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지채소류 주산지 산지농협과 도매시장 간 농산물 SCM 시스템 기반 구축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노지채소류 주산지 산지농협과 도매시장 간 농산물 SCM 시스템 기반 구축 방안"

Copied!
7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M138 연구자료-2 | 2015. 12.. 노지채소류 주산지 산지농협과 도매시장 간 농산물 SCM 시스템 기반 구축 방안. 전 박 김 김. 창 성 동 동. 곤 진 훈 환. 선임연 구위원 부연구위원 전문연구원 안양대학교.

(2) 연구 담당 전창곤 박성진 김동훈 김동환. 선임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전문연구원 안양대학교.

(3) i. 차. 례. 제1장 산지농협 판매사업 현황 1. 산지농협 현황 ······························································································· 1 2. 농협의 산지유통 현황 ·················································································· 3 3.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추진 현황 ··································································· 8 4. 산지농협의 출하처 현황 ············································································ 10 5. 산지농협 판매사업의 문제점 ···································································· 11 6. 산지농협의 정보화 실태 ············································································ 11 제2장 배추, 무 생산·유통 현황과 문제점 1. 배추 생산 및 유통 현황 ············································································ 17 2. 무 생산 및 유통 현황 ················································································ 24 3. 배추, 무 생산 및 유통의 문제점 ······························································ 29 제3장 산지농협과 도매시장 간 SCM 시스템 도입 방안 1. 농산물 공급사슬관리(SCM)의 개념 ························································· 35 2. 기본 방향 ···································································································· 37 3. 산지농협의 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 40 4. 산지의 SCM 인프라 구축 방향 ································································ 54 5. 산지유통 정보화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 ················································ 61 참고 문헌 ········································································································· 62.

(4) ii. 표 차례. 제1장 표 1- 1. 산지농협의 경제사업 현황 ····························································· 2 표 1- 2. 산지농협의 판매사업 현황 ····························································· 3 표 1- 3. 농협의 산지유통 점유비 ································································· 4 표 1- 4. 공동계산제 추진 비율 ····································································· 4 표 1- 5. 공선출하회 육성 현황(2012년 말 기준) ······································· 5 표 1- 6. 연합사업단 참여 조직 및 사업 실적 ············································ 5 표 1- 7. 조합공동사업법인 설립 현황 ·························································· 5 표 1- 8. 농협 산지유통센터 보유 현황 ························································ 6 표 1- 9. 품목별 전국협의회 현황 ································································· 6 표 1-10.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취급액 및 규모화 현황 ······ 8 표 1-11.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평균 조직화 취급액 ····· 9 표 1-12.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조직화 취급액 비중 ····· 9 표 1-13. 통합마케팅조직 및 참여조직 현황 ················································ 9 표 1-14. 통합마케팅조직 및 참여조직의 취급액 현황 ····························· 10 표 1-15. 산지농협 출하유형별 출하 비중(2014년 말 기준) ···················· 10 표 1-16. 농협 경제종합시스템의 기능 ························································ 12 제2장 표 2- 1. 배추 작형별 파종 및 출하시기 ···················································· 18 표 2- 2. 작형별 배추 생산량 ······································································· 19 표 2- 3. 배추 단수 추이 ·············································································· 20 표 2- 4. 배추 작형별 유통비용 비중(2012) ··············································· 22 표 2- 5. 주요 식품의 1인당 소비량 ··························································· 24.

(5) iii 표 2- 6. 무 작형별 파종 및 출하시기 ························································ 25 표 2- 7. 연도별 무 재배면적 ······································································· 26 표 2- 8. 작형별 무 생산량 ·········································································· 27 표 2- 9. 작형별 무 단수 변화 ····································································· 27 표 2-10. 무 작형별 유통비용 비중(2012) ··················································· 28 표 2-11. 배추 경지규모별 농가 수 ····························································· 31 표 2-12. 무 경지규모별 농가 수 ································································· 32 표 2-13. 농협의 무, 배추 계약재배 실적 ··················································· 33 제3장 표 3- 1. ERP 구축 효과 ·············································································· 41 표 3- 2. ERP의 변화 흐름 ··········································································· 42 표 3- 3. 회사 규모별 ERP 활용 여부 ························································ 44 표 3- 4. 초기 ERP 구축 후 3단계 변화 특징 ·········································· 45.

(6) iv. 그림 차례. 제1장 그림 1- 1. 농협의 조직 현황 ········································································· 1 그림 1- 2. 농협의 경제종합시스템 ····························································· 12 제2장 그림 2- 1. 배추 재배면적 및 생산량 ························································· 19 그림 2- 2. 작형별 전년 대비 배추 재배면적 변동률 ······························· 20 그림 2- 3. 가을배추 유통경로별 비중(2013) ············································· 23 그림 2- 4. 무 재배면적 및 생산량 ····························································· 26 그림 2- 5. 가을무 유통경로별 비중(2013) ················································· 29 그림 2- 6. 배추, 무의 재배면적 및 가격 변화 추이 ································ 30 제3장 그림 3- 1.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한 SCM 흐름도 ···································· 37 그림 3- 2. ERP 개념도 ················································································ 41 그림 3- 3. ERP의 발전 과정 ······································································· 43 그림 3- 4. 확장형 ERP 개념도 ··································································· 43 그림 3- 5. AB Agri의 ‘Microsoft Dynamics ERP’ 시스템 ····················· 45 그림 3- 6. CASTILLA의 ‘myAgri'가 결합된 ERP 시스템 ····················· 46 그림 3- 7. (주)농산의 ERP 시스템 ····························································· 47 그림 3- 8. (주)오로라씨에스의 ERP 시스템 ·············································· 47 그림 3- 9. 부경양돈조합의 확장형 ERP 시스템 ······································· 48 그림 3-10. 조직별 수준에 따른 단계별 시스템 ········································ 49 그림 3-11. 정보시스템 운영 방식 ······························································· 50.

(7) v 그림 3-12.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도 ··························································· 50 그림 3-13.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 51 그림 3-14.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 52 그림 3-15. ERP 보급 방안 ··········································································· 53 그림 3-16. 산지농협 ERP와 도매시장 간 EDI 연계를 통한 SCM 구축 방안 ··· 54 그림 3-17. 엽근채소류 유통의 신선도 유지체계 ······································· 59 그림 3-18. 엽근채소류의 저온유통체계 모델 ············································ 60.

(8)

(9) 제. 1. 장. 산지농협 판매사업 현황. 1. 산지농협 현황. 2015년 8월 현재 산지농협은 지역농협 939개, 지역축협 116개, 품목농협 45개, 품목축협 23개, 인삼협 1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합원 수는 234만 8,753명이다. 농협의 조합원 수가 217만 3,162명인 데 반해 축협의 조합원 수는 24만 2,328명, 인삼협은 1만 5,317명에 불과하다. 조합원은 아니지만 조합의 사업을 이용하는 준조합원은 1,632만 4,849명이며, 조합원 수별 조합 분포를 살펴보면 1,000명 이하 6.6%, 1,000∼2,000명 55.1%, 2,000∼3,000명 22.8, 3,000명 이상 15.5%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1-1. 농협의 조직 현황.

(10) 2 산지농협 전체의 경제사업 규모는 2013년 기준 47.9조 원이며, 이 중 농협이 32.5조 원(68.0%), 축협 15.1조 원(31.6%), 인삼협이 0.2조 원(0.4%)을 차지하고 있다. 농협 중에는 지역농협이 29.0조 원, 품목농협이 3.5조 원을 차지하고 있다. 부문별 실적은 구매 10.9조 원(22.7%), 판매 22.5조 원(47.0%), 마트 7.8조 원 (16.3%), 가공 5.6조 원(11.7%), 기타 1.1조 원(2.3%)이다.. 표 1-1. 산지농협의 경제사업 현황 단위: 억 원, %. 구 분. 2012. 2013. 성장률. 지 역. 281,522. 290,050. 3.0. 품 목. 34,577. 35,370. 2.3. 계. 316,099. 325,420. 2.9. 지 역. 89,998. 96,046. 6.7. 품 목. 51,218. 55,375. 8.1. 계. 141,216. 151,421. 7.2. 인삼협. 2,462. 1,999. -18.8. 합 계. 459,777. 478,840. 4.1. 조합당. 394.7. 394.7. 0. 농 협. 축 협. 자료: 농·축협 경영계수요람(2014).. 산지농협의 판매사업 현황을 보면 농협 15.8조 원(70.2%), 축협 6.6조 원 (29.3%), 인삼협 898억 원(0.5%)으로 총 22.5조 원이며, 조합당 판매사업 규모 는 193.7억 원이었다..

(11) 3 표 1-2. 산지농협의 판매사업 현황 단위: 억 원, %. 구 분. 2012. 2013. 성장률. 지 역. 129,776. 131,167. 1.1. 품 목. 26,239. 26,862. 2.4. 계. 156,015. 158,029. 1.3. 지 역. 37,597. 41,063. 9.2. 품 목. 22,281. 24,942. 11.9. 계. 59,878. 66,005. 10.2. 인삼협. 1,195. 898. -24.9. 합 계. 217,088. 224,932. 3.6. 조합당. 186.3. 193.7. 농 협. 축 협. 자료: 농·축협 경영계수요람(2014).. 2. 농협의 산지유통 현황. 2.1. 농협의 산지유통 점유비 농협의 산지유통 점유비란 농업인이 생산한 농축산물 중 농협 취급실적(수 집능력)으로 산지 유통액은 농업인이 생산한 농축산물 중 시장에 유통되는 금 액을 말한다.1 농협 취급액은 농협 매취사업, 수탁사업, 조합공판장 실적을 말 하는데 계통 간 거래실적은 중복거래로 실적 산정에서 제외한다. 산지농협의 원 예농산물에서의 점유비는 57∼62%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2013년에는 57.1%의 비중을 보였다. 세부 품목별로는 과실류에서는 농협의 점유비가 높은 반면 채 소류에서는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농협의 산지유통 점유비는 단순. 1. 총생산액 중 시장에 유통되는 비율은 총생산액에서 자가소비, 산지폐기를 제외한 것 으로 양곡 72%, 원예 82%, 축산 100%임..

(12) 4 한 공동수송에 불과한 판매형태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에서 농 협의 공동판매 비율을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표 1-3. 농협의 산지유통 점유비 단위: %. 구 분. 양 곡. 원 예. 축 산. 전 체. 2010. 48.6. 58.9. 31.8. 46.0. 2011. 49.7. 60.4. 34.8. 48.2. 2012. 52.5. 62.0. 34.9. 49.4. 2013. 48.4. 57.1. 37.6. 47.4. 자료: 농협 농업경제사업 주요통계.. 2.2. 공동계산 추진 현황 농협은 대 소비지 거래교섭력을 높이고 품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공선출하 회 육성을 통한 공동계산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공동계산조직인 공선 출하회는 2010년 조직 수 1,327개, 공동계산액 7,812억 원에서 2013년에는 조 직 수 1,804개, 공동계산액 1조 4,234억 원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그 결과 농협 이 실질적으로 출하권을 통제하는 공동계산비율이 2005년 10.0%에서 2013년 에는 20.6%로 증가하였다.. 표 1-4. 공동계산제 추진 비율 단위: %. 구 분 공동계산제 추진 비율. 2005 10.0. 2009 16.2. 주: 추진 비율=공동계산실적/수탁사업실적 자료: 농협중앙회 산지유통부.. 2010 17.1. 2011 18.5. 2012 19.2. 2013 20.6.

(13) 5. 표 1-5. 공선출하회 육성 현황(2012년 말 기준) 단위: 개소, 억 원. 구 분 조직 수 공동계산액. 2010년 1,327 7,812. 2011년 1,528 9,202. 2012년 1,644 11,002. 2013년 1,804 14,234. 자료: 농협중앙회 산지유통부.. 2.3. 연합사업단 및 조합공동사업법인 육성 현황 농협은 출하의 규모화를 도모하기 위해 중앙회가 직접 운영하는 연합마케팅 조직을 육성하고 있으나 일부가 조합공동사업법인으로 전환하면서 그 수가 감 소하고 있다. 연합사업단 수는 2005년 124개에서 2013년에는 104개로 감소하 였다. 이에 반해 별도의 법인 형태인 조합공동사업법인은 2011년 69개, 2012년 77개, 2013년 89개로 증가하고 있다. 표 1-6. 연합사업단 참여 조직 및 사업 실적 단위: 개소, 백만 원. 구 분.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연합사업단. 124. 61. 135. 140. 141. 84. 104. 참여조합. 550. 370. 540. 531. 503. 583. 638. 2,170. 4,061. 6,198. 7,782. 10,909. 18,171. 18,731. 사업수수료. 자료: 농협중앙회 산지유통부.. 표 1-7. 조합공동사업법인 설립 현황 단위: 개소. 구 분 2011 2012 2013. APC 25 29 36. RPC 34 34 37. 통 합 (APC+RPC) 5 7 7. 주: 2012년까지 설립법인 및 인가신청법인을 대상으로 함. 자료: 농협중앙회 회원경제지원부.. 가 공 2 2 2. 축 산 3 4 7. 전 체 69 77 89.

(14) 6. 2.4. 산지유통센터 현황 산지에서 농산물의 수집, 저장, 선별, 포장, 판매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산지 유통센터는 2013년 현재 총 316개가 농협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표 1-8. 농협 산지유통센터 보유 현황 단위: 개소. 구 분. 2004 이전.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합계. 국고 지원. 152. 23. 16. 16. 10. 10. 10. 10. 12. 11. 290. 자제 건립. 24. 2. -. -. -. -. -. -. -. -. 26. 합 계. 176. 25. 16. 16. 10. 10. 10. 10. 12. 11. 316. 자료: 농협중앙회 산지유통부.. 2.5. 품목별 전국협의회 현황 전국조직인 품목별 전국협의회는 과수 10개, 화훼 1, 노지채소 7, 시설채소 8, 특작 및 기타 5개 등 총 31개가 결성되어 있다. 품목별 전국협의회에 참여하 는 조합 수는 총 1,445개에 이르고 있다.. 표 1-9. 품목별 전국협의회 현황 창립일. 회원 수 (일반법인). 사 과. 1993.10.28. 39. 배. 2009.11.19. 50(11). 사법, 자조. 포 도. 2009.11.03. 32(1). 사법, 자조. 감 귤. 2009.01.15. 20. 사법, 자조. 복숭아. 1995.09.20. 35. 사법, 자조. 단 감. 1996.04.25. 38. 사법, 자조. 품 목. 과 수. 비 고.

(15) 7. 창립일. 회원 수 (일반법인). 참다래. 1996.10.29. 20. 유 자. 1993.09.17. 14. 밤. 1995.08.04. 42. 자 두. 2004.12.10. 15. 1993.08.30. 30(2). 사법, 자조. 고 추. 2010.03.17. 97. 사법, 자조. 마 늘. 1995.11.17. 62. 양 파. 1995.02.15. 79. 사법, 자조. 파. 1994.09.02. 21. 사법. 생 강. 1993.11.02. 18. 무·배추. 2009.11.24. 84(2). 사법, 자조. 고랭지채소. 1995.06.02. 23. 사법, 자조. 오 이. 2001.03.16. 59. 사법, 자조. 호 박. 2001.03.16. 54. 가 지. 2001.03.13. 24. 사법, 자조. 토마토. 2001.12.05. 83. 사법, 자조. 풋고추. 2001.12.05. 59. 사법, 자조. 파프리카. 2004.09.07. 20. 참 외. 2005.02.15. 22. 사법, 자조. 딸 기. 2005.12.22. 61. 사법, 자조. 버 섯. 1995.10.27. 34. 약용작물. 1994.04.27. 27. 인 삼. 2007.04.17. 12. 사법, 자조. 친환경농업. 2004.03.15. 173(1). 사법, 자조. G A P. 2010.07.07. 81. 품 목. 화 훼. 노 지. 시 설. 특작 ·기타. 계. 31개. 자료: 농협중앙회 회원경제지원부.. 1,445(17). 비 고. 19개.

(16) 8. 3.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추진 현황. 정부는 규모화된 산지유통조직을 육성하기 위해 2000년부터 산지유통활성 화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2011년 산지유통종합계획제도 도입 이후 통합마케팅 조직 위주로 육성하고 있다. 지원 대상 조직의 취급액은 2013년 3조 6,000억 원(원예농산물 생산액 13조 7,000억 원의 26%), 2014년 3조 4,000억 원이고 2011~2014년까지 평균 지원조직 수는 189개, 취급액 3.9조 원, 조직당 취급액 211억 원이다. 2007년 이후 산지유통종합평가 대상 조직의 평균 조직화 취급 액은 2007년 평균 25억 원에서 2014년 127억 원으로 5배 증가하였다. 조직화 취급액은 산지유통조직의 규모화 및 농가조직화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탁형 공동계산 실적과 매취형 계약재배로 취급하는 실적의 합산이다. 전체 취급액 대비 조직화취급액 비중은 2012년 39.4%에서 2014년 55.7%로 증 가하였으며, 농협군은 24억 원에서 133억 원으로, 농업법인군은 31억 원에서 110억 원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규모별로는 조직화 취급액이 100억 원 이상인 조직은 38.5%에서 53.9%로, 조직화 취급액이 100억 원 미만인 조직은 48.0% 에서 70.5%로 각각 증가하였다. 표 1-10.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취급액 및 규모화 현황 단위: 개소, 억 원. 구 분 개소 수(A) 취급액(B) 개소당 취급액(B/A). 2011. 2012. 2013. 2014. 244. 204. 157. 150. 43,995. 42,510. 35,933. 34,090. 180. 208. 229. 227. 주: 상기 자료는 탈락조직 실적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적은 연도 말 기준임.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지유통종합평가자료..

(17) 9 표 1-11.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평균 조직화 취급액 단위: 억 원.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평 균. 25. 26. 33. 37. 82. 113. 127. 농협법인. 24. 25. 31. 34. 91. 129. 133. 농업법인. 31. 29. 39. 47. 67. 88. 110.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지유통종합평가자료.. 표 1-12. 산지유통활성화사업 지원 대상 조직의 조직화 취급액 비중 단위: 억 원, %. 2012 구 분. 취급액. 2013. 조직화취급액 비중. 취급액. 2014. 조직화취급액 비중. 취급액. 조직화취급액 비중. 합 계. 42,510. 16,748. 39.4. 35,933 17,793. 49.5. 34,090. 18,997. 55.7. 100억 원 이상. 38,524. 14,833. 38.5. 32,320 15,571. 48.2. 30,421. 16,409. 53.9. 10억~100억 원. 3,985. 1,915. 48.0. 61.5. 3,669. 2,587. 70.5. 3,613. 2,222.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지유통종합평가자료.. 한편 통합마케팅조직은 광역단위 15개소, 지역단위 128개소 등 총 143개소 이며, 총취급액은 3.2조 원이다. 통합마케팅 참여조직의 전체 취급액은 7.2조 원이며, 그 가운데 통합마케팅 출하액은 1.9조 원으로 26%이고 10억 원 이상 출하 참여조직 수는 365개로 나타났다. 표 1-13. 통합마케팅조직 및 참여조직 현황 단위: 개소. 구 분. 통합마케팅조직 참여조직 수 (10억 원 이상). 통합마케팅조직 수 품목광역. 지 역. 계. 품목광역. 지 역. 계. 합 계. 15. 128. 143. 9. 356. 365. 농 협. 6. 98. 104. 0. 320. 320. 농업법인. 9. 30. 39. 9. 36. 45. 자료: aT 내부자료, 통합마케팅조직과 참여조직 현황, 2014. 12. 기준..

(18) 10 표 1-14. 통합마케팅조직 및 참여조직의 취급액 현황 단위: 개소, 억 원. 통합조직 구 분. 개소 수. 취급액. 총취급액(A). 143 104 39. 31,610 24,659 6,951. 71,603 66,370 5,234. 합 계 농 협 농업법인. 참여조직 통합조직 출하액(B) 18,652 17,106 1,546. 통합조직 출하 비중(B/A) 26.0% 25.8% 29.5%.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산지유통종합평가자료.. 4. 산지농협의 출하처 현황 농협 자료에 의하면 산지농협의 주 출하처는 청과사업단, 대형유통업체 등에 대한 직거래 39.2%, 농협 공판장 및 대도시 도매시장 53.6%, 조합마트 등 7.2% 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표 1-15. 산지농협 출하유형별 출하 비중(2014년 말 기준) 단위: %. 직거래. 시 장. 기 타. 자료: 농협중앙회.. 구 분 청과사업단 대외마케팅 농협유통센터 학교급식 수출 빅3 기타 직거래 연합조직 중앙회공판장 농협공판장 도매법인 시장도매인 마트(조합) 기타 합 계. 출하처 3.0 0.8 1.5 0.2 0.4 1.6 16.7 15.0 10.5 8.5 33.3 1.3 6.9 0.2 100.0. 39.2. 53.6. 7.2 100.0.

(19) 11. 5. 산지농협 판매사업의 문제점. 5.1. 일반적인 문제점 종합 농협(신용, 경제, 공제, 복지)으로 유통의 전문성 미흡하며, 농협전체의 공동계산율이 19.1%에 불과한 것으로 보아 공동수송에 불과한 단순 수탁 위주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합장 직선제, 1인1표 등으로 기업적 경영에 한계가 있으며, 읍·면단 위 조직으로 규모가 영세하고 품목 및 출하시기 제한이 있다. 아울러 행정주도 및 하향식 조직화로 조합원의 참여 의식이 미약하며, 경영마인드 부족 및 순환 보직 등으로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경영의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5.2. 조합공동사업법인의 문제점 조합공동사업법인의 문제점으로는 산지조합 판매사업과 경합, 단순 판매알 선사업으로 수익성 미흡, 중앙회 연합사업과 경합, 조합장 위주의 이사회 구성 으로 CEO에 의한 책임경영 미흡, 현물 출자 위주로 운영자금 부족 등이 있다.. 6. 산지농협의 정보화 실태. 6.1. 경제종합시스템 농협은 2000년부터 경제종합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농협경제종합시스 템의 기능은 운영관리, 통합기준정보, 공통 업무, 판매 기준정보, 수탁관리, 매.

(20) 12 취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협경제통합시스템 기능의 상세 내역은 다음 과 같다.. 그림 1-2. 농협의 경제종합시스템. 표 1-16. 농협 경제종합시스템의 기능 기 능. 기능 설명 •경제통합시스템의 사용자 권한은 메뉴구성 및 화면 접근에 대. 권한 관리. 한 관리, 그리고 화면에 대한 읽기/쓰기 권한(조회/입력/수정/ 삭제)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운영관리. •공통코드, 사무소, 사무소상세, 환율정보, 휴일정보, 사무실적 공통기준 정보. 조회 등을 조회할 수 있고 휴일정보관리, 결재선 관리에 대해 조회/등록/수정/삭제 할 수 있다. •경제종합시스템, 축산종합시스템, 소매유통시스템에서 사용 중. 상품코드. 인 상품코드와 거래처코드를 표준으로 코드를 발행 관리할 수 있다. 비표준 상품의 경우 수정에 대한 일부제약이 따르며 승 인절차 없이 직접 등록이 가능하다.. 통합기준 정보. •계통거래처와 외부거래처(사업자, 개인)로 구분하여 생성하고 거래처코드. 거래처 코드는 국가표준코드와 농협표준코드로 구분하여 조회/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다.. 거래처관리. •경제통합GIF에 등록되어 있는 고객에 대해서만 등록이 가능하다..

(21) 13. 기 능. 기능 설명 •계통사업장간 매입/매출 시 동일한 계약관계를 참고하여 수요. 거래관계. 자와 공급자의 채권 채무가 일치하도록 관리할 수 있고 다자간 거래의 계약도 통제할 수 있다. •사업장에서 상품속성 또는 상품분류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 상품관리. 고 기존 상품속성 또는 상품분류가 없는 경우 등록을 요청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지소 내 대표사업장으로 소속된 모든 작목반을 조회할 수. 협동조직 관리. 있으며, 자신의 대표사업장으로 소속된 작목반을 신규로 등록/ 수정/삭제할 수 있다. •농협의 모든 경제, 유통, 축산 사업장 간 발주/수주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거래처와 발주/수주 정보. 통합수발주. 를 제공하는 메뉴로 주요기능은 권고발주, 통합발주, 연합사업관 리, 발주업무관리, 수주업무관리, 예약행사관리, 배송/반품관리, 입찰정보 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매장에서 VAN사로 직접 승인 처리하는 방식에서 VAN연계승 인시스템을 통해 청구 업무를 자동화시켜 관리한다. 주요 기능. 통합VAN. 으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카드, 직불카드, 전자상품권, OK캐쉬백, 정유사 포인트, 현금영수증, 면세유카드, 수표 조회. 공통업무. 등을 VAN사로 자동으로 승인요청 처리할 수 있다. 통합원장. •외상매입금, 수탁사업예수금 등 대금지급 및 재고원장관리, 실사 사후관리마감, 회계거래자료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약정심사, 약정등록, 외상매출금(계통포함), 외상매출금미결산. 자금채권. (신용카드, 쿠폰, 상품권, 보조금), 기타 미수금에 대하여 관리 할 수 있다. •거래애서 발생한 세무자료의 집계/마감·접수·교부·승인을 관리. 통합세무. 하고, 구매사업의 부가가치세 사후환급의 신청, 지급 등을 관리 할 수 있다. •APC사업장, 거래처, 출하주, 정책사업기본 정보 등을 관리하고. 공통 판매기준 정보. 인력관리 수탁. 각 업무별 고유의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작업자에 대한 기본정보를 관리하고 작업조/ 작업조 인원을 관 리할 수 있다. •수탁에 대한 기준정보를 관리하고 사업유형별·거래처별·간가 등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22) 14. 기 능. 기능 설명 매취. •매취에 대한 기준정보를 관리하고 사업유형별·거래처별·간가 등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공통계산을 위한 계산팀 및 팀원 배분기준 등의 정보를 관리하. 공통계산. 고, 점수제 공통계산을 위한 Factor항목을 등록하여 향후 점수 제 공동계산 시 사용할 수 있다.. 공통관리. •각 사업별로 공통적으로 관리되는 사항을 조회/입력/수정/삭제 할 수 있다. •선별 전 출하주가 출하한 물품에 대해 입고 처리하여 관리할 수. 선별관리. 있고 입고등록·선별내역(입력, 일괄입력)·선별내역(원료투입)·공동 계산 점수제 입력·선별내역 등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출하관리 수탁관리 정산관리. •계통을 제외한 출하내역을 관리하고, 주요기능은 출하주별 조회· 출하내역 입력(계통, 수탁)·출하내역 조회 기능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농업인이 위탁한 농산물 공판장·도매시장·유통센터 등 으로 출하/판매한 대금을 당일 또는 수일 내에 정산하는 기능 이며, 크게 출하장려금·공동계산지급·출하대금정산·판매대금 이 체내역문자발송·정책사업 정산처리 등으로 관리할 수 있다. •농산물 등에 대한 등급을 구분하여 판매대금 비용을 평균으로. 공통계산. 나누고 이를 각 농가에게 정산하는 기능이며, 일정한 기간 내에 출하처나 출하시기에 따른 차이는 총판매대금을 등급별 출하물 량에 따라 배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매입거래 내역을 관리할 수 있으며, 기능은 매입내역 입력·매입. 매입관리. 생산관리. 매취관리. 매출관리. 환출·저장품 매입·수탁품 인수/반품·매입내역 조회 기능으로 구 성된다. •생산 시 필요한 작업내역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생산경비·생산 기표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매입 시점에 공급처의 예수금 및 외상매출금의 회계기표가 자 동처리되고 상대방과의 계수가 일치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크 게 메뉴는 출고·매출입력·매출환입·개별매출·공통매출입력·매입 /매출 제비용 입력·보조금 수령내역 입력 등으로 구성된다. •판매대금 공동계산, 출하대금 공동계산, 공동계산내역 직접조정,. 정산관리. 재고관리. 공동상표 매출내역조회, 정책사업 농협정산, 정책사업 농가 정 산처리, 정산결과 등으로 구성되어 관리할 수 있다. •재고 실사내역 이력을 조회/수정/삭제할 수 있고 사업장 간·사업 유형 간 등 상품을 이동하여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23) 15. 6.2. 경제종합시스템 이외의 시스템 현황 농협은 경제종합시스템 이외에 농산물 온라인 유통정보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정보시스템이란 전국의 주요 농산물시세 및 출하동향을 전산 처리하여 농협중앙회의 온라인망을 활용, 즉시 유통정보를 제보할 수 있는 정 보제공시스템을 말한다. 농협의 온라인망은 전국 600개소(단위조합 포함)에 설 치되어 있으며, 산지시세 및 소비지의 농협농산물공판장, 법정도매시장의 경락 시세를 전산처리 터미널에 기억시켜 도시 소비자나 농민 모두가 즉시 농산물 출하 및 가격동향을 알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농민은 전국 주요 지역의 농산 물 가격을 온라인지점망을 통해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고 농협은 농산물 유통정 보를 알아내 단위농협에 제공함으로써 단위농협은 이 자료를 활용하여 산지 출하물량을 조절할 수 있다..

(24)

(25) 제. 2. 장. 배추, 무 생산·유통 현황과 문제점. 1. 배추 생산 및 유통 현황. 1.1. 생육 특성과 주산지 배추는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파종 후 70∼100일 후에 수확하 며 작기별로는 봄배추, 고랭지배추, 가을배추, 월동배추로 나뉜다. 가을배추 중 에서도 11월 중하순을 전후로 출하되는 배추는 김장용배추로 지칭하며, 월동 배추는 고랭지배추의 주출하기인 8월 하순부터 파종되어 남부지방에서 익년 12~2월까지 출하되는 배추를 가리키나 가을배추 작기의 연장 및 저장, 봄배추 의 조기출하 등으로 작형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월동배추는 저장이 가능하 기 때문에 5월까지 출하되는 경우도 있으며 봄배추 수급교란 요인이 되는 경우 가 많다. 작형별 주산지는 봄배추의 경우 경기평택, 충남서산, 전남나주 등이고 고랭 지배추는 강원평창·정선, 가을배추는 전북고창, 전남영암 등지이며, 월동배추 는 전남해남, 전남무안 등 전라남도와 남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26) 18 배추는 전국에 걸쳐 재배되나 여름철에는 기온이 서늘한 강원 및 전북 산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가을과 겨울에는 비교적 온난한 전라도 지역에서 주 로 재배되며, 산간지역의 고랭지배추는 고도에 따라 2기작도 가능하다.. 표 2-1. 배추 작형별 파종 및 출하시기 구 분. 주산지. 파 종. 정 식. 출 하. 봄배추. 평택, 서산, 나주. 12월 중순~ 1월 하순. 2월 중순~ 3월 하순. 3월 하순~ 5월 중순. 고랭지배추. 평창, 정선. 5월 하순~ 7월 하순. 6월 중순~ 8월 중순. 7월 하순~ 10월 하순. 가을배추. 고창, 영암. 7월 하순~ 9월 상순. 9월 상순~ 9월 하순. 10월 중순~ 12월 하순. 월동배추. 해남, 진도, 무안. 8월 하순~ 9월 초순. 9월 중순~ 10월 초순. 12월 중순~ 2월 하순. 그 외 파종시기와 재배방법에 따라 하우스재배, 터널재배, 봄육묘재배, 준고 랭지재배, 망사피복재배, 얼갈이재배, 엇갈이재배, 늦가을재배 등 다양한 작형 이 있다.. 1.2. 재배면적 및 생산량 2013년 배추 재배면적은 2004년 이후 10년간 연평균 4.9% 감소한 2만 8,301ha, 생산량은 연평균 3.3% 감소한 212만 톤이다. 작형별로 생산량 변동 추이를 살 펴보면 봄배추 생산량은 2005∼2013년간 연평균 13.4%씩 매우 큰 폭으로 감 소하였고 고랭지배추는 연평균 4.9% 정도 감소하였다. 가을배추는 연평균 0.9%씩 증가하였으며, 시설배추는 연평균 5.3%씩 감소하였다..

(27) 19 그림 2-1. 배추 재배면적 및 생산량 60,000. 3,500,000. 3,000,000. 50,000. 2,500,000 40,000 2,000,000 30,000 1,500,000 20,000 1,000,000. 10,000. 500,000. 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생산량(톤).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배추:면적(ha). 자료: 통계청.. 표 2-2. 작형별 배추 생산량 단위: 톤, %. 구 분. 노 지. 연평균 증감률. 2005. 2010. 2011. 2012. 2013. 봄. 813,081. 290,963. 420,933. 176,277. 253,363. -13.4. 고랭지. 254,087. 136,504. 144,493. 202,827. 200,895. -4.8. 1,114,821. 1,187,840. 1,896,828. 1,298,084. 1,535,802. 0.9. 143,341. 167,703. 218,593. 138,833. 130,333. -5.3. 2,325,330. 1,783,010. 2,680,847. 1,816,021. 2,120,393. -4.9. 가을 시 설 계.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배추는 전년도 및 전기의 가격과 풍흉에 따라 금기의 재배면적이 크게 달라 지고 가격등락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28) 20 그림 2-2. 작형별 전년 대비 배추 재배면적 변동률 단위: %. 배추의 평균 단수는 2005년 이후 연평균 2.3% 증가하여 2013년 10a당 7,492kg 수준이다. 그러나 배추단수는 노지재배가 많고 뿌리가 얕다는 생물학 적인 특성상 기후에 따라 풍흉이 크게 좌우되어 단수변동이 심하다. 특히 2010 년도 배추단수는 대폭 감소한 경험이 있다.. 표 2-3. 배추 단수 추이 단위: kg/10a, %. 노지. 구 분. 2005. 봄 고랭지 가을 시 설 평 균. 4,885 3,908 10,134 4,690 6,250. 자료: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2010 4,769 2,769 8,773 4,533 6,307. 2011 4,831 3,080 10,948 4,570 7,549. 2012 4,667 3,691 9,681 4,794 7,100. 2013 5,138 3,654 10,174 4,693 7,492. 연평균 증감률 0.6% -0.8% 0.0% 0.0% 2.3%.

(29) 21. 1.3. 수확 및 출하 배추는 일시에 홍수 출하되기 때문에 전국적 분산능력을 가진 산지유통인들 의 취급(포전거래)이 많은 품목이다. 전국을 커버하는 산지유통인들은 지역에 연고를 둔 지인 또는 소규모 산지유통인을 통해 물량을 수집하고 전국 시세를 참고하여 적절히 분산한다. 포전거래 계약은 정식 후 1달 내외(계약금 30~ 50%)에 이루어지고 수확 전에 잔금이 정산된다. 계약방식은 구두계약이 다수 이며 서면 계약은 거의 없으나 만일 서면계약이 있더라도 총거래금액, 거래 면 적 등만 있을 뿐 자세한 내용까지는 기재하지 않는다. 밭떼기 거래 시 수확 및 상차, 운송은 산지유통인이 전문 작업단을 활용하여 수행한다. 이는 잔금이 정 산된 시점부터 소유권이 산지유통인에게 이전되기 때문이며, 배추는 일시에 수 확해야 하기 때문에 수확인부를 대량 동원하기 어려워 생산자가 포전계약을 선호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여성인부가 수확하면 소형트럭 또는 경운기로 적재지까지 수송하여 5톤 트럭에 재상차하며, 대형트럭이 직접 진입가능한 곳 은 남성인부가 상차작업을 수행한다. 수확작업은 7~8명이 1조가 되어 1일 5톤 트럭 3대 분량을 수확·상차하며 지역에 따라 다르나 통상 40만 원/5톤의 인건 비가 소요된다. 무배추 포장화 사업으로 공영도매시장에 산물배추 출하가 금지 된 결과 도매시장에 출하할 때는 망 또는 자루에 담아 출하하며, 그 외 출하처 에는 산물을 끈으로 묶는 방식으로 출하하는 경우도 있다.. 1.4. 유통비용 및 유통경로 소비자가격 대비 유통비용은 매년 작황, 경기상황, 수송거리 등에 따라 유동 적이나 2012년의 경우 봄배추는 62.1%, 고랭지배추 72.2%, 가을배추 66.7%, 겨울배추 75.3% 수준이다. 배추의 유통마진이 높은 이유는 상품 특성상 수송 비, 감모비 등이 많이 소요되고 투기적인 영업으로 인해 산지유통인의 이윤이 높고 소매상이 영세하여 소매단계에서 유통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30) 22 출하 및 유통경로는 매년의 작황과 시세에 따라 산지유통인의 계약률, 계약 재배 농가의 위약률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유동적이다. 대표적인 가을배추를 살펴보면 2012년의 경우 생산자 단체의 취급률은 10%에 불과하였고 산지유통 인이 86%의 물량을 분산시키고 있다. 표 2-4. 배추 작형별 유통비용 비중(2012) 단위: %. 구 분. 봄배추. 고랭지배추. 가을배추. 겨울배추. 생 농 가 수 취 가 격 산 가 격 자 판 매. 37.9. 27.8. 33.3. 24.7. 37.9. 27.8. 33.3. 24.7. 수 확 상 차 비 산 재 비 지 포 장 유 운 송 비 통 간 접 비 인 이 윤. 5.6. 5.6. 6.5. 6.8. 1.7. 1.4. 1.5. 1.8. 4.3. 4.2. 6.9. 7.8. 1.4. 4.5. 1.9. 1.3. 4.3. 7.8. 4.8. 5.8. -. -. -. -. 4.2 (경락가격의 7%). 3.8. 4.6. 4.1. 격. 59.3. 54.4. 65.7. 58.5. 비. 0.3. 0.2. 0.2. 0.3. 모. 1.2. 1.6. 1.3. 2.9. 비. 3.1. 2.8. 3.4. 3.1. 윤. 4.4. 5.9. 4.6. 4.3. 격. 68.3. 65.0. 75.2. 69.1. 비. 4.4. 3.3. 3.8. 7.3. 모. 3.4. 4.6. 1.5. 3.4. 비. 6.6. 6.3. 7.3. 6.7. 윤. 17.2. 20.8. 12.2. 13.5. 격. 100.0 3,000원/포기. 100.0 4,000원/포기. 100.0 3,500원/포기. 100.0 3,040원/포기. 하 차 비 (도매법인이 부담) 도 매 시 상 장 수 수 료 장 경 청 중 감 도 간 매 인 이 판. 락 소 접 매. 운. 가 송. 감 소 간 매 상 이 판. 가. 접. 매. 가.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3).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31) 23 그림 2-3. 가을배추 유통경로별 비중(2013).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배추의 총생산량 대비 공영도매시장 경유율은 20% 수준이다. 공영도매시장 상장물량은 최근 약 530만 톤 수준이나 작황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달라진다. 생산량 대비 경유율이 29% 수준(2002년)에서 20%까지 크게 변동되고 있다. 배추는 수출, 수입이 국내 생산량에 비해 아주 작은 수준으로 2013년 현재 신선배추 수출은 6,376톤, 수입은 2,783톤으로 순수입은 –3,593톤이다. 배추 수출 상대국을 국별로 보면 기존에는 일본의 비중이 높았으나 2006년 이후 일 본 수출이 감소하고 대만의 점유율이 높아졌다. 수입은 중국산이 대부분을 차 지하고 있다.. 1.5. 가공 및 소비 현황 배추는 대부분 김치로 소비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8%2 수준에 불과하므로 배추 가공실적은 대부분 절임배추를 포함한 김치 생산을 의미하는.

(32) 24 것으로 판단된다3. 2005년은 기생충 김치 파동으로 가정 내 김치 생산이 많아 가공실적이 매우 저조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김치류 중 70%는 배추를 주 재료로 생산하고 그 외 30%는 무, 쪽파 등을 주재료로 생산한다.4 2012년 1인당 배추김치 소비량5은 28.6kg으로 쌀, 우유, 밀 다음으로 많이 소 비하는 품목이다.. 표 2-5. 주요 식품의 1인당 소비량 구 분. 쌀. 우 유. 배추김치. 1인당 소비량. 69.8kg. 67.2kg. 28.6kg. 주: 배추김치 1인당 소비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주요통계.. 2. 무 생산 및 유통 현황. 2.1. 생육 특성과 주산지 무의 생육기간은 90∼120일 내외이며, 고랭지무의 생육기간은 70일 내외이 다. 봄 작형의 파종시기는 지역에 따라 1~2주 가량 차이가 난다. 고랭지작형은 해발 400~600m까지 준고랭지, 600m 이상은 완전고랭지로 분류된다. 준고랭지 는 1기작(4~5월)과 2기작(6~7월)으로 구분되며, 완전고랭지는 5~7월에 파종 이 이루어진다. 가을작형은 8~9월, 월동작형은 9~10월까지이다. 작기별 주산지는 봄무의 경우 전남 나주, 광주, 김제, 영암, 충남 아산 등이고 2 3 4 5. 쌈, 겉절이, 배추국, 데침용. 이계임 외. 2000. 󰡔김치수요의 변화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p. 8. 이계임 외. 2000. p.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13󰡕..

(33) 25 고랭지무는 강원 평창·정선, 가을무는 전북 고창, 부안, 전남영암 등지이며 월 동무는 제주지역이다. 표 2-6. 무 작형별 파종 및 출하시기 구 분 주산지 하우스 나주, 광주, 김제, 영암, 아산 봄 노지 나주, 김제, 영암, 고창, 아산 준고랭지 대화, 방림, 둔내, 영월 홍천, 양구, 정선, 진부, 고랭지 대관령, 왕산, 거창 고랭지 준고랭지 대화, 방림, 둔내 2기작 가을 고창, 부안, 영광, 당진, 평택 노지 성산, 구좌 월동배추 저장 성산, 구좌. 파 종 1월~2월 3월경 4월~5월. 출 하 4월 하순~ 5월 중순~7월 중순 7월 하순~8월 중순. 5월~6월. 8월 상순~10월 중순. 8~9월. 9월 상순~10월 하순. 8~9월 9~10월 9~10월. 11월 상순~12월 중순 12월 중순~4월 하순 4월 하순~6월 상순. 2.2. 재배면적 및 생산량 무는 배추와 생육 특성이 비슷하고 출하형태도 유사하여 주산지도 겹치는 경우가 많다. 무 재배면적은 2005년 이후 연평균 5.5% 감소하여 2013년 1만 7,215ha이며, 봄무 재배면적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반면 월동무는 주산지인 제 주를 중심으로 최근 빠른 속도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제주산 월동무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제주산이 장악하고 있던 세척당근시장이 중국산에 의해 크게 잠식되어 월동무 재배로 전환하였고 상품성에 있어 봄무보다 우위에 있 기 때문이다..

(34) 26 그림 2-4. 무 재배면적 및 생산량 45,000. 2,000,000. 40,000. 1,800,000 1,600,000. 35,000. 1,400,000. 30,000. 1,200,000 25,000 1,000,000 20,000 800,000 15,000 600,000 10,000. 400,000. 5,000. 200,000. 0.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생산량(톤).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무:면적(ha). 표 2-7. 연도별 무 재배면적 단위: ha, %. 구 분 봄.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감률. 11,831. 11,256. 9,117. 5,615. 6,361. -7.5. 2,072. 2,161. 2,713. 2,552. 2,195. 0.7. 8,854. 7,473. 9,748. 6,826. 7,532. -2.0. 시 설. 4,373. 1,001. 1,490. 1,097. 1,127. -15.6. 전 체. 27,130. 21,891. 23,068. 16,090. 17,215. -5.5. 노 지 고랭지 가을. 주: 배추와 마찬가지로 월동무 재배면적은 행정통계이며, 봄무 재배면적은 통계청 봄무 재배면적에서 월동무 재배면적을 제외한 것임. 자료: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무 생산량은 2005년 이후 연평균 3.0% 감소하여 2013년 100만 톤 수준이다. 전체 무 생산량이 감소한 이유는 봄무와 시설무의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감소 하였기 때문이다..

(35) 27 표 2-8. 작형별 무 생산량 단위: 톤, %. 구 분 봄 노 지 고랭지 가을 시 설 계. 연평균 증감률. 2005. 2010. 2011. 2012. 2013. 450,569. 467,369. 380,930. 227,189. 256,600. -6.8. 63,515. 55,382. 74,536. 72,490. 61,554. -0.4. 579,212. 473,230. 716,854. 499,956. 638,902. 1.2. 184,187. 43,364. 64,477. 45,097. 44,074. -16.4. 1,277,483. 1,039,345. 1,236,797. 844,732. 1,001,130. -3.0. 주: 월동무 생산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봄무 단수를 월동무 재배면적에 곱한 것임.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무 단수는 2005년 이후 연평균 2.7% 증가하여 2013년 현재 10a당 5,815kg 수준이다. 고랭지무 단수는 감소하였으나 가을무의 단수는 증가하였다.. 표 2-9. 작형별 무 단수 변화 단위: kg/10a, %. 구 분 봄.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감률. 3,808. 4,152. 4,178. 4,046. 4,034. 0.7. 3,065. 2,563. 2,747. 2,841. 2,804. -1.1. 6,542. 6,333. 7,354. 7,324. 8,483. 3.3. 시 설. 4,212. 4,332. 4,327. 4,111. 3,911. -0.9. 계. 4,709. 4,748. 5,362. 5,250. 5,815. 2.7. 노 지 고랭지 가을. 주: 월동무 단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봄무 단수(봄무 생산량 추정치÷통계청 봄무 재배 면적)을 동일하게 적용함. 자료: 통계청.. 2.3. 유통비용 및 유통경로 소비자가격 대비 유통비용은 2012년의 경우 봄무가 74.1%, 고랭지무가 66.7%, 가을무가 71.7%, 월동무가 76.7% 수준이다..

(36) 28 표 2-10. 무 작형별 유통비용 비중(2012) 단위: %. 구 분 생 산 자. 판. 매 확. 세 포. 가 상. 차. 척 장. 재. 31.1. 26.7. 35.9. 31.9. 비. 7.4. 5.5. 7.7. 5.2. 비. -. -. -. 6.7. 비. 8.1. 4.7. 2.0. 1.1. 격. 비. 8.1. 4.0. 7.4. 9.2. 간. 접. 비. 3.5. 2.5. 2.3. 1.6. 윤. 3.7. 2.4. 1.9. 6.2. 비. -. -. -. -. 료. 4.7. 3.4. 4.3. 4.6. 격. 66.7. 49.2. 61.5. 66.4. 비. 0.4. 0.2. 0.3. 0.5. 비. -. -. -. -. 비. -. -. -. -. 모. -. 1.5. 1.2. 2.0. 비. 3.5. 2.6. 3.2. 3.5. 윤. 3.6. 13.2. 5.4. 4.4. 격. 74.1. 66.7. 71.7. 76.7. 비. 6.7. 4.4. 4.2. 6.7. 모. 3.7. 4.0. 1.4. 4.6. 비. 7.2. 6.5. 7.0. 7.4. 윤. 8.3. 18.4. 15.8. 4.6. 격. 100.0 1,500원/개. 100.0 2,250원/개. 100.0 6,000원/다발. 100.0 1,500원/개. 하 상 경 선. 차 장. 선. 수. 락. 수 가. 소 별. 인. 별. 건 잡. 감 간. 접. 이 판. 매. 운 소 매 상. 월동무. 송. 청 중 도 매 인. 가을무. 운 이. 도 매 시 장. 고랭지무. 농 가 수 취 가 격. 수 산 지 유 통 인. 봄무. 가 송. 감 간. 접. 이 판. 매. 가. 주: 봄무는 고창→서울, 가락시장, 고랭지무는 정선→서울, 가락시장, 가을무는 고창→서울, 가락시장 기준임.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13).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 무의 유통경로도 대부분 산지유통인과 도매상(도매시장) 중심으로 구성된다..

(37) 29 그림 2-5. 가을무 유통경로별 비중(2013).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3. 배추, 무 생산 및 유통의 문제점. 3.1. 높은 가격 변동성 배추, 무는 대부분 노지에서 생산되는 작물로 기상변화에 매우 민감하고 재 배면적 변동과 단위당 수확량 변동에 의해 생산량 변동이 특히 심하여 시장공 급 변동이 심하다. 또한 저장성이 낮아 가격변동폭이 크게 나타난다. 유통측면 에서 산지수집상이나 저온저장고를 소유한 유통상인들의 투기적 행위 등으로 가격폭등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채소류의 안정적인 공급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품목특성, 생산면적 변동, 이상기후 발생 등에 따른 생산변동으로 가격 변동 이 확대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이를 안정시키고자 하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

참조

관련 문서

 개인, 사업 단체, 다른 법인에 의해 쓰이는 종류나 표시를 일컫는 말로 제품 및 서비스를 고객에게 다른 실체와 구별하여 독창적으로 알리는 수단..  상표는

한국산 농산물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초기에는 시식이나 및 할인 프로모션 등을 실시하여 한국산 농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2단계로는 한국 농식품

최근 들어 전자상거래 경매시장 등 다양한 농산물 유통채널이 발전하고 있으나 도시지역 농산물 , 소비의 70~80% 는 여전히 농산물 도매시장 유통채널을 통해

조사 자료 통합 검색 시스템 조사 상담을 위해 과거 조사 자료 및 조사방법 검색 시 제목, 키워드 뿐만 아니라 저장된 문서 내용까지 검색할 수 있도록

○ (국토·지역계획) 조사 업무에 대한 협력적 태도, 국가정책과 지자체정책 간 균형있는 조정 노력, 공간과 시간변화에 귀 기울이고 학습하는 태도, 과업을 주도적으로

산업 집중화를 목표로 농산물 우수 생산지와 산업지대에서 농산물 자원조건에 따라 농 산물 가공산업의 단계 전환을 실시하고, 농산물 가공업이 우수 생산지에 집중되도록

□ ICT 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개선이 다른 분야에서의 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동효과에 대한 고려가 에너지 및 자원의 수요가 포화상태인 선진국

ㅇ 국내외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지원 받을 수 있는 화상 수업 시스템 구축 및 원격수업 콘텐츠 개발. ㅇ 해외 우수학교 및 타 지역 학교간의 협력적 탐구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