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2− 1 i + 2t j이므로, Z C F · dr = Z 1 −1  1 i + t2j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t2− 1 i + 2t j이므로, Z C F · dr = Z 1 −1  1 i + t2j"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3년 1학기 다변수미분적분학: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1

다변수미분적분학 기말고사 문제풀이

1. 3차원 곡선 C가 r(t) = 13t3− t i + t2j + k, −1 ≤ t ≤ 1로 주어졌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각 5점) (1) F = z i + y j + x k일 때,R

CF · dr.

r0(t) = t2− 1 i + 2t j이므로, Z

C

F · dr = Z 1

−1



1 i + t2j + 1 3t3− t

 k



· r0(t) dt

= Z 1

−1



1 i + t2j + 1 3t3− t

 k



·

t2− 1 i + 2t j dt

= Z 1

−1

 t2− 1 + 2t3 dt = 1 2t4+1

3t3− t

1

−1

= 0 +2

3 − 2 = −4 3. (2) ρ(x, y, z) = y가 C의 선밀도일 때, C의 질량.

|r0(t)| =

t2− 1 i + 2t j =

q

(t2− 1)2+ 4t2=p

t4+ 2t2+ 1 = t2+ 1 이므로,

C의 질량 = Z

C

ρ ds = Z 1

−1

ρ (r(t)) · |r0(t)| dt = Z 1

−1

t2· t2+ 1 dt

= 1 5t5+1

3t3

1

−1

= 2 5+2

3 = 16 15.

2. 2차원 벡터필드 F = sin(xy) (y i + x j)에 대하여 다음에 답하시오.

(1) F는 conservative인가? 맞을 경우 F의 potential 함수 ϕ를 구하시오. (8점) F = P i + Q j로 놓으면, P = y sin(xy), Q = x sin(xy)이고,

∂Q

∂x = 1 · sin(xy) + x · y sin(xy) = 1 · sin(xy) + y · x sin(xy) = ∂P

∂y 이므로, F는 conservative이다.

∇ϕ = F, 즉 ∂ϕ∂x = y sin(xy), ∂ϕ∂y = x sin(xy)이므로,

ϕ = Z

y sin(xy) dx = y ·



−1

y cos(xy)



+ g(y) = − cos(xy) + g(y) 를 얻는다. 이를 y에 대하여 미분하면

x sin(xy) = Q =∂ϕ

∂y = x sin(xy) + g0(y) 이므로, g0(y) = 0, 즉 g(y) = c (c: 상수)이다. 따라서

ϕ = − cos(xy) + c, c : 상수.

(참고: 상수 c는 아무거나 잡아도 됨.)

(2) r(t) = t3i + πt2j, −1 ≤ t ≤ 1로 매개변수화된 곡선 C에 대하여 R

CF · dr을 구하시오. (6점) F가 conservative이므로, 선적분의 기본정리를 사용하면

Z

C

F · dr = ϕ (r(1)) − ϕ (r(−1)) = ϕ(1, π) − ϕ(−1, π) = (− cos π) − (− cos(−π)) = 0.

(2)

2 2013년 1학기 다변수미분적분학: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3. 평면곡선 C는 단위원 x2+ y2 = 1이고(방향은 반시계 방향), F = 

ex2− 3y

i + cos y3 j일 때, 선적분H

CF · dr의 값을 구하시오. (6점)

P = ex2 − 3y, Q = cos y3, D를 곡선 C로 둘러싸인 영역 x2+ y2 ≤ 1로 놓고 Green정리을 이용하면

I

C

F · dr = ZZ

D

 ∂Q

∂x −∂P

∂y

 dA =

ZZ

D

∂ cos y3

∂x −

∂

ex2− 3y

∂y

 dA

= ZZ

D

3 dA = 3 · (D의 면적) = 3π.

4. 곡면 S가 함수 z = 1 − x2− y2, z ≥ 0의 그래프로 주어졌을 때(orientation은 “위쪽”), 다음을 구하시오. (각 8점)

(1) S의 면밀도가 ρ(x, y, z) = 1 − z일 때, S의 질량.

S를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화하자:

r(x, y) = x i + y j + 1 − x2− y2 k, (x, y) ∈ D :=(x, y) ∈ R2| x2+ y2≤ 1 . rx= 1 i + 0 j − 2x k,

ry= 0 i + 1 j − 2y k, rx× ry= 2x i + 2y j + k,

|rx× ry| =p

4x2+ 4y2+ 1 이므로,

S의 질량 = ZZ

S

ρ dS = ZZ

D

1 − 1 − x2− y2 |rx× ry| dA

= ZZ

D

x2+ y2 p4x2+ 4y2+ 1 dA

= Z

0

Z 1 0

r2p

4r2+ 1 · r dr dθ (← 극좌표)

= Z

0

1 8

Z 5 0

1

4(t − 1) · t12dt dθ ← 치환: t = 4r2+ 1, dt = 8r dr

= 1 32

Z 0

 2 5t52 −2

3t32

5

0

= 1 32

Z 0

 2 5 · 25√

5 − 2 3· 5√

5



dθ = 1 16

 5 −1

3

√

5 · 2π = 7√ 5π 12 . (2) F = x i + y j −p

x2+ y2k일 때, S를 통과하는 F의 fluxRR

SF · dS.

rx× ry = 2x i + 2y j + k이고 곡면 S의 orientation이 윗쪽이므로, 구하는 flux는 ZZ

S

F · dS = ZZ

D

F · (rx× ry) dA

= ZZ

D

x i + y j −p

x2+ y2k

· (2x i + 2y j + k) dA

= ZZ

D

n

2x2+ 2y2−p

x2+ y2o dA

= Z

0

Z 1 0

2r2− r · r dr dθ (← 극좌표)

= Z

0

 1 2r4−1

3r3

1 0

dθ = Z

0

1 6dθ = 1

6 · 2π =π 3.

(3)

2013년 1학기 다변수미분적분학: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3

5. 곡면 S가 x2+ y2+ z2= 1, z ≥ 0 (orientation은 “위쪽”)이고, S의 경계를 이루는 곡선을 C라고 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각 8점)

(1) F = x cos y2z i + y cos z2x j + z cos x2y k일 때, RRScurl F · dS.

C는 다음과 같이 매개변수화된다:

C : r(t) = cos t i + sin t j + 0 · k, 0 ≤ t ≤ 2π.

Stokes 정리를 이용하면, 구하는 값은

ZZ

S

curl F · dS = I

C

F · dr

= Z

0

cos t · cos sin2t · 0 i + sin t · cos 02· cos t j + 0 · cos cos2t sin t k · r0(t) dt

= Z

0

(cos t i + sin t j) · (− sin t i + cos t j) dt = Z

0

(− cos t sin t + sin t cos t) dt = 0.

(2) G = z2+ yz sin(xyz) i + x2+ zx sin(xyz) j + y2+ xy sin(xyz) k일 때, HCG · dr.

curl G =

i j k

∂x

∂y

∂z

z2+ yz sin(xyz) x2+ zx sin(xyz) y2+ xy sin(xyz)

= {(2y + x sin(xyz) + xy cos(xyz) · xz) − (x sin(xyz) + zx cos(xyz) · xy)} i + {(2z + y sin(xyz) + yz cos(xyz) · xy) − (y sin(xyz) + xy cos(xyz) · yz)} j + {(2x + z sin(xyz) + xz cos(xyz) · yz) − (z sin(xyz) + yz cos(xyz) · xz)} k

= 2 (y i + z j + x k)

이고, 곡면 S1을 x2+ y2≤ 1, z = 0(orientation은 “위쪽”)이라고 하면, C는 S1의경계이고, S1

의 unit normal은 k이다. Stokes 정리를 이용하면

I

C

G · dr = ZZ

S1

curl G · dS = ZZ

S1

2 (y i + z j + x k) · k dA = 2 ZZ

S1

x dA

= 2 Z

0

Z 1 0

r cos θ · r dr dθ (← 극좌표)

= 2 Z

0

cos θ dθ · Z 1

0

r2dr = 2 [sin θ]0 · 1 3r3

1

0

= 2 · 0 ·1 3 = 0.

참고: 곡면 S1대신 주어진곡면 S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S를 r(θ, φ) = sin φ cos θ i + sin φ sin θ j + cos φ k, 0 ≤ θ ≤ 2π, 0 ≤ φ ≤ π2로 매개변수화하면, S 의법선벡터(윗쪽) n도 n = r(θ, φ) = sin φ cos θ i + sin φ sin θ j + cos φ k 이고 dS = sin2φ dθ dφ

(4)

4 2013년 1학기 다변수미분적분학: 덕성여자대학교 수학과 최성우

이므로, Stokes 정리를 이용하면 I

C

G · dr = ZZ

S

curl G · dS = ZZ

S

2 (y i + z j + x k) · n dS

= 2 Z π2

0

Z 0

(sin φ sin θ i + cos φ j + sin φ cos θ k)

· (sin φ cos θ i + sin φ sin θ j + cos φ k) sin2φ dθ dφ

= 2 Z π2

0

Z 0

sin2φ sin θ cos θ + sin φ sin θ cos θ + sin φ cos φ cos θ sin2φ dθ dφ

= 2 Z π2

0

sin4φ dφ · Z

0

sin θ cos θ dθ + 2 Z π2

0

sin3φ dφ · Z

0

sin θ cos θ dθ

+ 2 Z π2

0

sin3φ cos φ dφ · Z

0

cos θ dθ

= 2 Z π2

0

sin4φ dφ · 1 2sin2θ



0

+ 2 Z π2

0

sin3φ dφ · 1 2sin2θ



0

+ 2 Z π2

0

sin3φ cos φ dφ · [sin θ]0 = 0.

6. S는 정육면체 E =(x, y, z) ∈ R3| 0 ≤ x ≤ 1, 0 ≤ y ≤ 1, 0 ≤ z ≤ 1 의 표면이고, F = (zx + tan(yz)) i+

(xy + tan(zx)) j + (yz + tan(xy)) k이다. S를 빠져나오는 F의 fluxRR

SF · dS를 구하시오. (8점)

div F =∂ {zx + tan(yz)}

∂x +∂ {xy + tan(zx)}

∂y +∂ {yz + tan(xy)}

∂z = z + x + y 이므로, Divergence 정리에 의하여

ZZ

S

F · dS = ZZZ

E

div F dV = Z 1

0

Z 1 0

Z 1 0

(x + y + z) dx dy dz

= Z 1

0

Z 1 0

Z 1 0

x dx dy dz + Z 1

0

Z 1 0

Z 1 0

y dy dx dz + Z 1

0

Z 1 0

Z 1 0

z dz dx dy

= Z 1

0

Z 1 0

 1 2x2

1

0

dy dz + Z 1

0

Z 1 0

 1 2y2

1

0

dx dz + Z 1

0

Z 1 0

 1 2z2

1

0

dx dy

= 1 2· 1 +1

2 · 1 +1 2 · 1 =3

2.

참조

관련 문서

따라서 바르게

[r]

나는 우리 집에 많은 로봇을 가지고 있어.. 나는 애완동물 두

[r]

연립방정식의

the realization of two-dimensional optical wavelength demultiplexers and multiports for surface plasmons polaritons (SPPs) based on plasmonic crystals, i.e., photonic

개념원리 중학수학을 통해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통해 체험하므로 개념과 원리를 확실히 이해하게 됩 니다.. 그 다음 단계는 개념원리 익힘책인 RPM을 통해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