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 관광농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의 관광농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9

2016

농정 이슈

중국의 관광농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1

가격 동향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소비자물가

9 11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대 세계 식량 수출입 대 한국 농산물 수출입

12

14

17

주요 단신

(2)

중국의 관광농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개요

1.

중국 농업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 14개 정부 부처기관이 공동으로 월 일 관광농업의 발전을9 1 촉구하는 내용의 문건 관광농업 발전에 관한 지도의견(关于大力发展休闲农业的指导意见) 발표

년까지의 발전 목표와 주요 추진 과제 및 정책 조치 등을 제시 2020

중국은 2000년대 들어 전국적인 범위에서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기 시작 하였으며, 최근에는 차산업화와 연계하여 정책적 우선순위 부여 6

년 국가여유국

2001 (国家旅游局)에서 농촌관광발전 지도규범(农业旅游发展指导规范) 을 제정하는 한편 농촌관광 시범지역 후보 명단 발표. 2004년과 2005년에 각각 203개와 156개의 시범지역 선정

년 이후 국가여유국과 농업부를 중심으로

2006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 표 참조( 1 ). 2010년부터는 관광농업농촌관광 시범 현(县) 및 관광농업 시범지역 선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최근 농촌지역 차 차 차산업의 융합을 통한 농업의 차산업화가 주요 농정 화두로 등장한 가운데 1 2 3 6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관광농업 및 농촌관광의 발전을 중시

표 1 중국의 관광농업 발전 촉진 관련 주요 문건

시기 주요 문건 주요 내용

2006.8

국가여유국

농촌관광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 의견(关于促进农村旅游发展的

) 指导意见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삼농문제 해결에 기여, 사회주의신농촌▲ 건설 촉진, ▲도시공업부문의 농촌농업부문 지원, ▲관광업 발전 촉진 기본 원칙: 사회주의 신농촌건설 전략과 연계, ▲ ▲현장의 실제 수요 반영, 지속가능 발전▲ , ▲서비스 향상

양적 발전 목표(2010 ): 매년 농촌관광업 취업자 수 증가 만 명년 35 간접 취업자 수 증가 만 명 매년 농촌관광업 종사 농민의 소득

( 150 ),

증가율 5%, 전국적으로 농촌관광 특색 현(县) 100 , 개 향(乡) (진镇)

개 촌 개 건설

1,000 , 10,000 자료 관련 문건을 참고하여 필자 정리 :

농정 이슈

(3)

표 1 중국의 관광농업 발전 촉진 관련 주요 문건 계속 ( )

시기 주요 문건 주요 내용

2011.8

농업부

전국 관광농업 발전 12.5 규획 (全国休闲农业发展 十二五规划)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농업의 외연 확대 및 농촌산업구조 조정 촉진, ▲일자리 창출 및 농가소득 증대, ▲사회주의 신농촌건설 촉진,

도농 일체화 촉진, 관광산업의 발전 촉진

▲ ▲

기본 원칙: ▲농본주의 농업 기초 농민 주체 농촌 배경 에 기초한 ( , , ) 발전계획 수립,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발전 목표(2015 ): ▲농촌지역의 년 1 2 3차 산업을 융합한 신흥산업 으로 육성, ▲농민 취업 및 소득 증대 촉진, ▲관광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민생산업으로 육성,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녹색산업으로 육성, ▲신형 소비형태 발전 및 내수 확대의 지주산업으로 육성

주요 추진 과제: ▲산업구조 최적화 경영규모 확대, , ▲발전 모델 혁신 산업 특색 강화, , ▲브랜드 개발 강화 산업 지위 향상, , ▲전문 인력 육성 경영수준 제고, , ▲서비스체계 완비 성장잠재력 제고, 중점 추진 사업: ▲시범기지 조성 사업, ▲유명브랜드 개발 사업,

지원체계 구축 사업, 향토문화 발굴 사업, 기초시설 건설 사업

▲ ▲ ▲

2014.11

농업부

관광농업의 지속 건강한 발전 진일보 촉진에 관한 통지(关于 进一步促进休闲农业持续健康

) 发展的通知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효율 및 소득 증대 수단, ▲취업공간 확대 및 사회 통합 수단, ▲전통농경문화 계승 및 전통문화 발전 촉진, ▲ 생태환경 보호 및 아름다운 농촌 건설 수단

기본 원칙: ▲농본주의 농업 기초 농민 주체 농촌 배경 에 기초하여( , , ) 과학적 발전계획 수립,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 발전

주요 추진 과제: ▲관광농업의 유형 다변화 산업클러스트화 촉진, , 관광농업 발전 모델

▲ 혁신 전통문화 계승 촉진, , ▲관광농업 종사 자의 자질 향상 산업인프라 확충, , ▲관리의 규범화 생태환경보호 , 촉진, 시범사업 확대 및 브랜드 육성▲

발전 보장 조치: 정책지원 강화▲ , ▲공공서비스 확대, ▲홍보선전 강화

2015.8

농업부

농업의 다원적기능 개발 및 관광 농업 발전 촉진에 관한 통지 (关 于 积 极 开 发 农 业 多 种 功 能

) 大力促进休闲农业发展的通知

관광농업 발전의 의의: ▲농업발전방식의 전환 가속화 생태문명 건설, 추진, 농민소득원 확충 전면적 샤오캉사회 건설▲ , , ▲농촌산업구조 업그레이드내수 확대 도농 통합발전, , 농촌지역 빈곤구제▲ , 2020년 빈곤탈피 목표 달성

기본 원칙: ▲농본주의 견지 및 소득증대 촉진, ▲융복합 및 시너지 효과 발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지역적 특색 부각, ▲서비스 향상 및 관리의 규범화, ▲정부 주도와 사회 참여, ▲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 발전

주요 추진 과제: ▲관광농업의 유형 다변화 산업클러스트화 촉진, , 관광농업 발전 모델 혁신 전통문화 계승 촉진, , 관광산업구조

▲ ▲

업그레이드 및 이익공유 확대, ▲관광농업 종사자의 자질 향상, 산업인프라 확충, ▲관리의 규범화 생태환경보호 촉진, , ▲시범사업 확대 및 브랜드 육성

발전 보장 조치: ▲토지이용 보장, ▲재정지원 및 세금우대, ▲자금 융통 방법 확대, ▲공공서비스 확대

(4)

관광농업 발전 현황

( ) 2014년 관광농업 관련 연간 매출액은 3,713억 위안 이 중 농부산물 판매액은 ( 위안 으로 농업총생산액의 수준

1,296 ) 3.6%

관광농업 경영체 수는 269.7천 개이며 이 중 숙박 및 식당 시설을 갖춘 , 농가락(农家乐) 이 211.9천 개로 78.6 , % 관광 휴양체험 농장이 ( ) 46.5천 개로 17.2%, 기타 4.2% 차지

관광농업 경영체 종사자 수는 687.4만 명이며 이 중 농민취업자 수는 , 556.6만 명으로 81.0% 차지 관광농업에 연계된 농가 수는 만 호 연간 관광농업 경영체 방문객 수는 억 명

( 534.8 ). 16.5

전국적으로 관광농업이 가장 발전한 지역은 호북성이며 다음으로 사천성 호남성 강서성 중경시 순, , ,

그림 1 중국의 관광농업 경영체 유형별 비중 및 지역별 분포 (2014 ) 년

유형별 비중

< > <지역별 점유율>

자료: 农业部农产品加工局 乡镇企业局( ) 主编. 中国休闲农业2015

최근 관광농업 정책의 주요 내용 2.

관광농업에 대한 인식

관광농업은 12.5 규획 기간(2011~2015 ) 년 빠르게 발전한데 이어 13.5 규획 기간 년 에

(2016~2020 ) 황금발전기를 맞이하여 농업분야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

도시와 농촌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 휴가 일 수 증가와 웰빙소비 트렌드 등으로 관광농업에 대한 , 수요 증대 전망

(5)

현재 중국의 관광농업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장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향후 수요가 공급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관광농업의 발전은 농업분야의 공급측 구조개혁과 농촌지역의 차 차 차 산업 융합 발전을1 2 3 촉진하고, 내수 확대 및 농민들의 취업과 소득 증대를 견인할 수 있는 유력한 방안

정책 추진 원칙

농본주의 견지 농민소득 증대 촉진

( , ) 농촌지역에서 농업을 기초로 농민이 주체가 되어 계획적으로 관광농업의 발전을 추진하되 농민들이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농민들의 , 취업 공간 확대 및 소득 증대 촉진

다원적 기능 융합 도농 통합발전

( , ) 농업의 다원적 기능 간 유기적 융합을 강화하고 도시와 농촌의 통합 발전을 지향

현지 수요 반영 지역적 특색 부각

( , ) 지역별 자원부존 문화 역사 교통 및 농산업 특징을 고려한 발전 , , , 계획을 수립하여 지역적 특색을 부각함으로써 전국적으로 평균화된 발전 모델 지양

정부 주도 사회 참여

( , ) 정부의 정책 지원 관리 공공서비스 제공 환경 조성 등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 , , 시장 수요에 기초한 자원 배분 지향 농민들의 참여도가 높고 수익성이 큰 사업에 대한 농외자본의 . 투자 견인 및 지원 농촌지역 부녀자들의 참여 장려.

환경 보호 지속가능 발전

( , ) 개발과 보호 생산과 생태의 조화를 추구하고 자원 및 환경의 부담 , , 능력을 고려한 발전 계획 수립

정책 추진 목표

년 달성 목표

(2020 ) 관광농업 규모를 더욱 확대하여 연간 농촌관광 방문객 수 33억 명 관광농업 , 경영체 매출액 7,000억 위안 이상 달성

관광농업의 지역분포 최적화 유형 다변화 기능 완비 지역 특화 국면 기본 형성, , , 관광농업의 수익성 증대 및 관광농업 경영체 농민취업자의 소득 증대

관광농업의 서비스 수준 제고 및 지속가능발전 능력 강화 농업성장 농촌발전농민부유의 신흥 지주, 산업화

(6)

주요 추진 과제

발전계획 수립 집행 강화

( ) 생산 생활 생태의 통일 및 차 차 차 산업의 융합이라는 요구사항에 1 2 3 기초하여 농업생산노동생활농촌경관을 소재로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발전계획 수립 및 집행 강화

농촌산업구조의 조정 농촌지역 관광인프라 확충 농촌지역 전통문화 및 경관의 보존을 중시하고 , , 점 선 면으로 확장되는 관광산업 발전 국면 형성

농업생산 농사체험 문화오락 교육전시 관광휴양 농산물 가공판매를 일체화한 관광농업구역 촌 , , , , , ( 또는 농장 을 조성하고 생산표준화경영집약화 서비스규범화 기능다양화를 실현한 관광농업 벨트 ) , 및 산업클러스터 구축

지역별 경제사회발전계획 도농통합발전계획 토지이용계획 빈곤구제를 위한 빈곤가구 이주 계획 , , , 등과 연계하여 해당지역 관광농업 발전계획 수립

관광농업구역이나 농촌관광구역에 빈곤가구 이주민 정착지를 배치하여 이주 빈곤농가의 취업을 통한 빈곤문제 해결 추진

관광농업 유형 다양화

( ) 지역별 자원부존 조건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관광농업 유형의 다양화와 개성화 촉진

농민들의 숙박식당 시설을 갖춘 농가락(农家乐) 사업 추진 지원 관광농업합작사 조직 지원 및 관광, 농업을 핵심으로 한 차 차 차 산업 융합발전 촌1 2 3 (村) 조성 장려

일촌일품※ (一村一品)일촌일경(一村一景)일촌일운(一村一韵) 농촌마을 및 산림관광휴양구역 육성 농민들의 참여도가 높고 수익성이 큰 사업에 대한 농외자본의 투자 견인 및 지원

관광농업 인프라 확충

( ) 관광농업 농촌관광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지역특색이 부각되고( ) 각종 기능서비스가 완비된 관광농업 클러스터 촌( ), 村 관광 체험휴향 농장 관광농업합작사 건설 지원( ) , 관광농업지역의 도로 수리시설 인터넷 주차장 화장실 쓰레기 및 오수 처리 관광종합서비스센터, , , , , , , 숙박 식당 소독시설 농촌민속박물관 및 공연장 등의 관광농업 기초시설 건설에 주력,

지역 특색을 최대한 부각할 수 있는 향토음식 숙박 특산물 구매 오락 등과 관련된 서비스시설, , , 건설을 통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 충족

관광농업지역의 농작물 재배 및 가축 사육 조건을 개선하여 지역 특색의 농업 발전 가속화

농촌지역 빈곤구제 촉진

( ) 농촌 빈곤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자원부존 조건을 활용한 관광농업을 육성하여 빈곤문제 해결에 기여

빈곤지역 농가의 관광농업합작사 조직 및 농가락 소규모 체험농장 운영 지원 일촌일품, . (一村一品)

(7)

사업을 통해 해당지역 재배업 축산업 업그레이드 및 빈곤탈피 촉진

농외자본의 빈곤지역 관광농업 개발 투자 장려 및 지원 방안 모색 관광농업의 발전을 통해 빈곤지역. 농특산물의 가공 및 판매 촉진

빈곤지역 관광농업 발전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경험 홍보 및 교육 실시를 통해 창업 독려

농업문화유산 보호 강화

( ) 전국적으로 농업문화유산 조사사업을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관리감독 및 발굴 보호 계승 이용 강화

농업문화유산을 적극 발굴하고 우수한 농경문화에 대한 학교 교육 추진

농업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농업교육 사회실천 및 학술여행 시범기지를 건설하고 전통공예진흥, , 계획을 수립하여 농촌 부녀자들의 수공예를 특색산업으로 육성

전통마을 및 주택 보호 강화

( ) 전통마을 및 거주 공간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여 전통문화유산을 보호하고 마을의 기초 시설 및 공공서비스 시설 개선

전통마을 및 주택 보호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전통마을 보호사업의 실시와 감독 강화

농촌지역 농업문화유산을 관광농업경영에 적극 활용하여 농업과 문화 과학기술 생태 관광의 융합을, , , 추진함으로써 관광농업의 문화컨텐츠 강화

관광농업 브랜드 육성

( ) 비교우위에 기초하여 점 선 면을 연계한 관광농업 브랜드체계 구축 점( ): 点 아름다운 농촌 선전홍보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전국적으로 , 하늘이 맑고 땅이 푸르며, , 물이 깨끗하고 살기 편안하며 일이 즐겁고 소득이 많은, , , 아름다운 관광 농촌 향 진 선정( , ) 선( ): 线 명품 관광농업루트의 선전홍보를 중점 추진하여 도시와 농촌 주민의 농촌관광을 유인함으로써 내수 소비 촉진

면( ): 面 전국 관광농업 시범 현( ) ( ) ( ) 县 시市 구区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시범 및 견인 역할이 , 뚜렷한 관광농업 클러스터구역을 육성

정책적 보장 조치 3.

각종 정책지원 강화

( ) 토지 이용 예산 활용 등 관광농업의 발전을 위한 각종 정책지원 강화, 조건을 갖춘 지역에서부터 농촌지역 빈집 집단소유 개발용 토지 황폐지 등 자원을 관광농업에, ,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관광농업 농촌관광에 활용되는 토지를 해당 지역 토지이용총계획과, 연도별 토지이용계획에 포함

(8)

※관련 토지이용계획에 부합하는 경우 농촌집단경제조직 예를 들어 촌 은 집단소유 개발용 토지를( ) 활용하여 기타 경영체 또는 개인과 공동으로 숙박 식당 주차장 등 농촌관광 서비스업 실시 허용, , 중앙정부 예산 중 농촌개발사업 항목의 자금이 관광농업 클러스터구역에 집중 투자되도록 하는 한편 이자보조 산업투자기금 설치 등의 방법으로 재정지원 강화 금융기관은 담보 및 대출체계를 , . 개선하여 관광농업 농촌관광 경영체에 대한 신용대출 확대

농외자본이 민관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인터넷 플랫폼( 인터넷+ 채권 발행 등 방식으로 관광농업 투자 장려),

※중국 농업부 농촌사회사업발전중심은 인터넷 농업+ 정책의 일환으로 PPP방식에 의한 전국의 관광 농장 소개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취농좡(一去农庄)(www.manortrip.com, www.qnz365.com) 개설.

를 활용한 마케팅 앱 을 이용한 판매 홈페이지 구축 등이

SNS , (APP) , 인터넷 농업+ 의 특징

국가차원의 농업문화유산 보호 계승 이용 추진 지역별로 관광농업 농촌관광에 대한 투자 및 산업. 업그레이드 추진 강화

관광농업 관련 공공서비스 강화

( )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관련 서비스 제공 강화 직업학교 협회 등에 위탁하여 관광농업 관리 및 서비스 인력의 교육훈련을 실시함으로써 관련, 종사자의 자질 제고 연구기관에 관광농업 설계 및 계획 관련 전문과정을 개설하여 전문인력 양성. 농외자본의 관광농업 홍보플랫폼 구축 투자를 장려하고 인터넷 판매예약결재 시스템 등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가속화

관광농업 농촌관광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분석을 강화하여 관련 통계체계 확립

규범적 관리 강화

( ) 관광농업 관련 업계표준 제정 및 적용을 강화하여 관리의 규범화와 서비스 표준화 촉진

지역별로 현지 실정을 감안한 업계 표준을 제정하여 해당지역의 관광농업 농촌관광의 발전 촉진 인정기관의 인정 절차를 거친 전국 관광농업농촌관광 시범 현( )县과 시범구역, 아름다운 관광 농촌 ,

전국 관광농업 성( )星급 기업, 특색경관관광 진( ) ( )镇촌村 등 관광지역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여 서비스 품질 및 수준 보장

관광농업 농촌관광 업계의 자율적 관리 감독서비스 체계 구축 촉진

선전 및 홍보 강화

( ) 주요 명절과 농사절기 관련 각종 축제 시기에 각종 매체 인터넷( , TV라디오 신문, , 등 를 활용하여 관광농업 농촌관광 명소를 소개하고 도시와 농촌 주민의 방문 및 소비 견인 SNS )

지역별로 전통 및 신흥 매체를 활용하여 명품 관광농업 관광명소에 대한 교통편 등 관련 정보를 제공 장려

(9)

시사점 4.

관광농업 농촌관광 이 최근 중국 농정의 화두로 등장한 ( ) 1 2 3차 차 차 산업 융합의 대표적인 사례로 부각되어 정책적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정부주도의 고속성장 전망

지난해 중앙 호문건에서 농촌지역의 차 차 차 산업 융합발전이 언급되고 다수의 정책성 문건을 1 1 2 3 통해 농업발전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농업의 차산업화가 주요 농정 과제로 부상 6

중국 정부는 2000년대 중반 이후 관광농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다수의 정책성 문건을 통해 관광농업이 농촌지역에서 차 차 차 산업의 융합발전을 촉진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1 2 3 정부주도+

사회참여 방식의 정책 추진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관주도의 빠른 성장세 기대

년까지 농촌관광 연 인원 억 명 관광농업 경영체 매출액 억 위안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2020 33 , 7,000

근거로 계산해보면 향후 연평균 11% 이상의 성장세 전망

중국 정부는 관광농업 농촌관광 의 다양한 효과 중에서도 특히 농촌지역 빈곤문제 해결에 커다란 ( ) 의미를 부여하고 있어 향후 빈곤구제의 유력한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

시진핑 정부가 제시한 2020년 샤오캉사회(小康社会) 실현 목표는 도농 간 소득격차의 해소가 관건 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13.5 규획 기간에 농민들의 재산권 행사 강화 및 소득 증대를 중시 특히 전국적으로 농업생산조건이 열악한 일부 농촌지역의 빈곤문제는 샤오캉사회 건설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할 난제로서 중국 정부는 관광농업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정책적 지원 강화

년 동안 관광농업을 통해 중국 빈곤인구의 인 약 만 명을 빈곤에서 구제했으며

2010~2014 10% 1,000

규획

13.5 이 마감되는 2020년까지 약 1,200만 명을 구제한다는 계획

중국의 차산업화 정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관광농업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핵심 농정의6 하나로 추진 중인 차산업화 정책 수립 시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6

지역별로 농업생산조건이 상이하여 지역농업의 특색이 강한 중국농업의 특성상 다양한 유형의 관광농업 모델이 존재

또한 중국의 농업제도 상 농외자본의 농업분야 진출이 장려되고 있고 차산업화 추진에서 농업인, 6 , 협동조합과 함께 기업의 역할도 강조하고 있어 다양한 형식의 관광농업 모델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내 관광농업 정책 수립 시 벤치마킹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

(10)

가격 동향

농산물

1)

도매시장가격

년 월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상승하였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2016 8 7 2.5% ,

하락 4.3%

채람자(菜篮子)농산물의 2016년 월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8 7 3.0% 상승하였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4.9% 하락

그림 2 중국의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 추이

주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는 년

: 2000 =100

자료

: 中國農業信息網(http://www.agri.gov.cn)

1) 식량 개 품목 중단립종쌀 장립종 쌀 옥수수 밀가루 대두 유지류 개 품목 유채씨기름 콩기름 땅콩기름 참기름5 ( , , , , ), 4 ( , , , ), 채소 26개 품목 시금치 배추 청경채 양배추 상추 가지 파프리카( , , , , , , (青椒), 토마토 콩꼬투리, (豆角), , 무 당근 양파 감자, , , 아 스파라거스 샐러리 연근 오이 동과 호박 주키니호박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부추 대파 화채, , , , , , , , , , , (花菜), 브로콜리 과일), 7 개 품목 부사사과 압리( , (鸭梨), 감귤 바나나 수박 파인애플 거봉포도 축산물 개 품목 돼지고기 쇠고기 양고기 닭고기, , , , ), 5 ( , , , , 계란 수산물 개 품목 잉어 민물연어), 5 ( , ( ), 초어( ), 붕어 갈치 등 총 , ) 52개 품목

(11)

품목별 2016년 월 도매시장가격을 보면 지난 월에 비해서 버섯류 가격이 상승 지난해8 7 . 같은 달에 비해서는 마늘 가격이 대폭 상승하였으나 과일류와 엽근 채소 가격은 하락.

표 2 주요 품목별 도매시장가격 추이 (2016 년 월 4 ~ 8 ) 월

단위 원: , %

주 전국 도매시장 평균가격: 품목

2016 8월 증감률

4 5월 6월 7월 8월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식량 중단립종쌀(20kg) 17,609 17,739 17,569 17,022 16,670 -2.1 -10.0

(1kg) 949 970 953 916 899 -1.9 -12.5

엽근 채소

배추(10kg) 3,359 2,065 1,555 1,948 2,205 13.2 -17.8 무

(18kg) 5,887 5,559 4,995 4,768 4,931 3.4 -5.8 양배추(8kg) 3,734 1,838 1,301 1,477 1,684 14.0 -39.6 당근(20kg) 13,189 16,410 10,888 7,178 6,581 -8.3 -40.5 감자(20kg) 12,270 12,496 8,802 6,494 6,381 -1.7 -19.6

양념 채소

건고추(600g) 2,598 2,687 2,687 2,573 2,599 1.0 -11.5 양파(kg) 700 427 345 313 299 -4.5 -26.4 마늘(kg) 1,846 1,684 1,644 1,726 1,862 7.9 69.4 대파(kg) 1,245 962 633 443 399 -9.9 -37.4

쪽파(kg) 918 731 656 709 882 24.4 -7.6

과일

사과 부사( , 15kg) 15,514 15,808 16,332 16,663 16,310 -2.1 -25.1 배 풍수

( , 15kg) 11,191 11,392 11,984 10,869 9,721 -10.6 -18.7

복숭아(kg) 2,427 1,943 1,050 822 812 -1.2 -3.8

포도 거봉( , 5kg) 7,293 9,507 10,826 8,536 6,639 -22.2 -3.7

감귤 만다린( , kg) 778 889 889 913 982 7.6 -11.0

(10kg) 7,426 8,187 8,060 7,383 8,552 15.8 -1.7

과채

딸기(2kg) 4,045 3,914 4,291 5,397 5,505 2.0 1.7 토마토(10kg) 9,194 5,835 3,641 3,333 3,407 2.2 -39.3 오이(kg) 546 347 295 367 466 27.0 -16.1 수박(kg) 843 652 430 385 296 -23.2 -11.9

축산물

쇠고기(kg) 9,420 9,489 9,324 9,044 8,876 -1.9 -11.1 돼지고기(kg) 4,602 4,797 4,748 4,394 4,214 -4.1 -7.3 닭고기(kg) 2,698 2,727 2,651 2,529 2,474 -2.2 -8.3

버섯

느타리버섯(2kg) 1,821 1,910 1,965 2,205 2,502 13.5 -1.8 새송이버섯(2kg) 2,539 2,284 2,153 2,109 2,282 8.2 -15.7 팽이버섯(2kg) 2,305 2,093 2,040 2,017 2,181 8.2 -19.0 표고버섯(2kg) 3,122 3,214 3,235 3,302 3,952 19.7 -6.4

(12)

소비자물가

년 월 소비자물가는 2016 8

7월 대비 0.1% 상승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

이 중 식품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 전년 , 동월 대비 1.3% 상승

월 식품가격 상승은 8

수산물과 육류가 주도 각각 ( 상승 조란 5.4%, 5.0% ). , 신선채소의 경우 각각

하락 7.4%, 3.9%

표 3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증감률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16.5 `16.6 `16.7 `16.8 `16.5 `16.6 `16.7 `16.8

소비자물가지수(CPI) -0.5 -0.1 0.2 0.1 2.0 1.9 1.8 1.3

식품 담배 및 주류 -1.8 -0.9 -0.1 0.3 4.7 3.7 2.8 1.5

식품

-2.7 -1.4 -0.2 0.4 5.9 4.6 3.3 1.3

식량

- 0.1 0.0 0.0 0.1 0.6 0.6 0.4 0.3

육류

- 1.6 0.8 -1.3 -0.8 20.8 19.2 11.3 5.0

조란

- (鸟卵) -0.1 -1.0 -1.5 3.5 -0.2 0.3 -2.0 -7.4

수산물

- 0.2 1.1 0.6 -0.6 4.9 5.5 5.8 5.4

신선채소

- -21.5 -12.5 3.8 7.9 6.4 -6.5 -4.3 -3.9

신선과일

- -1.3 -2.5 -1.9 -2.6 -7.6 -3.4 0.5 -0.6

의류 및 복장 0.1 -0.3 -0.4 -0.1 1.5 1.4 1.4 1.3

생활용품 및 관련 서비스 0.0 0.0 0.0 0.0 0.6 0.6 0.6 0.4

의료보건 0.2 0.5 0.7 0.3 3.5 3.8 4.3 4.3

교통 및 통신 0.3 0.7 0.1 -0.6 -2.6 -1.8 -1.6 -1.2

교육 문화 및 오락 -0.1 0.3 1.0 -0.1 1.2 1.4 1.6 1.3

주택 거주( ) 0.1 0.1 0.1 0.2 1.6 1.6 1.6 1.5

기타용품 및 관련 서비스 0.3 0.1 1.4 0.1 2.2 2.6 4.4 4.5

주 육류는 가금육을 포함하지 않음: (2016년 월부터 1 CPI 구성 항목 조정).

자료: 中國 國 家統 計 局 (http://www.agri.gov.cn)

그림 3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변화 추이

(13)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년 월 농산물 수출액은 억 달러로 지난 월에 비해 증가 지난해 같은 달에

2016 8 51.2 7 4.5% .

비해서도 16.7% 증가

표 4 중국의 농산물 수출 추이 (2016 년 월 5 ~ 8 ) 월

단위 백만 달러: , % HS

코드 품목명

2016 8월 증감률

5 6월 7월 8월 (1~8 )합계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류

01 산동물 47 55 56 58 381 3.6 16.0 14.1

02 육과 식용설육 78 76 78 73 567 -6.4 -15.1 -19.7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44 44 45 58 392 28.9 16.0 0.5 류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158 162 140 160 1,150 14.3 11.9 -6.0 류

06 산수목 꽃· 27 23 27 30 216 11.1 30.4 14.9

07 채소 930 911 961 932 6,666 -3.0 19.2 15.4

08 과실 견과류· 256 273 453 511 3,018 12.8 15.1 28.7 류

09 커피 차 향신료· · 281 250 236 295 1,961 25.0 35.3 22.2 류

10 곡물 40 18 18 22 197 22.2 37.5 18.7

11 제분공업제품 44 44 41 52 374 26.8 26.8 -0.8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215 194 187 178 1,750 -4.8 35.9 -6.7 류

13 식물성엑스 128 96 111 101 870 -9.0 -4.7 3.2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10 9 10 9 84 -10.0 -10.0 0.0

15 동식물성유지 48 50 47 50 396 6.4 -2.0 -7.3

16 ·육 어류조제품 717 659 718 727 5,096 1.3 2.1 -1.0 류

17 당류 및 설탕 과자 143 137 151 160 1,108 6.0 15.1 10.4 류

18 코코아 및 그 제품 31 25 25 38 244 52.0 26.7 -6.9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133 130 135 142 1,011 5.2 8.4 3.0 류

20 채소 과실 조제품· 667 596 617 639 4,821 3.6 14.3 0.7 류

21 기타 조제식료품 280 249 265 288 2,079 8.7 20.0 12.3 류

22 음료 주류 및 식초, 213 153 198 213 1,514 7.6 41.1 26.2 류

23 조제사료 246 238 254 290 1,895 14.2 43.6 5.0

24 담배 131 113 127 96 832 -24.4 31.5 -1.4

합 계 4,867 4,505 4,900 5,122 36,622 4.5 16.7 7.0

(14)

년 월 농산물 수입액은 억 달러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2016 8 88.1 78.4% ,

비해서도 3.8% 증가

월 주요 수입품목군은 류 류 류 류 류

8 HS 12 (42.7%), HS 02 (12.2%), HS 15 (7.4%), HS 19 (5.2%), HS 22 류

(5.0%), HS 10 (4.5%)

표 5 중국의 농산물 수입 추이 (2016 년 월 5 ~ 8 ) 월

2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中國海關總署. 中國海關統計 月刊( ) 第321期 ~ 324 .第 期 HS

코드 품목명

2016 8월 증감률

5 6월 7월 8월 (1~8 )합계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류

01 산동물 7 32 45 65 261 44.4 25.0 -28.3

02 육과 식용설육 969 1,084 1,025 1,076 7,011 5.0 89.8 68.9 류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274 479 491 261 2,913 -46.8 8.3 24.3 류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58 281 275 41 820 -85.1 13.9 156.3 류

06 산수목 꽃· 28 47 47 18 196 -61.7 -5.3 41.0

07 채소 166 19 16 88 981 450.0 -50.3 -52.7

08 과실 견과류· 642 191 121 387 3,571 219.8 -11.6 -21.6 류

09 커피 차 향신료· · 54 466 378 71 1,117 -81.2 97.2 352.2 류

10 곡물 719 47 60 395 3,390 558.3 -43.2 -48.5

11 제분공업제품 70 473 315 58 1,240 -81.6 0.0 90.5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3,467 61 51 3,761 17,593 7,274.5 -0.6 -34.2 류

13 식물성엑스 20 20 15 17 143 13.3 -5.6 -5.9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24 21 17 14 145 -17.6 16.7 7.4

15 동식물성유지 436 506 539 654 4,222 21.3 2.2 -19.7

16 ·육 어류조제품 13 13 15 13 103 -13.3 -38.1 -38.7 류

17 당류 및 설탕 과자 77 164 173 157 958 -9.2 26.6 -24.1 류

18 코코아 및 그 제품 45 46 44 70 382 59.1 9.4 -20.4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337 359 388 458 2,788 18.0 31.2 24.9 류

20 채소 과실 조제품· 82 76 79 91 602 15.2 23.0 9.3

21 기타 조제식료품 166 174 159 205 1,361 28.9 40.4 34.1 류

22 음료 주류 및 식초, 507 435 368 438 3,208 19.0 13.8 20.5 류

23 조제사료 299 266 267 386 2,093 44.6 -19.9 -28.1

24 담배 117 47 50 86 1,311 72.0 26.5 -0.8

합 계 8,577 5,307 4,938 8,810 56,409 78.4 3.8 -15.0

(15)

대 세계 식량 수출입

년 월 쌀 밀 옥수수 대 곡물의 수출량은

2016 8 , , 3 40.0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9.5%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72.9% 증가

품목별로 보면 쌀의 수출량이 28.3천 톤으로 전체 수출량의 70.8%를 차지하며 전월에 비해 , 31.1%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 49.3% 증가 옥수수는 . 11.7천 톤을 수출 월에 북한으로 천 톤을 수출하여 전체 쌀 수출량의 차지

8 6.4 22.6%

표 6 중국의 식량 수출 추이 (2016 년 월 6 ~ 8 ) 월

품목 국가 2015년

2016 8월 증감률

6 7월 8월 합계

월 (1~8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한국 163.1 6.3 7.2 6.0 74.2 -16.7 -54.2 8.9 북한 17.1 1.9 3.6 6.4 14.2 79.1 177.9 32.7

일본 36.5 - -  - 24.7 - - 1.0

홍콩 21.2 1.6 2.0 1.8 12.5 -11.2 0.0 0.0 몽골 16.7 1.6 1.3 1.9 7.0 43.7 0.0 0.0 기타 12.4 7.1 7.5 12.2 32.3 62.9 245.2 -16.9 합 계 267.0 18.5 21.6 28.3 165.0 31.1 49.3 16.0

이 중 중단립종쌀 -

백미 ( )

북한 17.1 1.9 3.6 6.4 14.1 77.8 175.9 31.3

일본 36.0 - -  - - - - -

몽골 2.4 1.6 1.3 1.9 6.9 46.2 - -

한국 7.2 6.3 -  - - - - -

홍콩 20.6 1.6 2.0 1.8 12.3 -10.0 53.8 -1.2 기타 28.1 1.3 0.5 3.4 10.7 580.0 44.7 -47.1 합 계 109.2 12.7 7.4 13.5 83.0 82.4 131.2 22.4 - 장립종쌀 백미( ) 합 계 1.3 5.7 6.9 8.8 21.6 27.5 923.3 1155.8

밀 합 계 5.3 0.0 0.0 0.0  10.6 0.0 -100.0 55.9

옥수수

북한 11.6 0.6 0.2 0.4 2.5 100.0 17.6 -67.4

미국 7.5 0.8 0.2 0.2 2.4 0.0 - -

인도네시아 51.1 0.3 3.4 2.7 29.4 -20.6 - -

기타 32.5 11.1 5.5 8.4 42.0 52.7 41900.0 12252.9 합 계 102.7 12.8 9.3 11.7 76.3 25.8 3150.0 852.6

대두

한국 26.9 1.9 0.0 0.8 17.1 - 263.6 -23.5 일본 33.0 2.3 1.6 0.9 22.0 -43.8 -21.1 -11.0 미국 42.5 4.1 3.5 3.8 22.0 8.6 -25.3 -37.4 기타 31.2 3.7 1.6 2.6 23.9 62.5 25.6 11.2 합 계 133.6 12.0 6.7 8.1 84.9 20.9 -4.9 -18.1

단위 천 톤: , %

(16)

표 7 중국의 식량 수입 추이 (2016 년 월 6 ~ 8 ) 월

단위 천 톤: , %

자료: 国家粮油信息中心. 中国粮油产品进出口数据 201608.

품목 국가 2015년

2016 8월 증감률

6 7월 8월 합계

월 (1~8 )

전월 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태국 931.5 51.3 26.5 37.7 593.6 42.3 -51.4 18.3 베트남 1,794.3 106.6 105.7 138.2 1,099.0 30.7 9.6 -7.0 파키스탄 442.7 55.0 10.1 0.7 514.0 -93.1 -89.3 207.7

기타 173.4 7.3 6.3 11.1 121.8 76.2 130.8 14.5

합 계 3,341.9 220.2 148.6 187.7 2,328.4 26.3 -12.7 19.0 이 중

장립종쌀 -

백미 ( )

태국 687.7 31.4 6.7 12.9 373.7 92.5 -78.2 2.3

베트남 658.6 40.9 31.3 45.5 384.2 45.4 7.1 -25.1 파키스탄 386.1 51.1 6.6 0.2 432.7 -97.0 -96.5 234.7

기타 104.8 6.0 3.8 6.1 97.7 60.5 193.3 28.1

합 계 1,837.2 129.4 48.4 64.7 1,288.3 33.7 -41.0 18.9

중단립종쌀 -

백미 ( )

태국 22.4 4.1 0.3 2.6 31.0 766.7 738.7 57.6

베트남 622.7 52.2 51.1 69.6 602.8 36.2 59.9 132.5

파키스탄 0.0 - - -  - - - -

기타 0.6 0.4 0.0 0.4 2.5 - 1900.0 1090.5

합 계 645.8 56.7 51.4 72.6 636.3 41.2 65.5 127.9

호주 1,255.1 218.1 115.6 77.0 1,001.5 -33.4 -50.5 -1.7 미국 602.1 64.5 59.8 186.2 499.4 211.4 52.0 59.7 캐나다 991.9 166.6 115.5 81.8 689.3 -29.2 48.3 9.8 기타 123.7 28.4 14.9 2.7 238.6 -81.9 -73.2 197.8 합 계 2,972.7 477.6 305.8 347.7 2,428.9 13.7 1.3 19.1

보리

호주 4,361.5 370.1 309.4 291.3 2,075.5 -5.9 -11.9 -46.1 캐나다 1,041.9 66.0 32.2 6.6 520.3 -79.5 -92.3 -37.4

우크라이나 819.9 - - 84.4 84.4 - - -

프랑스 4,423.8 44.6 18.7 94.2 345.7 403.7 -64.6 -85.8

기타 84.3 1.0 0.0 0.0 1.1 - -100.0 -99.6

합 계 10,731.3 481.7 360.3 476.5 3,027.0 32.3 -38.8 -59.2

옥수수

미국 461.8 298.3 387.5 510.8 2,628.9 31.8 236.1 534.7

라오스 124.7 0.3 3.4 2.4 9.7 -29.4 -26.6 -38.2

불가리아 160.0 - -  - - - - -

우크라이나 3,852.0 1.2 5.9 8.7 2,660.8 47.5 - -

미얀마 48.3 - 9.6 13.1 24.4 36.5 7605.9 55.2

기타 83.1 3.1 0.8 0.6 65.3 -25.0 -99.9 -98.3

합 계 4,730.0 302.9 407.2 535.6 5,389.1 31.5 -11.8 23.4

대두

미국 28,411.5 101.6 4.0 364.0 16,140.6 9000.0 5614.3 -5.0 캐나다 1,070.9 1.9 7.7 7.1 706.4 -7.8 283.8 45.8 브라질 40,126.8 6,874.9 5,977.9 4,956.3 31,788.3 -17.1 -10.4 13.7 아르헨티나 9,437.4 486.6 1,621.4 1,908.6 4,401.8 17.7 7.3 -16.9 기타 374.7 99.8 146.8 435.1 794.9 196.4 -6.1 -53.3 합 계 81,739.0 7,564.8 7,757.8 7,671.1 53,990.2 -1.1 -1.4 3.0

(17)

년 월 대두 수출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2016 8 8.1 20.9% ,

달에 비해서는 4.9% 감소

년 월 쌀 밀 보리 옥수수 대 곡물의 수입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016 8 , , , 4 1,547.5 26.6%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에 비해서는 , 20.4% 감소

품목별 수입량을 보면 옥수수 535.6천 톤(34.6%)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 보리가 476.5천 톤 (30.8%), 밀 347.7천 톤(22.5%) 쌀 , 187.7천 톤(12.1%) 순

년 월 최대 수입 곡물인 옥수수는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2016 8 31.5% ,

비해서는 11.8% 감소

쌀은 2008년 이후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 2012년 이후 매년 200만 톤 이상 수입.2) 2016년 월 수입량은 전월 대비 8 26.3% 증가 전년 동월 대비 , 12.7% 감소

월 수입량 중 백미 가 천 톤으로 를 차지하고 나머지 벼 현미 쇄미 등이

8 (精米) 137.3 73.1% ,

차지 수입 백미 중 장립종과 중단립종의 비율은 각각 와 차지

26.9% . 47.1% 52.9%

월 수입량의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베트남 태국 파키스탄 순

8 73.6%, 20.1%, 0.4%

월 톤 당 평균 수입가격 은 미국산 달러 파키스탄산 달러 베트남산 달러

8 (FOB) 480.7 , 376.5 , 353.1 ,

태국산 403.3달러3). 전월 대비 수입가격 감소률은 각각 3.6%, 7.0%, 4.1%, 3.8%

보리의 2016년 월 수입량은 8 전월에 비해 32.3%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감소

38.8%

년 월 밀은 수입량이 전월에 비해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2016 8 13.7% , 1.3%

증가

월 수입량의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미국 캐나다 차지

8 53.6%, 23.5%

년 월 대두 수입량은 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2016 8 7,671.1 1.1%

비해서도 1.4% 감소

수입대상국별 비중을 보면 브라질이 64.6%로 절반 이상을 차지

2) 쌀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관리하는 수입관세할당 품목으로 국영무역 지정된 국영무역기업이 수입 쿼터가 ( ) 50%, 비국영 무역 대외무역권을 가진 기업이나 개인이 수입 쿼터가 ( ) 50%를 차지. 2016년도 수입쿼터 총량은 532만 톤으로 이중 장립 종이 50%(266만 톤 중단립종이 ), 50%(266만 톤 를 차지)

3) 쇄미율이 태국산 베트남산 파키스탄산은 모두 , , 5%이며 미국산은 , 4~5%. 国家粮油信息中心. 稻米市场价格报告

(18)

대 한국 농산물 수출입

년 월 대 한국 농산물 수출액은 약 억 달러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2016 8 2.3 13.7% ,

대비 11.6% 증가

품목류별 농산가공품 : 46.4%, 채소 23.2%, 특용잠사 6.6%, 식량 6.5%, 과실 2.9%

상위 개 품목 기타 양모섬수모 조수모 등10 : (9.3%), 혼합조제식료품(7.5%), 기타채소(4.8%), 전분박

마늘 김치 고추 포도당 기타과실 당면

(4.4%), (4.3%), (3.7%), (3.5%), (2.7%), (2.6%), (2.6%) → 45.4%

표 8 대 한국 농산물 수출 추이 (2016 년 월 7 ~ 8 ) 월

단위 천 달러: , %

품목명

2016 8월 증감률

7 8월 합계 (1~8 )월 전월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농 산 물

식 량

곡류 10,046 5,572 84,657 -44.5 -70.0 -21.7

서류 558 497 4,113 -11.0 0.2 -52.0 두류 4,664 6,133 60,836 31.5 63.8 -4.6 전분 1,913 2,593 16,545 35.6 25.1 -10.7 계 17,181 14,794 166,150 -13.9 -40.5 -16.5

채소 44,845 52,847 395,176 18.0 10.4 8.0

과실 5,735 6,606 46,707 14.1 42.5 0.4

화훼 833 901 12,892 8.2 28.9 -7.4

버섯 1,463 2,867 18,347 95.9 60.9 5.0

특 용 잠 사

채유종실 10,494 12,598 94,688 20.0 36.5 -11.7

차류 274 314 1,586 14.7 82.7 0.9

연초류 277 509 5,572 84.3 294.3 323.1 인삼류 286 125 2,695 -56.4 -14.6 44.3 한약재 1,016 784 7,854 -22.8 -25.8 11.6 잠사류 956 765 13,392 -20.0 -39.8 -11.8

계 13,303 15,094 125,787 13.5 25.7 -6.3

농산가공품 94,414 105,523 810,173 11.8 23.2 5.0 소 계 177,774 198,632 1,575,233 11.7 11.9 1.8

축 산 물

산동물 394 436 4,856 10.7 75.1 110.7

육류 1,779 2,351 22,025 32.1 -12.3 2.2

난류 184 145 1,316 -21.2 16.9 -5.0

낙농품 0 8 18 - -100.0 -91.3

기타 축산물 19,708 25,710 82,255 30.5 10.9 9.2 소 계 22,065 28,650 110,470 29.8 9.2 9.6

합 계 199,839 227,282 1,685,704 13.7 11.6 2.3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19)

년 월 대 한국 농산물 수입액은 천만 달러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2016 8 9 11.9% ,

대비 9.4% 증가

품목류별: 농산가공품 65.6%, 낙농품 12.2%, 과실 11.4%, 기타축산물 5.5%, 인삼류 1.9%, 채소 1.1%

상위 개 품목 자당10 : (13.0%), 조제분유(10.4%), 라면(9.8%), 혼합조제식료품(7.7%), 비스킷(4.5%), 과실혼합 물(4.3%), 기타음료(3.8%), 기타 양모섬수모조수모 등(3.5%), 맥주(2.8%), 단일과실조제품(2.8%) → 62.6%

표 9 대 한국 농산물 수입 추이 (2016 년 월 7 ~ 8 ) 월

단위 천 달러: , %

품목명

2016 8월 증감률

7 8월 합계 (1~8 )월 전월대비 전년동월

대비

전년동기 대비

농 산 물

식 량

곡류 195 502 2,923 157.2 301.3 63.0

서류 143 67 1,221 -53.0 -71.1 80.8

두류 27 1 406 -96.7 -10.9 -8.3

전분 2 18 33 807.8 - 88.8

계 367 588 4,583 60.2 64.2 77.9

채소 2,319 1,008 10,546 -56.5 31.9 3.0

과실 9,448 10,198 72,739 7.9 31.5 40.2

화훼 43 7 22 -83.0 -66.8 -51.6

버섯 0 1 34 0.0 - 5145.8

특 용 잠 사

채유종실 40 30 255 -25.7 -29.3 -53.9

차류 30 164 512 447.5 84.6 -21.8

연초류 0 0 4,892 0.0 -100.0 -23.4

인삼류 1,521 1,719 12,203 13.0 -56.2 -57.2

한약재 20 0 75 -100.0 -100.0 -51.3

잠사류 2 0 265 -94.7 - 50493.7

계 1,613 1,913 18,202 18.6 -67.2 -40.2

농산가공품 50,529 58,581 401,281 15.9 24.7 18.6

소 계 64,319 72,297 507,407 12.4 17.2 3.6

축 산 물

산동물 0 0 43 - - 2050.0

육류 287 1,178 6,613 310.5 -68.0 -51.0

난류 - - - - - -

낙농품 8,980 10,887 73,039 21.2 -14.9 -4.7

기타 축산물 6,173 4,902 33,065 -20.6 45.3 3.3

소 계 15,440 16,967 112,760 9.9 -14.5 -12.8

합 계 79,759 89,264 620,167 11.9 9.4 0.2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20)

표 10 2016 년 월 품목별 대 한국 수출입액 순위 8

단위 천 달러: , %

순위 대 한국 수출 대 한국 수입

품목명 금액 비중 품목명 금액 비중

1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 등, 21,161 9.3 자당 11,624 13.0

2 혼합조제식료품 16,940 7.5 조제분유 9,247 10.4

3 기타채소 10,907 4.8 라면 8,714 9.8

4 전분박 10,049 4.4 혼합조제식료품 6,851 7.7

5 마늘 9,815 4.3 비스킷 4,020 4.5

6 김치 8,440 3.7 과실혼합물 3,832 4.3

7 고추 8,014 3.5 기타음료 3,355 3.8

8 포도당 6,195 2.7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 등, , 3,135 3.5

9 기타과실 5,996 2.6 맥주 2,512 2.8

10 당면 5,859 2.6 단일과실조제품 2,487 2.8

11 한약재 기타 5,551 2.4 기타베이커리제품 2,483 2.8

12 물 5,451 2.4 기타과실 2,479 2.8

13 참깨 5,395 2.4 커피조제품 2,317 2.6

14 쌀 5,024 2.2 기타소오스제품 1,636 1.8

15 기타당 4,256 1.9 가죽 1,307 1.5

16 기타소오스제품 3,999 1.8 생우유 1,273 1.4

17 팥 3,938 1.7 유자 1,222 1.4

18 개 사료 3,855 1.7 기타설탕과자 1,108 1.2

19 당근 3,384 1.5 곡류조제품 978 1.1

20 땅콩 3,374 1.5 쇠고기 843 0.9

21 맥주 2,971 1.3 물 787 0.9

22 기타코코아조제품 2,765 1.2 아이스크림 769 0.9

23 기타식물성액즙 2,676 1.2 홍삼 755 0.8

24 비스킷 2,638 1.2 소주 727 0.8

25 결구상치 2,384 1.0 캔디 724 0.8

26 들깨 2,312 1.0 인스탄트면 724 0.8

27 기타버섯 2,247 1.0 채소종자 720 0.8

28 배합사료 2,118 0.9 기타식물성점질물 692 0.8

29 대두박 1,950 0.9 기타식물성액즙 662 0.7

30 고구마전분 1,719 0.8 기타당 650 0.7

31 혼합조미료 1,620 0.7 초코렛 531 0.6

32 방향성물질 1,474 0.6 방향성물질 485 0.5

33 기타베이커리제품 1,402 0.6 홍삼조제품 402 0.5

34 토마토 1,325 0.6 고추장 378 0.4

35 기타사료용조제품 1,321 0.6 기타조제식료품 365 0.4

합 계 178,523 78.5 합 계 80,797 90.5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 (http://www.kati.net)

(21)

참조

관련 문서

[r]

[r]

[r]

한-태국 농산물 교역 동향과 관련 정책 변화. Sitanon Jesdapipat

예를 들어, 스프링 클라우드의 설정 서버 Config Server 또는 서 비스 디스커버리 Service Discovery 를 사용하는 경우, 이 애플리케이션을 cf push 로 배포하고,

[r]

◦8년 자경한 농업인의 권리 보장(이농농가 농지소유 허용, 양도소득세 감면 등) 측면과 더불어 현재 또는 미래 농작업 상시 종사자에게 농지의 소유 및 (장기)이용권을 이전하는

예를 들어, 농민이 정책가에게 개인적인 정보를 제공하려는 인센티브를 부 여하는 incentive-compatible 특징이 정책 프로그램을 만들 때 고려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