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0.04.10 심사기간_2020.05.01-14 게재확정일_2020.05.25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Analysis of design elements for outdoor resting space in large department stores in Korea

이미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Lee, Mi Youn_Donga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백화점 휴게 공간 및 옥외 공간의 개념 2.2. 백화점 휴게 공간 및 옥외 공간의 기능 2.3. 백화점 휴게 공간의 구성요소

3. 대형 종합 소매점별 옥외 휴게 공간 사례조사 ‧ 특성 분석 3.1.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사례조사

3.2.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의 백화점별 유형

4. 설문조사

4.1. 조사 개요 및 조사 방법 4.2. 조사 대상

4.3. 국내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휴식 경험 파악 4.4. 공간 한정 요소(1차) 중 선호하는 재질 분석 4.5. 공간 수식 요소(2차) 중 선호하는 시설물 분석 4.6. 행위적 요소(3차) 중 선호하는 감성 분석 4.7. 국내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만족도 분석 4.8. 설문 조사 외 의견

5. 결론 참고문헌

(2)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분석

Analysis of design elements for outdoor resting space in large department stores in Korea

이미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Lee, Mi Youn_Donga University

요약 중심어

공간디자인

대규모 유통 소매 접점 옥외 휴게 공간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트렌드

백화점은 그 백화점만의 아이덴티티를 뚜렷이 보여주며 소비자에게 기억을 남겨준다. 보통 사람은 그 공간에 들어서기 전과 들어섰을 때의 기억이 머릿속에 가장 남는다. 즉, 소비자가 다니는 그 공간 자 체가 큰 영향을 미친다. 백화점의 휴식 공간은 실내와 실외로 나뉘게 되는데 이 두 공간은 소비자들에 게 각각 다른 매력을 선사할 수 있으며 표현될 수 있다. 그 중 실외 휴게 공간은 실내 휴게 공간 보다 면적이 넓고 실내 휴게 공간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점들이 다양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을 끌 어들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내 대형 백화점 내 옥외 공간 을 중심으로 매출 순위와 면적 순위를 통합하여 상위 순위에 위치하는 대형 백화점 총 4개를 속출할 수 있었다.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중 공간 한정 요소(1차), 공간 수식 요소(2차), 행위적 요소(3차) 로 세 유형들을 분석한 뒤 이것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의견들을 재분석하 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공간 한정 요소(1차)에서는 바닥 부분 중 포세린 재질 부분, 공간 수식 요소(2차)에서는 LED시설물, 행위적 요소(3차) 시각적으로는 무채색계열에 자연친화적이고 따뜻한 분위기, 후각적으로는 쾌적함, 청각적으로는 평온함, 촉각적으로 는 편안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만족도는 모두 보통으로 볼 수 있었다. 기타의견으로는 크게 약속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찾아지지는 않는다거나 옥외 휴게 공간 에 무관심한 부분이 나타났었기 때문에 트렌드에 맞는 콘텐츠나 마케팅 기법을 적용시켜 그 장소의 주목성과 이용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계획에 있 어 기초가 되길 바라며 늘 발전하는 대규모 유통 소매점이 되길 기대한다.

ABSTRACT Keyword

Space design Large retail contacts Outdoor rest area Space design components trend

The department store clearly shows the identity of the department store and leaves the memory for the consumer. The average person has the most memories of entering and leaving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space itself, where the consumer goes, has a great influence. The rest area of the department store is divided into indoor and outdoor, and these two spaces can present different charms to consumers. Among them, the outdoor rest area has a larger area than the indoor rest area, and there are various points that can have different charms from the indoor rest area, so we will try to find ways to attract consumer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able to consolidate the total of four large department stores located in the top ranking by integrating the sales ranking and the area ranking centering on the outdoor spaces in large domestic department stores. Amo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the three types are analyzed as space-limited elements (1st), spatial modification elements (2nd), and behavioral elements (3rd), and then surveys are conducted based on this to re-analyze the opinions preferred by consumers.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As a result, in the space-limited element (1st), the porcelain material part of the floor part, the LED facility in the space modification element (2nd), and the behavioral element (3rd) are visually achromatic, naturally friendly, warm atmosphere, and olfactory Was found to prefer comfort, aural comfort, and tactile comfort. The satisfaction of the outdoor rest space in the department store was all seen as normal. Other opinions are not found unless there is a big promise, or because you can see opinions that are not interested in outdoor rest areas, you need to increase the attention and use of the place by applying content or marketing techniques that fit the trend. It is judg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it will be the basis for planning outdoor rest spaces in department stores, and we hope that it will become a large-scale distribution retail store that is always evolving.

(3)

순위 점포명 연면적(㎡) 영업면적(㎡) 1 신세계 센텀시티점 418,000 198,462

2 신세계

스타필드 하남점 460,000 151,700 3 롯데 잠실점 392,700 103,000 4 신세계 대구점 338,000 98,200 5 현대 판교점 237,035 92,578 6 신세계 강남점 267,052 51,240 7 현대 목동점 161,950 52,000 8 신세계 경기점 160,662 52,893 9 롯데 부산본점 157,910 50,700 10 신세계 의정부점 150,340 49,861 11 신세계 인천점 136,400 66,000 12 신세계 광주점 130,000 43,400 13 신세계 충정점 127,000 81,000 14 디큐브 116,391 52,569 15 현대 무역센터점 98,140 52,892 16 신세계 소곡동 91,859 56,529 17 롯데 본점 85,800 77,500

<표 1> 2016년 국내 백화점 면적 순위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우리는 물건을 구매하러 매장을 방문할 때 주차장에서부터 그 소매점의 주변 공간, 그 매장에 이르기까지 그 소매점의 이미지를 이미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과거와는 달리 판매 목적으로 공간을 계획하는 것 보다 그 공간의 질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소비자 들은 상품을 보는 안목뿐만 아니라 공간을 보는 안목도 많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다. ‘오프라인 매장의 고객 경험 디자인 전략’에서 강연을 했던 신세계 프라퍼티 이상무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고객 기대치가 체험, 재미, 휴식 중점으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고 하였다.1) 즉, 백화점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 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소비자들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을 적용한 우수한 사례의 백화점들은 체험, 재미, 휴식 모두 즐길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 체류 시간 효과까지 나타났다.2) 인간에게 ‘환경’과 ‘경험’은 큰 영향을 준다.

환경은 환경적 특성에 대한 지각 정보를 제공해주며 경험은 개인적 경험에 의해 지각된 자극을 인지하여 해석하게 되는데 이 때 그 환경에 대한 특정 의미를 기억을 통해 머릿속에 저장을 시킨다. 건축 공간을 한정하는 디자인 요소 중에는 바닥, 벽, 천장이 있으며 다양한 색채, 분위 기, 조명 연출, 자연요소 도입, 가구 배치, 등을 이용하여 분위기를 다양하게 부여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백화점 휴게 공간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가장 활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옥외 공간을 중심으로 소비자 니즈에 맞춰 활성화가 된다면 그 백화점 이미지 상승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을 유치성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3) 또한 다양한 이벤트성과 문화적인 면을 추가하여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킨다면 그 공간의 주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점이 될 수 있다.4) 도시적인 측면에서 위치가 탁월하기 때문에 재방문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야 할 것이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백화점 중 면적 및 매출 상위 순위로 잡아 소비자들이 옥외휴게공간을 만족하는 지에 대해 연구 초점을 잡았다. 면적 순위는5) 17위 까지 볼 수 있었으며 이 순위에서 매출 상위 순위를 적출해보니 아래 <표2>로 나타낼 수 있었다.6) 정 리 하자면 신세계 강남점 면적은 6위로 267,052㎡, 매출 1위, 롯데 본점의 면적은 17위로 85,800㎡, 매출 2위, 롯데 잠실점 면적 392,700㎡및 매출 모두 3위를 차지하였고, 매출 순위도 동일하게 3위이며, 신세계 센텀시티점 418,000㎡, 매출 4위, 마지막으 로 롯데 부산본점 면적은 157,910㎡, 매출 5위를 차지했다.

매출 및 면적 상위 순위 1위부터 5위까지 적출 하 여 이 중에서 옥외 휴게 공간 비율이 높다고 판단되 는 상위 순위 백화점 위주로 분석하게 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장조사와 선행연구로 진행하였으며 현장조사는 2018.01.23.~2018.07.19.까지 실시 하였다. 선행 연구는 각 백화점별 홈페이지와 팜플

1) http://bitly.kr/FlSmV73v8 2) http://bitly.kr/IYbXZasSx

3) 조지영, 「백화점 휴게 공간 이용 경험 및 만족도가 쇼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22 4) 이종민, 「문화행사를 위한 옥외 공간 활용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2

5) http://bitly.kr/zu1TTkJhe 6) http://bitly.kr/RqzEk1VDu

(4)

순위 점포명 매출

1 신세계 강남점 1조 6621억원 17.1 2 롯데 본점 1조 6410억원 -11.8 3 롯데 잠실점 1조 793억원 -1.3 4 신세계 센텀시티점 1조 376억원 3.3 5 롯데 부산본점 8981억원 -0.2

<표 2> 2017년 국내 백화점 매출 순위 렛 등을 참조하여 정리하였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옥외 휴게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특성, 표현, 문제 점, 등을 비교 분석 하여 향후 바람직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백화점 휴게 공간 및 옥외 공간의 개념

휴게 공간은 말 그대로 쉬어가는 공간이다. 몸, 정신, 여유를 회복할 수 있는 공간이며 심리적으 로 즐거움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 공간이기도 하다. 실내가 지붕이 있는 서비스 공간이라 면 실외는 지붕이 없는 서비스 공간으로 비유할 수 있다. 실외 휴게 공간은 자연에서 따낸 공간 이며 인간에 의해서 창조 된 공간이다.7) 그렇기 때문에 휴게 공간 중 옥외 휴게 공간은 쇼핑을 한 후 유일하게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오아시스 같은 존재일 것이다. William(1975)는 소비자들 의 특성을 이해한다면 그 소매점의 이미지와 이익의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한바 있으 며, Martin M.Pegler(1995)는 매장에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휴게 공간, 전망대, 갤러리, 레스토 랑, 만남의 장소, 등을 판매 환경 계획 시 소비자 중심으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고 언급한바 있다.8) 따라서 소비자들이 원하는 니즈를 적용시키는 것과 어떠한 인상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2.2. 백화점 휴게 공간 기능

백화점은 상품에 대한 만족과 구매 욕구를 자극 할 수 있도록 정보와 휴식처도 제공해주기 때문에 소비자층을 다양화 시킬 수 있다. Ray Oldenburg(1989)는 제 3의 공간이라는 단어를 시초로 사용했었는데 개인의 집과 같은 공간으로 연출하고 체험을 강조하는 공간이라고 표현 하였다. 이의 개념을 발전시켜 심리학자 Christian Mickunda는 제 3의 공간을 도시로 연출된 공간으로 확대시켰다. 상업공간의 디자인 마케팅을 소비자의 개념과 심리적 가치를 적용시킨 다면 유혹 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소비와 판매가 주를 이루는 공간은 경제적 의미를 갖는 장소로써 사회문화적 의미도 지니 기 때문에 소비자의 공감각을 자극시켜야 발전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9) 이에 이어 휴게 공간 기능들을 총 5가지로 정리해보았다. 첫째, 휴식 및 대화의 기능으로 가장 기본적인 휴식 시설물 로 의자, 소파, 벤치, 등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시설이다. 매장에 머무는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만남과 기다림의 기능으로 개점 시간의 기다림이나 지인과의 약속 을 기다리는 것으로 만남의 장소가 될 수도 있다. 셋째, 간단한 식음의 기능으로 기호에 따라 음료나 간단히 식사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넷째, 이벤트 기능으로 기타 이벤트 진행, 패션쇼, 등의 공간으로 소비자들을 유도할 수 있다. 다섯째, 문화 체험 및 감상의 기능으로 예술 작품 및 문화체험이 가능하다. 이렇듯 시각적인 즐거움은 물론이고 물질적 부담 없이 자유 롭게 이용이 가능한 점에서 그 장소의 이미지와 주목성이 강조될 수 있을 것이다.

2.3. 백화점 휴게 공간의 구성 요소

공간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시각, 후각, 청각, 촉각에 의해 지각하는 그 물체와 상호관계가 형성이 된다. 그 공간의 조화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그 백화점의 아이덴티티 및 이미지 확립이 성립될 수 있도록 독창적인 구성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공간은 크게 3요소로 나눌 수 있다. 공간을 한정 짓는 1차 요소, 환경적인 공간을 수식하는 3가지 요소를 통합한

7) Yoshinobu Ashihara, 「건축의 외부 공간」, 기문당, 1979, pp.50-100p

8) 이종민, 「문화행사를 위한 옥외 공간 활용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p.12

조지영, 「백화점 휴게 공간 이용 경험 및 만족도가 쇼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p.21 9) 유진효,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백화점 소비자 혜택 공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21

(5)

구성요소 분류 공간 한정 요소(1차)

바닥 천장 공간 수식 요소(2차)

자연요소 1차적 요소 예술 요소 2차적 요소 가로 시설물 3차적 요소 행위적 요소(3차) 인간의 행태

<표 3> 외부 공간 3가지 구성 요소

구성요소 분류

공간 수식 요소(2차) 자연

요소 1차적 요소

수목 경관목

분수, 폭포, 벽천 분수대, 벽면장식,

건축외장재

경관목

-

<표 4> 공간 수식 구성 요소(2차-1차적 요소)

<그림 1> 공간 분할 및 동선 유도

<그림 2> 공간 분할 및 스크린효과

<그림 3> 수직정원 그린월

2차 요소, 공간 내에서 인간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행위인 3차 요소가 있다. 이를 토대로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에 해당되는 구성 요소들을 <표3>으로 나타내보 았다.10)

먼저, 1차 공간 한정 요소로는 바닥, 벽, 천장으로 나눠 진다. 바닥은 포장, 패턴, 질감에 따라서 공간감을 연출 할 수 있는 요소다. 색과 질감을 통해서 일관성 있게 조 화를 이루게 되면 통일 효과를 낼 수 있고 분위기도 변 화시킬 수 있다. 자연요소를 섞어 돌, 잔디, 등으로 동선 유도나 공간 경계를 표현하기도 한다. 벽은 크게 공간의 형성, 공간의 분리, 축의 형성으로 시선조절이 가능하며 공간을 분리하여 경계를 형성하고 머무름 유도 효과도 있다. 또한 외부 소음 및 혼잡함을 차단하며 높이에 따라 폐쇄성 조절도 가능한 요소다. 천장은 옥내의 상부이며 벽과 바닥을 외부로부터 차단 또는 흡수를 한다. 내부공간과 달리 천장이 없지만 기상 변화에 따라 공간 이용이 제한이 된다.

공간 수식 요소는 다른 요소와는 달리 공간 수식 요소 내에서 3가지로 분류가 된다. 자연 요소들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연 요소 중 수목은 가장 활용도가 높은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피로 및 스트레스를 완화 시켜주며 습 도 및 공기 정화 유지도 기능이 있다. 또한 실외뿐 만 아니라 실내 공간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동선 제시, 공간 경계, 스크린 효과, 장식 효과, 등 을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정원에 들어섰을 때 그 정원의 동선과 공간 분배가 직선 형태 같은 경우라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느낄 것이고 곡선 형태라면 불명확한 방향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유도되는 느낌을 받아 흥미를 느낄 것이다.

공간 경계 같은 경우는 스크린 효과 및 파티션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공간의 성격에 맞게 표현할 수 있다.11)이에 따른 사례로 <그림1>은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하고 있는 테라스다.

목재와 수목을 이용하여 공간분할 기능과 동선 유도 기능을 나타내었다. 이에 이어 <그림2>도

<그림1>과 동일한 기능을 나타냈으며 채광을 조절하기 위해 스크린처럼 활용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림3>은 수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는 서울시청의 건물 외관이다. 국내 최초로 녹색커튼을 활용한 건축물이며 계절감을 돋보이며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을 제공 하겠 다는 의도가 담긴 디자인이라고 할 수가 있다.12)

다음으로 물은 공간에 있어서 활기를 불어 넣어주는 역할을 한다.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어

10) 유현영, 「공간과 인간행태 특성에 따른 디자인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13

11) 강민경, 「심리적 효과 측면에서 본 오피스 휴게 공간의 자연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39 12) http://bitly.kr/qfT3unVeG

(6)

구성요소 분류 공간 수식

요소(2차) 예술요

2차적

요소

그래픽 도시 벽화

조각 환경조각,

환경조형물

<표 5> 외부 공간 수식 구성 요소(2차-2차적 요소)

구성요소 분류

공간 수식 요소 (3차)

가로 시설물

3차적 요소

휴식계 벤치, 파고라, 가제보, 등 조명계(연출) 가로조명, 조사조명, 바닥조명, 벽조명,

점멸등, 가로등, LED볼라드, 등 정보계(안내) 키오스크, 펫말, 등 교통계(트랜스퍼) 택시 승강장, 주차장, 등

조경계 플랜터, 플라워 포트, 등 행사계 이벤트무대, 무대장치, 등 놀이기구계 그네, 미끄럼틀, 모래터,등

<표 6> 외부 공간 수식 구성 요소(2차-3차적 요소)

종류 특징 형태

단좌형

스툴 좁은 장소 1~3인용

-등받이가 없는 형 -볼라드 기능 -방향성이 없어 배치가

자유로움 -유동이 많은 장소

직선 슬라브 -대부분 가로형태로 설치 -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서포터

벤치 회전율 높음 단시간

-엉덩이만 기댈 수 있는 모형 -회전율 높은 장소

정방향 -집단의 경우로는

가장 좋지 않은 형태

연좌형

등받이형 넓은 장소 3~5인용

-주로 공원이나 산책로에 설치 -단좌형 보다 안락해야 한다는 요구 조건이 있음

꺾인형 -서로 무릎이 맞부딪히지 않아야 함 코너 있는 형 -다수나 개인에게도 적합

-여러 가지 요구 충족 가능 팔걸이형 회전율 낮음 장시간 -유동 인구 유치 기능 군집형

-집단적으로 모여서 휴식 취하기 적합 -마주 보며 앉기 가능

<표 7> 벤치의 기본형

주며 장소성과 독자성을 부각시킬 수 있다. 물과 수목을 믹스하게 되면 자동 습도 조절 기능뿐 만 아니라 인간의 오감 자극, 자연친화적 효과, 쾌적함을 부여해주며 분수, 연못, 벽천, 등으로 예를 들 수 있다.13) 분수는 소리, 빛, 물로 조화를 이루어 율동감을 표현하고 연못은 잔잔하고 고요한 느낌이라 보통 정적인 장소에 설치된다. 벽천은 낮은 벽체에서 물이 나오는 것으로 생동 감과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으며 물 흐르는 소리로 인해 소음이 차단되는 점이 있다. 수목, 물 요소처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요소 중에서는 돌도 해당된다. 돌은 동선 유도, 공간분배, 테두리 마감, 등 활용도가 높으며 분수대, 벽면장식, 조각품, 건축재, 외장재, 등으로도 이용이 된다. 또한 수목, 물, 돌, 흙을 모두 융합하면 자연친화적인 분위기를 더욱 강조시킬 수 있다.

기후나 시간 변화에 따라 분위기를 좌우할 수 있는 빛은 인간의 심리에 가장 많이 끼칠 수 있는 요소이며 모든 요소들의 background 역할을 한다. 오전 오후가 되면 반전 분위기를 표현

할 수 있어 가장 흥미로운 요소이다.

다음으로 <표5>는 예술 요소 중 2차적 요소로 그래픽과 조각을 분류하여 표로 정리해보았다.

외부 공간 디자인 내에서 내재될 수 있는 예술 행 위 중에선 그래픽과 조각의 장르로 나눌 수 있다.

그래픽의 경우 도시벽화로 작품의 의미를 담거나 조각물을 통해 소비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점이다. 독창성과 다양성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끌 수 있으며 자연적인 요소를 더한다면 주목성도 강해질 것 이다.

인간과 가장 가까운 환경 장 치로 도시의 시각적 효과, 쾌 적함, 활력을 덧붙여 주며 휴 식의 기능과 환경에 친숙함을 믹스한 요소들을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에 적용될 수 있는 기점에 맞춰 <표6>으로 나 타내었다.14)

이 중 가장 신중하게 계획해야 할 분류를 살펴보자면 휴식계 요소로 볼 수 있는데 주로 기본적 으로 설치가 많은 벤치의 특징과 형태를 아래 <표7>로 정리하였다.15) 기본적으로 벤치는 위 에 앉는 시설물이지만 앉는 유형 중에서도 낮은 돌 위, 낮은 기둥 위, 계단 위, 바닥 위도 될

13) 서현철, 「생태건축 시술이 적용된 오피스 계획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p.147-150 14) 양선섭, 「휴게용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pp.40-50

15) 김경준, 「디자인에 관한 반응적 환경」, 서울:국제, 1991, p.73

(7)

색의 종류 심리적 및 생리적 효과 빨강,

검정

온도감 흥분감 시간감

-난색 -따뜻 -흥분 유발 -시간의 흐름이 길게 느껴짐 파랑, 흰색

-한색 -차가움

-진정

-시간의 흐름이 짧게 느껴짐

초록, 보라 -중성

노랑, 연두 무게감

-가벼움 -명도가 높음 -배색 배열을 할 때 명도가

높은 밝은 색 순서부터 배치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음 파랑, 빨강

파스텔

경연감

-부드러움 -채도가 낮음

청록, 남색 -딱딱함

-명도가 낮고 채도가 높음 초록, 파랑

계절감

-엷은 명색조 -신선, 성숙 초록, 연두,

노랑, 주황 여름

주황, 빨강,

자주 가을

-탁한 암색조 보라, 남색, -휴식

파랑 겨울

<표 8> 행위적 요소(3차)

수가 있다. 낮은 돌이나 계단 위 같은 경우는 주로 박물관, 미술관, 아파트, 공원 같은 공공시설 에서 주로 설치를 한다. 또한 재질에 의한 촉감으로 자연친화적인 느낌도 줄 수 있고 소비자의

심리도 변화 시킬 수 있다. 휴식계 가로시설물 중 벤치를 제외하고 파고라와 가제보를 볼 수 있는데 파고라는 기둥과 지붕형태로 되어 있으며 지붕을 완전히 덮지 않은 시설물이다. 가제보는 흔히 팔각 정이라고 부르는데 팔각형의 형태나 뾰족한 탑 형 태를 지붕에 씌우는 의미로 정원 꼭대기에 세운 정 자라고도 부른다. 이렇듯 공간의 시설물과 함께 조 화롭게 연계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3차 행위적 요소로는 인간의 행태로 볼 수 있다. 우리는 휴식을 취하면서 여러 가지 심리를 느끼게 되는데 그 공간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육체 적 만족감도 달라진다. 마치 계절에 의해 인간의 심 리가 변하는 것처럼 공간의 연출 색감도 마찬가지 다. 그 장소의 색감이 떠오른다는 것은 그만큼 머릿 속에 각인을 시켰다는 증거다. 색감은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보다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인간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크다. 색감 속에서 심리적 효과는 어떤 색으로 분류 되는지 <표8>을 보면 알 수 있다.16)

3. 대형 종합 소매점별 옥외 휴게 공간 사례조사 ‧ 특성 분석 3.1.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사례조사

본 연구는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의 유형을 살펴보고 면적 및 매출 상위에 속한 <표2>의 백화 점들로 과연 옥외휴게공간도 소비자들을 만족성과 각 백화점들의 공간 디자인 특성들을 살펴 보고자 한다. <표9>는 각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현장조사, 인터넷 홈페이지, 팜플렛, 등의 자료조사들을 통해 외부 공간 디자인 3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해보았다.17)

디자인 구성 요소 특성 종류 중 개수가 가장 많은 백화점은 신세계 강남점(11층)을 뽑을 수 있었다. 총 52개로 시각, 청각, 후각, 촉각 중 소비자의 감각기관을 가장 많이 자극시킨 백화점 으로 볼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신세계 센텀시티점(9층) 48개, 롯데 본점(영플라자 7층) 39개, 롯데 부산 본점(11층) 36개, 신세계 센텀시티점(시티몰 7층) 32개, 신세계 센텀시티점 (1층 후문) 31개, 롯데 부산 본점(10층) 26개, 롯데 부산 본점(3층) 25개, 신세계 센텀시티점 (시티몰 4층) 21개, 신세계 강남점(1층 후문)19개, 신세계 센텀시티점(1층 정문) 11개로 나열 할 수 있었다. 공간 한정 요소(1차)에서는 롯데, 신세계 모두 바닥을 무광 포세린으로 설치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모래, 잔디, 목재, 돌을 바닥과 벽에 활용함으로써 자연미와 공간분배를 동시에 표현하였다. 그 외 패밀리파크가 있었던 신세계 센텀시티점 (9층)과 롯데 부산 본점(11 층)은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바닥을 탄성포장으로 나타내었지만 신세계 강남점(11층)은 탄성 포장이 아닌 모래를 사용하여 아이들의 촉각적인 발달부분까지 구축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신세 계 강남점(1층 후문)과 신세계 센텀시티점(1층 정문 ‧ 후문)은 벽을 알루미늄과 철로 조화를 이루어 모던함과 차가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16) 김은정 외 1인, 「color:색」, 형설출판사, 2007, p.120

17) 이미연, 「대규모 유통 소매 접점 내 소비자 휴게 공간 디자인 개선 방안」,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pp.63-69

(8)

구분

종류 사진 도면

신세계 강남점

1층 후문

11층

신세계 센텀 시티점

1층 정문

1층 후문

9층

시티

4층

7층

롯데 본점

영플 라자 7층

롯데 부산 본점

3층

10층

11층

<표 9> 현장조사

(9)

<그림4> 신세계/롯데 백화점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신세계 센텀시티점(9층 ‧ 시티몰 4층 ‧ 시티몰 7층)과 롯데 부산본 점(3층 ‧ 11층)은 벽을 유리를 사 용하여 시야 확대 효과와 스트레 스 해소 효과도 부여하였다. 신세 계 센텀시티점(시티몰 4층)과 롯 데 부산본점(3층)에는 다른 백화 점에서는 볼 수 없었던 유리 천장 이 있었기 때문에 기상변화에 상 관없이 휴식을 즐길 수 있었다.

공간 수식 요소(2차) 및 인간의 행태(3차)로 신세계와 롯데의 공 통점은 LED조명과 가로등 볼라 드를 가장 많이 설치했으며 이는 자연미를 더욱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수목을 이용한 벽은 background 효과를 나타내었으 며 휴식계 시설물로 벤치는 목재 와 돌의 재질로 부드러움과 차가 운 분위기를 동시에 받을 수 있었 었으며 연좌형과 단좌형의 형태 로 나타내었다.

신세계 강남점과 센텀시티점은 롯데 본점과 부산 본점 보다 면적 이 상반되었기 때문에 컨셉을 구 상하기가 훨씬 유리했다.

이 두 브랜드의 백화점은 각 옥외 휴게 공간 특징이 뚜렷했다. 신세 계는 연못과 분수로 인해 청량감, 시원함으로 도심 속에서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심리적 효과를 줬 다. 청각적으로는 평온감, 쾌적 감, 치유감을 선사하여 그 공간에 더 머물고 싶은 생각을 만들어 줌 으로써 소비자들의 유치성이 효 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패밀리 파크를 제외하고 나머지 공간은 신세계의 아이덴티티 상징 색감 인 골드계열을 옥외 휴게 공간에 서도 활용했었으며 전체적으로 정적인 분위기가 강했고 도시적 인 느낌 안에 고급스러움, 무게 감, 모던함, 세련함이 복합적으로 나타나있었다.

한편 롯데는 아이덴티티의 상징 색감을 볼 수 없었지만 중성계열

(10)

구분 분류 내용 문항 일반

사항

성별 -남자/여자

3문항 연령 -20대미만/20대/30대/40대/50대이상

직업 -직장인/주부/학생/대학생/미취업 또는 기타 국내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휴식

경험 -예/아니오 1문항

공간한정요소 (1차)

바닥 -폴리싱(유광)/포세린(무광)/탄성포장/잔디/모래/목재/석판/세라믹/점토타일/돌(코팅)/돌/옥외타일/그대로 3문항

-알루미늄/유리/목재/철/수목/돌/그대로

천장 -유리/콘크리트/아스팔트/목재/우드 앤 셰이크/메탈/타일/그대로 공간수식요소

(2차) 가로시설/예술요소 -키오스크/파고라/쉘터/선베드/가로등 볼라드/해먹/플랜터/LED조명/수목/연못/분수/이벤트 무대/정보

관련 포스터/벤치/테이블/의자/모래터/미끄럼틀/그네/회전목마/포토존/예술 조형물 1문항

행위적 요소 (3차)

색감 -골드계열/난색계열/중성색계열/한색계열/무채색계열

5문항 시각적 분위기 -동적/정적/따뜻/고급/무게/자연/고혹/모던/세련/주목/심플/역동/생동/부드러운/안락/시원/계절/흥미/이국

후각적 -청량(물)/시원(수목)/쾌적

청각적 -청량/쾌적/치유/평온

촉각적 -부드러운/차가운/편안/포근/거칠/푹신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만족도

충분한 확보 -매우 그렇다/그렇다/보통/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6문항

“매우 그렇다”선택, 백화점 명칭 기입

-단답형

시설 확보 -매우 그렇다/그렇다/보통/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선택, 백화점 명칭 기입

-단답형

전반적인 만족도 -매우 그렇다/그렇다/보통/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다”선택, 백화점 명칭 기입

-단답형

<표 10> 설문조사 구성내용

을 표현하여 신세계와는 반대로 밝고 동적인 분위기가 강했다. 또한 파고라, 테이블, 의자, 등의 다양한 휴식계 요소들을 적용시켜 시설물들을 계절감 있게 표현하고 공간의 매력도를 주목시 켰다. 그 중 롯데 본점(영플라자 7층)에서 여름 컨셉으로 이벤트 체험, 포토존, 등으로 여름의 매력을 느낄 수 있었지만 면적에 비해 너무 다양한 요소들이 설치되어 있어 혼잡함과 이질감이 나타났다.

4. 설문조사

4.1. 조사 개요 및 조사 방법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앞서 사례 연구 및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특성 분석 바탕으로 국내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에 방문하여 휴식을 취한 경험이 있는 실질적인 소비자와 전문가 의 의견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검토해보기로 한다. 본 연구의 설문 조사는 2018.11.14.~2018.12.16.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총 226부의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공 간 디자인 전문가 2인과 함께 내용을 구성하여 응답자가 선호하는 공간 디자인 특성 요소,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경험 유무 및 만족도로 나타내었다. 또한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 개수가 가장 많이 나온 신세계 강남점(11층)을 대표 사진으로 삽입해 공간 한정 요소(1차), 공간 수식 요소(2차), 행위적 요소(3차)들을 토대로 질문을 설정하였다. 이는 응답자들의 이해 를 돕기 위하여 예시 대표 사진과 재질 부분 사진도 추가 삽입하였다. 설문 문항은 다음 <표 10>와 같다.

(11)

항목 내용 성별

구분 여자 남자

빈도 139 87

% 61.5 38.5

연령

구분 20대 미만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빈도 4 157 8 39 18

% 1.8 69.5 3.5 17.3 8

직업

구분 직장인 주부 학생 대학생 미취업

또는 기타

빈도 76 31 17 78 24

% 33.6 13.7 7.5 34.5 10.6

<표 11> 응답자 정보

항목 빈도 %

89 39.4

아니오 137 60.6

<표 12> 경험 유무

4.2 조사 대상

위 설문지에 응답한 통계 분석이다.

설문지에 응답한 총 인원은 226명 이며 그 중 성별은 여자가 61.5%, 남자가 38.5%였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9.5%로 가장 많았다. 40 대 17.3%, 30대 3.5%, 50대 이상 8%, 20대 미만 1.8% 순으로 나열 할 수 있었다. 직업별로는 대학생이 34.5%로 가장 많았고 직장인 33.6%, 주부 13.7%, 미취업 또는 기타 10.6%, 학생 7.5%로 조사 되 었다.

4.3. 국내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휴식 경험 파악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에서 휴식을 경험해본 응답자들의 경험 유무를 <표12>로 나타내었다.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39.4%, 경 험이 없는 응답자는 60.6%로 볼 수 있었다. 응답자 중 반이 넘게 경험한 적이 없다는 것과 평소 백화점을 이용하면서도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해 관심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4. 공간 한정 요소(1차) 중 선호하는 재질 분석

항목 내용

바닥

구분 폴리싱 포세린 탄성포장 잔디 모래 목재 석판 세라믹 점토타일 코팅 돌 옥외타일 유지

빈도 31 89 8 73 4 62 87 8 7 14 17 50 19

% 13.7 39.4 3.5 32.3 1.8 27.4 38.5 3.5 3.1 6.2 7.5 22.1 8.4

구분 알루미늄 유리 목재 수목 유지

-

빈도 7 56 110 10 131 31 35

% 3.1 24.8 48.7 4.4 58 13.7 15.5

천장

구분 유리 콘크리트 아스팔트 목재 우드 앤

셰이크 메탈 타일 유지

빈도 142 9 5 79 52 15 11 44 -

% 62.8 4 2.2 35 23 6.6 4.9 19.5

<표 13> 선호하는 공간 한정 요소(1차) 응답

본 연구에서 바닥 재질 같은 경우는 백화점 모두 포세린으로 표현되어 있었는데 응답자들 또한 39.4%로 포세린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론 석판 38.5%, 잔디 32.3%, 목재 27.4%, 옥외 타일 22.1%, 폴리싱 13.7%, 유지 8.4%, 돌 7.5%, 코팅 돌 6.2%, 세라믹 3.5%, 점토타일 3.1%, 모래 1.8%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벽 재질 순으로는 수목 58%로 가장 많이 선호 했으며 목재 48.7%, 유리 24.8%, 유지 15.5%, 돌 13.7%, 철 4.4%, 알루미늄 3.1%순으로 나타났다. 천장은 압도적으로 유리 62.8%로 가장 많이 선호 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목재 35%, 우드 앤 셰이크 23%, 유지 19.5%, 메탈 6.6%, 콘크리트 4%, 아스팔트 2.2% 으로 조사되었다.

4.5. 공간 수식 요소(2차) 중 선호하는 시설물 분석

공간 수식 요소(2차) 중 소비자들이 옥외 휴게 공간에 설치를 선호하는 시설물들을 아래 <표 14>으로 정리해보았다. 가장 많이 선호하는 시설물로는 LED 조명 52.2%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가로등 볼라드 50.9%, 플랜터 47.3%, 파고라 45.6%, 벤치 37.6%, 예술 조형물 31.4%, 의자 27.4%, 테이블 27%, 포토존 22.6%, 수목 21.2%, 연못 19.5%, 해먹 18.6%,

(12)

항목 내용

색감 골드 계열

난색 계열

중성 색계

한색 계열

무채 색계

-

빈도 39 69 52 35 103

% 17.3 30.5 23 15.5 45.6 분위

동적 정적 따뜻 고급 무게 자연 고혹 모던 세련 주목 심플 역동 생동 부드

러운 안락 시원 계절 흥미 이국 빈도 19 48 139 73 8 140 5 66 61 3 68 2 24 54 73 36 37 14 17

% 8.4 21.2 61.5 32.3 3.5 61.9 2.2 29.2 27 1.3 30.1 0.9 10.6 23.9 32.3 15.9 16.4 6.2 7.5

<표 15> 선호하는 행위적 요소(3차) 시각적 부분 응답

항목 내용

구분 청량(물) 시원(수목) 쾌적

빈도 70 135 142

% 31 59.7 62.8

<표 16> 선호하는 행위적 요소(3차) 후각적 부분 응답

항목 내용

구분 청량 쾌적 치유 평온

빈도 76 124 57 134

% 33.6 54.9 25.2 59.3

<표 17> 선호하는 행위적 요소(3차) 청각적 부분 응답

항목 내용

구분 부드러운 차가운 편안 포근 거칠 푹신

빈도 107 8 167 94 3 40

% 47.3 3.5 73.9 41.6 1.3 17.7

<표 18> 선호하는 행위적 요소(3차) 촉각적 부분 응답

항목 내용

공간 확보 만족도

구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빈도 6 33 114 59 13

<표 19> 만족도 응답

분수 18.1%, 그네 9.7%, 이벤트 무대 8.8%, 선베드 7.5%, 키오스크 7.1%, 정보 관련 포스터 4.9%, 회전목마 4%, 미끄럼틀 2.2%, 모래터 0.9% 로 볼 수 있었다.

항목 내용

가로 시설물

구분 키오 스크

파고

쉘터 가제

선베

가로

볼라

해먹 플랜

L E D 조명

수목 연못 분수 이벤 트무

정보 관련 포스

벤치 테이

의자 모래

미끄

럼틀 그네 회전 목마

포토

빈도 16 103 0 111 17 115 42 107 118 48 44 41 20 11 85 61 62 2 5 22 9 51

% 7.1 45.6 0 49.1 7.5 50.9 18.6 47.3 52.2 21.2 19.5 18.1 8.8 4.9 37.6 27 27.4 0.9 2.2 9.7 4 22.6

<표 14> 선호하는 공간 수식 요소(2차) 응답

4.6. 행위적 요소(3차) 중 선호하는 감성 분석

미각을 제외한 시각, 청각, 후각, 촉각으로 인해 소비 자들이 선호하는 감성들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선호하는 색감 순으로는 무채색 계열 45.6%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색 계열 30.5%, 중성 색 계열 23%, 골드 계열 17.3%, 한색 계열 15.5%

순으로 볼 수 있었다. 시각적 분위기 순으로는 자연 61.9%로 가장 선호하며 따뜻 61.5%, 고급 및 안락 은 32.3%, 심플 30.1%, 모던 29.2%, 세련 27%, 부 드러운 23.9%, 정적 21.2%, 계절 16.4%, 시원 15.9%, 생동 10.6%, 동적 8.4%, 이국 7.5%, 흥미 6.2%, 무게 3.5%, 고혹 2.2%, 주목 1.3%, 역동 0.9% 으로 나타났다. 후 각적으로는 쾌적 62.8%로 가장 선호 하였으며 시원 59.7%, 청량 31%로 나타났다. 청각적으로는 평온 59.3%

로 가장 선호했으며 쾌적 54.9%, 청량 33.6%, 치유 25.2%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촉각적 인 부분은 편안 73.9%로 가장 선호하였으며 부드러운 47.3%, 포근 14.6%, 푹신 17.7%, 차가 운 3.5%, 거칠 1.3%순으로 알 수 있었다.

4.7. 국내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 만족도 분석

국내 대형 백화점의 옥외 휴 게 공간은 방문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 중 충분히 확보 되 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분 석 한 결과, 소비자들의 만족

(13)

퍼센트(%) 2.7 14.7 50.7 26.2 5.8

“매우 그렇다”

선택의 경우 구체적인 백화점 명칭

-신세계 센텀시티점 -신세계 동대구점

-롯데 창원점 -롯데 광복점

공간 확보 수준에

대한 만족도

구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빈도 5 37 119 55 9

퍼센트(%) 2.2 16.4 52.9 24.4 4

“매우 그렇다”

선택의 경우 구체적인 백화점 명칭

-갤러리아 본점 -롯데 광복점

공간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구분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빈도 4 38 140 33 10

퍼센트(%) 1.8 16.9 62.2 14.7 4.4

“매우 그렇다”

선택의 경우 구체적인 백화점 명칭

-

도가 보통 50.7% 으로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그렇지 않 다 26.2%, 그렇다 14.7%, 매 우 그렇지 않다 5.8%, 매우 그렇다 2.7%로 나타났다. 이 질문을 통해 충분히 확보되어 있냐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

를 택한 응답자 중 신세계 센 텀시티점, 신세계 동대구점, 롯데 창원점, 롯데 광복점을 기입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국 내 대형 백화점의 옥외 휴게 공간 확보 수준에 대한 만족 도는 보통 52.9%로 나왔다.

그렇지 않다 24.4%, 그렇다 16.4%, 매우 그렇지 않다 4%, 매우 그렇다 2.2% 순으 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매우 그렇다’를 택한 응답자는 갤 러리아 본점, 롯데 광복점을 기입하였다. 국내 대형 백화 점의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보통 62.2%로 조사 되었다. 그렇다 16.9%, 그렇 지 않다 14.7%, 매우 그렇지 않다 4.4%, 매우 그렇다 1.8%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매우 그렇 다’를 택한 응답자가 1.8%가 나왔었지만 백화점 명칭을 기입해주지 않아 확인하기 어려웠다.

4.8. 설문 조사 외 의견

설문조사 이외에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기타 의견들을 받을 수 있었다.

첫째, 백화점을 들리면 약속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찾아지지는 않는다. 둘째, 구매할 목적 만 달성하고 백화점을 나가게 된다. 셋째, 옥외 휴게 공간이 있었는지 몰랐던 적도 있었다.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콘텐츠가 추가 된다면 존재감이 부각되지 않을까 싶다. 넷째, 전체적으로 옥외 휴게 공간을 방문하면 아이들 및 패밀리를 대상으로 만든 공간이 많다. 젊은 세대를 위한 옥외 휴게 공간도 필요하다. 다섯째, 실내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좋지만 실외에서도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휴식을 취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여섯째, 옥외 공간을 활용해 도심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콘텐츠를 도입한다면 그 백화점의 인기도는 상승할 것이다.

5. 결론

인간은 오감 중 가장 자극적이게 느꼈던 부분을 통해 그 장소의 이미지를 기억하게 된다. 앞서 말했다시피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그 장소의 특정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화 점 내 옥외 휴게 공간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면적율 순위에서 매출 상위 순위들을 적출해 공간 한정 요소(1차), 공간 수식 요소(2차), 행위적 요소(3차)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것을 토대로 응답자들의 의견들을 확인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성별, 연령, 직업, 백화 점 내 옥외휴게 공간에서 휴식 경험 유무,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1차~3차) 중 선호하는 요소, 방문했었던 백화점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 한정 요소(1차)에서 바닥 부분은 응답자들이 무광 포세린 재질을 가장 선호 하였으며 본 연구 대상이었던 모든 백화점들이 옥외 휴게 공간 바닥을 무광 포세린으로 설치했 다. 이 재질의 장점은 가장 무난한 느낌으로 어디서든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기상변화에도

(14)

소비자들의 안전까지 방지할 수 있는 점이다. 벽 부분은 수목을, 천정 부분은 유리 재질을 가장 많이 선호 하였다. 수목으로 인해 자연미를 선호하며 유리로부터 시야 확보 및 기상 변화와 상관없이 옥외에서 휴식을 취하고 싶은 의견을 볼 수 있었다.

공간 수식 요소(2차)에서 가장 선호하는 시설물은 LED시설물이었다. 이 또한 본 연구 대상이 었던 모든 백화점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시설물이었다. 분위기를 가장 좌우 할 수 있는 시설물 은 LED가 가장 유리한데 시각적으로 그 장소의 주목성을 띄게 만들어 주며 특히 야간에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행위적 요소(3차)에서 시각적으로는 무채색계열에 자연친화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를, 후각적 으로는 쾌적함을, 청각적으로는 평온함을, 촉각적으로는 편안함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 중 청각 적인 부분이 사례조사 분석한 결과와 동일하게 평온함이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공간 확보 수준 만족도는 모두 다 보통으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총 3가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소비자들은 도심 속에서 자연을 느끼고 싶은 마음이 강한 것으로 알 수 있었기 때문에 자연과 모던함을 믹스한 공간으로 구성 요소들을 계획해야할 것이다. 둘째, 가장 큰 문제점은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에서 휴식을 취해 보지 않은 소비자가 60.6%나 된다는 것이다. 그만 큼 그 공간에 대해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이는 존재감이 없는 장소라고 지칭할 수 있는데 주목성과 장소성을 부각시켜 이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저 그런 대규모 브랜드 백화점이 아닌 그 지역의 관광 명소 패키지로도 인식이 될 수 있도록 트렌드에 맞는 마케팅 기법 및 콘텐츠(소셜, SNS, 입소문)와 교육적 ‧ 문화적인 면을 도입시킨다면 충분히 소비자들의 흥미를 이끄는 데에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18) 셋째, 소비자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받아드려야 한다. 소비자들의 반응과 전반적인 만족도가 중요하며 그 결과에 대한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출이 곧 소비자들의 만족도이며 그 공간은 소비자들의 기억 을 좌우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국내 대형 브랜드 백화점 내 옥외 휴게 공간 계획에 있어 기초 가 되길 기대하며 항상 발전하는 대규모 유통 소매점들이 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Yoshinobu Ashihara, 「건축의 외부 공간」, 기문당, 1979 김경준, 「디자인에 관한 반응적 환경」, 서울:국제, 1991 김은정 외 1인, 「color:색」, 형설출판사, 2007

조지영, 「백화점 휴게 공간 이용 경험 및 만족도가 쇼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이종민, 「문화행사를 위한 옥외 공간 활용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유진효, 「공간마케팅 관점에서 본 백화점 소비자 혜택 공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현영, 「공간과 인간행태 특성에 따른 디자인 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강민경, 「심리적 효과 측면에서 본 오피스 휴게 공간의 자연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서현철, 「생태건축 시술이 적용된 오피스 계획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양선섭, 「휴게용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이미연, 「대규모 유통 소매 접점 내 소비자 휴게 공간 디자인 개선 방안」,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이미연, 「패밀리 테마파크 사용자의 의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권 5호, 2019

http://bitly.kr/FlSmV73v8 http://bitly.kr/IYbXZasSx http://bitly.kr/zu1TTkJhe http://bitly.kr/RqzEk1VDu http://bitly.kr/qfT3unVeG

18) 이미연, 「패밀리 테마파크 사용자의 의식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p.403

참조

관련 문서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Graphic Design 전시 패션 디자인 Fashion Design

The key issue is whether HTS can be defined as the 6th generation of violent extremism. That is, whether it will first safely settle as a locally embedded group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As the table above shows, art galleries invest majority of their space real estate to the space for exhibition (58.86%). This means they need to reconsider

In this architectural design field, the space with new concept and organic space come into sight, escaping from the space concept in the geometric and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rban Design Major...

In gi ngi va,LCs are found i n oralepi thel i um ofnormalgi ngi va and i n smal l er amountsi nthesul cul arepi thel i um,buttheyareprobabl yabsentfrom thejuncti onal epi thel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