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의자료실 - 소방국어 1(제3장 고문) | 소방행정학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강의자료실 - 소방국어 1(제3장 고문) | 소방행정학과"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3

장 고문

(2)

학습목표 (

필요시 작성 )

1.

공무원 국어 (I)

--

고대가요에 대해서 이해한다 .

--

향가에 대해서 이해한다 .

--

고려속요에 대해서 이해한다 .

--

경기체가에 대해서 이해한다 .

--

악장에 대해서 이해한다 .

--

시조에 대해서 이해한다 .

--

가사에 대해서 이해한다 .

--

잡가와 민요에 대해서 이해한다 .

(3)

4.1

고대가요

1.

주요작품 (

배경 설화와 가사가 다 전하는 가요 )

작품 작자 연 대 성 격 내 용 출 전 공무도하가 (公無渡河 歌 ) 백수광부 (白首狂夫 ) 의 처 고조선 서정 가요 물에 빠져 죽은 남편을 애도한 노래로 , 악곡명은 공후인 이다 ‘ ’ 해동역사 구지가 (龜旨歌 ) 구간 ( 九 竿 ) 등 신라 유리왕19년 집단 가요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바라는 주술적 인 노래다 . 일명 영신군가 ( 迎神君 ‘ 歌 )’ 삼국 유사 황조가 (黃鳥歌 ) 유리왕 고구려 유리 왕 (B.C. 17) 서정가요 꾀꼬리의 정다운 모습을 보고 실연의슬픔을 노래하였다 . 삼국사기 정읍사 (井邑詞 ) 행상인의 처 백제 서정가요 행상 나간 남편의 신변을 근심하여 부른 ,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 다 . 악학 궤범 해가 (海歌 ) 강릉의 백성들 신라 성덕왕 집단가요 납치된 수로 부인을 구원하려고 부른주술적인 노래이다 . 삼국유사

(4)

4.1

고대가요

2.

설화와 함께 이름만 전하는 고대 가요 (

가사 부전의 고대 가

요 )

도솔가 ( 兜率歌 ) 민속 환강 ( 歡康 ) 을 노래한 향가의 모태 . 최초의 정형 시 원사 ( 怨詞 ) 김유신에게 버림받은 기생 천관녀의 노래 회소곡 ( 會蘇曲 ) 한가위 때 길쌈내기에서 진 편이 부른 노래 치술령곡 ( 致述嶺 曲 ) 백제상의 아내를 애도한 노래 (⇨ 정읍사 , 망부석 설화 ) 대악 ( 碓樂 ) 가난한백 결선생의방아노래(⇨상저가 ) 목주가 ( 木州歌 ) 목주에 사는 효녀의 노래 (⇨ 사모곡 )

(5)

4.2

향가 ( 鄕歌 )

1.

형식

① 4 구체 : 향가의 초기 형태 , ‘ 도솔가 를 제외하고는 구전되어 오던’ 민요나 동요가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 ⇨ 서동요 , 풍요 , 헌화가 , 도 솔가 (4 수 ) ② 8 구체 : 4 구체에서 10 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형식이다 . ⇨ 처용가 , 모죽지랑가 (2 수 ) ③ 10 구체 : 향가의 완성형 . 가장 정제된 형식으로 , 낙구 첫머리의 ‘아으 ( 阿也 )’ 는 시조 종장에서 영향을 미친다 . ⇨ 혜성가 , 제망매 가 , 안민가 , 찬기파랑가 등 (19 수 )

(6)

4.3

고려속요

1.

특징

① 평민 계급의 민요적 시가로 리듬이 매끄럽고 표현이 소박하다 . ② 아름다운 순 우리말의 구사로 순수 진솔한 감정과 정서를 살렸다 . ․ ③ 3 음보 율격의 분절체 [ 分節體 = 분장체 ( 分章體 ), 연장체 ( 聯章 體 )] 로 분절마다 후렴구 가 있다 . * 사모곡 : 위 덩더둥셩 * 청산별곡 :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가시리 : 위 증즐가 태평성대 * 서경별곡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정읍사 : 어긔야 아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7)

4.4

경기체가

1.

특징

① 작자는 대부분 문인들로 , 상류 계층이 향유한 귀족 문학이다 . ② 한문구의 나열과 이두식 후렴구로 되어 있다 .

2.

형식

① 3 음보 (3․3․4, 4․4․4 조 ) 의 분절체로 , 각 연은 4 행의 전대절 ( 前 大節 ) 과 2 행의 후소절 ( 後小節 ) 로 구성되어 있다 . ② 매절의 끝에 爲 ~ ‘ 景 긔 엇더 하니잇고 란 이두식 후렴구가 붙는 ’ 다 .

(8)

4.4

경기체가

3.

작품

작품 작자 연대 내용 한림별곡 ( 翰林別 曲 ) 한림 제유 고종 3 년(1216) 현전하는 최초의 경기체가 작품으로 전 8 연이 다 . 관동별곡 ( 關東別 曲 ) 안축 총숙왕 17 년 관동의 뛰어난 경치와 유적 및 명산물에 대한 감 흥을 읊은 노래로 , 전 8 연이다 . 죽계별곡 ( 竹溪別 曲 ) 안축 충숙왕 때 고향인 풍기 ( 豊基 ) 땅 순흥 [ 竹溪 ] 의 경치를 읊은 노래로 전 8 연이다 .(2001. 서울시 )

(9)

4.5

악장 ( 樂章 )

1.

특징

① 목적성 ( 조선 왕조의 체제 확립과 유지 ) 을 띤 장르로 , 왕권과 체제 의 확립으로 일찍 소멸되었다 . ② 유교적 충의를 바탕으로 했으며 , 정해진 음악에 맞춘 교술시이다 .

2.

형식

신체 ( 新 體 ) 훈민정음에 의해 새로운 형식으로 제작된 것 . 악장체 (2 ⇨ 용비어천가 , 월인청강지곡 절 4 구체 ) 한시체 한시에 우리말 토 ( 吐 ) 를 단 형식 ⇨ 납씨가 , 문덕곡 , 정동방곡 , 근천정 , 봉황 경기체가체 경기체가와 같은 후렴구를 가짐 . ⇨ 상대별곡 , 화산별곡 , 연형제곡 속요체 고려 속요와 같은 후렴구를 가짐 . ⇨ 신도가 , 감군은 , 유림가

(10)

4.6

시조

1.

형성

① 신흥 사대부의 즉흥적 시심을 담을 수 있는 단형 시가로 발생하였 다 . ② 시조는 10 구체 향가 , 분장 ( 分章 ) 형태의 고려 가요 , 민요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였다 . # 시조 종장의 첫구는 3 자 10 구체 향가의 후렴구인 아아 ( 아으 , 아야 )’ ‘ 의 영향으로 보인다 .

2.

시조의 흐름

구전민요 구전민요 향가 (10향가 (10구 )구 )구체 낙구체 낙 고려 속요 ( 만전춘 별 사 ) 고려 속요 ( 만전춘 별 사 ) 시조시조 고려말 조선 전기 조선후기 ․ 평시조 형태 완성 ․ 개인 정서 , 서정적 ․ 연시조의 등장 ․ 자연 친화 , 관념적 ․ 사설시조의 등장 ․ 현실 반영 , 풍자적

(11)

4.6

시조

1.

형성

① 신흥 사대부의 즉흥적 시심을 담을 수 있는 단형 시가로 발생하였 다 . ② 시조는 10 구체 향가 , 분장 ( 分章 ) 형태의 고려 가요 , 민요 등의 영향으로 발생하였다 . # 시조 종장의 첫구는 3 자 10 구체 향가의 후렴구인 아아 ( 아으 , 아야 )’ ‘ 의 영향으로 보인다 .

2.

시조의 흐름

구전민요 구전민요 향가 (10향가 (10구 )구 )구체 낙구체 낙 고려 속요 ( 만전춘 별 사 ) 고려 속요 ( 만전춘 별 사 ) 시조시조 고려말 조선 전기 조선후기 ․ 평시조 형태 완성 ․ 개인 정서 , 서정적 ․ 연시조의 등장 ․ 자연 친화 , 관념적 ․ 사설시조의 등장 ․ 현실 반영 , 풍자적

(12)

4.6.1

조선 전기의 시조

1.

특징

① 평시조의 유행 : 3 장 6 구 4 음보 , 3 3(4 4)․ ․ 조의 간결한 평시조 형식 이 널리 애용되었다 . ② 교방 시조의 발전 : 기녀들의 고독과 한 ( 恨 ) 의 정서가 정교하고 아 름답게 표현되었다 . 예 ) 황진이의 연정가 ③ 연시조의 등장 : 평시조를 여러 수 묶은 연시조의 등장으로 다양하 고 체계적인 생각을 표현하게 되었다 . 연시조는 보통 제목이 붙는 다 . 예 )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 ‘ ’ 최초의 연시조 ), 주세봉의 오륜가 , ‘ ’ 이황의 도산십이 ‘ ’ 곡 , 이이의 고산구곡가 , ‘ ’ 정철의 훈민가 등 ‘ ’ ④ 강호가도의 형성 :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를 추구하는 흐름이 영남․ 호남가단을 형성한다 .

(13)

4.6.1

조선 후기의 시조

1.

특징

① 시조의 산문화 경향으로 사설 시조가 등장하였다

.

② 강호 한정가 , 유교적 인륜 도덕가에서 소박하고 한적한 생활 , 서민 의 익살과 풍자를 담은 생활 문학으로 자리한다 . # 시조의 형식 1. 평시조 ( 단형 시조 ) : 3 장 6 구 , 기본형식 2. 엇시조 ( 중형 시조 ) : 한 구 파격 ( 종장 1 구 제외 ) 3. 사설시조 ( 장형 시조 ) : 두 구 이상 파격 ( 종장 1 구 제외 )

(14)

4.6.1

조선 후기의 시조

2.

사설시조

① 발생 : 평민 의식 , 산문 정신을 배경으로 17C 에 등장 , 18C 에 성행 했다 . ② 형식 : 평시조에서 2 구 이상이 길어지는데 , 대개 중장이 길어진 다 . ⇨ 시조의 산문화 경향 ③ 주제 : 양반 사회의 비판 , 승려에 대한 희롱 , 가족 제도에서의 갈 등 , 서민 생활의 애환 , 진솔한 애정 표현 등을 주로 다루었다 . ④ 특징 : 가사투와 민요풍의 혼입 , 평민층의 작품으로 대부분 작자 미 상 , 서민 생활과 밀착된 소박한 소재 , 폭로적인 묘사와 산문화 경 향 , 반어와 풍자 , 익살 등의 해학미 구현 ⑤ 별칭 : 엮음시조 , 농 ( 弄 ) 시조

(15)

4.7

가사

1.

형식

① 3․4,4․4 조의 4 음보 연속체 운문이며 , 행수에 제한이 없다 . ② 조선 전기 가사의 길이가 조선 후기 가사에 비해 비교적 짧으며 정격 가사가 많다 . < 조선 전 후기 가사 비교 > ․ 조선 전기 관념적 , 서정적 양반가사 정격가사 강호한정 , 안빈낙도 조선 후기 구체적 , 서사적 평민가사 변격가사 교훈 유배 신세 한탄 풍자․ ․ 등 ․

(16)

4.7.1

조선 후기의 가사

1.

유형

① 내방 가사 : 구방 가사 . 여인들의 섬세한 감정과 현실 생활 노래 예 ) 계녀가 , 용부가 , 화전가 , 사친가 , 사향곡 , 규수상사곡 등 ② 평민 가사 : 서민 생활을 대상으로 하는 작자 미상의 노래 ③ 기행 가사 : 중국 일본 등을 다녀온 견문을 기록․ 예 ) 홍순학의 연행가 , ‘ ’ 김인겸의 일동장유가 ‘ ’ ④ 유배 가사 : 유배 체험의 기록 예 ) 안조환의 만언사 , ‘ ’ 김진형의 북천가 ‘ ’ ⑤ 월령체 가사 : 달거리 노래 . 1 년을 열두 달로 나누어 구성한 형식 의 시가 예 ) 정학유의 농가월령가 ‘ ’

(17)

4.8

잡가

1.

특징

① 형성 : 가사와 민요와 시조 등 다른 문학 장르와의 교섭 과정에서 형성된 노래로 , 18 세기 무렵 가사가 정형성을 잃어버리면서 대중적 혼합 가요의 형태로 나타났다 . ② 형식 : 4․4 조의 가사 형식이나 , 파격이 심하다 . ③ 내용 : 남녀의 사랑 , 자연의 완상과 풍류 , 삶의 애환 , 익살과 언 어 유희등 다양하다 . 전체적으로 세속적 쾌락주의적 현세적인 성격․ ․ 이 강하다 . ④ 향유층 : 주로 서민층이 향유하였으나 , 상층 문화에 대한 모방 심 리로 인하여 문체의 이중성을 보여 준다 .

(18)

4.9

민요 ( 民擾 )

1.

특징

① 구전성 , 서정성 , 서민성 , 형식미를 특성으로 한다 . ② 민속 음악 문학의 복합체로 가창 형식과 시가 형태의 관계가․ ․ 긴밀하다 . ③ 두 연이 대칭 구조를 이루며 3․4,4․4 조 ( 대체로 3 음보 ) 의 운율 을 지닌다 . ④ 일상 생활의 정한이 잘 나타나며 , 비기능요는 남녀 이별의 정한이 주조가 된다 .

(19)

4.9

민요 ( 民擾 )

2.

종류

노동요 농업 , 어업 , 벌채 , 길쌈 , 제분 , 잡역 , 타작 노래 , 해녀 노래 노동요 예 ) 논매기 노래 , 의식요 세시 , 장례 , 질 노래 신앙 의식요 예 ) 지신밟기 노래 , 상여 노래 , 달굴 유희요 놀이에 박자를 맞추면서 부른다 . 예 ) 강강술래 , 널뛰기 노래 , 놋다리 노래 줄다리기 노래 , 비기능요 주로 유흥을 목적으로 한다 예 ) 아리랑 , 아리랑 , 밀양 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 정선

참조

관련 문서

[r]

[r]

[r]

생각열기 신기한 과학 마술 알아보기 생각펼치기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비밀.. 생각다지기 찰칵

그 중 Barto k은 민요적 요소를 그의 창조력을 통해 독창적은 음악으로 바꾸어 놓 ́ 았다.그 민요적 요소로는 우선 민요풍의 박자로서 5/8,6/8,8/8,9/8,12/8박자, 9)김

② 용언의 합성은 현대어와 달리 비통사적

한국은 미래에 사용될 대체에너지로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 11개 분야 를 지정 (대체에너지개발 및 이용·보급촉진법 제

종이에 습기를 주어 잉킹을 쉽게 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