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70)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는 표 17에 정리하였다. 식습관 전체 합 계 점수는 사전 21.0±3.1점, 사후 22.3±2.7점으로 분석되어, 영양교육 사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9), 세부 문항 중 식사 소요시간(p=0.005), 수술 전 대비 식사량(p=0.020)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합방법에 따른 식습관 합계 점수는 B-Ⅰ에서 사전 21.1±2.4점, 사후 21.8±2.5점, B-Ⅱ에서 사전 20.1±3.9점, 사후 22.6±2.1점, R-Y에서 사전 21.9±4.1점, 사후 23.1±3.9점 으로 모두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Ⅰ 세부 문항 중 수술 전 대비 식사량(p=0.028)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기에 따른 식습관 합계 점수는 1-2기에서 사전 20.7±3.0점, 사후 22.2±2.8점으로 상 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3), 세부 문항 중 식사소요시간 (p=0.005), 수술 전 대비 식사량(p=0.001)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4기에서는 사전 24.0±3.0점, 사후 23.0±2.0점으로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홍기연 등(2016)의 연구에 의하면, 영양 상담을 거듭할수록 아침식사 횟수가 증가하 고, 식사량은 매우 일정한 편으로 변화되었으며, 식사속도는 느려져 유의적으로 변화하 였다고 보고하였다. 위절제술을 받은 위암환자에게 영양교육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으로 유지되는 것이 영양관리에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표 17. 연구대상자의 식습관 변화

사전 사후 D2) P-value

규칙적인 식사 3.7±1.41) 3.9

±1.2

0.2

±1.1

0.339 식사횟수 4.3±1.0 4.3

±0.9

0.1

±1.0

0.730 식사 소요시간 2.5±0.8 2.8

±0.8

0.3

±0.6

0.005 수술 전 대비 식사량 3.0±1.3 3.6

±1.2

0.6

±1.3

0.020 과식주의 4.4±0.8 4.5

±0.9

0.1

±0.5

0.264 외식 시 느끼는 간 3.2±0.5 3.2

±0.9

0.0

±0.9

1.000 합 계 21.0±3.1 22.3

±2.7

1.3

±2.5

0.009 Paired t-test

1)Mean±SD

2)사후점수-사전점수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6-30점

표 17 계속.

B-Ⅰ(N=17) P-value

B-Ⅱ(N=7)

P-value

R-Y(N=7)

P-value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규칙적인 식사

3.8±1.41) 3.7±1.1 0.683 3.6±1.6 4.3±1.3 0.140 3.6±1.6 4.0

±1.4

0.200

식사횟수

4.2±1.0 4.2±1.0 0.817 4.0±1.2 4.4±0.8 0.488 4.6±0.8 4.6

±0.5

1.000

식사 소요시간

2.5±0.7 2.8±0.8 0.056 2.3±0.8 2.7±0.5 0.780 2.6±1.0 2.9

±1.1

0.356

수술 전 대비

식사량

3.1±1.2 3.7±1.1 0.028 2.9±1.5 3.9±1.2 0.062 2.9±1.7 3.0

±1.6

0.859

과식주의

4.3±1.0 4.5±1.0 0.083 4.4±0.5 4.3±0.8 0.604 4.7±0.5 4.9

±0.4

0.356

외식 시

느끼는 간

3.1±0.6 3.0±0.9 0.608 3.0±0.0 3.0±0.6 1.000 3.6±0.5 3.9

±0.9

0.457

합 계

21.1±2.4 21.8±2.5 0.120 20.1±3.9 22.6

±2.1

0.067 21.9±4.1 23.1

±3.9

0.336

1-2기(N=28)

P-value

3-4기(N=3)

P-value

사전 사후 사전 사후

규칙적인 식사 3.6±1.5 3.8±1.2 0.339 5.0

a)

±0.0 5.0

a)

±0.0

식사횟수 4.2±1.0 4.3±0.9 0.599 4.7±0.6 4.3±1.2 0.423

식사 소요시간 2.4±0.7 2.8±0.8 0.005 3.3

a)

±0.6 3.3

a)

±0.6 수술 전 대비

식사량 3.0±1.3 3.7±1.2 0.001 3.0±1.7 2.3±1.2 0.728

과식주의 4.4±0.9 4.5±0.9 0.264 4.7

a)

±0.6 4.7

a)

±0.6

외식 시 3.2±0.5 3.2±1.0 1.000 3.3

a)

±0.6 3.3

a)

±0.6

4.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변화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변화는 표 18에 정리하였다. 식품 섭 취빈도 전체 합계점수는 사전 27.1±3.9점, 사후 28.3±4.6점으로 분석되어, 영양교육 사 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1).

문합방법에 따른 식품 섭취빈도 합계 점수는 B-Ⅰ에서 사전 26.3±4.1점, 사후 28.2±5.1점으로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2). B-Ⅱ에서는 사 전 27.4±2.7점, 사후 28.4±3.7점으로 상승하였고, R-Y에서는 사전 28.6±4.4점, 사후 28.4±4.6점으로 다소 하락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병기에 따른 식품 섭취빈도 합계 점수는 1-2기에서 사전 26.8±3.8점, 사후 28.2±4.6점 으로 상승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3). 3-4기에서는 사전 29.3±4.5점, 사후 29.7±4.6점으로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홍기연 등(2016)의 연구에 의하면, 영양상담 차수에 따라 어육류, 채소류, 과일과 우 유 섭취는 유의하게 증가하고,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 섭취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 발생 후에 환자들은 육류를 거의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수술 후 혹은 치료 중 빠른 회복과 치유를 위해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필수적이라 하 였다. 조진아 등(2000)은 과일 및 우유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은 영양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과일군과 우유군을 매일 섭취하라는 내용이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 다.

표 18. 연구대상자의 식품 섭취빈도 변화

사전 사후 D2) P-value

반찬 가짓수 3.7±1.11) 3.8±1.0 0.1±0.8 0.380 어육류군 섭취빈도 3.4±1.1 3.6±1.1 0.3±1.2 0.255 채소군 섭취빈도 4.1±1.3 4.3±1.2 0.1±1.2 0.546 과일군 섭취빈도 3.9±1.5 4.3±1.2 0.4±1.6 0.227 우유군 섭취빈도 2.9±1.6 3.3±1.6 0.4±1.7 0.266 짠 음식 섭취빈도 4.3±1.1 4.5±1.1 0.2±1.1 0.420 인스턴트 제한빈도 4.7±0.5 4.6±0.7 -0.1±0.6 0.211 합 계 27.1±3.9 28.3±4.6 1.3±3.1 0.031 Paired t-test

1)Mean±SD

2)사후점수-사전점수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7-35점

표 18 계속.

B-Ⅰ(N=17) P-value

B-Ⅱ(N=7)

P-value

R-Y(N=7)

P-value

사전 사후 사전 사후 사전 사후

반찬 3.7±1.11) 3.8±1.0 0.269 3.9±1.2 3.9±1.2 1.000 3.7±1.1 3.9±1.2 0.689

어육류군 3.2±1.1 3.8±1.1 0.056 2.9±1.1 3.3±1.3 0.356 4.1±0.9 3.4±1.1 0.140

채소군 4.0±1.3 4.4±1.1 0.303 4.3±1.3 3.9±1.5 0.356 4.3±1.3 4.4±1.0 0.356

과일군 3.7±1.6 4.1±1.4 0.431 4.1±1.5 4.7±0.8 0.436 4.1±1.6 4.3±1.0 0.689

우유군 2.8±1.6 3.1±1.6 0.620 3.1±1.9 4.0±1.5 0.308 3.0±1.6 3.1±1.9 0.689

짠 음식 4.1±1.3 4.5±1.1 0.269 4.4±1.0 4.1±1.5 0.457 4.6±0.8 4.7±0.5 0.604

인스턴트 4.7±0.5 4.6±0.6 0.431 4.7±0.5 4.6±0.8 0.604 4.7±0.5 4.6±0.8 0.356

합 계 26.3±4.1 28.2±5.1 0.042 27.4±2.7 28.4±3.7 0.345 28.6±4.4 28.4±4.6 0.805

1-2기(N=28)

P-value

3-4기(N=3)

P-value

사전 사후 사전 사후

반찬 3.6±1.11) 3.7±1.0 0.626 4.3±1.2 5.0±0.0 0.423

어육류군 3.3±1.2 3.6±1.1 0.125 4.0±1.0 3.3±1.5 0.529

채소군 4.0±1.3 4.2±1.2 0.547 5.0a)±0.0 5.0a)±0.0

과일군 3.9±1.5 4.3±1.2 0.314 3.7±2.3 4.3±1.2 0.423

우유군 3.0±1.5 3.4±1.5 0.267 2.3a))±2.3 2.3a)±2.3

짠 음식 4.3±1.2 4.5±1.1 0.326 5.0±0.0 4.7±0.6 0.423

인스턴트 4.7±0.5 4.5±0.7 0.212 5.0a)±0.0 5.0a)±0.0

합 계 26.8±3.8 28.2±4.6 0.033 29.3±4.5 29.7±4.6 0.808

Paired t-test

1)

Mean±SD

각 문항 당 최저1점-최고5점 합계범위 : 7-35점

a)

표준오차가 0이므로 p값을 계산할 수 없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7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