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훈민정음창제와반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훈민정음창제와반포"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훈민정음 해제

2.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자모체계 강의 주제

학습목표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자모체계를 이해할 수 있다 .

(2)

한글의 옛이름?

창제자는? 창제 연대는?

훈민정음이 책이라고?

훈민정음을 왜 과학적인 문자라고 하지?

훈민정음의 가치를 돈으로 환산한다면?

나는 훈민정음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3)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1443년 12월

훈민정음 창제

1446년 9월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 해례본』 완성

1940년

경북 안동군 에서 발견

(4)

= 『원본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의 체재

‘세종 임금’의 저술 1부: 예의(例義) = 본문

‘정인지, 신숙주, 최항, 박팽년, 성삼문, 개, 이선로, 강희안’의 해설

2부: 해례(解例)

(5)

『훈민정음 해례본』의 체제

해례(解例)

ㆍ解(5解):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ㆍ例(1例): 용자례

예의(例義)

= 본문

ㆍ정인지 서문: 훈민정음의 창제 이유, 창제자, 우수성, 편찬자, 편찬일 등

ㆍ어제서문: 훈민정음 창제 목적과 취지 ㆍ새 글자의 음가 및 운용법 설명

(6)

예의 해례

(7)

훈민정음 언해본 (訓民正音 諺解本)

한문본의 예의편만을 국역 역자와 편찬시기 불확실

(8)

1. 발음기관의 상형(象形)

아음(牙音) ㄱ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는 꼴 (象舌根閉喉之形)

설음(舌音) ㄴ 혀가 윗잇몸에 붙는 꼴 (象舌附上齶之形)

순음(脣音) ㅁ 입의 꼴(象口形) 치음(齒音) ㅅ 이의 꼴(象齒形)

후음(喉音) ㅇ 목구멍의 꼴(象喉形)

기본자

발음작용

발음기관

초성의 제자 원리

(9)

2. 가획(加劃)

아음(牙音)

→ ㅋ

설음(舌音)

→ ㄷ → ㅌ

순음(脣音)

→ ㅂ → ㅍ

치음(齒音)

→ ㅈ → ㅊ

후음(喉音)

→ ㆆ → ㅎ

성출초려(聲出稍厲)

기본자

(不厲) 불려

가획의 원리에서 벗어나는 이체자

→ (ㆁ)

초성의 제자 원리

(10)

3. 이체자(異體字)

아음(牙音)

반설음(半舌音)

반치음(半齒音)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든 글자가 아니라는 뜻

후음 ‘ㅇ’과의 관련성

<제자해>

초성의 제자 원리

(11)

설/순/후음 불청불탁음 → ㄴ, ㅁ, ㅇ

치음 따로 불청불탁음이 없고

전청 ㅅ이 전청 ㅈ보다 不厲 → 전청

아음 불청불탁음인 ㆁ이 후음의 불청불탁음인 ㅇ과 유사(제자상의 관련성) → 전청

중국어의 어두 ㆁ[ŋ]음이 소실되어 본래 ㅇ[ɦ]음을 가진 한자와 혼용되어 사용된 것을 설명한 것

초성 기본자의 선정 기준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 → 불려(不厲)한 소리

(12)

오음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전청 (全淸)

ㄱ 君

ㄷ 斗

ㅂ 彆

ㅅ ㅈ 戌 卽

ㆆ 挹

차청 (次淸)

전탁 (全濁)

ㄲ 虯

ㄸ 覃

ㅃ 步

ㅆ ㅉ 邪 慈

ㆅ 洪

불청불탁 (不淸不濁)

ㄴ 那

ㅁ 彌

ㅇ 欲

ㄹ 閭

음의 청탁

전탁은 전청을 병서함. 단 후음은 차청을 병서함

훈민정음 초성체계

(13)

牙 舌 脣 齒 喉 半舌 半齒

全淸 次淸 全濁

不淸不濁

方位 無定位 西

五行

五時 季夏

五音

훈민정음 초성의 역리적 분류

(14)

중성의 제자 원리

기본자 음양 상형 내용

ㆍ 양성 하늘이 둥근 모양(天圓) ㅡ 음성 땅이 평평한 모양(地平) ㅣ 중성 사람이 서 있는 모양(人立)

1. 삼재(三才)의 상형

(15)

초출자 (初出字)

+ = + = 양성 + = + = 음성

(再出字)재출자

+ = + = 양성 + = ㅠ + = 음성

2. 합성(合成)

기본자끼리의 합성

“하늘과 땅에서 처음 나온 것

“ㅣ에서 시작되어서 사람을 겸하였으므로 두 번째로 생겨난 것

“起於ㅣ” : ㅣ + ㅗ, ㅏ, ㅜ, ㅓ 자형이 아닌 음가의 합성

중성의 제자 원리

(16)

훈민정음 중성체계

합용 (合用)

18자

동출합용(同出合用) ㅘ ᆄ ㅝ ㆊ 상수합용(相隨合用)

=ㅣ相合字

二字 合用

ㆎ ㅢ

ㅚ ㅐ ㅟ ㅔ ㅛ ㅒ ㆌ ㅖ

三字

合用 ㅙ ㅞ ᆅ ᆒ

기본 10자 + ㅣ 동출합용+ ㅣ

기본자 ㆍ ㅡ ㅣ

(合成字)합성자

초출자 ㅗ ㅏ ㅜ ㅓ 재출자 ㅛ ㅑ ㅠ ㅕ

(17)

北 南 東 西 無位

五 行 水 火 木 金 土

ㅗ(洪) ㅜ(君) ㅏ(覃) ㅓ ( 業 ) ( 呑 ) 天 地 數 天一 地二 天三 地四 天五

ㅠ(戌) ㅛ(欲) ㅕ(彆) ㅑ ( 穰 ) ㅡ(卽) ㅣ(侵) 天地數 地六 天七 地八 天九 地十 獨無位數

훈민정음 중성의 역리적 분류

(18)

훈민정음 초성자의 음운 자질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전청

(全淸)

ㄱ ㄷ ㅂ ㅅ ㅈ ᅙ

차청 (次淸)

ㅋ ㅌ ㅍ ㅊ ㅎ

전탁 (全濁)

ㄲ ㄸ ㅃ ㅆ ㅉ ᅘ

불청불탁 (不淸不濁)

ㆁ ㄴ ㅁ ㅇ ㄹ ㅿ

평음 격음

경음

유성음

조음 위치 조음 방법

(19)

훈민정음 초성자의 음운 자질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오음(五音)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현대국어 연구개음 치경음 양순음 경구개음 후음

폐쇄음 마찰/파찰음

(20)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

음의 청탁 불청불탁 전청 차청 전탁

음의 성질 㝡不厲 稍厲

木之成質 木之盛長 木之老壯

현대국어 유성자음 평음 격음 경음

전청을 엉기게(凝) 발음하면 전탁이 됨.

후음의 ᅙ은 전청이나 소리가 깊어 엉기지 않아 차청 ㅎ을 병서하여 전탁을 만듦.

성문폐쇄음

훈민정음 초성자의 음운 자질

(21)

기 본 자

ㆍ 舌縮而聲深

ㅡ 舌小縮而聲不深不淺 ㅣ 舌不縮而聲淺

초출 자

ㅗ 舌縮而聲深, 口蹙 ㅏ 舌縮而聲深, 口張

ㅜ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蹙 ㅓ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張

혀의 전후 위치

음향감

개구도/원순성 口蹙 -口張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 자질

舌縮(후설), 舌小縮(중설), 舌不縮(전설)

舌縮 …舌不縮

聲深… 聲淺

(22)

재출 자

ㅛ 舌縮而聲深, 口蹙, 起於ㅣ ㅑ 舌縮而聲深, 口張, 起於ㅣ

ㅠ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蹙, 起於ㅣ ㅕ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張, 起於ㅣ 초출

ㅗ 舌縮而聲深, 口蹙 ㅏ 舌縮而聲深, 口張

ㅜ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蹙 ㅓ 舌小縮而聲不深不淺, 口張

이중모음

口蹙(개구도가 작은 원순모음) 口張(개구도가 큰 평순모음)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 자질

참조

관련 문서

그러나 해례본의 종성 해에서 먼저 설내입성을 ‘ㄷ’으로 먼저 교정해 보였음(볃 爲 彆)을 감안하 면 한자음 설내입성 표기에 후음 전청자인 ㆆ를 쓰는 방법을 고안한

Grade Ⅲ opened rhyme contained medial ï xian( 仙 )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i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jən, -ən, -j əl, -əl type, in

소리 또는 음(音)은 사람의 청각기관을 자극하여 뇌에서 해석되는 매질의 움직임이다. 공기나 물 같은 매질의 진동을 통해 전달되는 종파이다. 우리들의 귀에 끊임없이

c) 語尾位置에 왔을 때.. 청하여 발음하연 오히려 무난할 수 있는 것이다. Baker suck er

그 口音法을 초사함에 있어 古樂諸의 遊鉉과 大鉉의 打鉉, 擊結, 自出의 口홉法을 여러 가지 陳法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릎 보고 이를 現行口홉法과 비교하여 그

다시 말해 독럽한 단어들의 彈勢는 단어마다 따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흡題規則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만약에 전자의 해석을 취하여 Z 가 C를 나다낸다고

중국의 다성음악을 축음기판에서 채보하였다. 결론만을 쓰기록 한다. 중국인에 있어서, 이러한 결합에 대한 흥마는 우발적인 충돌에 있는 것이 아니다 주제와

Brutalität; Nervosität; Stabilität.. On algorithms for applying phonologi cal rules. The Organization of Phonology. New York: Acariemic Press. Umlaut and N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