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어의 어제와 오늘"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차시 문법이 변했을까

8 : ?

--- 문장 종결법의 변화

1.

문장 종결법 표현하려는 명제 내용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문법 범주 서술 의

- : . ,

문 명령 같은 것이 있다, .

서술법으로는 중세국어 시기부터 다 와 라 가 사용되었다 현대 국어에서는 라 는

- ‘- ‘- . ‘-

더라 같은 형식으로 구어체에서 사용되는 것인데 중세국어 시기에는 문어체 서술에도

, ‘-

라 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에 대해’ . ‘-다 와’ ‘-라 는 결합되는 선어말어미와의 관련성에 의한’ 변이형으로 기술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이 두 형태는 기능이 서로 달랐다, . . (9차시 참 고)

의문문 종결어미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중세국어 시기에 의문법 종결어미로

- . ‘- , ,

고, -냐, -노 가 있었다 이 중 현대국어와 다른 것으로’ . , ‘-다 는 주어가’ 2인칭으로 등장

(2)

하는 판정의문문과 설명의문문에 쓰였다.

나그내 네 더우니 머글다 니 머글다 번역노걸대 상

(1) ㄱ. < . 63>

큰 형님 네 이 을 다 번역노걸대 하

. < . 21>

큰 형님 네 어드러로셔브터 온다 번역노걸대 상

. < . 1>

셔 므슴 쳔을 가져 온다 번역노걸대 하

. 高麗 < . 2>

형아 네 이 을 고져 냐 청어노걸대

(2) ㄱ. < . 6.7>

에 언메나 오래 머물러뇨 노걸대언해 상

. 前後 < . 13>

길 몃날 녀노뇨 몽어노걸대

. < . 1.20>

갑시 언머뇨 청어노걸대

. < . 6.17>

명령문의 종결어미는 중세국어에서부터 라 형이 쓰인 점은 현대국어와 다를 바가 없다

- ‘- .

이밖에 쇼서 고라 같은 형태가 사용되었는데‘ , , ‘쇼셔 는 현대국어에는 소서 라는 존칭의 명’ 령형 어미로 사용되지만 의고적인 것이 되었고, ‘고라 는 안 쓰이게 되었다’ .

(3)

사동 피동법의 변화 2. ,

사동법은 사동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가 붙음으로써 이루어지는 방식과

- ( , , , , , , ) ‘-

하다 는 통사적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 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통사적 구성 방식이’ . 쓰이기도 했으나 주로 접미사에 의한 사동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국어로 오면서 통사. 적 구성이 더 많이 쓰이게 되는 변화를 겪는다.

녀토시고  기피시니 용비어천가

(3) ㄱ. < 20>

얕게 하시고 또 깊게 하시니

한 비 아니 그치샤 용비어천가

. < 68>

큰 비를 그치지 않게 하여

모딘  믈여  씨오 석보상절 믈이다 파생적 피동 (4) ㄱ. 橫死 < 9.37> ( : )

이 도로 다티고 월인석보 닫히다 파생적 피동 . 東門 < 23.80> ( : )

못 우묵 기놋다 두시언해 초간 담기다 파생적 피동

. < 6.42> ( : )

사 밧 집이 허려뎌 소학언해 허려디다 통사적 피동

. < 6.30> ( : )

(4)

뫼히여 돌히여 다 노가디여 석보상절 녹아디다 통사적 피동

. < 6.30> ( : )

세기와 세기의 자료에 피동형태가 변화되는 예들이 나타난다 가령 들이다 들리다

- 17 18 , . > ’,

걸이다 걸리다 이다 밟히다 같은 예들이다 그리고 파생적 피동법이 제한을 보인다 가

> ’, ‘ > . .

15세기 국어에 꺼리이다 위다 달애이다 마초이다 보내이다 브리이다 이다 리‘ , , , , , , , 이다 언티이다 일이다 지이다, , , ( )’倚 같은 예들은 현대국어에서는 피동형태가 구성되지 않 는 것들이다 이들은. ‘-어 지다 라는 통사적 구성으로 피동법을 만들 수 있다 결국 파생적’ . 피동방식이 점차 제한적으로 변화되어 갔음을 알 수 있다.

인칭법의 변화 3.

인칭 말하는 상황에서 화자와 청자 그리고 제삼자임을 드러내는 문법 범주 인칭은 화

- : , . 1

자이며, 2인칭은 청자이며, 3인칭은 제삼자이다 우리 언어에서는 이러한 인칭의 개념을 사. 용하여 대명사를 간편하게 사용한다 중세 국어시기에는 유독 문장의 주어가. 1인칭임을 드러 내는 문법 방식이 있었다 이를 인칭법이라고 한다 문장의 주어가. . 1인칭이 될 때에는 서술 어에 ‘-오 나’ ‘-우 를 표현했다’ .

(5)

(5) ㄱ 나 . 後로  더브러 토 아니노다 <석보상절 11.34>

이 모

.

大衆이 들 아디 몯다 <능엄경언해 2.55>

은 주어가 인칭인 문장인데 여기에 노다 가 쓰였다 이 형태는  서술어 어

- (5. )ㄱ 1 , . ‘ (

+  현재시제( ) + 오 인칭법 어미 의 구성이다 반면에( )’ . (5. )ㄴ 에는 주어가 3인칭이며 인 칭법 어미는 사용되지 않았다.

인칭법 어미 오 우 가‘ / ’ ‘-더라 형태에 결합되면’ ‘-다라 가 되었다’ .

내 지븨 이저긔 이 만타라 월인석보

(6) 受苦 < 10.23>

이러한 인칭법은 세기에 동요되면서 세기가 되면 몇 예를 제외하고는 사라진다

- 16 17 .

시제법의 변천 4.

시제법 문장의 내용이 어느 시간에 나타난 것인지를 표현하는 문법 범주 말하는 시간보

- : .

다 진술하는 사건의 내용이 앞서 있으면 과거 시제로 현재의 범주에 들면 현재시제로 앞으, ,

(6)

로 일어날 일이면 미래 시제로 표현이 된다 이러한 개념이 시간적인 선후의 개념이라면 그. , 시간대에 계속 이어지는 건지 완결이 된 건지 하는 상태에 대한 표현을 시제법에 포함하기, 도 한다 이것은 엄밀히 말하면 양상. (aspect)의 범주가 되지만 한국어에서는 주로 시간적 선, 후 개념과 양상의 개념을 함께 포괄하는 표현을 사용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시제 범주는 주. 로 시상(時相, tense aspect)- 의 성격을 띤다.

기본적으로 중세국어에 시상을 표현하는 선어말어미로는 시간적으로 보아 현재 과거 미

- , , , ,

래가 있었다 그리고 이들 형태들은 양상의 뜻을 함께 지녔다. .

중세 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완결 지속을 나타내는 형태가 있었다

- .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7) : ‘-

과거 시제 : 선어말 어미 ‘- -더 ’ (과거의 회상)

통사적 구성 ‘-어 잇 이시/ -’ (과거의 완결 지속) 미래 시제 : 선어말 어미 ‘-으리-’

(7)

에 들릴 므를 글혀 기드리

(8) ㄱ. 地獄 니라 <월인석보 7.13>

여래

. 六年 苦行

더신 히니다 <석보상절 24.36>

히 

. 菩薩 便安

야 잇거든 <석보상절 13.21>

가 아 . 三千世界時常 [ ]

이시며 <월인석보 2.25>

닐웨예 밧 훤 해 가 과 야 조 겻구오

. 沙門

리라 <석보상절 6.27>

 소리 서르 들여   엣고 월인석보

(9) ㄱ. < 1.46>

 고기 낛 그르시 외얏고 금강경삼가해

. < 3.60>

저러고 이시니 득 울긔 겟다 시고 한듕록

(10) ㄱ. < 172>

요란니 못 하겟다 시고 한듕록

. < 400>

(8)

높임법의 변화 5.

중세국어의 객체높임법

5.1. (謙讓法)

객체높임법 화자가 주체 이외의 인물에 대해 관련된 동작이나 상태를 표현할 때 높이는

- :

방식 겸양법의 선어말어미는 다른 선어말어미에 가장 앞서 어간에 연결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어간말음의 음운조건에 따라, ‘- - - - - - - - - - - - , , , , , ’으로 교체한다.

그 애 녀

(11) ㄱ. 阿那律 如來 고 忉利天에 올아 가 석보( 23:27) 그 이 이 라  받

. 大臣 大王

대 월석( 21:218)

와  . 如來

니라 능엄( 2:45) 세상에 예 몯 나

. 豪傑 範圍

 용비어천가( 64)

엇뎨 부톄라 

.

닛가 석보( 6:16)

(9)

중세국어의 주체높임법

5.2. (尊敬法)

주체높임법 화자가 주체의 동작 상태를 표현할 때 높이는 방식 존경법 선어말어미는

- : , .

이며 후속형태가 이면  으 샤 로 교체된다 이 선어말어미의 배열

‘- -’ , ‘- - - -, ‘( / ) ’ .

은 겸양법어미 ‘- - ’이나 시상법어미 ‘- - - -거 , ’에 후행하나 다음 어미보다는 선행한 (‘거시니 더시니 샤 샴 등이다 그러나 시상법의, , , ) . ’- -거 , ‘- -더 ’와의 배열 이 뒤바뀌는 현상이 일어난다(15세기 시작 근대국어에 와서 굳어짐, , ‘-시거- -, 시더-’ )

가 소멸된 예는 세기의 등에 이미 나타난다

‘- -’ 16 <二輪行實圖 > .

우리 듣디 아니

(12) ㄱ. 父母ㅣ 샨 고 석보( 6:7)

 디 하 . 大愛道

시며 월석( 10:19)

이 샤 일마다 이시니 용비어천가

. 海東六龍 天福 ( , 1)

님굼이 공예를 블러 보셔 그 아들와 화동 일 무르신대 .

깃거셔든 다시 홀디니라 소학언해( , 21)

父母ㅣ…

특정동사의 어휘적 대립에 의한 것도 있는데 잇다 겨시다 먹다 좌시다 가 그 예이다

- : , : .

(10)

현대국어에 나타나는 주체높임의 격조사 ‘-께서, -계옵서 는’ 15세기 국어에는 존재하지 않았 다 이들은. 17세기에 형성되어 현대국어에 이르렀다.

중세국어의 청자높임

5.3. (恭遜法)

청자높임법 화자가 청자에게 말할 때 청자를 높이는 방식 공손법 선어말어미는

- : . ‘- -,

’이다 이 어미는 오직 종결어미 앞에만 나타나며 설명법 의문법 명령법 청유법의. , , , ,

- -

특이한 교체형이 있다 이 공손법 선어말어미는 근대국어에서 완전히 탈락하였다. (- - >

). 공손법은 현대국어에서 문어체의 편지나 공문서에 다직도 “하나이다 하리이다.

- -

과 같이 쓰이며 구어체에서, ‘-ㅂ니다, -ㅂ니까, -( )으 십시오 가 쓰인다 그런데 이 구어체’ . 의 공손법은 기능을 상실한 겸양법어미로써 보강된 형태 ‘-이다, -이까 가 변화한’ 것이다 이 형태는 근대국어에서 형성되었다. .

설명법 히 크다 아 금강경언해

(13) : 世尊 ( , 61)

시면 이 그츠리다 太子ㅣ 出家 子孫

의문법 이 디 엇더니고 능엄경언해: ( , 59)

일후믈 미라 리가 몯 리가 능엄경언해( , 73)

(11)

님금하 아쇼셔 용비어천가( , 125)

청유법: 淨土애  가 나사다 월인석보( , 8:100)

너기닝이다 이다 잇이다 됴화이다 첩해신어

(14) , , , ( )

높임법의 현대화 과정 5.4.

세기에 객체높임어미 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이것이 으시 에 결합하여 주체

- 17 ‘- -’ ‘- -’

를 더욱 높이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또 한편으로는 청자높임법을 강화하는 데에 사용되게 된. 다 원래 객체높임은 객체의 영역이 넓어서 한 범주를 실현하기에 적당하지 않은 데다가 또. , 객체의 영역도 넓어 목적어 부사어 등에 걸쳐 있어 객체라는 개념을 정의하기가 매우 어렵, , 게 되었다 이런 까닭으로. 17세기 이후에는 점차 ‘- - ’의 기능이 불분명하게 되어 주체, 높임법을 실현하는 데에도 나타나고 청자높임법을 실현하는 데에도 나타나게 되었다 즉 객, . 체의 개념이 모호해지면서 ‘- - ’은 본래 기능을 잃고 그 흔적을 다른 높임법으로 넘겨주, 게 되었다.

(12)

주체높임법은 큰 변화 없이 현대국어에 이르렀다 세기 국어와 같은 선어말어미로 높임

- . 15

법을 실현하는 유일한 경우이다 따라서 현대국어에서 주체높임법은. ‘-으시-’와 ‘-∅-’의 대립으로 높임 과 높이지 않음 을 실현한다 다만‘ . , ‘-으샤-’는 소멸된다.

청자높임법 세기 문헌에서부터 로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불안 - ‘- - - -, 16 ‘- -’

정해지면서, 17세기에는 ‘- - ’이 청자높임법에 쓰이게 된다.

의 다양한 변이형들이 주로 청자높임법을 실현하는 기능으로 변화한 것은 청자높임 - ‘- -’

법이 높임법의 다른 어떤 것보다 현실성이 강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 하겠다 청자와 객체가. 동일인일 경우에 이러한 변화가 시작되었을 것으로 본다.

세기 이후에 청자높임법은 습니다 으오 다 와 같은 등급 체계가 형성되어

- 18 ‘- , , , ,

현대국어에 이르렀다.

한편 청자높임을 실현하던 높임의 호격조사 하 는 세기 초부터 소멸되기 시작하여 현

- , ‘- 18

대국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13)

어요 가 등장한다

‘- .

이상 참고문헌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제이엔씨

< , : (2012), , >

참조

관련 문서

다른 새들이 아니라 그들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그들의 가장 가까운 친구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런 새 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하지 못하지만, 소리를

그래서 이러한 영향은 자유경쟁 시장을 전제로 하는 미국의 시장가격 개념을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수용하도록 하였고 적정가격 정의에도 이러한 개념이

기업가정신은 경제발전과 사회발전에 가장

1. 이렇게 본다면 한 사회의 규제의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되고 정부규제는 이러한 규제 양상의 하나 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사 람들은 머리를 약간 앞으로 숙여서 인사를 합니다 또

최근 Unisuper Ltd. 그런데 호주에서는 포이즌필의 사용이 금지되는 반면 델라웨어주에서는 허용되고 있었다.. 사건이 이러한 경우이다. 즉 이러한

Choose the one sentence that is grammatically correct.. Orwell

내부의 소용돌이도 있었다. 이러한 여씨 일족의 전횡 은 대신들의 불만을 폭발시켰다. 또한 꾀가 많아 공신숙청의 배후에는 언제나 여후의 계략이 숨어 있었다. 그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