기

·수술 전 신체계측

·혈액검사 그림 1. 연구 설계

(24)

2. 설문 조사

본 연구의 설문조사 내용은 김현선(2011)과 박윤흠(2009)의 선행논문을 기초로 재구 성하였다. 사전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 후증상,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율, 삶의 질, 영양상태의 내용으로 조사하 였고, 사후 설문조사는 신체계측, 생활습관, 식습관, 식품섭취빈도, 식후증상,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율, 삶의 질, 영양상태에 대해 조사하여 영양교육 전후 비 교를 하였다. 사후 설문조사에는 영양교육 만족도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가.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사항은 사전 설문조사 시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정도를 포 함하여 조사하였다. 연령은 40-49세, 50-59세, 60-69세, 70세 이상으로 분류하였고, 교 육정도는 초졸 이하, 중졸, 고졸, 전문대졸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나. 신체계측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은 설문조사 당일의 키와 체중을 확인하여,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와 %IBW(% ideal body weight, 표준체중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TSF(triceps skinfold thickness, 삼두근 피부두겹두께)는 연구대상자의 오른팔을 직각 으로 구부리고 오른손을 복부에 고정 시킨 후 중간부위의 지방조직과 피부를 피부두께

(25)

%IBW(표준체중 백분율) = 실제체중 표준체중 ×100 BMI(체질량지수) = 체중(kg)

신장(m)2

IBW(표준체중) = 신장(m)2×22(남자) 혹은 신장(m)2×21(여자)

다. 생활습관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은 음주량, 흡연량, 식사 준비를 해주는 사람, 영양정보 수집 을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음주량은 주1-2회, 주3-4회, 주5-6회, 매일로 분류하였고, 흡 연량은 일10개피 미만, 일10개피-1갑, 일1-2갑, 일2갑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식사준비 는 배우자, 자녀, 부모님, 본인, 기타로 분류하였다. 영양정보 수집은 병원(의사, 간호 사, 영양사 등), 방송이나 인터넷, 관련 서적으로 분류하였다.

라. 식습관

연구대상자의 식습관은 ‘규칙적 식사’, ‘식사횟수’, ‘식사소요시간’, ‘수술 전 대비 섭취 량’, ‘과식정도’, ‘외식 시 느끼는 간’에 대한 6문항을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식습관 항목 은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여 전체 문항을 합산하였고, 6-30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하고 올바른 식습관이 잘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마. 식품 섭취빈도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는 ‘반찬 수’, ‘어육류군 섭취’, ‘채소군 섭취’, ‘과일군 섭 취’,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짠 음식 섭취’, ‘인스턴트식품 섭취’에 대한 7문항을 포함하 여 조사하였다. 식품 섭취빈도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여 전체 문항을 합산하 였고, 7-35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골고루 올바르게 식품을 섭취 하

(26)

바. 식후 증상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은 덤핑증후군 경험을 ‘아니오’와 ‘예’로 분류하여 조사하였 다. 덤핑증후군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설사, 메스꺼움, 구토, 복부팽만, 복통, 복부경련, 어지러움, 식은땀, 빈맥, 저혈당 등 그 증상을 조사하였고, 중복선택 할 수 있도록 하였 다.

사.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는 ‘6끼 정도 나누어 섭취’, ‘음식은 30번 정도 씹어서 섭취’, ‘물이나 음료수도 씹어서 섭취’, ‘식사 중에 국물과 물 섭취 제한’, ‘식후 30분 지나서 물 섭취’, ‘사탕, 꿀 등 단 음식 제한’, ‘너무 짜거나 매운 음식 제한’,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 제한’, ‘식후 15-30분 정도 비스듬히 기대어 휴식’, ‘물 8-10컵 정도 섭취’에 대한 10문항을 조사하였다.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여 전체 문항을 합산하였고, 10-50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위 절제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식후 불편감을 줄이고 식사에 잘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 영양소 섭취율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은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과 연구대상자의 성별과

(27)

설문조사 시에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사일기를 작성했는데, 설문 전날 하루 동안의 식품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단, 설문 당일 위내시경을 한 경우는 이틀 전날 섭 취량을 조사하였다. 정확한 식품 섭취량을 알기 위해 실물크기의 식품모형을 사용하였 고, CAN-Pro 4.0(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4.0)(한국영양학회, 201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에너지는 필요추정량과 비교하였고, 단백질, 비타민A, 비타민C,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B6, 엽산, 비타민B12, 칼슘, 인,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요오드, 셀레늄 은 평균필요량과 비교하였다. 식이섬유, 비타민D, 비타민E, 비타민K, 판토텐산, 비오틴, 나트륨, 염소, 칼륨, 불소, 망간은 충분섭취량과 비교하였고, 콜레스테롤은 목표섭취량 과 비교하여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평균필요량(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은 인체 필요량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있을 경우 제정하였고, 충분 섭취량(Adequate Intake, AI)은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제정하였다(보건복지부, 2015).

자. 삶의 질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EORTC(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유럽 암 임상 연구기관)의 EORTC QLQ(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30, version 3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EORTC QLQ-C30 문항 1-28번은 4점 Likert 척도로 조사하였고, 문항 29-30번은 7점 선형 척 도로 조사하여 합산하였다. EORTC Scoring guidebook에 따라 0-100점으로 변환하여, 합계 범위는 23.8-100점으로 점수화하였다. EORTC QLQ-C30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 감, 안정감, 행복감 등 주관적인 평가 정도인 삶의 질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8)

차. 영양 상태

연구대상자의 영양 상태는 여러 연구들에 의해 타당성이 검증되어 미국영양사협회에 서 암환자 영양상태 평가 방법으로 사용하는 PG-SGA(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Bauer, 2002 ; Isenring, 2003)와 %IBW 평가기준(임상영양관리지 침서, 2008)으로 조사하였다. PG-SGA는 연구대상자에게 질문하고 연구담당자인 임상 영양사가 기록하여 조사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볼 수 있 다. %IBW 평가기준은 극심한 저체중,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으로 분류하였고, 저 체중은 경도의 영양불량, 극심한 저체중은 중등도의 영양불량으로 보았다.

카. 영양교육 만족도

연구대상자의 영양교육 만족도는 ‘실생활 도움’, ‘조리방법 도움’, ‘식이요법 자료 도 움’, ‘이해 정도’, ‘영양상태 개선’에 대한 5문항을 조사하였다. 영양교육 만족도는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여 전체 문항을 합산하였고, 5-25점으로 점수화하였으며, 점 수가 높을수록 연구대상자가 느끼는 영양교육의 만족도가 높고, 교육의 효과가 좋음을 의미한다.

3. 질병관련 특성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으로 문합방법과 병기는 의무기록인 수술기록지와

(29)

검 사 항 목 단 위 참 고 치

Total protein g/dL 5.3 - 7.4

Albumin g/dL 3.5 - 5.2

Cholesterol mg/dL 120 - 220

Hemoglobin g/dL 11 - 17

Hematocrit % 34 - 49

4. 혈액검사

연구대상자의 혈액검사는 사전 설문조사와 사후 설문조사 시의 결과이고, 의무기록 인 임상병리 결과를 확인하였다. 항목으로는 Total protein(g/dL), Albumin(g/dL), Cholesterol(mg/dL), Hemoglobin(g/dL), Hematocrit(%)를 조사하였다. 참고치는 C대학 교병원의 기준으로 아래와 같고, 결과값은 참고치를 기준으로 High, Standard, Low로 분류하였다.

5. 영양교육

영양교육은 본 연구를 위해 연구담당자인 임상영양사가 사전 설문조사 후, 20-30분 정도 개별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 내용으로는 위의 기능, 위절제 수술 후 식 사요법의 필요성, 위절제 수술 후 식사요령, 위절제 환자의 음식, 위절제 환자의 영양 관리, 위암환자의 식사원칙을 포함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부록 5에 첨부하였다.

(30)

6.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IBW 상 태, 생활습관, 위절제술 관련 특성, 식후 증상과 같은 비연속변수는 빈도와 백분율을 교차분석 후 Chi-square test로 검증하였다. 신체계측, 식습관, 식품 섭취빈도, 위절제 술 관련 영양관리, 영양소 섭취 평가, 삶의 질, 영양상태, 생화학검사, 영양교육 만족도 와 같은 연속변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는데, 문합방법에 따른 차이는 One-way ANOVA로 검증하였고, 병기에 따른 차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는 T-test로 검증하였다. 위절제술을 시행한 위암환자의 영양교육 전·후 변화는 paired t-test로 검 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p<0.05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단하였다.

(31)

제 3 장 연구결과 및 고찰

제 1 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에 정리하였다. 연구대상자 전체 31명 중 남자는 21명, 여자는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령은 남자평균 63.7±10.7세로 60-69세 42.9%, 70세 이상 28.6%, 50-59세 19%, 40-49세 9.5% 순으로 많았고, 여자평 균 68.3±8.7세로 60-69세와 70세 이상에서 각각 40%, 50-59% 순으로 많았지만,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배우자 유무는 배우자가 있는 남자 90.5%, 여자 6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5). 교육정도는 남자에서 고졸 42.9%, 중졸 23.8%, 초졸 이하 19%, 전문대졸 이상 14.3%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 초졸 이하 40%, 중졸, 고졸, 전문대졸 이상에서 각각 20%순으로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2)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체 N=31

남자 N=21

여자

N=10 P-value 연령

40-49 2(6.5)1) 2(9.5) 0(0.0) 0.743 50-59 6(19.4) 4(19.0) 2(20.0)

60-69 13(41.9) 9(42.9) 4(40.0)

≥70 10(32.3) 6(28.6) 4(40.0)

평균연령 65.2±10.22) 63.7±10.7 68.3±8.7 0.249 배우자

있다 25(80.6) 19(90.5) 6(60.0) 0.045

없다 6(19.4) 2(9.5) 4(40.0)

교육정도

초졸 이하 8(25.8) 4(19.0) 4(40.0) 0.507

중졸 7(22.6) 5(23.8) 2(20.0)

고졸 11(35.5) 9(42.9) 2(20.0)

전문대졸 이상 5(16.1) 3(14.3) 2(20.0) Chi-square test

T-test

1) N(%)

2) Mean±SD

(33)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사전 설문조사시의 신체계측은 표 2에 정리하였다.

신장은 남자 167.5±5.6cm, 여자 156.7±5.1c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001), 체중도 남자 59.7±9.0kg, 여자 51.0±6.8kg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BMI(체질량지수)는 남자에서 21.2±2.5kg/m2로 정상 57.1%, 저체중과 과체중 각각 19%, 비만 4.8% 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 20.8±3.0kg/m2로 정상 50%, 저체중 30%, 과 체중과 비만 각각 10%순으로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BW(표준체중백분율)는 남자에서 96.4±11.5%로 정상 54.8%, 저체중 23.8%, 과체 중 19.0%, 극심한 저체중 14.8% 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 99.2±14.5%로 정상 60%, 저 체중 20%, 극심한 저체중과 비만이 각각 10% 순으로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는 없었다. 박윤흠(2009)이 연구한 위절제술 받은 위암환자의 %IBW는 수술 전 110.4%, 수술 후 100.4%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되었으며, 본 연구의 수술 후 %IBW가 전체에서 97.3%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편이었다.

TSF(삼두근 피부두겹두께)는 남자에서 8.5±3.8mm, 여자에서 14.6±5.5mm로 조사되 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표 2).

수술 전 대비 수술 후의 %IBW 상태 변화는 표 3에 정리하였다. 수술 전 ‘저체중’은 현재 ‘극심한 저체중’으로 25%가 변화되었고, 수술 전 ‘정상’은 현재 ‘저체중’으로 16.7%, ‘극심한 저체중’으로 8.3%가 변화되었으며, 수술 전 ‘과체중’은 ‘정상’으로 63.6%

가 변화되어 가장 높았고 ‘저체중’으로 18.2%가 변화되었다. 수술 전 ‘비만’은 ‘과체중’

으로 50%, ‘정상’으로 25%가 변화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9) (표 3). 서보영 등(2000)에 따르면, 위암 환자에서 수술시 체중은 평소 체중보다 감소되 었고, 사망 환자군에서 생존 환자군보다 더 많은 체중감소가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배 재문 등(1996)에 의하면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50%에서 체중감소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34)

표 2.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 전체 N=31

남자 N=21

여자

N=10 P-value 신장(cm) 164.0±7.41) 167.5±5.6 156.7±5.1 <0.001 체중(kg) 56.9±9.2 59.7±9.0 51.0±6.8 0.011 BMI 21.1±2.7 21.2±2.5 20.8±3.0 0.715 저체중a) 7(22.6)2) 4(19.0) 3(30.0) 0.788 정상b) 17(54.8) 12(57.1) 5(50.0)

과체중c) 5(16.1) 4(19.0) 1(10.0)

비만d) 2(6.5) 1(4.8) 1(10.0)

%IBW 97.3±12.3 96.4±11.5 99.2±14.5 0.568 극심한 저체중e) 2(6.5) 1(14.8) 1(10.0) 0.354 저체중f) 7(22.6) 5(23.8) 2(20.0)

정상g) 17(54.8) 11(52.4) 6(60.0) 과체중h) 4(12.9) 4(19.0) 0(0.0)

비만i) 1(3.2) 0(0.0) 1(10.0)

TSF(mm) 10.5±5.2 8.5±3.8 14.6±5.5 0.001 T-test

Chi-square test

1) Mean±SD

2) N(%)

BMI a) <18.5

b) 18.5-22.9

c) 23-24.9

d) 25≤

%IBW e) 70-79

f) 80-89

g) 90-110

h) 111-120

i) 120<

(35)

표 3. 연구대상자의 수술 후 %IBW 상태 변화

수술 전 %IBW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P-

value 수술 후 %IBW

극심한 저체중

a)

1(25.0)

1)

1(8.3) 0(0.0) 0(0.0) 0.009

저체중

b)

3(75.0) 2(16.7) 2(18.2) 0(0.0)

정상

c)

0(0.0) 9(75.0) 7(63.6) 1(25.0)

과체중

d)

0(0.0) 0(0.0) 2(18.2) 2(50.0)

비만

e)

0(0.0) 0(0.0) 0(0.0) 1(25.0)

합 계 4(100.0) 12(100.0) 11(100.0) 4(100.0)

Chi-square test

1) N(%)

a) 70-79

b) 80-89

c) 90-110

d) 111-120

e) 120<

(36)

3.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은 표 4에 정리하였다. 음주는 남자에서

「안한다」 90.5%, 「매일」과 「3-4회/주」가 각각 4.8% 순으로 조사되었고, 여자에 서 「안한다」 90%, 「1-2회/주」가 10% 순으로 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흡연은 남자 에서 「안한다」 90.5%, 「0.5-1갑/일」과 「0.5갑 미만/일」에서 각각 4.8% 순으로 조 사되었고, 여자는 「안한다」 90%, 「0.5갑 미만/일」 4.8%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사준비를 누가 하는지 묻는 문항은 남자에서 배우자 85.7%, 본인 9.5%, 부모님 4.8% 순으로 조사되었고, 여자에서 본인 80%, 자녀와 기타가 각각 10% 순으로 조사되 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남자에서 배우자가 가장 높고, 여 자에서 본인이 가장 높은 것은 아직까지 한국 사회는 암환자 여부를 떠나, 여자가 식 사 준비를 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영양정보는 어디서 얻는지 묻는 문항은 남자에서 병원 61.9%, 방송이나 인터넷 38.1%로 조사되었고, 여자에서 방송이나 인터넷 70%, 병원 30%로 조사되었으나,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대상자 전체에서 51.6%가 병원에서 영양정보를 얻 는다고 하여 가장 높았으며 이는 전문적인 지식과 개별 건강상태를 잘 아는 의료진에 신뢰를 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37)

표 4.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전체 N=31

남자 N=21

여자

N=10 P-value

음주

매일 1(3.2)

1)

1(4.8) 0(0.0) 0.384

5-6회/주 0(0.0) 0(0.0) 0(0.0)

3-4회/주 1(3.2) 1(4.8) 0(0.0)

1-2회/주 1(3.2) 0(0.0) 1(10.0)

안한다 28(90.3) 19(90.5) 9(90.0)

흡연

2갑/일≤ 0(0.0) 0(0.0) 0(0.0) 0.682

1-2갑/일 0(0.0) 0(0.0) 0(0.0)

0.5-1갑/일 1(3.2) 1(4.8) 0(0.0)

0.5갑/일> 2(6.5) 1(4.8) 1(10.0)

안한다 28(90.3) 19(90.5) 9(90.0)

식사 준비

배우자 18(58.1) 18(85.7) 0(0.0) <0.001

자녀 1(3.2) 0(0.0) 1(10.0)

부모님 1(3.2) 1(4.8) 0(0.0)

본인 10(32.3) 2(9.5) 8(80.0)

기타 1(3.2) 0(0.0) 1(10.0)

영양정보 수집

방송이나 인터넷 15(48.4) 8(38.1) 7(70.0) 0.097

관련 서적 0(0.0) 0(0.0) 0(0.0)

병원(의사,간호사,영양사 등) 16(51.6) 13(61.9) 3(30.0)

Chi-square test

1)N(%)

(38)

4.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은 표 5에 정리하였다. 문합방법 은 남자에서 Billroth-Ⅰ 47.6%, R-Y 28.6%, Billroth-Ⅱ 23.8% 순으로, 여자에서 Billroth-Ⅰ 70%, Billroth-Ⅱ 20%, R-Y 10% 순으로 조사되었다. 병기는 남자에서 1-2 기 85.7%, 3-4기 14.3%로 조사되었고, 여자에서 1-2기 100%로 조사되었다.

위절제술 경과기간은 남자에서 1-2년 33.3%, 2년 이상 23.8%, 6-9개월과 9-12개월 각각 14.3%, 3-6개월 9.5%, 3개월 이하 4.8% 순으로 조사되었고, 여자에서 1-2년 50%, 3개월 이하 30%, 2년 이상 20% 순으로 조사되었다. 항암화학요법은 남자에서 4.8%, 여자에서 10%가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위절제술 관련 특성 모든 문항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합방법에서 위전절제술인 R-Y에 비해 위부분절제술인 B-Ⅰ과 B-Ⅱ의 비율이 높 고, 병기는 3-4기에 비해 1-2기에서 높으며, 항암화학요법 경험이 없는 대상자가 많은 것은 위암 건강검진으로 인한 조기발견이 많아진 것 때문으로 사료된다.

(39)

표 5.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특성 전체 N=31

남자 N=21

여자

N=10 P-value 문합방법

Billroth-Ⅰ 17(54,8)1) 10(47.6) 7(70.0) 0.428 Billroth-Ⅱ 7(22.6) 5(23.8) 2(20.0)

R-Y 7(22.6) 6(28.6) 1(10.0)

병기

1-2기 28(90.3) 18(85.7) 10(100.0) 0.209

3-4기 3(9.7) 3(14.3) 0(0.0)

위절제술 경과기간

3개월 이하 4(12.9) 1(4.8) 3(30.0) 0.175

3-6개월 2(6.5) 2(9.5) 0(0.0)

6-9개월 3(9.7) 3(14.3) 0(0.0)

9-12개월 3(9.7) 3(14.3) 0(0.0)

1년-2년 12(38.7) 7(33.3) 5(50.0)

2년 이상 7(22.6) 5(23.8) 2(20.0)

항암화학요법 경험

예 2(6.5) 1(4.8) 1(10.0) 0.579

아니오 29(93.5) 20(95.2) 9(90.0)

Chi-square test

1)N(%)

(40)

5.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식습관은 표 6에 정리하였다. 식습관 문항은 규칙적 인 식사, 식사횟수, 식사 소요시간, 수술 전 대비 식사량, 과식주의, 외식 시 느끼는 간 으로 문항이 있고, 각 문항을 5점 척도로 하여, 30점 만점으로 수치화 하였으며, 전체 합계 점수는 21.0±3.1점이었다.

문합방법에 따른 식습관 합계 점수는 R-Y에서 21.9±4.1점, B-Ⅰ에서 21.1±2.4점, B-

Ⅱ에서 20.1±3.9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각 문항과 합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병기에 따른 식습관 합계 점수는 3-4기에서 24.0±3.0점, 1-2기에서 20.7±3.0점 순으 로 조사되었고, 합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문항 중 식사소 요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2).

병기 3-4기에서 세부문항 중 규칙적인 식사 5.0점, 식사횟수 4.7점, 식사 소요시간 3.3점, 과식주의 4.7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가 나왔고, 합계점수도 24.0점으로 가장 높았 는데 이는 암이 더 진행된 상태일수록 건강한 식사습관을 갖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문합방법 R-Y에서 수술 전 대비 식사량이 2.9점으로 가장 낮게 나 온 이유는 위 절제 범위가 넓을수록 평소 식사량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김지영 등(2001)은 위절제술 후 1년 이상 경과된 환자들은 식사횟수가 4회 이상인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 대상자들도 식사횟수가 4회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한 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조금씩 자주 섭

(41)

표 6.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규칙적인 식사 3.7±1.4

1)

3.8±1.4 3.6±1.6 3.6±1.6 0.896 3.6±1.5 5.0±0.0 0.104

식사횟수 4.3±1.0 4.2±1.0 4.0±1.2 4.6±0.8 0.552 4.2±1.0 4.7±0.6 0.450

식사 소요시간 2.5±0.8 2.5±0.7 2.3±0.8 2.6±1.0 0.748 2.4±0.7 3.3±0.6 0.042

수술 전 대비

식사량 3.0±1.3 3.1±1.2 2.9±1.5 2.9±1.7 0.921 3.0±1.3 3.0±1.7 0.966

과식주의 4.4±0.8 4.3±1.0 4.4±0.5 4.7±0.5 0.559 4.4±0.9 4.7±0.6 0.603

외식 시

느끼는 간 3.2±0.5 3.1±0.6 3.0±0.0 3.6±0.5 0.096 3.2±0.5 3.3±0.6 0.647

합 계 21.0±3.1 21.1±2.4 20.1±3.9 21.9±4.1 0.610 20.7±3.0 24.0±3.0 0.086

One-way ANOVA

T-test

1)Mean±SD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6-30점

(42)

6.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는 표 7에 정리하였다. 식품 섭취빈도 문항은 반찬 가짓수, 어육류군 섭취빈도 채소군 섭취빈도, 과일군 섭취빈도, 우유군 섭 취빈도, 짠 음식 섭취빈도 인스턴트 섭취빈도 7문항이 있고, 각 문항을 5점 척도로 하 여, 35점 만점으로 수치화 하였으며, 전체 합계 점수는 27.1±3.9점이었다.

문합방법에 따른 식품 섭취빈도 합계 점수는 R-Y에서 28.6±4.4점, B-Ⅱ에서 27.4±2.7점, B-Ⅰ에서 26.3±4.1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각 문항과 합계 모두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기에 따른 식품 섭취빈도 합계 점수는 3-4기에서 29.3±4.5점, 1-2기에서 26.8±3.8 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각 문항과 합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집단 별 점수는 병기 3-4기에서 2.3점으로 가장 높았고, 골고루 올바르게 식품을 섭취하려 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재익 등(2001)에 의하면, 생활습관과 위암의 연관성에서 짜게 먹는 습관은 위암 발 생의 위험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보여졌고, 소금 섭취량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할 것이라고 하였다.

(43)

표 7.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반찬

가짓수 3.7±1.1

1)

3.7±1.1 3.9±1.2 3.7±1.1 0.919 3.6±1.1 4.3±1.2 0.310 어육류군

섭취빈도 3.4±1.1 3.2±1.1 2.9±1.1 4.1±0.9 0.085 3.3±1.2 4.0±1.0 0.311 채소군

섭취빈도 4.1±1.3 4.0±1.3 4.3±1.3 4.3±1.3 0.830 4.0±1.3 5.0±0.0 0.213 과일군

섭취빈도 3.9±1.5 3.7±1.6 4.1±1.5 4.1±1.6 0.739 3.9±1.5 3.7±2.3 0.781 우유군

섭취빈도 2.9±1.6 2.8±1.6 3.1±1.9 3.0±1.6 0.904 3.0±1.5 2.3±2.3 0.499 짠 음식

섭취빈도 4.3±1.1 4.1±1.3 4.4±1.0 4.6±0.8 0.726 4.3±1.2 5.0±0.0 0.285 인스턴트

제한빈도 4.7±0.5 4.7±0.5 4.7±0.5 4.7±0.5 0.999 4.7±0.5 5.0±0.0 0.258

합 계 27.1±3.9 26.3±4.1 27.4±2.7 28.6±4.4 0.428 26.8±3.8 29.3±4.5 0.298

One-way ANOVA

T-test

1)Mean±SD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7-35점

(44)

7.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은 표 8에 정리하였다. 덤핑증후군은 전체 48.4%에서 경험이 있다고 조사되었고, 문합방법에서 B-Ⅱ와 R-Y 각각 57.1%, B-Ⅰ 41.2%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병기에서 3-4기 66.7%, 1-2기 46.6% 순으로 조사되었으 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증상은 중복 선택하도록 하였는데, 문합방법에서 B-Ⅰ은 설사 23.5%, 어지러움 17.6%로 높았고, B-Ⅱ는 설사와 복통, 식은땀이 각각 28.6%로 높았으며, R-Y는 복통 42.9%, 설사와 메스꺼움, 구토가 28.6%로 높았으나, 각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기에서 1-2기는 설사 25%, 복통과 식은땀이 각각 17.9%로 높았고, 3-4기는 메스 꺼움과 복통이 각각 66.7%, 설사와 구토가 각각 33.3%로 높았으며, 세부 항목 중 메스 꺼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김태현 등(1994)에 의하면, 위절제술 이후 식사는 퇴원 당시를 기준으로 38.7%가 1/2이하 섭취한다고 하였고, 그 이유는 ‘겁이 나서’가 가장 많았으며, ‘속이 불편하고 거북해서’,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기 때문’ 순으로 보고하였다. 유항종 등(1996)과 이 준희 등(1994)에 의하면, 위절제술 후 나타나는 식이증상이나 영양 상태는 위절제술의 재건 방법과 위절제 범위에 따라 차이가 날수 있다고 하였다. 식이증상은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 있는데, 강성춘 등(1994)은 위전절제술 환자군에서 위아전절제술 환자군 보 다 유의한 체중감소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체중감소 예방을 위해서는 식후 증상 개

(45)

표 8. 연구대상자의 식후 증상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덤핑증후군 경험

아니오 16(51.6)

1)

10(58.8) 3(42.9) 3(42.9) 0.676 15(53.6) 1(33.3) 0.505 네 15(48.4) 7(41.2) 4(57.1) 4(57.1) 13(46.4) 2(66.7) 증상(중복선택)

설사 8(25.8) 4(23.5) 2(28.6) 2(28.6) 0.950 7(25.0) 1(33.3) 0.754 메스꺼움 5(16.1) 2(11.8) 1(14.3) 2(28.6) 0.589 3(10.7) 2(66.7) 0.012 구토 5(16.1) 2(11.8) 1(14.3) 2(28.6) 0.589 4(14.3) 1(33.3) 0.394 복부팽만 3(9.7) 1(5.9) 1(14.3) 1(14.3) 0.733 3(10.7) 0(0.0) 0.551 복통 7(22.6) 2(11.8) 2(28.6) 3(42.9) 0.231 5(17.9) 2(66.7) 0.055 어지러움 4(12.9) 3(17.6) 1(14.3) 0(0.0) 0.499 4(14.3) 0(0.0) 0.483 식은땀 5(16.1) 2(11.8) 2(28.6) 1(14.3) 0.589 5(17.9) 0(0.0) 0.424 저혈당 1(3.2) 1(5.9) 0(0.0) 0(0.0) 0.653 1(3.6) 0(0.0) 0.739

Chi-square test

1)N(%)

(46)

8.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는 표 9에 정리하였다. 위절 제술 관련 영양관리는 6끼 나누어 섭취, 30번 정도 씹기, 물이나 음료도 씹어 섭취, 식 사 중 물이나 국물 제한, 물은 식후 30분 지나서 섭취, 단음식 제한, 짜고 매운 음식 제한, 뜨겁거나 찬 음식 제한, 식후 비스듬히 휴식, 물 8-10컵 정도 섭취 10문항이 있 고, 각 문항을 5점 척도로 하여, 50점 만점으로 수치화 하였으며, 전체 합계 점수는 31.7±7.4점이었다.

문합방법에 따른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합계 점수는 R-Y에서 33.6±6.6점, B-Ⅰ에 서 32.0±8.2점, B-Ⅱ에서 29.0±6.2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각 문항과 합계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기에 따른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합계 점수는 3-4기에서 34.7±5.7점, 1-2기에서 31.4±7.6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각 문항과 합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유은주(2007)의 연구에 의하면, 대상자의 34.78%가 변비 증상이 있었고, 변비의 원인 으로 섭취하는 수분양의 감소를 들었다. 식후 30분이 지난 다음부터 변비예방을 위해 수분을 자주 섭취해주는 것이 영양관리에서 중요한 행동이라고 사료된다.

(47)

표 9. 연구대상자의 위절제술 관련 영양관리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6끼 나누어

섭취 3.4±1.7

1)

3.1±1.7 3.1±1.8 4.3±1.3 0.257 3.2±1.7 4.7±0.6 0.159 30번 정도 씹기 2.5±1.4 2.5±1.4 1.7±1.0 3.4±1.4 0.069 2.4±1.4 3.7±1.2 0.140

물 씹어 섭취 2.2±1.4 2.4±1.4 2.1±1.6 2.0±1.5 0.856 2.3±1.5 1.7±1.2 0.486 식사 중 물

제한 2.9±1.4 3.1±1.5 2.6±1.5 2.6±1.3 0.577 2.9±1.4 2.7±2.1 0.796 식후 30분 물

섭취 3.2±1.9 3.6±1.8 2.1±2.0 3.1±2.0 0.244 3.1±2.0 3.3±2.1 0.872 단음식 제한 3.1±1.7 3.2±1.7 2.9±1.8 3.0±1.6 0.913 3.0±1.7 4.0±1.0 0.316 짜고 매운 음식

제한 4.2±1.2 4.2±1.1 3.6±1.8 4.7±0.8 0.232 4.1±1.3 4.7±0.6 0.467 뜨겁고 찬 음식

제한 3.7±1.2 3.9±1.1 3.0±1.3 3.7±1.5 0.282 3.7±1.2 3.3±1.5 0.651 식후 비스듬히

휴식 3.9±1.3 3.5±1.5 4.3±0.8 4.6±0.8 0.130 3.9±1.3 4.3±1.2 0.575 물8-10컵 섭취 2.7±1.3 2.7±1.2 3.6±1.6 2.1±1.2 0.124 2.8±1.3 2.3±2.3 0.587

합 계 31.7±7.4 32.0±8.2 29.0±6.2 33.6±6.6 0.512 31.4±7.6 34.7±5.7 0.472

One-way ANOVA

T-test

1)Mean±SD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10-50점

(48)

9.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은 표 10에 정리하였다. 영양소 섭취 율은 %RDA를 계산하였는데, 에너지는 필요추정량과 비교하였고, 단백질, 비타민A, 비 타민C,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B6, 엽산, 비타민B12, 칼슘, 인,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요오드, 셀레늄은 평균필요량과 비교하였으며, 식이섬유, 비타민D, 비타 민E, 비타민K, 판토텐산, 비오틴, 나트륨, 염소, 칼륨, 불소, 망간은 충분섭취량과 비교 하였고, 콜레스테롤은 목표섭취량과 비교하였다.

%필요추정량으로 에너지는 문합방법에서 B-Ⅱ 80.7%, B-Ⅰ70.3%, R-Y 57.1% 순으 로, 병기에서 3-4기 72.5%, 1-2기 69.4% 순으로 조사되어, 모든 군에서 에너지 섭취율 이 부족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ackett 등(1979)에 의하면, 수술 후 열량소모는 많지만 환자들은 식사섭취량이 이전 식사량에 도달했을 때 더 이상의 섭취를 중단하기 때문에 필요량에 비해 열량 부족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평균필요량으로 리보플라빈은 문합방법에서 B-Ⅰ 93.7%, B-Ⅱ 87.2%, R-Y 72.2%

순으로, 병기에서 3-4기는 132.4%이지만, 1-2기는 82.6%로 조사되었다. 칼슘은 문합방 법에서 B-Ⅱ 80.2%, B-Ⅰ 77.0%, R-Y 67.0% 순으로, 병기에서 3-4기는 122.2%이지 만, 1-2기는 70.4%로 조사되었다. 김충배 등(1994)에 따르면 수술 전 칼슘 섭취에 비하 여 위아전절제 30일 후의 칼슘섭취는 감소하였으나, 칼슘흡수량과 소변을 통한 칼슘 배설량에는 차이가 없었다고 하였으며, 불충분한 칼슘 섭취가 칼슘 불균형을 초래한다 고 보고하였다. 또한 유은주(2007)는 위절제 식사 교육시, 유제품 등 칼슘 급원식품에

(49)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충분섭취량으로 식이섬유는 문합방법에서 B-Ⅰ 94.2%, B-Ⅱ 87.4%, R-Y 78.4%

순으로, 병기에서 3-4기는 119.6%이지만, 1-2기는 85.8%로 조사되었다. 비타민D는 문 합방법에서 B-Ⅰ 53.4%, R-Y 41.3%, B-Ⅱ 34.1% 순으로, 병기에서 3-4기 96.3%, 1-2 기 40.9% 순으로 조사되었다. 판토텐산은 문합방법에서 B-Ⅱ는 102.9%이지만, B-Ⅰ 93.4%, R-Y 84.2%로 조사되었고, 병기에서 3-4기는 105%이지만, 1-2기는 92.2%로 조 사되었다. 비오틴은 문합방법에서 B-Ⅱ 80.5%, R-Y 73.5%, B-Ⅰ 51.7% 순으로, 병기 에서 3-4기 93%, 1-2기 59.9% 순으로 조사되었다. 칼륨은 문합방법에서 B-Ⅱ 95.1%, B-Ⅰ 81.8%, R-Y 76.7% 순으로, 병기에서 3-4기는 111.6%이지만, 1-2기는 80.6%로 조사되었다. 염소, 불소는 충분섭취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고, 그 외 영양소는 모두 충분섭취량 이상 섭취하고 있었는데, 병기에서 비타민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7).

%목표섭취량으로 콜레스테롤은 문합방법에서 B-Ⅱ 140.1%, B-Ⅰ 88%, R-Y 82.8%

순으로, 병기에서 3-4기 120%, 1-2기 96.3%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김태현 등(1994)에 의하면, 섭사 섭취의 부족 사유가 식사 섭취에 불편한 점이 없이 심리적 요인 때문에 스스로 식사의 양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하였고, 영양사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환자의 식사 섭취를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50)

표 10. 연구대상자의 영양소 섭취율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에너지a) 69.7±26.61) 70.3±24.3 80.7±37.8 57.1±14.3 0.254 69.4±27.8 72.5±12.7 0.851 단백질b) 132.2±61.0 133.9±53.3 154.7±91.4 105.5±35.5 0.327 131.4±63.3 139.9±40.7 0.822 식이섬유c) 89.1±38.5 94.2±39.1 87.4±51.8 78.4±21.3 0.671 85.8±37.0 119.6±47.6 0.152 비타민Ab) 203.2±138.5 225.3±123.5 221.5±176.2 131.4±128.2 0.306 190.7±133.2 320.6±159.4 0.125 비타민Dc) 46.3±59.1 53.4±63.0 34.1±62.2 41.3±51.3 0.756 40.9±55.7 96.3±79.3 0.124 비타민Ec) 130.6±103.7 128.5±90.7 162.5±145.9 104.0±92.1 0.583 125.9±104.3 174.7±105.3 0.448 비타민Kc) 365.7±342.8 435.4±321.7 306.7±481.9 255.3±2177 0.456 324.1±294.4 754.1±585.0 0.037 비타민Cb) 155.0±88.9 150.3±68.1 190.0±136.3 131.6±80.2 0.460 144.5±79.7 253.2±129.7 0.042 티아민b) 112.9±53.5 111.0±55.4 133.5±56.4 97.0±46.4 0.446 111.2±54.0 129.1±55.5 0.590 리보플라빈b) 87.4±46.5 93.7±39.0 87.2±71.4 72.2±35.6 0.603 82.6±40.8 132.4±81.0 0.077 니아신b) 117.8±53.3 120.0±49.7 135.0±71.3 95.1±40.0 0.375 114.5±51.2 148.5±75.3 0.301 비타민B6b) 121.1±56.1 122.4±52.9 137.1±81.3 101.7±30.1 0.507 116.2±49.9 166.3±100.9 0.144 엽산b) 159.4±83.1 159.3±61.9 176.8±140.1 142.1±63.1 0.751 148.9±68.6 257.6±155.2 0.029 비타민B12b) 463.4±633.4 411.6±412.1 792.6±1,138.7 260.0.±271.4 0.263 461.7±648.5 479.4±583.0 0.964 판토텐산c) 93.5±42.9 93.4±44.2 102.9±54.9 84.2±27.7 0.731 92.2±44.9 105.0±12.8 0.633 비오틴c) 63.1±56.1 51.7±35.1 80.5±93.5 73.5±53.3 0.462 59.9±57.6 93.0±30.4 0.341 칼슘b) 75.4±43.9 77.0±39.8 80.2±58.3 67.0±43.5 0.844 70.4±40.6 122.2±55.4 0.051 인b) 157.7±77.6 151.2±57.8 192.3±128.8 139.0±51.7 0.397 152.5±78.0 206.3±64.4 0.261 나트륨c) 288.6±154.6 305.8±160.1 258.5±154.5 276.9±158.6 0.784 275.0±152.8 415.8±128.3 0.136 염소c) 15.1±21.8 16.7±26.2 13.9±18.1 12.4±14.4 0.902 12.6±21.3 38.3±11.6 0.050 칼륨c) 83.6±34.1 81.8±29.7 95.1±54.4 76.7±17.0 0.584 80.6±32.2 111.6±46.3 0.138 마그네슘b) 32.3±25.1 33.2±25.1 36.4±35.5 26.0±12.5 0.738 30.7±23.8 46.7±38.5 0.304 철b) 222.7±105.4 233.3±111.2 241.5±136.3 178.1±30.1 0.454 220.3±107.4 244.9±100.2 0.707 아연b) 130.3±65.1 122.2±36.1 185.3±106.2 95.0±35.6 0.020 129.3±67.9 139.4±33.0 0.793

b)

(51)

10.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표 11에 정리하였다. 삶의 질은 EORTC QLQ-C30 version 3으로 30문항이 있고, 1-28번은 4점 척도로, 29-30번은 7점 척도로 하여, 100점 만점으로 수치화 하였으며, 전체 합계 점수는 82.3±11.4점이었다.

문합방법에 따른 삶의 질 합계 점수는 B-Ⅰ에서 86.1±9.5점, B-Ⅱ에서 82.3±10.8점, R-Y에서 73.0±12.4점 순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33), 세부 문항 중 「7.여가활동 시 한계 느낌」(p=0.035), 「12.몸이 허함」(p=0.048), 「13.

식욕 감퇴」(p=0.007), 「14.메스꺼움」(p=0.034), 「18.피로」(p<0.001), 「23.짜증」

(p=0.03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기에 따른 삶의 질 합계 점수는 1-2기에서 82.7±11.6점, 3-4기에서 78.8±10.3점 순 으로 조사되었고, 합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 문항 중

「12.몸이 허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5).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문항 중, 몸이 허함, 식욕감퇴, 메스꺼움 등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였으며, 일상에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인 삶의 질이 식사와 많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52)

표 11.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전체 N=31

문합방법 병기

B-Ⅰ

N=17 B-Ⅱ

N=7 R-Y

N=7 P-

value 1-2기

N=28 3-4기

N=3 P-

value 1.힘 쓰는 일 곤란 3.1±1.01) 3.2±1.0 3.3±0.8 2.6±1.0 0.278 3.1±1.0 3.0±0.0 0.860 2.오래 걷는 것 힘듦 3.2±1.0 3.2±1.1 3.4±0.8 2.9±0.7 0.558 3.1±1.0 3.3±0.6 0.752 3.잠깐 걷는 것 힘듦 3.7±0.7 3.7±0.8 3.9±0.4 3.6±0.8 0.781 3.7±0.8 4.0±0.0 0.483 4.낮에 눕고 기대고 싶음 2.9±0.9 3.1±0.8 2.7±1.0 2.4±1.0 0.197 2.9±0.9 3.0±0.0 0.795 5.식사,세면시 도움 필요 3.9±0.6 4.0±0.0 4.0±0.0 3.4±1.1 0.056 3.9±0.6 4,0±0.0 0.683 6.일상생활 시 한계 느낌 3.5±0.7 3.5±0.6 3.7±0.5 3.1±1.1 0.323 3.5±0.7 3.3±0.6 0.712 7.여가활동 시 한계 느낌 3.7±0.5 3.8±0.4 3.7±0.5 3.3±0.5 0.035 3.7±0.5 3.3±0.6 0.192

8.숨 가쁨 3.6±0.8 3.7±0.8 3.6±0.8 3.4±0.8 0.826 3.6±0.8 3.7±0.6 0.842

9.통증 3.5±0.9 3.7±0.6 3.3±1.1 3.0±1.2 0.181 3.5±0.9 3.3±1.2 0.813

10.휴식 필요 2.9±0.9 3.1±0.7 3.0±1.0 2.4±1.0 0.265 2.9±0.9 3.0±0.0 0.843

11.숙면 곤란 3.5±0.9 3.3±1.1 3.7±0.5 3.6±0.8 0.572 3.4±1.0 3.7±0.6 0.679

12.몸이 허함 2.8±0.9 3.2±0.6 2.4±1.1 2.3±1.1 0.048 2.9±0.9 1.7±1.2 0.025

13.식욕 감퇴 2.9±1.3 3.5±0.9 2.7±1.6 1.7±1.3 0.007 3.0±1.3 2.0±1.7 0.220

14.메스꺼움 3.6±0.6 3.8±0.6 3.7±0.5 3.1±0.4 0.034 3.6±0.6 3.3±0.6 0.370

15.구토 3.7±0.7 3.8±0.4 3.9±0.4 3.1±1.1 0.065 3.6±0.7 3.7±0.6 0.954

16.변비 3.7±0.5 3.7±0.6 3.9±0.4 3.7±0.5 0.690 3.7±0.5 3.7±0.6 0.885

17.설사 3.3±0.7 3.4±0.7 3.3±0.8 3.0±0.8 0.571 3.3±0.7 3.0±1.0 0.528

18.피로 2.6±1.1 3.2±0.8 2.1±1.2 1.6±0.8 <0.001 2.7±1.1 2.0±1.0 0.325

19.통증으로 생활 지장 3.7±0.7 3.8±0.6 3.9±0.4 3.3±1.1 0.241 3.7±0.7 3.7±0.6 0.978 20.신문,TV볼 때 곤란 3.8±0.4 3.9±0.3 3.7±0.5 3.7±0.5 0.526 3.8±0.4 3.7±0.6 0.535

21.긴장감 3.6±0.8 3.8±0.4 3.4±0.8 3.1±1.2 0.179 3.6±0.7 3.0±1.0 0.198

22.걱정 3.2±1.1 3.5±1.7 2.7±1.3 2.7±1.6 0.134 3.2±1.1 2.7±1.5 0.434

23.짜증 3.5±0.6 3.7±0.6 3.4±0.5 3.0±0.6 0.035 3.5±0.6 3.3±0.6 0.669

24.우울 3.3±0.9 3.7±0.6 3.1±1.2 2.7±1.1 0.071 3.4±1.0 2.7±0.6 0.211

25.기억력 감퇴 3.2±0.7 3.2±0.8 3.1±0.7 3.0±0.6 0.785 3.1±0.8 3.3±0.6 0.677

26.가정생활 곤란 3.6±0.8 3.8±0.5 3.1±1.2 3.4±0.8 0.146 3.6±0.8 3.7±0.6 0.850

(53)

11.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영양상태는 표 12에 정리하였다. PG-SGA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는 점수가 높을수록 영양상태가 불 량한 것으로 판단된다. 문합방법에 따른 PG-SGA는 B-Ⅱ에서 2.9±3.2점, B-Ⅰ에서 4.1±3.5점, R-Y에서 7.3±4.3점 순으로 조사되었고, 병기에 따른 PG-SGA는 1-2기에서 4.2±3.5점, 3-4기에서 7.7±6.0점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 다. Bauer(2002)와 Isenring(2003)에 의하면, 여러 연구 논문들에 의해 그 방법의 타당 성이 검증되어 미국 영양사협회에서는 PG-SGA를 암환자 영양상태 평가의 공인된 방 법으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영양상태 평가 도구로서 PG-SGA를 활용하였다.

문합방법에 따른 %IBW 평가는 B-Ⅰ에서 경도의 영양불량이 23.5%로 조사되었고, B-Ⅱ에서 중등도의 영양불량이 14.3%, 경도의 영양불량이 14.3%로 조사되었으며, R-Y에서 중등도의 영양불량이 14.3%, 경도의 영양불량이 28.6%로 조사되었다. 병기에 따른 %IBW 평가는 1-2기에서 중등도의 영양불량이 7.1%, 경도의 영양불량이 17.9%

로 조사되었고, 3-4기에서 경도의 영양불량이 66.8%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IBW 평가에 따른 영양불량은 병기 3-4기에서 66.7%로 가장 높 고, R-Y에서 42.9%로 높게 나타나, 암의 진행 정도나 위 절제부위가 많을수록 영양불 량 우려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조

관련 문서

이에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직업교과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의 실태 및 직업교육과 취업의 연계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직

본 연구는 국민체조 활동에서 나타난 시각장애인의 동작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학생의 체육 교과 지도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이에 본 연구는 치과에 내원하는 흡연자 를 대상으로 일반적, 구강건강 관련, 구강질환 관련, 구강건강 지식, 인식, 실 천도, 흡연, 전자담배에 대한 인식,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60대까지의 한방다이어트를 통해 체중감량을 시도한 과체중과 비만군에 속하는 남성들을 대상으로 식습관,생활습관,운동 습관 및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노인들의 다양한 문제점 중에서 자신의 신체적 한계를 뛰어 넘어 삶의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해주는 첨단보조기기의 종류와

이에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40세 이상 COPD 환자를 대상으로 걷기, 근력 운동, 유연성 운동 등의 신체활동과 사회인구 학적 특성 및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보건계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05로 하였다.연구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만이 진행되어 왔을 뿐,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삶의 질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