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출유망품목(서비스)

Ⅲ. 진출전략

2. 수출유망품목(서비스)

품목명 1

인프라 건설/

엔지니어링

선정사유 터키는 Vision2023 계획 의거, 2023년까지 약 3,250억 달러(2013~) 규모 인프라 프로젝 트 진행 예정

시장동향

국내 건설사가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다수 수주하였으며,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인프라 엔지 니어링 분야 참여 중. 향후 이즈미르 베이 크로싱, 이스탄불 3층 해저터널, 이스탄불 대운하 등 대형 프로젝트 추가 발주 예정

경쟁동향 건설 분야는 이태리, 일본, 중국 업체 위주, 엔지니어링 분야는 북유럽 회사 위주 프로젝트 수행 중

진출방안 국내 외 유명 건설/엔지니어링 업체와의 컨소시엄 구성 통한 프로젝트 참여 필요 품목명 2

신재생에너지 O&M

선정사유 2023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분야 460억 달러(2015~) 규모 투자예정이며, 기존 발전시설 민 영화 추진 중

시장동향 태양광, 풍력 등 분야의 1GW 이상 대형 프로젝트 발주 추세이며, 중소형 플랜트는 민영화 입찰 추진 중

경쟁동향 대형프로젝트는 독일, 이태리, 미국, 한국 등 기업에서 참가 중이며, 중소형 신재생에너지 플랜트는 터키기업 위주 건설 및 기존 시설 인수 중

진출방안 현지 기업과 합작 통해 신재생에너지 플랜트 인수 후 O&M 분야 참여 가능 품목명 3

한류 문화컨텐츠 배급

선정사유 터키내 한류팬 숫자 확대(20만 명 추산) 및 유료 컨텐츠 배급 플랫폼 진출 확대 중 시장동향 인터넷 보급 확산으로 유료 컨텐츠 플랫폼 확대 중이며, 터키 정부는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정책 적극 시행 중. 한국 컨텐츠 플랫폼도 불법 플랫폼 위주 다수 운영 중 경쟁동향 Netflix(미국), Blu-TV(터키) 등 유료플랫폼이 터키 플랫폼 시장 지배 중 진출방안 현지 한류팬 사이트 등과 협업을 통해 사업체 설립 및 홍보 가능

첨부

첨부 3 2020년도 KOTRA 주요 사업(잠정)

󰊱 터키 제조기업과의 부품・설비 파트너링 사업

(현황) 자동차, 전자, 섬유, 에너지 등 제조업이 발달하였으나 부품 등 중간재는 수입과 외국 진출기업에 의존

⚬ (자동차 부품 및 전자부품) 해외의존 수요 지속되나 중국산 경쟁 및 자국산 움직임에 따라 고사양 품목 위주의 시장접근

⚬ (생산설비) 자국산 움직임, 생산성 개선 수요 증대에 따라 설비 분야의 사업기회 본격 추진

(추진 방향) 제조업 품목별 맞춤형 마케팅 지원

⚬ 글로벌 대기업과의 협력 분야 확대 및 설비 수요 발굴

⚬ 품목별 국내기업 수요를 반영한 전문 사절단․상담회 개최

주요사업

① 터키 글로벌기업 대상, 국내기업 Value Chain 납품 지원

분야 기업 시기 사업내용

전자 Arcelik, Vestel 등 하반기 방한 GP 상담회 추진

자동차 Tofas 등 OEM 및 Tier 1 수시 국내 상담회 참가, 핀포인트 GP

② 자동차 부품 전시회 한국관 참가(Turkey Automechanika) - 일시/장소 : 2020년 4월 2~5일/이스탄불

- 참가규모 : 국내 자동차 AS 부품기업 10개사

③ 기계부품 전문사절단

- 일시/장소 : 2020년 상반기/이스탄불 - 참가규모 : 국내 기계부품기업 10개사

󰊲 한류 활용을 통한 소비재 마케팅 확대

(현황) 거대인구(약 8천 2백만 명)를 바탕으로 견고한 내수시장 형성

⚬ 온라인시장의 성장에 따른 소비재 시장 신소비패턴 확산

(추진 방향) 온라인 플랫폼 입점 및 오프라인 사업 연계 강화

첨부

첨부 4 2020년도 주요 정치・경제 일정 및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정치 일정 : 해당 사항 없음

주요 경제・통상 일정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터키-일본, 터키-태국 FTA체결 2020년 상반기 중

2020 예산안 발표 2020.10월 중

유망 전시회 캘린더

주요 행사 일시(잠정) 비고

Win Eurasia(제조업 전시회) 2020.3.12 ~ 15 Expomed 2020(의료기기 전시회) 2020.3.19 ~ 21 Automechanika 2020(자동차 산업 전시회) 2020.4.2 ~ 5

Aluexpo 2020(알루미늄 전시회) 2020.10월 Plast Eurasia 2020(플라스틱 전시회) 2020.12월

부록 對터키 K패키지(양국 간 상생협력방안)

Ⅰ. 한-터키 상생협력 필요성과 미래비전

가. 터키의 협력 잠재력과 주요국 협력 현황

터키의 잠재력

⚬ 시장규모 및 성장잠재력 등에서 중동지역을 대표하는 시장

- 거대인구(약 8천만 명) 및 두터운 소비층(30세 이하 청년인구 49%)을 바탕으로 내수시장이 활성화되고 대외 교역도 증가 추세

- EU 및 주변국의 생산기지 역할 수행 통한 제조업 발달 및 ‘비전 2023’ 정책에 기반한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 중

* 「부품・설비 수입 → 제조 → 수출」의 패턴으로 부품・설비 수입수요 다대 * 발전, 병원, 교량, 철도 등 각종 인프라 건설 수요 지속 중

⚬ 유럽과 아시아, 중동에 걸친 지정학적 중요성 활용가능 시장

- 터키 기업, 주변 중동, 중앙아에 걸친 두터운 네트워크 보유 중으로 제3국 공동 진출 가능 * 한국의 기술과 터키의 네트워크가 결합된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공동진출 유망

- 한-터키 FTA를 지렛대 삼아 주변국으로 경제영토 확대가능

* 터키 FTA 체결국 중 중동(이집트, 요르단 등 6개국), 북아프리카(모로코 등 2개국) 지역 국가는 한국과 FTA 미체결 중

⚬ 형제의 나라로 여길 만큼 한국에 우호적 성향

- 역사적 연관성, 한국전 참전과 2002 월드컵 등으로 인한 친한국 성향과 더불어 최근 한류 붐 으로 인한 한국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 존재

* K-뷰티, 한류 소비재 및 컨텐츠 상품 등 수출 기회로 활용 가능

권역별 주요국과 터키와의 경제협력 현황

국가명 경제협력 진행사항

미국

추가관세 부과 등 분쟁이 있었으나, 교역 확대 추진 중(1,000억 불 목표)

∙ 터키는 NATO 회원국으로 미국은 터키의 국방 분야 주요 협력 대상국이나, 최근 S-400 도입 문제로 국방 분야 협력 차질 발생

유럽 관세동맹 발효 중(1995년 12월~)이며, EU, 쉥겐조약 가입 협상 진행하는 등 경제통합 논의 진행 중

터키는 주요 글로벌 기업의 유럽향 생산기지로 활용 중

부록

나. 한-터키 상생협력 미래비전 도출

터키는 완제품 위주, 한국은 부품소재 위주 제조업이 발전, 부품소재 분야 협력 노력 지속 필요

⚬ 터키는 EU와의 관세동맹, 지리적 근접성을 바탕으로 제조업이 발달

- Ford, Fiat,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기업은 터키 내에서 완제품을 조립해 유럽으로 공급 중

⚬ 터키 제조업은 완제품 위주로, 높은 원부자재 해외 의존도로 큰 폭의 무역수지 적자(약 600억 달러)가 지속 중

- 터키정부는 이에 대응해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중으로, 한국은 터키와 부품소재 공급(단기), 직접 투자, 기술이전, 장비 공급 등을 통한 국산화 지원(장기) 등 협력 가능

유럽, 중동, CIS 지역의 핵심 교두보이며, 한국과 함께 MIKTA에 소속된 터키와 국가차원 의 경협 개발 노력 필요

⚬ ‘터키의 협력수요산업’을 중심으로 양국 기업 간 협업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가차원 의 구체적인 G2G, B2G, B2B 협력 전략은 부재

(최근 양국 G2G레벨 회담에서의 주요 협력논의 분야) 인프라, ICT, 신재생에너지, 방산, 보안, 4차 산업혁명, 전자상거래, 공중보건, 교역투자, 교육 등

일본

FTA 최종 협상 진행 중

∙ 일본기업은 마르마라이 해저터널(’13.10월 완공), 오스만가지 대교(‘16.6월 완공) 등 터키내 주요 프로젝트 참여 중

중국 ICBC(‘15.11월 진출) 등 중국자본의 터키 진출 가속화 중

터키는 일대일로 중앙회랑(Middle Corridor) 프로젝트에 적극 협력 중(철로 건설 등 진행 중)

러시아

터키 건설업체 러시아 시장 진출 활발(누적 수주액 약 260억 달러)

S-400 도입 등 국방 분야 협력 가속화

Akkuyu 원전(터키 최초 원전), 러시아 업체 주도로 건설 중

한-터키 미래비전 및 실현 전략으로서의 K패키지

경제협력대상국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한국과 터키 양국 간 경제협력 위주의 미래 공동 지향점을 설정하였으며, 외교, 안보, 정치 및 문화 등 분야는 추가적 반영 필요

부록

Ⅱ. 주체별 상생협력 과제와 실행방안

가. [G2G] 산업・정책 한류로 친(親)기업 제도/문화 구축

󰊱 한-터키 FTA를 기반으로 통상협력 확대

⚬ (정책 수요) 최근 양국 통상 분야 실질 협력 증진을 위한 의제 지속 논의

⚬ (기업 수요) 국내기업 대상 우선협력 분야 설문조사 결과, 교역확대가 최우선 순위를 차지

* 한국기업 43개사 대상 설문결과 : 교역확대(81.4%), 기술협력(55.8%), 개발협력(34.9%) 순

- 우리기업은 터키 진출 애로사항으로 직접 수입규제(97.7%, 1위), 인증제도(67.4%, 2위), 복잡한 행정절차(25.6%, 4위) 등 정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가능한 분야 위주 호소

- 터키 기업 및 정부는 한-터간 무역불균형(대(對)터키 수출 63억 달러 vs. 수입 9억 달러, 2018년 기준)을 사유로, 우리 정부를 대상으로 터키산 물품 수입 확대 및 FTA 재협상 요구

⚬ (협력 방안) 양국 간 실질 협력 증진을 위해 부처 간 지속 협의 필요

- 한-터 FTA 공동위원회, 경제 공동위원회, 관세청장간 정례 협의 등 활용해 우리 기업의 터키 진출 애로사항 해소 및 터키기업의 한국진출 확대 지원

󰊲 상호 관세⦁통관 협력기반 강화

⚬ (정책 수요) 터키는 관세행정 현대화를 통한 통상기반 강화 추진 중

⚬ (기업 수요) 우리 기업 및 한국과 거래 중인 터키 기업은 불명확한 터키 통관제도에 대한 애로 호소 중

터키의 불명확한 통관 제도로 인한 애로 사례

예시1) HS Code 5408.22 제품은 한국산 제품에 대해 연간 쿼터 수량 내 무관세 혜택이 부여되나, 터키 세관 당국 은 쿼터량 관리시스템 미비를 사유로 기본관세의 3배(원산지 신고 조작 적발 시 벌금과 동일)를 보증금으로 납입 후 쿼터량 및 원산지 검증을 실시해 보증금 환급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의 변칙적 무관세 통관제도 운영 중

예시2) 터키정부는 지난 3년간 한국산 플라스틱 제품 수입 건 중 원산지 신고 요건 미충족 건(문안 오기, 제3자 작 성, 원산지 신고서 제출 등)에 대해 기본관세의 3배를 벌금으로 청구함. 수입업체 측에서 최초 무관세 통관 허가를 내주고, 사후에 재신고 요청 없이 벌금을 청구한 절차의 부당성을 주장하자, 터키 정부는 불만제기 업체를 대상으로 벌금 납입 후 원산지 재검증 절차를 통한 벌금 환급 절차 진행 예정임을 통보

자료 : 무역관 자체 조사

⚬ (협력 방안) 우리나라 관세청과 터키 관세청 간의 협력 및 경험 공유 지속 추진

- 양국 관세청은 2016년 상호협력 MOU를 체결하고, 관세위원회(매년), 터키 관세당국 방한 교 육(’19.9월) 등을 추진 중이며, 협력 확대 통한 한국기업의 터키 통관 애로 해소 지원 필요

󰊳 KSP를 활용한 산업・정책 한류 확산

부록 터키 내 브랜드별 완성차 생산설비규모 현황

(2019년 현재, 단위 : 대)

순위 브랜드명 본사 승용차 상용차

버스 트럭 합계

1 Fiat 이태리 290,000 - 210,000 500,000

2 Ford 미국 30,000 44,000 381,000 455,000

3 Renault 프랑스 375,000 - - 375,000

4 Toyota 일본 280,000 - - 280,000

5 Hyundai 한국 245,000 - - 245,000

6 Karsan 터키 - 40,500 11,725 52,225

7 Honda 일본 50,00 - - 50,000

자료 : 터키 자동차 생산자협회

⚬ (시장 수요) 터키 내 완성차 업계는 핵심부품 및 생산설비를 해외에서 조달 중으로, 터키정부 인 센티브, 물류비용 등을 감안해 터키 및 EU산 제품 도입 확대를 희망

터키 내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

순위 국가명 수입액(천 달러)

2016년 2017년 2018년

총 합계 5,183,547 6,173,733 5,963,600

1 독일 1,084,008 1,229,690 1,305,389

2 일본 349,580 699,985 674,005

3 이탈리아 576,532 606,618 524,480

4 프랑스 424,283 479,133 460,289

5 대한민국 343,143 344,398 355,146

6 중국 357,073 414,767 333,193

7 인도 347,946 348,999 310,882

자료 : World Trade Atlas

⚬ (정책 지원) 터키 정부는 자동차, 기계 산업을 중점 육성산업으로 분류해 R&D, 투자인센티브 등 정부자금을 우선 투입

* 자동차 등 주요 분야 23개 프로젝트 대상 254억 달러 지원(’18.4), 생산설비구입 자금 지원제도(KOSGEB) 시행, 정부 주도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시행 등

⚬ (협력 체계) 투자진출기반 양국 주력 기업중심 협업 기반 조성

단계별 방안 자동차 분야 기계장비(공작기계, 농기계)

부록

⚬ (협력 방안) 정부 차원에서 KSP, CSR 등 활용해 패키지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프로젝트 수주 측면 지원하며, 개별 기업은 분야별 진출전략 수립해 대응

- 패키지형 스마트시티 참여 희망 건설사는 LH 등 스마트시티 조성경험이 있는 국내 공공기관과 협업 가능

- 보안, IoT 등 스마트시티 기술 보유업체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수행사와의 네트워킹 통해 기술 납품 가능

(참고) 터키 내 스마트시티 구축 유형

① Top-Down 유형 : 터키 환경도시개발부가 국가차원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활용해 1) 신규 신도시를 건설하는 프 로젝트를 진행하거나, 2) 개별 지자체에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① Top-Down 유형 : 터키 환경도시개발부가 국가차원의 스마트시티 전략을 활용해 1) 신규 신도시를 건설하는 프 로젝트를 진행하거나, 2) 개별 지자체에 기존 도시의 스마트시티화를 위한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