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국별 진출전략 : 터키 (디지털자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국별 진출전략 : 터키 (디지털자료)"

Copied!
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Ⅰ.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3 1. 개요 ··· 3 가. 시장 전망 ··· 3 나. 주요 경제지표 ··· 3 2. 2020년 주요 이슈 및 전망 ··· 4 가. 터키 정부, 금리 인하 기조 지속 ··· 4 나.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 터키 경기 변동의 Key로 작용 ··· 4 다. 수출이 터키 경제 회복 주도 예상 ··· 4 라.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4 Ⅱ. 비즈니스 환경 분석··· 6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 6 가. 정치 환경 ··· 6 나. 경제 환경 ··· 6 다. 산업 환경 ··· 7 라. 정책・규제 환경 ··· 10 2. 시장 분석 ··· 13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 13 나. 교역 ··· 14 다. 투자진출 ··· 15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 17 가. 교역 ··· 17 나. 투자・프로젝트 ··· 19 다. 주요 경제협력 의제 ··· 20 Ⅲ. 진출전략··· 21 1. SWOT 분석 및 전략도출 ··· 21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 22 3. 한-터키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 28 4. 진출 시 유의사항 ··· 32 첨 부 1. 수출유망품목(상품) ··· 33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 34 3. 2020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 35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 37 부 록

(3)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가. 시장 전망

터키 경제는 역성장 추세에서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2-3년간 저성장 추세 지속 예상

⚬ 터키 경제는 2018년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역성장 중으로, 2019년 –1% 내외 역성장 예상 (2019년 8월 예상 기준) ⚬ 2020년부터는 경제가 다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혼돈의 국제관계, 정부재정 적자 지속 등의 문제 상존으로 2-3%대 저속 성장 지속 예상

나. 주요 경제지표

주 요 지 표 단 위 2012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인 구 백만 명 75.6 77.7 78.7 79.8 80.8 82.0 n.a. n.a. 명목 GDP 십억 달러 871.1 934.9 861.9 862.7 851.0 766.5 795.0 858.0 1인당 명목GDP 달러 11,588 12,112 11,019 10,883 10,597 9,693 n.a. n.a. 실질성장률 % 4.9 5.2 6.1 2.9 7.4 2.6 2.3 3.5 실 업 률 % 8.4 9.9 10.3 10.9 10.9 11.0 12.1 10.8 소비자물가상승률 % 6.3 8.3 8.9 8.5 10.2 20.3 15.9 9.8 재정수지(GDP대비) % -1.9 -1.1 -1.0 -1.1 -1.5 -2.0 -1.8 -1.9 총수출 백만 달러 152,484 157,490 143,743 142,467 157,116 167,921 n.a. n.a. (對韓 수출) 〃 528 471 568 518 584 928 n.a. n.a. 총수입 〃 236,569 241,733 206,866 198,532 234,258 223,047 n.a. n.a. (對韓 수입) 〃 5,660 7,548 7,048 6,385 6,615 6,343 n.a. n.a. 무 역 수 지 백만 달러 -84,085 -84,243 -63,123 -56,065 -77,142 -55,126 n.a. n.a. 경 상 수 지 〃 -47,962 -43,597 -32,118 -32,564 -47,500 -27,600 n.a. n.a. 환율(연평균) 현지국/US$ 1.796 2.188 2.720 3.020 3.648 4.828 6.459 7.850 해외직접투자 억 달러 41 66 48 28 26 36 n.a. n.a. 외국인직접투자 억 달러 137 131 190 137 115 130 n.a. n.a. 주: 2019년은 추정치, 2020년은 전망치

자료 : 명목GDP(2012~2018년(터키통계청), 2019~2020년(터키경제중기계획)), 평균환율(2012~2018년(OECD), 2019~2020년(iHS Markit, 연말예상환율)), FDI통계 (UNCTAD), 그 외 통계(2012~2018년(터키통계청), 2019~2021년(터키경제중기계획))

2020 국별 진출전략 터키

(4)

2

2020년 주요 이슈 및 전망

※ 2018년 하반기부터 지속된 경기침체는 2019년 말부터 해소가 되어 2020년부터는 터키경제가 다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나, 재정수지 적자, 국제관계 혼란 등 문제가 상존해 큰 폭의 성장은 기록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 되고, 터키 정부는 단기적으로 수출 확대 등을 통해 경제성장을 추진할 것이며, 중간재 국산화를 기초로 하는 제조업 육성정책을 통해 장기 성장을 꾀할 것으로 예상

가. 터키 정부, 금리 인하 기조 지속

터키 정부, 경기 부진 우려에도 확고한 금리 인하 의지

⚬ 터키 정부는 주변의 환율 급등 우려에도 불구, 2019년 7월 이후 2차에 걸쳐 총 7.5‰(24% → 16.5%) 기준금리 인하 시행했으나, 환율은 큰 변동 없는 상황(7.25일 5.72TL/USD → 9.17일 5.73TL/USD) ⚬ 이러한 내부적 상황과 더불어 미국 등 주요 국가의 기준 금리 인하 추세를 감안, 터키 정부는 금리 인하 기조 지속 예상

나. 주변 강대국과의 관계, 터키 경기 변동의 Key로 작용

러시아제 S-400 미사일 인수, 키프로스 인근 해역 유전 시추, 시리아 쿠르드 지역 공격

등으로 미국, EU 등 주변 강대국과의 혼돈 지속 중

⚬ 상황 급진전되어 수출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 EU 등이 터키 금융시스템 관련 제재, 관세동맹 (EU) 중지 등 고강도 제재 시행 시 2018년 7월과 같은 큰 폭의 경기 변동 가능

다. 수출이 터키 경제 회복 주도 예상

수출경쟁력 증가(현지화 하락)로 주요 제조업의 수출 확대 예상

⚬ 우리기업이 강점을 지닌 자동차, 가전제품 등 제조업 분야에서의 수출 확대는 한국산 중간재 수출을 위한 기회요인으로 작용 예상

라.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중간재산업 및 신산업 발전위한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5)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 제11차 경제개발계획(2019~2023년, 2019년 7월 발표) 등 주요 정책상 제조업 국산화 정책이 포함되는 등 정부의 제조업 국산화 정책 추진 의지 확고 ⚬ 해외 업체에 미치는 단기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화학, 의료기기 등 터키 정부 우선 육성산업 업체는 국산화 정책에 대응한 장기적 차원의 투자 진출 고려 필요

(6)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 내부 정치구조는 대통령 중심제를 기초로 안정될 것이나, 미국, EU 등 주변 강대국과의 갈등 지속으로 국외 정치체제는 혼란 예상 경제는 2018년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역성장 기조에서 벗어날 것이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것으로 예상 되며, 수출주도형 제조업이 터키 경제의 부활을 이끌 것으로 전망

가. 정치 환경

여당의 지방선거(2019년 3월) 부진에도 굳건한 대통령 중심 집권체제

⚬ 앙카라, 이스탄불 등 주요 도시 시장 선거 패배에도 불구, 쿠데타 세력, 쿠르드족 등 반대세력 지속 축출을 통해 대통령 중심 집권체제 강화 시도 중 - 2022년까지 예정된 선거가 없으므로, 선심성 정책보다는 반대세력 축출 등을 지속해 지배체제 강화 예상

혼돈의 국제정치 구도, 美⦁EU 등 서방과의 마찰 지속

⚬ 美・EU와 러시아제 S-400 미사일 도입, 키프로스 해저가스 시추, 시리아 쿠르드지역 공격 등 현안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며 경제 제재 부과 가능성 제기 중 * 미국은 2019년 10월 터키의 시리아 쿠르드지역 공격을 사유로, 일부 경제제재 시행(2019.10.23일부 터키 측 공격 중단으로 제재 해제)하였으며, EU는 관세동맹 중지 등 제재 검토 중 ⚬ 터키는 기존 NATO 중심의 서방 중심 외교정책에서 일부 탈피, 러시아, 중국 및 아시아 국가와 협조를 통해 서방과의 마찰로 인한 혼란 정국 탈피 시도 중 * 전투기 개발협력 추진(러시아), FTA 체결 추진(일본, 태국), 경제협력 확대(중국) 등

나. 경제 환경

경기 침체 지속, 저성장 고착화 예상

⚬ 2018년 하반기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률 둔화 및 내수 시장 침체 지속 중

. 비즈니스 환경 분석

(7)

비즈니스 환경 분석 - 2018년 4분기 이후 2분기 연속 경제가 역성장했으며, 2019년도 터키의 경제 성장률은 –1% 내외일 것으로 예상 ⚬ 2019년 4분기부터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5년간 1~2% 수준의 저성장 고착화 예상 - 경기회복에도 불확실한 중앙은행 독립성, 낮은 외환보유고, 높은 단기 외채, 정부 재정적자 지 속 등 부정적 요소가 지속되어 저성장 고착화 예상 향후 5년간 터키 주요 경제지표 변동 예상 지 표 명 단 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경제성장률 % 7.4 2.8 -1.5 1.2 1.0 1.6 2.7 명목 GDP 십억 달러 848.7 764.6 718.6 653.0 624.9 643.1 673.8 대미환율 TL/USD 3.78 5.27 6.34 8.12 9.02 9.49 9.80 자료 : IHS Markit(2019년 8월 발표)

수출주도형 산업 위주 하향 안정,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리라화 약세로 인한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주도형 산업 활성화하여 경제성장 주도 예상 - 자동차, 가전 등 완제품의 유럽, 중동향 수출 확대가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나, 완 제품 제조를 위한 중간재 수입(∵취약한 중간재 제조업)으로 무역수지 적자 지속 예상 ⚬ 중간재산업 및 신산업 발전위한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제11차 경제개발계획(2019~2023, 2019년 7월 발표) 등 주요 정책상 제조업 국산화 정책이 포함되는 등 정부의 제조업 국산화 정책 추진 의지 확고 - 해외 업체에 미치는 단기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화학, 의료기기 등 터키 정부 우 선 육성산업 업체는 국산화 정책에 대응한 장기적 차원의 투자 진출 고려 필요

다. 산업 환경

자동차 산업

⚬ 터키는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의 유럽향 생산기지로, 연 130만 대 내외의 완성차 생산 중 - 2018년 터키에서 생산된 차량 중 약 83%(약 111만 대)가 해외로 수출되었으며, 그 중 50% 이상이 유럽시장으로 수출 * 주요 수출국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8)

터키내 브랜드별 완성차 생산설비규모 현황 (2019년 현재, 단위 : 대) 순위 브랜드명 본사 승용차 상용차 합계 버스 트럭 1 Fiat 이태리 290,000 - 210,000 500,000 2 Ford 미국 30,000 44,000 381,000 455,000 3 Renault 프랑스 375,000 - - 375,000 4 Toyota 일본 280,000 - - 280,000 5 Hyundai 한국 245,000 - - 245,000 6 Karsan 터키 - 40,500 11,725 52,225 7 Honda 일본 50,00 - - 50,000 자료 : 터키 자동차 생산자협회 ⚬ 터키 정부는 자동차 부품 국산화를 위해 완성차 업체 대상 로컬콘텐츠 비율을 규제 중이나, 터키 내 조달 불가능한 High-Tech 부품 위주 수입 수요 지속 발생 터키 내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 순위 국가명 수입액(천 달러) 2016년 2017년 2018년 총 합계 5,183,547 6,173,733 5,963,600 1 독일 1,084,008 1,229,690 1,305,389 2 일본 349,580 699,985 674,005 3 이탈리아 576,532 606,618 524,480 4 프랑스 424,283 479,133 460,289 5 대한민국 343,143 344,398 355,146 6 중국 357,073 414,767 333,193 7 인도 347,946 348,999 310,882

자료 : Wolrd Trade Atlas

건설 프로젝트

⚬ 터키 건설 부분은 2,659억 TL(2017년) 규모로, 전체 GDP의 약 9%를 점유 ⚬ 터키 정부는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Vision 2023 계획에 의거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추진 예정 - 경기 침체로 일부 대형 프로젝트 발주가 지연 중이나, 터키 정부는 프로젝트 수행 의사를 지속 발표 중

(9)

비즈니스 환경 분석 터키 내 주요 프로젝트 현황 분류 프로젝트명 관련기업 사업내용 사업규모 비고 수주 차낙칼레 대교 건설 대림산업(25%) SK건설(25%) 3.5km 길이 세계 최장 현수교 건설 33억 달러 2017년 수주 2022년 개통 예정 수주 유라시아 해저터널 SK건설 보스포루스 해협 해저터널(5.4km) 건설 3.9억 달러 2016.12월 개통 관심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미정 총 12.2Km 규모 도로 및 터널 건설 30억 달러 발주예정 관심 이스탄불 운하 미정 이스탄불 인근 50km 길이 운하 건설 200억 달러 계획 발표 자료 : 무역관 자체 자료

석유화학 산업

⚬ 플라스틱 1차 원료를 수입해 완제품을 생산 후 국내외로 판매하는 구조로, 플라스틱 원료 수요 다대 - 터키 내 플라스틱 1차 원료를 생산 회사는 극소수로, 시장수요가 생산수요를 크게 초과해 향 후 1차 원료 수요 지속 예상

- 터키 최대 석유화학업체 PETKIM 사(社)의 설비 증설, SOCAR, CPEY 등 업체의 시장진입 및 생산 확대 그리고 해외 업체의 터키 판매 확대 등으로 향후 터키 플라스틱 원료시장은 경쟁 심화 예상 터키 내 플라스틱 원료 시장 현황 구분 규모(천 톤) 연평균증가율 2013년 2016년 2017년 국내수요 6,479 6,793 7,166 8.9% 생산량 1,014 1,014 1,014 -수입량 6,056 6,523 7,166 4.3% 수출량 591 744 833 8.9% 무역수지 -5,465 -5,779 -6,333 3.8% 자료 : 터키통계청 및 ITC 무역통계 ⚬ 플라스틱 원료 수입시장은 사우디아라비아, GCC 국가 등 산유국이 주도 중으로, 그 외 인도, 한국, 이집트 등에서도 제품 수입 중 - PP 시장은 사우디가 시장 주도 중이며, 인도, 한국, 이집트 등에서도 수입 중 - PE 시장은 GCC 국가가 시장 주도 중

(10)

의료기기 산업

⚬ 터키 정부의 보건 인프라 발전 계획 등으로 터키 내에서는 연 20억 달러 내외의 의료기기 수요가 꾸준히 발생 중 - 터키 정부는 고령화 추세 및 낙후된 보건 여건 등으로 Vision 2023 계획에 기반한 보건 인프 라 확충 프로젝트 지속 시행 중 ⚬ 그러나 열악한 의료기기 제조 기술로 수입산 의료기기가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 - 매년 약 17억 달러의 의료기기가 수입되며, 2018년 기준 미국(3.5억 달러, 23%), 독일(2.2억 달러, 14%), 중국(2.0억 달러, 약 13%) 순으로 수입시장 점유 중으로, 한국산은 0.5억 달러가 수입되어 수입시장의 약 3% 점유 중

가전 산업

⚬ 터키 내 백색가전 생산량은 연 2,800만 대 규모로, 유럽최대 규모(2018년 기준) - 제품별 생산량은 세탁기(800만 대), 냉장고(720만 대), 오븐(510만 대), 식기세척기(470만 대) 순 - Arcelik, Vestel 등 유럽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터키산 브랜드 외에도 Bosch,

Siemens 등 글로벌 브랜드가 터키 내 생산거점 운영 중 ⚬ 백색가전 수출량은 2,200만 대(2018년) 규모로, 세탁기(624만 대), 냉장고(547만 대), 오븐 (431만 대) 순으로 수출 중 -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지리적, 관세적 이점을 보유한 EU 국가가 주 수출 목적지

라. 정책・규제 환경

수입규제 동향

⚬ 2019년 상반기 기준 29개국 197개 품목에 대해 197건의 수입규제 조치 시행 중이며, 9건의 조사 진행 중 - 규제품목 : 섬유(19건), 철강금속(15건), 화학(9건) 순 - 규제형태 : 반덤핑(188건 규제 중, 17건 조사 중, 총 205건), 세이프가드(8건 규제 중, 2건 조사 중), 상계관세(1건 규제 중, 1건 조사 중) - 대상국가 : 시행 중인 반덤핑, 상계관세 기준 중국(63건), 인도, 베트남, 대만(13건), 말레이 시아, 태국(각 12건) 순 ⚬ 한국산 품목에 대한 수입규제는 전체 14건으로, 반덤핑 9건, 세이프가드 5건이며, 이 중 반덤핑 1건, 세이프가드 1건은 조사 진행 중 - 규제품목 : 화학제품 6건, 섬유류 4건, 그 외 품목 4건

(11)

비즈니스 환경 분석

통상정책 동향과 전망

⚬ 터키는 산업 육성을 위해 반덤핑, 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 조치를 적극 활용 중 - 경쟁력이 부족하거나 하락하고 있는 석유화학, 섬유 등 분야의 터키 제조업체가 터키정부에 수입규제 조치를 요청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으며, 터키정부는 이에 적극 대응 중 - 그러나 최근 자국 내 제조가 어려운 중간재 1,882개 품목의 관세 면제 조치를 시행하는 등 자 국기업 발전을 위한 수입규제 양면정책 활용 중 ⚬ 플라스틱 산업 등 터키정부에서 육성 추진 중인 일부 중간재 품목에 대해서는 세이프가드 등 수 입규제 조치가 가능하므로 시장 동향 모니터링 필요 - 터키는 완제품 제조업이 발달한 반면, 중간재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아 대다수의 중간재를 수 입 의존 중 ⚬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응해 수입산 철강제품 세이프가드 조사 및 미국산 수입물품 보복관 세 부과 등을 시행했으나, 2019년 중 철강제품 세이프가드 조사를 무혐의 조치하는 등 대응 수 위를 조절 중

다자무역협정 체결현황

⚬ 터키는 총 18건의 FTA 및 1건의 관세 동맹이 발효 중(2019년 6월말 기준) - 관세동맹 : EU - FTA : EFTA(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이스라엘, 마케도니아, 모로코, 팔레스타인, 튀니지, 이집트, 알바니아, 세르비아, 칠레, 조지아, 몬테네그로, 모리셔스, 대한 민국, 파로제도, 몰도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레바논, 코소보, 싱가포르 등 총 3개국과 FTA가 체결 완료되어 비준절차 진행 중이며, 일본, 우 크라이나, 태국 등과는 FTA 최종 협상 진행 중

주요정책(Vision 2023)

⚬ 터키정부는 공화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세계 경제 10대 대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Vision 2023 계획에 의거해 주요 분야 발전 추진 중 - 경제 : 세계 경제 10대 대국 진입, 연 수출 5천억 불 달성 등 - 에너지 : 원자력, 풍력, 지열 발전 규모 확대 - 의료 : 의료보험 제도 개편, 의료 인프라 확충 - 교통 : 철도, 고속철, 고속도로, 항만 인프라 확충

(12)

주요정책(제11차 경제개발계획, 2019~2023)

⚬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하는, 더 공정하게 분배하는, 더 강성하고 번영하는 터키’라는 비전 하에 자주적이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 및 복지 수준 향상을 목표로 하는 2019~2023년 기간 중 경제 개발 계획 - Vision 2023, 제10차 경제개발계획 등 주요 정책상 거시경제 목표를 최근 경기침체 등 여건을 반영해 수정 제시 제10차-11차 경제개발계획상 거시경제 목표 비교 구분 제10차 경제개발계 2023년 목표(2013) 제11차 경제개발계획 2023년 목표(2019) 현황 GDP 2조 달러 1조 800억 달러 7,840억 달러(2018) 1인당 GDP 25,000달러 12,484달러 9,632달러(2018) 수출액 5,000억 달러 2,226억 달러 1,680억 달러(2018) 실업률 5% 9.9% 14.1%(2019.3) 물가상승률 9.9% 5% 15.7%(2019.6) 자료 : 터키 대통령실 전략예산위원회 제11차 경제개발계획, 터키 통계청 자료 종합 ⚬ 터키 정부는 경제개발계획을 통해 경제 부분뿐만 아니라 산업, 인적자원, 환경, 사법 부문을 포괄하는 전반적 개혁방안을 제시하고, 생산 효율성 증대, 자국 기술 보유 등을 통해 세계 경제 대국 반열 진입을 목표로 함 제11차 경제개발계획 분야별 주요 내용 분야 목표 주요 내용 경제 정부재정, 국민소득, 대외무역 강화 - 수출 주도 성장을 기초로 하는 자주적이고 강력한 경제 모델 설립 - 수입 의존도 감소, 관광 수입 증진을 통한 경상 수지 감소 추진 - 기술 이전 위주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산업 산업경쟁력 및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구조적 변화와 복지 증대 - 우선 육성산업 위주 신용보증기금 집중 투입(제조업 분야에 전체 기금 의 50% 투입) - 중소기업진흥청(KOSGEB) 자금의 제조업 분야 투입을 75%까지 증대 - 경기부양 프로그램 시행을 통한 생산 구조 강화 및 투자 환경 개선 - 산업단지 내 장기 부동산 임대제도 활용통한 산업단지 안정화 인적 자원 인적자원 육성 강화 및 사회 전반에 걸친 포괄적 복지 시행 - 5세부터 의무교육 시행 - 사회보장제도 등 복지시스템 개선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 및 사회적 격차 해소 환경 환경보호 및 도시-농촌 간 개발 불균형 해소 - 지역별 개발사업 시행 통한 지역경제 발전 지원 -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 인프라 구축을 통한 농촌지역 삶의 질 개선 - 정부, 기업, 시민단체 간 협업을 통한 국민 환경의식 개선 - 자연재해 위험지역 선정 및 사전작업을 통한 자연재해 피해 예방 사법/ 행정 법치주의와 민주주의를 원칙으로 하는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정부 운영 - NGO 활동 지원 및 활성화 - 대통령실 민원센터(CIMER) 홍보 및 역할 강화 - 지방자치단체 기능 강화 자료 : 터키 대통령실 전략예산위원회 제11차 경제개발계획

(13)

비즈니스 환경 분석

2

시장 분석

※ 예로부터 동서양 교역의 중심지로 알려진 터키는 현재도 8천만 명 이상의 인구와 두터운 소비층 그리고 터키 업체의 풍부한 인근 지역 네트워크 등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음 한국과의 교역은 연 60억 달러 내외로, 2013년 한-터 FTA 발효 이후 점차 확대 추세에 있으며, 한국기업의 진출 역시 활발히 진행 중

가. 시장 특성 및 전략적 가치

시장규모 및 성장잠재력 등에서 중동지역을 대표하는 시장

⚬ 거대인구(8,200만 명) 및 두터운 소비층(30세 이하 청년인구 49%)을 바탕으로 내수시장이 활성 화되고 대외 교역도 증가 추세 * 환율하락, 물가상승의 영향으로 2018년 이후 경기침체 중이나, 2019년 하반기 이후 회복예상 ⚬ 제조업 발달로 유럽 및 주변국의 생산기지 역할 수행 - 자동차, 전자, 섬유 등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나 중간재는 수입에 의존 * 부품・설비 수입 → 터키 내 제조 → 주변국 수출의 산업구조로 부품・설비 수입수요 다대 ⚬ ‘비전 2023’ 정책에 기반을 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 발전, 병원, 교량, 철도 등 각종 인프라 건설 수요 지속 중

유럽과 아시아, 중동에 걸친 지정학적 중요성 활용가능 시장

⚬ 터키 기업, 주변 중동, 중앙아시아에 걸친 두터운 네트워크 보유 중으로 제3국 공동 진출 가능 - 한국의 기술과 터키의 네트워크가 결합된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공동진출 유망 ⚬ 한-터키 FTA를 지렛대 삼아 주변국으로 경제영토 확대가능 - 터키 FTA 체결국 중 중동(이집트, 요르단 등 6개국), 북아프리카(모로코 등 2개국) 지역 국가는 한국과 FTA 미체결 중 ⚬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열강과의 갈등요인은 경제의 불안 요소

형제의 나라로 여길 만큼 한국에 우호적 성향

⚬ 역사적 연관성, 한국전 참전과 2002 월드컵 등으로 인한 친(親) 한국 성향과 더불어 최근 한류 붐으로 인한 한국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 존재 - K-뷰티, 한류 소비재 및 콘텐츠 상품 등 수출 기회로 활용 가능

(14)

나. 교역

연도별 무역 동향

⚬ 2018년 말 기준 수출 1,680억 달러, 수입 2,230억 달러로 전년 대비 수출은 7.0%가 증가했으며, 수입은 4.6% 감소했고, 대외 무역적자는 55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8.4%가 감소 터키의 연도별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수출 (증감률) 152,137 (-0.2) 157,490 (3.5) 143,743 (-8.7) 142,467 (-0.9) 156,993 (10.3) 168,023 (7.0) 수입 (증감률) 251,955 (6.5) 241,733 (-4.0) 206,866 (-14.4) 198,532 (-4.0) 233,800 (18.0) 223,039 (-4.6) 무역수지 (증감률) -99,818 (18.7) -84,243 (-15.6) -63,123 (-25.0) -56,065 (-11.2) -73,807 (37.6) -55,016 (-28.4) 자료 : World Trade Atlas

국가별 무역 동향

⚬ 독일이 터키의 최대 교역 국가이며, EU와의 교역 비중이 전체 교역량의 42.1%(2018년)를 점유 하는 등 대외교역의 유럽의존도가 높음 - 한국과의 교역액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2018년 기준 교역량 총액 72억 달러(수입 60억 달러, 수출 12억 달러) 기록 주요 국가별 터키 수출 및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수출(FOB 가격 기준) 수입(CIF 가격 기준) 국가명 2017년 2018년 증감률 국가명 2017년 2018년 증감률 전체 156,992 168,023 7.0 전체 233,799 223,039 -4.6 1 독일 15,119 16,144 6.8 러시아 19,514 21,990 12.7 2 영국 9,603 11,113 15.7 중국 23,371 20,719 -11.3 3 이탈리아 8,473 9,566 12.9 독일 21,301 20,407 -4.2 4 이라크 9,055 8,351 -7.8 미국 11,952 12,378 3.6 5 미국 8,654 8,306 -4.0 이탈리아 11,305 10,154 -10.2 6 스페인 6,302 7,710 22.3 인도 6,217 7,536 21.2 7 프랑스 6,584 7,289 10.7 영국 6,549 7,446 13.7 8 네덜란드 3,864 4,778 23.6 프랑스 8,071 7.413 -8.2 9 이스라엘 3,407 3,900 14.5 이란 7,492 6,931 -7.5 10 벨기에 3,151 3,952 25.4 대한민국 6,609 6,343 -4.0 자료 : World Trade Atlas

(15)

비즈니스 환경 분석

품목별 무역 동향

⚬ 주요 수출품목 : 자동차, 기계류, 의류, 철강 등 터키의 10대 수출품목 (단위 : 백만달러,%) 순위 HSCODE 품목 2017년 2018년 증감률 1 87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23,941 26,759 11.8 2 84 기계 및 기계부품 13,825 15,832 14.5 3 72 철강 8,230 11,576 40.6 4 61 의류(니트) 8,840 9,054 12.4 5 85 전자기계 장치 8,090 8,726 7.9 6 71 귀금속(금) 10,879 7,171 -34.1 7 73 철강 제품 5,589 6,547 16.9 8 62 의류(니트 제외) 5,948 6,269 5.4 9 39 플라스틱류 5,474 6,045 10.4 10 27 광물성연료 4,327 4,418 2.1

자료 : World Trade Atlas

⚬ 주요 수입품목 : 광물성 연료, 기계류, 철강 등 원자재 및 중간재 터키의 10대 수입품목 (단위 : 백만달러, %) 순위 HSCODE 품목 2017 2018 증감률 1 27 광물성연료 37,205 42,999 15.6 2 84 기계 및 기계부품 27,164 25,767 -5.1 3 85 전자기계 장치 21,152 16,569 -21.7 4 72 철강 16,762 18,401 9.8 5 87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17,427 13,895 -20.3 6 39 플라스틱류 13,265 12,938 -2.5 7 71 귀금속(금) 17,444 12,557 -28.0 8 29 유기화학 제품 5,388 5,972 10.9 9 90 광학정밀기기 4,999 4,684 -6.3 10 30 의약품 4,449 4,363 -1.9

자료 : World Trade Atlas

다. 투자진출

1970년대 이후 누적 약 2,000억 달러의 외국인 투자가 터키로 유입

(16)

⚬ 국가별 투자액 : 영국(12%), 네덜란드(12%), 걸프연합(9%), 미국(9%) 순 ⚬ 투자분야 : 금융(35%), 제조업(24%), 에너지(12%), 정보통신(8%) 순 터키의 외국인 투자유치 및 해외투자 현황 (단위 : 백만달러) 순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투자유치 12,972 18,989 13,705 11,478 12,944 해외투자 6,685 4,811 2,893 2,633 3,608 자료 : UNCTAD STAT

터키정부는 지역별, 규모별, 분야별 투자인센티브 제도 활용 외국인투자 촉진 중

⚬ 지역 : 터키 전역을 개발 정도에 따라 6개 권역으로 구분해 인센티브 차등 지원 ⚬ 규모 : 산업별 최소투자액 이상 투자 시 추가 인센티브 지원 ⚬ 산업 : 서비스업, 제조업 등 전략산업 투자 시 추가 인센티브 지원

(17)

비즈니스 환경 분석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가. 교역

한-터 무역동향

⚬ 한국의 대(對)터키 교역 총액은 2018년 말 기준 72억 달러 수준이며,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월등히 높은 무역수지 흑자를 지속적 유지 한국의 대(對)터키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수출 6,385 -9.4 6,615 3.6 6,341 -4.1 수입 519 -8.7 585 12.7 929 58.9 교역총액 6,904 -9.4 7,200 4.3 7,270 1.0 무역수지 5,866 -9.5 6,030 2.8 5,412 -10.3 자료 : World Trade Atlas

주요 수출입 품목

⚬ 주요 수출품목 : 플라스틱류, 철강,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기계 및 기계부품, 유기화학 제품 등 산업재가 주종 한국의 대(對)터키 10대 수출품목 (단위 : 백만달러, %) 순위 HS 품목명 2016년 2017년 2018년 증감률 (18/17) 수출총액 6,385,540 6,615,253 6,341,309 -4.1 1 39 플라스틱류 1,077,129 1,226,203 1,184,525 -3.4 2 72 철강 872,847 908,353 915,454 0.8 3 84 기계 및 기계부품 898,323 790,243 735,265 -7.0 4 85 전자기계 장치 1,053,294 765,581 608,440 -20.5 5 87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720,499 705,428 571,434 -19.0 6 29 유기화학 제품 308,749 357,142 420,452 17.7 7 30 의약품류 210,714 174,968 377,126 115.5 8 54 인조필라멘트 171,797 190,106 219,545 15.5 9 89 선박류 39,219 289,282 157,500 -45.6 10 90 광학기기 223,964 161,903 118,592 -26.8 자료 : World Trade Atlas

(18)

⚬ 주요 수입품목 : 의약품, 기계 및 기계부품, 자동차 부품 등 한국의 대(對)터키 10대 수입품목 (단위 : 천 달러, %) 순위 HS 품목명 2016년 2017년 2018년 증감률 (18/17) 수입총액 518,896 584,891 929,092 58.85 1 30 의약품 165,089 136,742 354,582 159.3 2 84 기계 및 기계부품 66,784 68,940 85,110 23.5 3 87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14,226 26,628 70,652 165.3 4 26 수목 및 식물류 36,305 88,955 66,139 -25.7 5 27 광물성연료 10,771 23,687 32,564 37.5 6 74 동과 그 제품 2,630 5,910 25,810 336.7 7 43 모피, 인조모피 5,015 8,818 22,848 159.1 8 03 어패류 6,308 9.639 22,847 137.0 9 28 무기화합물 14,950 15,024 20,268 34.9 10 85 전자기계장치 38,105 22,135 18,209 -17.7 자료 : World Trade Atlas

수출 성공 사례

⚬ 맞춤형 수출전략 수립을 통한 수출 성공 사례 - 차량용 부품 제조사 A사(社)는 자사 내비게이션 제품의 터키 Renault 납품을 타진했으나, Reanult 담당자는 내비게이션 구매 결정권은 프랑스에 소재한 본사 담당자가 보유하고 있음 을 사유로 구매 거절 - A사(社) 담당자는 현지 Renault 구매 담당자가 완성차 내 사양 반영에 대한 권한은 없으나, 차량 출고 후 장착되는 액세서리에 대한 구매 권한은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내비게이션 대신 차량용 무선충전기를 판매 추진 - 최초 만남 이후 5개월간의 협의 끝에 A사(社)는 2019년 초 차량용 무선충전기 500세트 초도 물량 수출 성공

수출 실패 사례

⚬ 수입규제 대응 실패로 인한 벽지류 수출 실패 사례 - 2015년도까지 한국산 벽지류는 연 3,500만 달러 내외가 터키로 수출되어 터키 수입시장의 50% 내외를 점유 중이었음 - 터키 정부는 과도한 벽지류 유입에 대응해 2014년 말부터 벽지류 세이프가드 조사를 시행하 고, 이후 2015년 7월 최종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수입산 벽지류에 5달러/kg의 추가관세를 부 과함을 공표

(19)

비즈니스 환경 분석 - 터키 정부는 통상 수입규제 시행 시 일부 이의제기한 기업 대상으로 낮은 수준의 추가관세율 을 부과하곤 하나, 벽지류 수입규제에 있어 우리기업 중 낮은 수준의 추가관세율을 적용받은 기업은 없음 - 이에 한국산 벽지류 수입은 2016년부터 90% 이상 감소, 이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기업은 향후 터키정부 수입규제 조사 발표 시 이의제기 등을 통해 적극 대응하여 관세율 면제 또는 할인 혜 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 있음

나. 투자・프로젝트

한국의 대(對)터키 투자진출 및 프로젝트 수주 활발

⚬ 제조업 위주의 대(對)터키 해외직접투자는 누계 기준 33억 달러로 우리나라 해외투자 총액의 0.5% 차지 - 자동차, 제철, 전자, 섬유 등 대기업 위주 투자 중 한국 대(對)터키 투자 추이 (단위 : 백만 달러, 건, 개사) 구 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누계 신고금액 117 242 757 178 569 3,276 신고건수 61 53 41 52 70 720 신규법인수 10 7 9 9 8 169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최근 주요 투자 및 계획 기업명 주요활동 투자규모(달러) 비고 롯데케미칼 2019년 현지 대리석 제조사 벨렌코 인수 110백만 연산 23만장 CGV 2016년 현지 최대 엔터테인먼트 인수 670백만 800스크린 현대자동차 1997년 이즈미트, 자동차 공장 합작 투자 2012 공장 증액투자, ’14년 증산 실시 256백만 연산 20만 대 포스코 2010년 부르사, 철강재 가공서비스 24백만 연산 17만 톤 2013년 이즈미트, 스테인리스 스틸 냉연공장 350백만 연산 20만 톤 효성 2007년 이스탄불 인근 스판덱스 생산공장 설립 160백만 연산 1.5만 톤 자료 : 무역관 자체 자료 ⚬ 비전 2023 계획에 의거한 대형 프로젝트 발주 확대에 대응해 국내기업 프로젝트 수주 확대 중 - 인프라 건설 위주에서 최근 신재생에너지 등으로의 분야 다변화 중

(20)

주요 수주 및 관심 프로젝트 분류 프로젝트명 관련기업 사업내용 사업규모 비고 수주 차낙칼레 대교 건설 대림산업(25%) SK건설(25%) 3.5km 길이 세계 최장 현수교 건설 33억 달러 2017년 수주 2022년 개통 예정 수주 유라시아 해저터널 SK건설 보스포루스 해협 해저터널(5.4km) 건설 3.9억 달러 2016년 12월 개통 관심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미정 총 12.2Km 규모 도로 및 터널 건설 30억 달러 발주예정 관심 이스탄불 운하 미정 이스탄불 인근 50km 길이 운하 건설 200억 달러 계획 발표

대(對)터키 투자진출 성공 사례

⚬ 현대자동차 터키 공장 - 1997년 현대자동차 최초의 해외공장으로 설립된 터키 공장은 지속 확장하여 현재 i10, i20 등 소형차 위주 연 23만 대 생산규모 보유 - 현지 근로자 문화존중(터키 참가 국가대항전 공동 응원, 예배시간 보장 등), CSR 활동(참전용 사 가족 지원, 사회적 취약계층 지원 등)을 통해 현지 사회와 성공적으로 융합한 터키 공장은 현대자동차 전 세계 공장 중 최고 수준의 생산성을 보유 중이며, 터키 8대 기업으로 자리 매김 중(연 매출 2.7조 원, 2016년) - 시사점 : 낮은 생산성, 노사갈등 등으로 고민하는 타 기업 대비 현대자동차 터키 공장은 현지 문화와의 융화를 통해 현지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임을 고려하면, 현지 진출 시 한국식 방식 (‘빨리빨리’, ‘하면 된다’ 등)만을 고집하기보다는 현지 문화와 적극 융화한 상생 문화 구축 필요

다. 주요 경제협력 의제

과학기술 및 ICT 분야 협력

⚬ 2018년 5월 정상회담 시 양국 정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공동대응을 위해 양국이 과학기술 및 R&D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로 협의 - 양국은 이후 전문가 회의를 통해 ▲ 태양광, 원전 등 신에너지 분야, ▲ 테러예방을 위한 과학 기술, ▲ 방위산업시스템 분야 신기술, ▲ 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 등을 세부 협력 과제로 논의

(21)

진출전략 ※ 경기 침체, 지정학적 리스크 상존 등의 위협요인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에겐 터키 내 새로운 트렌드(4차 산 업혁명, 온라인 시장 확대, 한류 확산 등)에 맞춘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기존과 같이 터키 내 소재한 글로벌 제조업체 대상 소재부품 납품 역시 우리기업에게 유용한 진출전략이 될 수 있음

1

SWOT 분석 및 전략도출

<터키 시장 SWOT 분석>

S

W

O

T

∙ 두터운 청년층을 중심으로 소비인구 급증 ∙ 제조업 발전-원부자재 수입 수요 다대 ∙ 다양한 외국인투자 인센티브 지원제도 ∙ 현지 기업의 두터운 중동, 중앙아 네트워크 ∙ 국내외 지정학 리스크 상존 ∙ 저성장 추세 고착화 예상 ∙ 불확실한 행정 처리 ∙ 완제품 제조업 대비 취약한 중간재 제조업 ∙ 수출주도형 제조업 안정 유지 예상 ∙ 전자상거래 시장 최근 급속 성장 ∙ 한-터 FTA 체결에 따른 관세 이익 ∙ 타깃 산업 집중 육성의지 천명 ∙ 인센티브 제도 등을 활용한 원부자재 국산화 전략 ∙ 적극적인 수입규제 시행 ∙ 품질경쟁력 강화된 중국산 제품 유입 확대 ∙ 터키-일본 FTA 체결 추진 강 점(Strength) 약 점(Weakness) 기 회(Opportunity) 위 협(Threat) 전략방향 세부전략 진출전략 SO 전략 (역량 확대) ∙ 한-터 FTA 관세 이익 활용한 해외 수출형 완성품 제조업체 대 상 원부자재 판매 타진 글로벌 파트너링 협력 강화 ST 전략 (강점 활용) ∙ 두터운 소비인구와 소득 성장세 감안, 소비재 시장 지속 확대 예상 ∙ 중국제품 유입 확대에 대응, 한류를 결합한 상품 판매를 통해 현지 소비재 틈새시장 공략 한류 활용 소비재 시장 진출 확대 WO 전략 (기회 포착) ∙ 터키정부 타깃 산업 육성 방침에 따른 신규 공장 설비 및 기존 공장 설비 확충 수요에 대응 공장자동화 설비 납품 추진 WT 전략 (위협 대응) ∙ 완제품 제조업 대비 취약한 중간재 제조업 ∙ 수입규제, 국산화 전략 대응 터키 내 생산 추진 터키 내 중간재 생산시설 구축 2020 국별 진출전략 터키

. 진출전략

(22)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글로벌 파트너링 협력사업 강화 ○ 터키 대형 자동차/가전업체 대상 부품공급 확대 ○ 전력기자재, IT 등 신규 협력수요 발굴 추진 소비재 시장 진출확대 ○ 현지 한국 소비재 전문 벤더와 협업 통한 초기 시장 진출 후 물품 판매 이력을 활용해 현지 대형유통망 진입 타진 공장 자동화 설비 납품 추진 ○ 주요 대기업 공장 자동화 수요에 대응한 설비 납품 추진 ○ 자국 기술개발 장려 정책에 대응해 부품납품 → 설비납품으로의 터키 대기업과의 협력 패러다임 변경 추진 터키내 생산시설 구축 ○ 터키정부 국산화 전략(자국산 우대 규정, 수입규제 등) 대응 ○ EU 등 터키의 FTA 네트워크 및 지리적 인접성 활용 인근 국 공략

New Paradigm,

New Possibility

변화하는 터키, 발전하는 터키,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한 시장 공략

(23)

진출전략

2-1. 글로벌 파트너링을 통한 한-터 산업협력 활성화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글로벌 제조업체, 터키를 유럽향 생산기지로 활용 중 * 글로벌 완성차, 전기전자 업체들은 터키 내 직간접 진출 방식을 통해 공장 설립 ○ 터키 대기업, 탄탄한 내수시장 수요를 바탕으로 IT, 가전 등 분야에서 성장 중 * 아르첼릭, 베스텔 등 터키가전 생산업체는 터키 내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해 유럽시장 점유율 확대 중 ○ 풍부한 완제품 생산여건 대비 역내 중간재 조달 여건은 불충분한 상황으로, 중간재 공급을 통한 한-터 기업 간 글로벌 파트너링 수요 다대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탄탄한 내수시장 및 유럽과의 관세동맹을 기반으로 한 터키는 글로벌 기업의 유럽향 생산기지로 자리매김 - 포드, 피아트, 현대차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는 터키 내 직접 공장을 설립하였으며, GE 등 가 전업계는 터키업체와 OEM 제휴를 통해 간접진출 중 - 이와 더불어, 터키의 가전(아르첼릭, 베스텔 등), IT(투르크셀, 투르크텔레콤 등), 송배전 업체 (국영기업 위주) 등은 탄탄한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확대 성장 중 ○ 글로벌 제조업체의 신규 진출 및 터키 대기업의 신산업 진출로 향후 터키내 완성품 제조위한 중 간재 수요 지속 예상 - 폭스바겐 공장 설립(추진 중) 및 터키 자체 브랜드 전기자동차 생산(2022년 판매 예정) 등 현지 완성품 생산 확대계획 감안시 향후 중간재 수요 지속 예상 ⚬ 그러나 역내 중간재 생산여건은 완성품 제조여건 대비 부족한 상황으로 완성품 제조 위한 중간재 수입수요 지속 발생 중 - 터키정부는 중간재 제조업 육성을 지속 천명 중임에도 중간재 수입액은 매년 터키 전체 수입 액의 70% 이상을 점유 중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터키내 대기업 구매담당자 접촉 통한 수요 발굴 및 납품 추진 - 글로벌 업체 터키공장은 구매권한이 제한적이므로 해당 업체 본사 구매담당자 접촉시 효율적 으로 납품 진행 가능

- 터키에 본사 소재한 대기업 구매담당자는 KOTRA 서비스(Global Partnering 상담회, 사업파 트너연결지원 서비스), 터키 및 유럽지역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해 접촉 가능

(24)

○ (유망품목) 자동차 부품, 백색가전 자재 등 수요 발굴 완료, IT, 전력기자재 분야 수요 추가 발굴 추진 중

2019~2020년 KOTRA GP사업 타겟 터키 글로벌기업

업체명 Fiat Renault Arcelik Vestel

매출액(2018) 39억달러 42억달러 54억달러 32억달러 품목 완성차 TV, 백색가전

2-2. 한국 소비재 전문 벤더를 활용한 소비재 시장 진출확대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8,200만명의 인구와 높은 청년인구 비율을 지닌 터키의 유통시장 규모 25억 달러 내외 유지 중 ○ 우리 중소 소비재 기업의 Carrefour, Migros 등 현지 대형 유통망 진입의 가장 큰 장애물은 브랜드 인지도 및 가격 경쟁력 부재 ○ 최근 확대 추세인 한국 소비재 전문 벤더를 통해 제품 시장성 확인 후 현지 대형 유통망 납품 타진 가능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터키의 소매시장 및 온라인 시장 규모는 지속 증가 중

- Carrefour, Migros 등 글로벌 오프라인 유통망, E-Bay, SK11번가, Amazon 등 글로벌 온라인 유통망 및 터키 자체 유통망을 기반으로 터키 소매시장 지속 확대 중 터키 유통시장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체 유통시장 규모 296,551 300,000 248,780 233,962 온라인 유통시장 규모 8,600 9,000 10,200 12,400 온라인 비중 2.9% 3.5% 4.1% 5.3% 자료 : Deloitte ○ 브랜드 인지도와 중국산 대비 부족한 가격경쟁력은 한국 업체의 현지 유통망 입점의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현지 대형 유통망 담당자 의견) ○ 약 20여만 명의 한류팬을 기반으로 한 한국 소비재 수요 발생 중으로, 최근 한국 소비재 전문 취급 업체 확대 중 - 최초 온라인 오픈마켓 벤더 1개사만이 있었으나, 최근 유명백화점내 한국 소비재 취급 전문점 개설 수요 발생 중

(25)

진출전략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한국 소비재 전문 벤더 통해 시장성 평가 진행(소규모 판매) 후 판매 이력을 활용해 현지 대형 유통망 납품 타진 ○ (유망품목) 뷰티제품군 - K-Beauty에 대한 관심도 증대로 한국산 뷰티제품 수요 확대 중

2-3. 4차 산업혁명 수요에 대응한 공장자동화 설비납품 추진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터키 내에서도 공장자동화를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 추진 중 * Hugo Boss 등 일부 외국계 제조기업에만 스마트 팩토리 구축완료되었으며, 그 외 기업은 초기 구축 단계 ○ 터키 대형 제조업체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 위한 공장자동화 솔루션 도입 지원 요청 중으로, 기계 제조업체-솔루션 제조업체 간 합작 통해 공장자동화 설비 납품 가능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인공 지능, 인터넷 기술 등에 기반해 전세계적인 4차 산업혁명 진행 중 - 제조업 분야에서는 초연결과 초지능에 기초해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스마트팩토리가 확산 추세 ○ 터키정부는 사이버보안 강화, 사물 인터넷에 기반한 연결성 강화, 스마트팩토리의 확대를 3대 목 표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추진 중(TUBITAK, 4차산업혁명 로드맵, 2016년 발표) - 터키 내에서는 Hugo Boss 등 외국계 제조기업이 스마트팩토리 우수사례로 부각되고 있으며, 제조업계 전반에서 생산성 효율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구축 확대 중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공장자동화 솔루션 납품을 통한 대형 제조업체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 기계 제조업체-솔루션 제조업체 간 합작을 통한 공장자동화 솔루션 전체 납품 추진 * Arcelik, Vestel 등 현지 대형 제조업체에서는 한국산 공장자동화 솔루션 도입 희망 중

- 개별 업체 차원의 접촉 불가시 KOTRA Global Partnering 상담회 참가, 사업파트너연결지원 서비스 등 활용 의사 타진 가능

- 제품 판매 위한 신기술 개발 등이 필요할 경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의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 지원을 통해 최대 2년, 5억원 이내(사업비의 65% 이내)의 연구개발비 수혜 가능 ○ (유망품목) 공장자동화 솔루션

(26)

2-4. 터키내 생산시설 구축을 통한 국산화 전략 대응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터키정부, 무역수지 적자 지속에 대한 대응책으로 물품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중 * 기계, 화학, 의료기기 등 중점분야 투자에 대해 정부입찰 우대, R&D, 투자인센티브 우대 등 혜택 제공 ○ 터키정부의 지속되는 제품 국산화 정책을 고려시 현지 생산시설 구축을 통한 터키 및 인근지 공략 고려 필요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터키정부, 중간재산업 및 신산업 발전위한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무역수지적자 감축을 위해 주요 입찰 대상 로컬컨텐츠 규정 활용, 수입규제 조치, R&D 인센 티브 지원, 국산 물품 소비장려운동 등 제품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중 ○ 정부 우선 육성산업에 대한 터키기업의 합작 수요는 지속 - 터키기업은 화학(수입의존도 90%↑), 의료기기(수입의존도 85%↑), 의약(오리지널 의약품 수 입 의존) 등 분야 및 완제품 중간재(핵심부품 수입 의존)에 대해 터키자본+해외기술 형태의 합작투자 희망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터키 대기업과의 합작 통한 터키내 생산거점 설립 - 합작투자는 단독투자 대비 합작기업 내 의사결정이 어려우나, 초기 투자비용 절감, 대(對)정부 협상력 강화 등의 이점을 보유

* 한-터 합작 예시 : 현대차(+Kibar), 포스코(+Kibar), SK11번가(+Dogus), LG전자(+Arcelik) 등

(27)

진출전략 ○ (유망분야) 소재부품 분야 - 터키는 글로벌 완제품 제조업체의 유럽향 생산기지로 소재부품 수요 다대 - 글로벌 완제품 제조업체는 로컬컨텐츠 규정 충족을 위해 동일 제품에 대해서는 해외수입보다 는 국내 조달을 선호하므로, 현지 생산거점 설립 통해 글로벌 완제품 제조업체 납품타진 가능

(28)

3

한-터키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스마트시티 ○ 정부간 협력사업 추진 통한 국내 스마트시티 유관 기업의 패키지형 현지진출 지원 방산 ○ 대형 전문전시회 및 민관네트워크 활용 통한 현지진출 지원 인프라 프로젝트 ○ 주요 프로젝트 발주처와의 민관합동 워크샵 개최 통한 협력 강화

Amplification

with

Government

정부간 협력을 통한 민간협력 수요 증폭 지원

(29)

진출전략

3-1. 정부간 협력사업 추진 통한 국내 스마트시티 유관 기업의 패키지형 현지진출

지원

산업여건 및 전략적 가치 ○ 터키 정부의 스마트시티 전략 및 실행계획(2019~2022)을 통해 창출되고 있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시장기회 선점 *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에 중점을 둔 전략으로, ITS,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등 수요 지속 예상 ○ 국가차원에서 집중 추진중인 신산업 유망분야의 민관협력 해외진출 사업모델 개발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터키 정부는 스마트시티 전략 및 실행계획(2019~2022)에 의거, 스마트에너지, 대중교통 등 17개 세부분야 개발을 통한 국가전체의 스마트시티화 추진 중 - 환경도시개발부 주관으로, 스마트시티 신규 조성보다는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를 중점 추진 ○ 양국 정부는 관련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심화를 합의한 바 있음 - 국토교통부는 터키 교통해양통신부와 도로, 철도, 교통기술 등 3건의 업무협약(MOU)를 체결 (’17.3.17) - 양국 정상은 정상회담을 통해 교통, 인프라, 에너지, 방위산업 등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나가 기로 합의(’18.5.2)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유관 현지 정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국내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지원 - 현지 스마트시티 전시회와 연계한 정부간 협업사업 개최를 통한 국내업체와 현지 발주처 및 에이전트간 네트워킹 지원 ○ (유망품목) ITS 및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구축 - 고속도로 개선 및 확충에 따라 요금징수, 속도측정 설비 등 ITS 수요 지속 예상 - 터키정부는 스마트그리드 2023 로드맵을 통해 국가 전력효율 강화 추진 중으로, 전력효율 진 단 및 향상 시스템 구축 수요 지속 발생 예상 * ITS(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 도로, 교통 인프라 및 운행, 요금징수 등의 분야에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여 신속, 안전, 쾌적한 차세대 교통체계를 구현하는 정보시스템

(30)

3-2. 대형 전문전시회 활용 및 민관 네트워크 활용 방산기업 현지진출 지원

산업여건 및 전략적 가치 ○ 역내 정세불안 등으로 터키내 방산시장 역시 지속 성장 중 * ’17년 기준 전년대비 시장규모는 12%, 수입액은 20% 성장 ○ 한터 국방장관 회담에서 양국 간 방산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실질적인 협력제고방안을 논의(‘17.8.6)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역내 정세불안 등으로 터키 방산시장은 최근 급속도로 성장중 * ’18년 기준 전년대비 성장률 : 시장규모 31%, 수입액 59%, 국방예산 40.7%(현지화 기준) ○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바, 방위사업청은 터키를 10대 방산수출유망국으로 선정 * 2018 방산수출 10대 유망국가, KIET, ’17.12월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진출전략) 절충교역, 직접판매, 기술협력 등 다각적 진출기회 발굴을 통해 우리 기업/제품의 터 키내 방산 밸류체인 편입 확대 필요 - 현지 국제전시회(IDEF 2019), 국내 전시회(KODAS) 등을 통한 현지 방산기업 및 유관기관과 의 네트워크 구축 필요 - 역내 방산분야 강국인 터키와의 협력강화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라크 등 주요 수출 대상국에 대한 수출확대효과 기대 ○ (유망품목) 터키는 향후 5년간 공격헬기, 조기경보기, 고등훈련기 및 기본훈련기 등에 대한 수요가 예상됨 - 특히 자체개발 중인 전투기, 전차, 함정 등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부품(전차 파 워팩 등) 및 기술(함정 탑재체 기술 등)에 대한 개발 파트너를 모색중 -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한・터키 간 전투기, 고등 훈련기, 전차 등 첨단 무기체계 공동개발 프 로젝트 타진 가능성 검토 필요 - 또한 지연되고 있는 KT-1 기본훈련기 2차 도입사업과, T-50 훈련기 사업, 전투기 사업 등의 분야에서 협력가능성이 높음

(31)

진출전략

3-3. 주요 프로젝트 발주처와의 민관협력 워크샵 개최 통한 협력 강화

산업여건 및 전략적 가치 ○ 터키 정부, Vision 2023 계획에 기반한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지속 발주 예정 *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이스탄불 운하 등 ○ 한국 건설기업은 폭넓은 현지 건설프로젝트 수행 경험 보유 * 유라시아 터널, 차낙칼레 대교, 콘야 태양광 발전소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 보유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터키 정부는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Vision 2023 계획에 의거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추진 예정 - 경기 침체로 일부 대형 프로젝트 발주가 지연 중이나, 터키 정부는 프로젝트 수행 의사를 지속 발표 중 ○ 한국기업은 교량 건설, 태양광 발전소 건설 등 현지에서 다양한 분야의 대형 프로젝트 수행 경험 보유 중 터키내 주요 프로젝트 현황 분류 프로젝트명 관련기업 사업내용 사업규모 비고 수주 차낙칼레 대교 건설 대림산업(25%) SK건설(25%) 3.5km 길이 세계 최장 현수교 건설 33억 달러 ’17년 수주 ’22년 개통 예정 수주 유라시아 해저터널 SK건설 보스포러스 해협 해저터널(5.4km) 건설 3.9억 달러 ’16.12월 개통 관심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미정 총 12.2Km 규모 도로 및 터널 건설 30억 달러 발주예정 관심 이스탄불 운하 미정 이스탄불 인근 50km 길이 운하 건설 200억 달러 계획 발표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향후 발주 예상되는 프로젝트 발주처와의 민관협력 워크샵 개최 통한 네트워킹 강화 및 프로젝트 정보 입수 필요 - 현지 교통부, 도로공사 등은 프로젝트 입찰 설계 등을 위해 각 국 정부기관 및 유력기업과 협력 워크샵 개최 중 - 발주처 대상 정부 또는 개별 기업에서 제안하여 민관협력 워크샵 개최 가능하므로, 적극 추진 필요

(32)

4

진출 시 유의사항

대금결제 의무 불이행 원산지 신고서 작성 (현황) 외상거래 요구 후 대금 미지급 또는 대금할인 요구 사례 발생 - 일부 바이어는 경제 사정 등을 사유로 최초 거래부터 외상거래를 요청 - 외상거래 후 바이어가 대금을 미지급하거나, 수입 절차 진행기간 중 리라화 가치하락을 사유로 대금 할인 요청 빈번 ▪ (대응전략) 외상거래 자제, 신용장 또는 T/T 거래 중심 무역 필요 (현황) 한-터 FTA 원산지 신고기준을 미준수한 기업에 대한 사후 벌금청구 사례 발생 중 - 원산지 신고서상 자필서명 미기재(전자서명으로 대체), 제3국 중계무역 시 중계무역 업체가 원산지 신고 문안 작성 등 FTA 원산지 신고 기준에 맞지 않는 원산지 신고서를 통한 통관 건에 대해 벌금 부과 사례 다수 발생 ▪ (대응전략) 한-터 FTA 원산지 신고기준에 맞는 원산지 신고서 작성 필요 독점 에이전트 계약 이슈 지식재산권 문제 (현황) 현지 문화를 사유로 최초 계약 시부터 독점 계약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무리한 판매 목표액 설정, 과도한 자기 업체 홍보 등으로 해외업체를 현혹한 후 현지 상관습을 사유로 독점계약을 요구함 ▪ (대응전략) 최초 계약 시부터 독점 계약체결은 자제, 오랜 기간 거래를 통해 신뢰형성이 된 업체와만 독점 계약 체결 필요 (현황) 에이전트 업체가 한국업체의 상표권을 현지 등록한 후 계약 만료 후에도 자사의 상표권이라 주장하는 경우가 발생 중 (대응전략) 에이전트 계약 시 상표권의 귀속 여부 및 유사상품 판매에 대한 금지조항 삽입 필요 한국과 상이한 협상 문화 현지 관행 (현황) 협상 시에, 심지어는 협상 완료 후에도 합의된 사항을 외부사정을 사유로 변경 요청하는 경우가 많음(대응전략) 협상 시 주요 협의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록 후 공유 필요 - 주요 협의 사항에 대해서는 서면으로 증거를 남겨 협상에 활용 - 협상 완료 후에는 계약서 등 문서를 통해 합의 내용을 기록 후 공유 ▪ (현황) 터키 바이어들은 이슬람 문화에 기반한 고유의 상관습을 가지고 있음 - 약속 관념이 약해서 모든 일을 자기 편의로 생각하고, 자기 실수나 과실은 인정하려 하지 않는 태도가 강함 - 아쉬운 상황에서는 지나치게 친절하다가도, 조그만 손실이라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돌아서는 표리부동한 태도를 보이곤 함 ▪ (대응전략) 현지 상관습에 대한 이해 필요

(33)

첨부

첨부 1

수출유망품목(상품)

품목명 1 HS Code 3304 수입관세율(%) 0 화장품류 수입액(’18/US$백만) 286 대한수입액(’18/US$백만) 10 선정사유 20여 만명의 한류팬을 기반으로 K뷰티 제품 수요 지속 발생 중(연 20% 이상 수 입액 성장 중) 시장동향 터키 뷰티시장은 연 35억 달러 규모로, 연 10억 달러 이상(3304 외 HS Code 포함)이 해외에서 수입 중 경쟁동향 프랑스, 독일, 미국 등에서 수입된 유명브랜드 제품이 화장품 시장 점유 중 진출방안 현지 대형 유통망 진입 후 인플루언서 SNS 마케팅을 활용한 매출액 증대 추진 품목명 2 HS Code 9018 등 수입관세율(%) 0 의료기기류 수입액(’18/US$백만) 1,542 대한수입액(’18/US$백만) 49 선정사유 수입산 의료기기 수요 다대(전체 시장 85%↑) 시장동향 정부의 보건 인프라 발전계획 등에 따라 연 25억 달러 내외 의료기기 수요 발생 중 경쟁동향 미국, 독일, 중국 등 3개국 제품이 시장의 50% 내외 점유 중으로, 한국산 제품 수입시장 점유율은 3% 내외 진출방안 현지 에이전트 협업 통한 보건부 의료기기 입찰 참여 가능 품목명 3 HS Code 6116 수입관세율(%) 1 면장갑 수입액(’18/US$백만) 33 대한수입액(’18/US$백만) 2 선정사유 2017년부터 FTA미체결국 대상 추가관세 30% 적용 중 시장동향 추가관세 적용 이후 수입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로 매년 수입액이 줄어들고 있으나, 연 3천만불 내외 규모 수입시장 유지 중 경쟁동향 추가 관세 시행 이전 중국산 제품이 수입시장의 66%까지 점유했으나, 추가 관세 시 행 이후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줄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이 대체재로 부각 중 진출방안 한-터 FTA 기반 가격(관세)경쟁력 우위 활용 가능 품목명 4 HS Code 8708 수입관세율(%) 0 자동차 부품 수입액(’18/US$백만) 5,963 대한수입액(’18/US$백만) 355 선정사유 자동차 산업 등 수출주도형 산업 활성화 예상 시장동향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 대다수가 터키내 공장설립 중으로 완성차 연 150만 대 이상 생산중 경쟁동향 독일, 일본, 이태리 등 선진국산 제품이 OEM 시장 점유 중이며, AS 시장은 중국, 인도산 제품이 점유 중 진출방안 정부기관(KOTRA, 중소기업정보기술진흥원 등)과 협업을 통한 완성차 업체 납품 타진 품목명 5 HS Code 903180 수입관세율(%) 안티드론시스템 수입액(’18/US$백만) 289 대한수입액(’18/US$백만) 8 선정사유 역내 정세불안 및 드론 활용 공격 증가 추세에 따라 현지 수요 증가 예상 시장/경쟁동향 시장 형성 초기단계로 독일 등 수입산 제품이 다수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ASELSAN 등 터키 방산기업도 자체제품을 개발 진출방안 현지 공항, 군사시설, 교도소 등 방호가 필요한 시설을 대상으로 시스템 납품 타진 가능

(34)

첨부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품목명 1 인프라 건설/ 엔지니어링 선정사유 터키는 Vision2023 계획 의거, 2023년까지 약 3,250억 달러(2013~) 규모 인프라 프로젝 트 진행 예정 시장동향 국내 건설사가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다수 수주하였으며,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인프라 엔지 니어링 분야 참여 중. 향후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이스탄불 3층 해저터널, 이스탄불 대운하 등 대형 프로젝트 추가 발주 예정 경쟁동향 건설 분야는 이태리, 일본, 중국 업체 위주, 엔지니어링 분야는 북유럽 회사 위주 프로젝트 수행 중 진출방안 국내 외 유명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와의 컨소시엄 구성 통한 프로젝트 참여 필요 품목명 2 신재생에너지 O&M 선정사유 2023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분야 460억 달러(2015~) 규모 투자예정이며, 기존 발전시설 민 영화 추진 중 시장동향 태양광, 풍력 등 분야의 1GW 이상 대형 프로젝트 발주 추세이며, 중소형 플랜트는 민영화 입찰 추진 중 경쟁동향 대형프로젝트는 독일, 이태리, 미국, 한국 등 기업에서 참가 중이며, 중소형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는 터키기업 위주 건설 및 기존 시설 인수 중 진출방안 현지 기업과 합작 통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 인수 후 O&M 분야 참여 가능 품목명 3 한류 문화컨텐츠 배급 선정사유 터키내 한류팬 숫자 확대(20만 명 추산) 및 유료 컨텐츠 배급 플랫폼 진출 확대 중 시장동향 인터넷 보급 확산으로 유료 컨텐츠 플랫폼 확대 중이며, 터키 정부는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정책 적극 시행 중. 한국 컨텐츠 플랫폼도 불법 플랫폼 위주 다수 운영 중 경쟁동향 Netflix(미국), Blu-TV(터키) 등 유료플랫폼이 터키 플랫폼 시장 지배 중 진출방안 현지 한류팬 사이트 등과 협업을 통해 사업체 설립 및 홍보 가능

(35)

첨부

첨부 3

2020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 터키 제조기업과의 부품・설비 파트너링 사업

(현황) 자동차, 전자, 섬유, 에너지 등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나 부품 등 중간재는 수입과 외국

진출기업에 의존

⚬ (자동차 부품 및 전자부품) 해외의존 수요 지속되나 중국산 경쟁 및 자국산 움직임에 따라 고사양 품목 위주의 시장접근 ⚬ (생산설비) 자국산 움직임, 생산성 개선 수요 증대에 따라 설비 분야의 사업기회 본격 추진

(추진 방향) 제조업 품목별 맞춤형 마케팅 지원

⚬ 글로벌 대기업과의 협력 분야 확대 및 설비 수요 발굴 ⚬ 품목별 국내기업 수요를 반영한 전문 사절단․상담회 개최

주요사업

① 터키 글로벌기업 대상, 국내기업 Value Chain 납품 지원 분야 기업 시기 사업내용 전자 Arcelik, Vestel 등 하반기 방한 GP 상담회 추진 자동차 Tofas 등 OEM 및 Tier 1 수시 국내 상담회 참가, 핀포인트 GP

② 자동차 부품 전시회 한국관 참가(Turkey Automechanika) - 일시/장소 : 2020년 4월 2~5일/이스탄불 - 참가규모 : 국내 자동차 AS 부품기업 10개사 ③ 기계부품 전문사절단 - 일시/장소 : 2020년 상반기/이스탄불 - 참가규모 : 국내 기계부품기업 10개사

󰊲 한류 활용을 통한 소비재 마케팅 확대

(현황) 거대인구(약 8천 2백만 명)를 바탕으로 견고한 내수시장 형성

⚬ 온라인시장의 성장에 따른 소비재 시장 신소비패턴 확산

(36)

(추진 방향) 온라인 플랫폼 입점 및 오프라인 사업 연계 강화

오프라인 마케팅

+

온라인 연계 입점 추진 소비재 전문 사절단 팝업스토어 연계 상담회 온라인플랫폼 벤더 협업 SNS, 인플루언서 연계 통합 마케팅 실시 시장성 유망품목 온라인플랫폼 입점 추진

주요사업

① 전문 품목 무역사절단 - 뷰티바이오 사절단(상반기) : 화장품 및 의료기기 품목 업체 - 일반 소비재 사절단(상반기) : 생활 소비재 및 기타품목 업체 - Beauty Eurasia(2020년 6월 18~20일, 이스탄불) 연계 수출상담회 ② 현지 온라인 유통망 입점 추진(상시) - 대상플랫폼 : n11, Hepsiburada, Amazon 등 ③ 터키 소비재바이어 방한 상담 - 소비재대전 상담 및 온라인 입점 설명회(6월)

󰊳 방산

(현황) 터키정부의 중점 육성산업으로 급성장 중, 우리나라의 10대 방산 수출 유망국가이자

세계 무기수입 6위국으로 높은 시장성

(추진 방향) 터키 상담회와 한국 전시회 연계를 통한 성과 창출

⚬ 연간 지속적인 바이어 관리 및 사업추진을 통해 잠재 수요 발굴 효과 극대화(주요 관심품목 : 전장 부품, 레이더류, 광학기기류 등) ⚬ 민간 기업 이외에 군, 유관 협단체 등 공공분야 대상 마케팅 강화

주요사업

① 방산사절단 : 방위산업진흥회와 협업 수출상담 추진 - 시기 : 2020년 5월(잠정) - 규모 : 터키 방산시장 진출 유망기업 10개사 ② KODAS 연계 방한 사절단(10월) - 시기 : 2020년 10월 - 규모 : 터키 방산분야 유력 바이어 10개사

(37)

첨부

첨부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정치 일정 : 해당 사항 없음

주요 경제・통상 일정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터키-일본, 터키-태국 FTA체결 2020년 상반기 중 2020 예산안 발표 2020.10월 중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Win Eurasia(제조업 전시회) 2020.3.12 ~ 15 Expomed 2020(의료기기 전시회) 2020.3.19 ~ 21 Automechanika 2020(자동차 산업 전시회) 2020.4.2 ~ 5 Aluexpo 2020(알루미늄 전시회) 2020.10월 Plast Eurasia 2020(플라스틱 전시회) 2020.12월

참조

관련 문서

The security, integrity, and reliability of financial information relies on proper access controls, change management, and operational controls.. The importance and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R.O.C. Innovation and Incubation Center,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Institute For Information

For Executive Committee: President, President-Elect, Secretary General, Treasurer, Chairperson of External Relations, Chairperson of Internal Relations, Chairperson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

Justus Lipsius building, Brussels, Belgium | Political Meetings 03.19 Institutional affairs - Council of the

(2020) National Policy on COVID-19 Response &amp; Current Statu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Figure 8.4 The four basic feedback topologies: (a) voltage-mixing voltage-sampling (series–shunt) topology;.. (b) current-mixing current-sampling (shunt–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