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E C U R I T I E S M A R K E T
증권시장론
담당교수: 원광대학교 경영학부 정호일
주교재: 현대증권시장론 3판(피엔씨미디어)
▷
수익률확률분포와 위험학 습 목 표
이 장을 공부하면 다음 사항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1 위험의 개념
미래에 실현될 수익률 예측시 미래상황의 구분
• 확실성
– 미래의 예상수익률이 조금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실현되는 상황
» 현실적으로 존재한다고 단정하기 어려우나 이론적으로 투자결정을 충분히 고려가능
• 위험
– 미래의 수익률이 기대수익률에 미달하거나 투자손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 내지 그러한 수익률의 변동성 즉, 기대수익률을 실현하지 못할 가능성의 크기
» 과거의 자료를 기초로 산출한 수익률의 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위험을 측정
• 불확실성
– 미래수익률의 예측에 있어서 판단의 기초로 삼을 자료나 모든 상황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 은 상태
» 주관적 확률에 의존
제 7 장 수익률과 위험
2.1 위험의 개념
제2절
위험
자산의 위험유무에 따른 구분
•
무위험 자산(riskless assets)– 명확한 투자수익이 발생하는 자산 – 정기예금, 국공채 등
•
위험자산(risky assets)– 투자수익이 변동할 수 있는 자산 – 사채, 주식 등
2.2 위험의 측정방법
•
수익률의 확률분포가 기대치에 밀집되어 있을 때에는 수 익률의 편차가 작기 때문에 위험이 낮다.•
수익률의 확률분포가 기대치에 밀집되어 있지 않을 때에 는 수익률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위험이 크다.» 확률분포를 정규확률분포로 가정하면, 투자위험은 확률분포 의 표준편차나 분산으로 측정가능
제 7 장 수익률과 위험
제2절
위험
제 7 장 수익률과 위험
2.2 위험의 측정방법
제2절
위험
•
수익률의 확률분포가 기대치를 중심으로 대칭분포 또는 정규분 포를 가질 때는 표준편차나 분산을 위험의 척도로 사용2.2 위험의 측정방법
•
투자규모가 서로 다른 여러 투자안의 위험을 비교할 때 는 단순히 표준편차나 분산의 측정치만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 기대치에 대한 표준편차의 비율, 즉 분산계수를 산출하여 표준편 차나 분산과 함께 위험의 척도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제 7 장 수익률과 위험
2.2 위험의 측정방법
제2절
위험
2.2 위험의 측정방법
제 7 장 수익률과 위험
2.2 위험의 측정방법
제2절
위험
분산계수의 경우에서는 다음과 같이 대한기업의 위험
(
CVH
=2.711)이 한국기업의 위험(CVK
=1.549)보다 큰 것으로 나타남2.2 위험의 측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