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1. 경제종합시스템

농협은 2000년부터 경제종합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농협경제종합시스 템의 기능은 운영관리, 통합기준정보, 공통 업무, 판매 기준정보, 수탁관리, 매

취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협경제통합시스템 기능의 상세 내역은 다음

기 능 기능 설명

기 능 기능 설명

6.2. 경제종합시스템 이외의 시스템 현황

농협은 경제종합시스템 이외에 농산물 온라인 유통정보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온라인 유통정보시스템이란 전국의 주요 농산물시세 및 출하동향을 전산 처리하여 농협중앙회의 온라인망을 활용, 즉시 유통정보를 제보할 수 있는 정 보제공시스템을 말한다. 농협의 온라인망은 전국 600개소(단위조합 포함)에 설 치되어 있으며, 산지시세 및 소비지의 농협농산물공판장, 법정도매시장의 경락 시세를 전산처리 터미널에 기억시켜 도시 소비자나 농민 모두가 즉시 농산물 출하 및 가격동향을 알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농민은 전국 주요 지역의 농산 물 가격을 온라인지점망을 통해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고 농협은 농산물 유통정 보를 알아내 단위농협에 제공함으로써 단위농협은 이 자료를 활용하여 산지 출하물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배추 , 무 생산 · 유통 현황과 문제점

1. 배추 생산 및 유통 현황

1.1. 생육 특성과 주산지

배추는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라는 작물로 파종 후 70∼100일 후에 수확하 며 작기별로는 봄배추, 고랭지배추, 가을배추, 월동배추로 나뉜다. 가을배추 중 에서도 11월 중하순을 전후로 출하되는 배추는 김장용배추로 지칭하며, 월동 배추는 고랭지배추의 주출하기인 8월 하순부터 파종되어 남부지방에서 익년

12~2월까지 출하되는 배추를 가리키나 가을배추 작기의 연장 및 저장, 봄배추

의 조기출하 등으로 작형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월동배추는 저장이 가능하 기 때문에 5월까지 출하되는 경우도 있으며 봄배추 수급교란 요인이 되는 경우 가 많다.

작형별 주산지는 봄배추의 경우 경기평택, 충남서산, 전남나주 등이고 고랭 지배추는 강원평창·정선, 가을배추는 전북고창, 전남영암 등지이며, 월동배추 는 전남해남, 전남무안 등 전라남도와 남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배추는 전국에 걸쳐 재배되나 여름철에는 기온이 서늘한 강원 및 전북 산간

0

봄 813,081 290,963 420,933 176,277 253,363 -13.4 고랭지 254,087 136,504 144,493 202,827 200,895 -4.8 가을 1,114,821 1,187,840 1,896,828 1,298,084 1,535,802 0.9 시 설 143,341 167,703 218,593 138,833 130,333 -5.3 계 2,325,330 1,783,010 2,680,847 1,816,021 2,120,393 -4.9

표 2-2. 작형별 배추 생산량

단위: 톤, %

자료: 통계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배추는 전년도 및 전기의 가격과 풍흉에 따라 금기의 재배면적이 크게 달라 지고 가격등락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림 2-2. 작형별 전년 대비 배추 재배면적 변동률

단위: %

배추의 평균 단수는 2005년 이후 연평균 2.3% 증가하여 2013년 10a당

7,492kg 수준이다. 그러나 배추단수는 노지재배가 많고 뿌리가 얕다는 생물학

적인 특성상 기후에 따라 풍흉이 크게 좌우되어 단수변동이 심하다. 특히 2010 년도 배추단수는 대폭 감소한 경험이 있다.

구 분 2005 2010 2011 2012 2013 연평균

증감률 노지

봄 4,885 4,769 4,831 4,667 5,138 0.6%

고랭지 3,908 2,769 3,080 3,691 3,654 -0.8%

가을 10,134 8,773 10,948 9,681 10,174 0.0%

시 설 4,690 4,533 4,570 4,794 4,693 0.0%

평 균 6,250 6,307 7,549 7,100 7,492 2.3%

표 2-3. 배추 단수 추이

단위: kg/10a, %

자료: 통계청; 농림축산식품부.

1.3. 수확 및 출하

출하 및 유통경로는 매년의 작황과 시세에 따라 산지유통인의 계약률, 계약

그림 2-3. 가을배추 유통경로별 비중(2013)

자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배추의 총생산량 대비 공영도매시장 경유율은 20% 수준이다. 공영도매시장 상장물량은 최근 약 530만 톤 수준이나 작황에 따라 생산량이 크게 달라진다.

생산량 대비 경유율이 29% 수준(2002년)에서 20%까지 크게 변동되고 있다.

배추는 수출, 수입이 국내 생산량에 비해 아주 작은 수준으로 2013년 현재 신선배추 수출은 6,376톤, 수입은 2,783톤으로 순수입은 –3,593톤이다. 배추 수출 상대국을 국별로 보면 기존에는 일본의 비중이 높았으나 2006년 이후 일 본 수출이 감소하고 대만의 점유율이 높아졌다. 수입은 중국산이 대부분을 차 지하고 있다.

1.5. 가공 및 소비 현황

배추는 대부분 김치로 소비되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8%2 수준에 불과하므로 배추 가공실적은 대부분 절임배추를 포함한 김치 생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3. 2005년은 기생충 김치 파동으로 가정 내 김치 생산이 많아 가공실적이 매우 저조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김치류 중 70%는 배추를 주 재료로 생산하고 그 외 30%는 무, 쪽파 등을 주재료로 생산한다.4

2012년 1인당 배추김치 소비량5은 28.6kg으로 쌀, 우유, 밀 다음으로 많이 소

비하는 품목이다.

구 분 쌀 우 유 배추김치

1인당 소비량 69.8kg 67.2kg 28.6kg

표 2-5. 주요 식품의 1인당 소비량

: 배추김치 1인당 소비량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추정치임.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주요통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