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 내부 정치구조는 대통령 중심제를 기초로 안정될 것이나, 미국, EU 등 주변 강대국과의 갈등 지속으로 국외 정치체제는 혼란 예상

경제는 2018년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역성장 기조에서 벗어날 것이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될 것으로 예상 되며, 수출주도형 제조업이 터키 경제의 부활을 이끌 것으로 전망

가. 정치 환경

여당의 지방선거(2019년 3월) 부진에도 굳건한 대통령 중심 집권체제

⚬ 앙카라, 이스탄불 등 주요 도시 시장 선거 패배에도 불구, 쿠데타 세력, 쿠르드족 등 반대세력 지속 축출을 통해 대통령 중심 집권체제 강화 시도 중

- 2022년까지 예정된 선거가 없으므로, 선심성 정책보다는 반대세력 축출 등을 지속해 지배체제 강화 예상

혼돈의 국제정치 구도, 美⦁EU 등 서방과의 마찰 지속

⚬ 美・EU와 러시아제 S-400 미사일 도입, 키프로스 해저가스 시추, 시리아 쿠르드지역 공격 등 현안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며 경제 제재 부과 가능성 제기 중

* 미국은 2019년 10월 터키의 시리아 쿠르드지역 공격을 사유로, 일부 경제제재 시행(2019.10.23일부 터키 측 공격 중단으로 제재 해제)하였으며, EU는 관세동맹 중지 등 제재 검토 중

⚬ 터키는 기존 NATO 중심의 서방 중심 외교정책에서 일부 탈피, 러시아, 중국 및 아시아 국가와 협조를 통해 서방과의 마찰로 인한 혼란 정국 탈피 시도 중

* 전투기 개발협력 추진(러시아), FTA 체결 추진(일본, 태국), 경제협력 확대(중국) 등

나. 경제 환경

경기 침체 지속, 저성장 고착화 예상

⚬ 2018년 하반기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률 둔화 및 내수 시장 침체 지속 중

Ⅱ . 비즈니스 환경 분석

비즈니스 환경 분석

- 2018년 4분기 이후 2분기 연속 경제가 역성장했으며, 2019년도 터키의 경제 성장률은 –1%

내외일 것으로 예상

⚬ 2019년 4분기부터 경기가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5년간 1~2% 수준의 저성장 고착화 예상 - 경기회복에도 불확실한 중앙은행 독립성, 낮은 외환보유고, 높은 단기 외채, 정부 재정적자 지

속 등 부정적 요소가 지속되어 저성장 고착화 예상

향후 5년간 터키 주요 경제지표 변동 예상

지 표 명 단 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경제성장률 % 7.4 2.8 -1.5 1.2 1.0 1.6 2.7

명목 GDP 십억 달러 848.7 764.6 718.6 653.0 624.9 643.1 673.8

대미환율 TL/USD 3.78 5.27 6.34 8.12 9.02 9.49 9.80

자료 : IHS Markit(2019년 8월 발표)

수출주도형 산업 위주 하향 안정,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리라화 약세로 인한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주도형 산업 활성화하여 경제성장 주도 예상 - 자동차, 가전 등 완제품의 유럽, 중동향 수출 확대가 경제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나, 완

제품 제조를 위한 중간재 수입(∵취약한 중간재 제조업)으로 무역수지 적자 지속 예상

⚬ 중간재산업 및 신산업 발전위한 제조업 국산화 정책 지속 시행

- 제11차 경제개발계획(2019~2023, 2019년 7월 발표) 등 주요 정책상 제조업 국산화 정책이 포함되는 등 정부의 제조업 국산화 정책 추진 의지 확고

- 해외 업체에 미치는 단기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화학, 의료기기 등 터키 정부 우 선 육성산업 업체는 국산화 정책에 대응한 장기적 차원의 투자 진출 고려 필요

다. 산업 환경

자동차 산업

⚬ 터키는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의 유럽향 생산기지로, 연 130만 대 내외의 완성차 생산 중 - 2018년 터키에서 생산된 차량 중 약 83%(약 111만 대)가 해외로 수출되었으며, 그 중 50%

이상이 유럽시장으로 수출

* 주요 수출국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터키내 브랜드별 완성차 생산설비규모 현황

(2019년 현재, 단위 : 대)

순위 브랜드명 본사 승용차 상용차

버스 트럭 합계

1 Fiat 이태리 290,000 - 210,000 500,000

2 Ford 미국 30,000 44,000 381,000 455,000

3 Renault 프랑스 375,000 - - 375,000

4 Toyota 일본 280,000 - - 280,000

5 Hyundai 한국 245,000 - - 245,000

6 Karsan 터키 - 40,500 11,725 52,225

7 Honda 일본 50,00 - - 50,000

자료 : 터키 자동차 생산자협회

⚬ 터키 정부는 자동차 부품 국산화를 위해 완성차 업체 대상 로컬콘텐츠 비율을 규제 중이나, 터키 내 조달 불가능한 High-Tech 부품 위주 수입 수요 지속 발생

터키 내 자동차 부품(HS Code 8708) 수입 동향

순위 국가명 수입액(천 달러)

2016년 2017년 2018년

총 합계 5,183,547 6,173,733 5,963,600

1 독일 1,084,008 1,229,690 1,305,389

2 일본 349,580 699,985 674,005

3 이탈리아 576,532 606,618 524,480

4 프랑스 424,283 479,133 460,289

5 대한민국 343,143 344,398 355,146

6 중국 357,073 414,767 333,193

7 인도 347,946 348,999 310,882

자료 : Wolrd Trade Atlas

건설 프로젝트

⚬ 터키 건설 부분은 2,659억 TL(2017년) 규모로, 전체 GDP의 약 9%를 점유

⚬ 터키 정부는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Vision 2023 계획에 의거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추진 예정

- 경기 침체로 일부 대형 프로젝트 발주가 지연 중이나, 터키 정부는 프로젝트 수행 의사를 지속 발표 중

의료기기 산업

⚬ 터키 정부의 보건 인프라 발전 계획 등으로 터키 내에서는 연 20억 달러 내외의 의료기기 수요가 꾸준히 발생 중

- 터키 정부는 고령화 추세 및 낙후된 보건 여건 등으로 Vision 2023 계획에 기반한 보건 인프 라 확충 프로젝트 지속 시행 중

⚬ 그러나 열악한 의료기기 제조 기술로 수입산 의료기기가 시장의 85% 이상을 점유

- 매년 약 17억 달러의 의료기기가 수입되며, 2018년 기준 미국(3.5억 달러, 23%), 독일(2.2억 달러, 14%), 중국(2.0억 달러, 약 13%) 순으로 수입시장 점유 중으로, 한국산은 0.5억 달러가 수입되어 수입시장의 약 3% 점유 중

가전 산업

⚬ 터키 내 백색가전 생산량은 연 2,800만 대 규모로, 유럽최대 규모(2018년 기준)

- 제품별 생산량은 세탁기(800만 대), 냉장고(720만 대), 오븐(510만 대), 식기세척기(470만 대) 순 - Arcelik, Vestel 등 유럽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터키산 브랜드 외에도 Bosch,

Siemens 등 글로벌 브랜드가 터키 내 생산거점 운영 중

⚬ 백색가전 수출량은 2,200만 대(2018년) 규모로, 세탁기(624만 대), 냉장고(547만 대), 오븐 (431만 대) 순으로 수출 중

- 영국, 프랑스, 독일, 스페인 등 지리적, 관세적 이점을 보유한 EU 국가가 주 수출 목적지

라. 정책・규제 환경

수입규제 동향

⚬ 2019년 상반기 기준 29개국 197개 품목에 대해 197건의 수입규제 조치 시행 중이며, 9건의 조사 진행 중

- 규제품목 : 섬유(19건), 철강금속(15건), 화학(9건) 순

- 규제형태 : 반덤핑(188건 규제 중, 17건 조사 중, 총 205건), 세이프가드(8건 규제 중, 2건 조사 중), 상계관세(1건 규제 중, 1건 조사 중)

- 대상국가 : 시행 중인 반덤핑, 상계관세 기준 중국(63건), 인도, 베트남, 대만(13건), 말레이 시아, 태국(각 12건) 순

⚬ 한국산 품목에 대한 수입규제는 전체 14건으로, 반덤핑 9건, 세이프가드 5건이며, 이 중 반덤핑 1건, 세이프가드 1건은 조사 진행 중

- 규제품목 : 화학제품 6건, 섬유류 4건, 그 외 품목 4건

비즈니스 환경 분석

통상정책 동향과 전망

⚬ 터키는 산업 육성을 위해 반덤핑, 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 조치를 적극 활용 중

- 경쟁력이 부족하거나 하락하고 있는 석유화학, 섬유 등 분야의 터키 제조업체가 터키정부에 수입규제 조치를 요청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으며, 터키정부는 이에 적극 대응 중

- 그러나 최근 자국 내 제조가 어려운 중간재 1,882개 품목의 관세 면제 조치를 시행하는 등 자 국기업 발전을 위한 수입규제 양면정책 활용 중

⚬ 플라스틱 산업 등 터키정부에서 육성 추진 중인 일부 중간재 품목에 대해서는 세이프가드 등 수 입규제 조치가 가능하므로 시장 동향 모니터링 필요

- 터키는 완제품 제조업이 발달한 반면, 중간재 제조업이 발달하지 않아 대다수의 중간재를 수 입 의존 중

⚬ 최근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응해 수입산 철강제품 세이프가드 조사 및 미국산 수입물품 보복관 세 부과 등을 시행했으나, 2019년 중 철강제품 세이프가드 조사를 무혐의 조치하는 등 대응 수 위를 조절 중

다자무역협정 체결현황

⚬ 터키는 총 18건의 FTA 및 1건의 관세 동맹이 발효 중(2019년 6월말 기준) - 관세동맹 : EU

- FTA : EFTA(노르웨이, 스위스,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이스라엘, 마케도니아, 모로코, 팔레스타인, 튀니지, 이집트, 알바니아, 세르비아, 칠레, 조지아, 몬테네그로, 모리셔스, 대한 민국, 파로제도, 몰도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레바논, 코소보, 싱가포르 등 총 3개국과 FTA가 체결 완료되어 비준절차 진행 중이며, 일본, 우 크라이나, 태국 등과는 FTA 최종 협상 진행 중

주요정책(Vision 2023)

⚬ 터키정부는 공화국 건국 100주년이 되는 2023년까지 세계 경제 10대 대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Vision 2023 계획에 의거해 주요 분야 발전 추진 중

- 경제 : 세계 경제 10대 대국 진입, 연 수출 5천억 불 달성 등 - 에너지 : 원자력, 풍력, 지열 발전 규모 확대

- 의료 : 의료보험 제도 개편, 의료 인프라 확충 - 교통 : 철도, 고속철, 고속도로, 항만 인프라 확충

주요정책(제11차 경제개발계획, 2019~2023)

1인당 GDP 25,000달러 12,484달러 9,632달러(2018)

수출액 5,000억 달러 2,226억 달러 1,680억 달러(2018)

비즈니스 환경 분석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