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기의 무신정권은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에 의하여 이끌어졌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초기의 무신정권은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에 의하여 이끌어졌다"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목 : 중세 귀족국가 시대 2 수업내용 :

무신정변을 계기로 고려 사회의 성격이 변화된 내용을 이해하고, 장기적인 대몽 항 전을 다각도로 이해한다.

무신정권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가 성립기(成立期)로서 1170년에서 1196년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초기의 무신정권은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에 의하여 이끌어졌다. 이들은 고위직 무신들의 합좌기관(合坐機關)인 중방(重房)을 본거지로 하였다. 그러나 무신들의 이해관계가 엇갈려 치열한 정치투쟁이 야기되었다.

원래 무신란을 주도한 것은 하급장교였던 이의방과 이고였다. 정중부는 상장군(上將 軍)으로 비교적 온건한 입장이었으나 이의방과 이고에 의해 추대된 측면이 강하였다.

이의방은 먼저 정중부와 연합하여 이고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의방은 정중부의 아 들 정균(鄭筠)에게 살해되었다. 정중부 부자가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청년 장군 경대승 (慶大升)에게 제거되었다. 경대승은 도방(都房)을 설치하여 자신의 신변 안전을 꾀하 였으나 무신(武臣)들의 적대적 압박감 속에서 발병하여 1년여 만에 죽고 말았다. 경대 승의 병사(病死) 이후에 정권을 잡은 것이 천민(賤民) 출신의 이의민(李義旼)이다. 그 는 이의방의 휘하로서 무신란에 적극 가담하여 공을 세움으로써 자신의 신분적 열세 를 실력으로 극복했던 인물이었다. 이의민은 12년간 정권을 장악했으나 1196년 최 충헌(崔忠獻)․ 최충수(崔忠粹) 형제에게 살해되었다. 이와 같이 무신정권 성립기는 20 여 년의 기간 동안 치열한 정치투쟁으로 많은 무신들이 명멸(明滅)하였다.

무신정권의 두 번째 시기는 확립기(確立期)로서 1196년에서 1258년에 이르는 시기 이다. 최충헌과 그의 자손들이 정권을 유지했던 시기로서 ‘최씨 무신정권(崔氏 武臣政 權)’이라고도 한다. 최충헌은 무신란이 발생한지 26년이 지나 무신란에 직접 가담했던 인물들이 거의 모두 물러났던 시점에 등장하였다. 최충헌은 비교적 좋은 배경의 가문 (家門) 출신이었기에 문신(文臣)과도 교섭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는 집권한 직 후 올린 「봉사십조(封事十條)」는 당시 고려 사회가 당면한 문제들을 바르게 파악한 정책(政策) 건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최충헌은 당시 고 려 사회의 문제점들을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정치가로서의 면모를 갖춘 인물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충헌은 명령을 거역하는 자 는 누구라도 제거하였다. 친동생인 최충수나 조카 박진재(朴晋材) 등이 그 대표적 인

(2)

물이다. 이렇듯 최충헌은 자신의 모든 적대세력을 차례로 제거하고 독재정권을 수립 하였다. 최충헌은 사실상 정권을 혼자서 좌지우지하면서도 왕권(王權)은 존속시켰다.

하지만 왕실의 외척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고 하지 않았고 오직 자신의 실력을 바탕으로 정권을 유지했다. 이후 최씨 무신정권은 최충헌의 아들 최이(崔怡), 손자 최 항(崔沆), 증손자 최의(최竩)에 걸치는 4대 60년간 이어졌고, 이는 무신정권의 확립을 의미한다.

1231년 몽골의 제1차 침입이 있자 최이(崔怡)는 몽골과의 항쟁을 결의하고 1232년 수도를 강화(江華)로 옮겼다. 이후 몽골의 침략은 계속되어 약 30년간에 걸쳐 6차례 의 침입을 해오게 되었다. 무신정권은 농민과 천민들의 뒷받침 속에서 대몽항쟁을 수 행하였다. 그러나 농촌이 황폐해지면서 농민들의 생활은 곤궁에 처하게 되었고, 강화 (江華)로 천도한 정부는 오히려 농민들에 대한 가혹한 수취를 자행하였다. 이로써 농 민들의 정부에 대한 반항의식이 커지고 몽골에 대한 항쟁 의욕도 저하되기에 이르렀 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왕과 문신을 중심으로 몽골에 대한 강화(講和)를 주장하는 여론이 일어나게 되었다. 강화(講和)는 결국 주전파(主戰派)인 무신정권의 타도로 연 결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속에서 최씨 무신정권의 마지막 집권자인 최의(崔竩)가 1258년(고종 45년) 문신(文臣) 유경(柳璥)과 무신(武臣) 김준(金俊) 등에 의하여 살해 되었다. 이로써 최씨 무신정권은 끝나고 정권은 일단 국왕에게도 돌아가게 되었다. 이 이후가 무신정권의 마지막 시기(1258년~1270년)로 붕괴기(崩壞期)에 해당한다. 이 시 기 고려는 몽골과의 강화를 추진하였다. 그러나 무신들은 여전히 몽골과의 강화에 반 대하고 있었다. 다시 무신 임연(林衍)이 김준을 죽이고 정권을 잡은 이후에는 강화에 대한 반대가 노골화되었다. 임연은 친몽정책(親元政策)을 펴고 있던 원종(元宗)을 폐 하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몽골의 압력으로 원종은 복위되었다. 이후 임연이 죽고 그의 아들 임유무(林惟茂)가 일시 정권을 잡았으나 원종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로써 1270 년 최씨 무신정권이후 명맥을 유지하여 오던 무신정권은 완전히 붕괴되고 말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살펴본다. (1) 고려무인정권의 확립 과정 과 성격: 1) 무신의 난과 무신정권의 성립, 2) 최씨 무신정권의 확립, 3) 무신정권의 붕괴 과정. (2) 몽고침입과 사대부의 성장: 1) 몽고와의 전쟁, 2) 원의 간섭과 부원세 력의 등장, 3) 공민왕의 개혁과 신흥사대부의 등장.

(3)

참고문헌 : 한국사신론, 한국사특강, 고려시대사 상,하 수업방법 : 강의, 토론

참조

관련 문서

정적분의 성질에

생산원가를 구성하는 요인들이 전방위적으로 오름세를 보이지만 치열한 국제경쟁은 중국제품의 가격인상을 허용하지 않는다..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경제성장을

디지털 멀티미터의 확도는 분압기 저항의 오차 등에 의한 표시 량의 상대오차와 A/D 변환과정 등의 게이트 오차의

그러나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서 ‘누구든지 수신자의 명시적인 수 신거부 의사에 반하는 영리목적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의 시설공간의 계획 지침에서 농업농촌 기본법 농촌진흥법 농어촌정비법 농림어업인삶의질향상및농산어촌지역개발촉진 , , , 에관한특별법 등에

최근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의 대학원 학생들과 대한변호사협회의 변호사들 사이에 변호사시험 합격률을 놓고 치열한

블라인드 채용에 따라 응시자는 채용자격기준 등에 적합여부를 신중히 판단 하여 응시원서를 접수하시기 바라며 제출한 서류는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 한 법률

② 박사후연구원은 본교 전임교원의 요청에 따라 연구소장의 추천으로 총장이 임용한다.. ③ 특별연구원은 석사학위 이상 또는 동등한 자격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