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Copied!
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3주차.

우리말의 옛 모습

(2)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1 신라시대의 우리말

표기법

① 음독표기/음차표기: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로 매우 규칙적

예: 아(阿) 라(羅) 리(利, 理, 里), 이(伊) 등

② 훈독표기/훈차표기: 한자의 뜻을 빌려 표기

예: 夜(밤) 日(날) 金(쇠)

③ 혼합표기: ‘체언+조사, 용언 어간+어미’의 경우 음독표 기와 훈독표기의 혼합

예: 見昆(보-곤) 出古(나-고)

④ 말음첨기(末音添記): 받침 표기를 위한 것으로 훈차식 표기법에 음차에 따른 글자를 첨가하여 해당 단어의 말 음을 중복하여 표기

예: 夜音(밤ㅁ → 밤) 日尸(날ㄹ → 날) 道尸(길ㄹ → 길)

(3)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1 신라시대의 우리말

자음

① 현존 자료로서는 당시의 음운의 실체를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② 소리의 존재 유무(추정)

③ 음절말 불파가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

④ /l/과 /r/이 별도로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

종류 유무

평음

유기음 △(?)

경음 X

(4)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1 신라시대의 우리말

모음

① 모음의 수는 중세한국어와 동일하게 7모음체계로 추정 (학자에 따라 이견)

② 음가는 중세한국어와 달랐을 것임 (14C 모음추이)

③ 구개적 모음조화: 전설모음과 후설모음의 대립

(5)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1 신라시대의 우리말

문법

① 격조사의 존재

주격: 伊, 是 (이) 속격: 矣, 衣(의), 叱(ㅅ) 대격: 乙(을) 보조사: 隱(은)

② 어미의 존재

동명사어미(관형사형 어미): 尸(-을), 隱(-은) 부동사어미(연결어미): 良(-라), 米(-매), 古(-고) 정동사어미(종결어미): 如(-다), 羅(-라)

③ 경어법

(6)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자음

① 중세한국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현대어에 없는 소리(유성마찰음 ㅸ, ㅿ)들의 존재 ‘ㅸ’

2.2.1 음운

(7)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ㅿ’

자음

2.2.1 음운

(8)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② 경음의 존재: ㅺ, ㅼ, ㅽ, ㅆ, ㆅ(전기 중세어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

③ 유기음의 존재: ㅋ ㅌ ㅍ ㅊ

④ 자음체계(후기 중세어)

평음

유기음

경음

유성마찰음

비음

유음

자음

2.2.1 음운

(9)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⑤ 어두 자음군: 후기 중세한국어에 나타남

⑥ 음절말 자음: 불파의 결과로 인해 8종성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자음

2.2.1 음운

(10)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① 현대어에 없는 소리(아래 아 /ㆍ/)의 존재

‘ㆍ’

- 명칭: 아래 아

- 음가: [ʌ] (‘ㅏ’와 ‘ㅗ’의 중간 소리)로 추정

예) 제주도의 ‘말(馬)’ 발음: [mal]과 [mol]의 중간 발음 - 소멸 시기

모음

2.2.1 음운

(11)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② 단모음체계: 불균형의 7모음체계

모음

2.2.1 음운

(12)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③ 다양한 이중모음

ㆍ(ʌ) ㅏ(a) ㅗ(o) ㅓ(ə) ㅜ(u) ㅡ(ɨ) ㅣ(i)

상향 이중모음

y ㅑ(ya) ㅛ(yo) ㅕ(yə) ㅠ(yu)

w ㅘ(wa) ㅝ(wə)

하향이중모음 ㆎ(ʌy) ㅐ(ay) ㅚ(oy) ㅔ(əy) ㅟ(uy) ㅢ(ɨy) ? - 이 이중모음 중 /ㅐ/와 /ㅔ/는 현대어에서는 단모음이며, /ㅚ/와 /ㅟ/는

현대어에서는 단모음 또는 상향이중모음이다.

모음

2.2.1 음운

(13)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④ 모음조화의 존재

- 중세국어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음 관련 음운현상 - 양모음과 음모음의 대립

양모음: ㆍ ㅏ ㅗ 음모음: ㅡ ㅓ ㅜ 중립모음: ㅣ

- 양성모음끼리, 음성모음끼리

모음

2.2.1 음운

(14)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④ 모음조화의 존재

- 적용 범위: 단어 내, 명사와 조사, 어간과 어미, 어기와 접미사 예)

모음

2.2.1 음운

(15)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성조

① 성조의 존재: 성조의 변별적 기능

예) 손[客] vs. ·손[手]

발[足] vs. :발[簾]

② 성조 체계: 방점으로 표시

③ 16세기 말 이후 소멸

종류 성격 방점

평성

저조(低調): 낮은 소리 무점(無點)

거성

고조(古調): 높은 소리 1점

상성

복합성조(평성 + 거성) 2점

입성

빨리 끝나는 소리 무점, 1점, 2점

2.2.1 음운

(16)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합성어 2.2.2 문법

1) 조어법

① 명사의 합성은 현대국어와 유사하나, 특별한 경우 화석화되어 현대에까지 전해진 경우도 있다.

② 용언의 합성은 현대어와 달리 비통사적 합성어가 매우 생산적.

(17)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파생어

- 대체로 접미파생

2.2.2 문법 1) 조어법

① 파생명사

(18)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파생어 2.2.2 문법

1) 조어법

② 파생동사

- 사동사(자동사 어근 + 사동접미사)가 주를 이룸

(19)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파생어 2.2.2 문법

1) 조어법

③ 파생형용사

(20)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파생어 2.2.2 문법

1) 조어법

④ 파생부사

(21)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주격조사 2.2.2 문법

2) 격조사

‘가’는 15C에는 존재하지 않았음

(22)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주격조사 2.2.2 문법

2) 격조사

‘가’는 15C에는 존재하지 않았음

(23)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속격조사 2.2.2 문법

2) 격조사

처격조사

(24)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대격조사 2.2.2 문법

2) 격조사

공동격조사

(25)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선어말어미 2.2.2 문법

3) 활용어미

❶ 의도법 선어말어미 –오/우-: 화자의 의도 표현(16C 소멸)

❷ 경어법 선어말어미

(26)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선어말어미 2.2.2 문법

3) 활용어미

시상 선어말

(27)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어말어미

- 중세한국어 어말어미 중 가장 특이한 것은 의문형 종결어미

2.2.2 문법

3) 활용어미

(28)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2.2 문법

4) 특수 교체(비자동적 교체)

❶ 명사

 현대한국어에는 이와 같은 교체를 찾아볼 수 없다.

(29)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2.2 문법

4) 특수 교체(비자동적 교체)

❷ 동사

(30)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2 중세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2.3 어휘

고유어: 한자어의 유입으로 인한 고유어의 소멸

어의 변화

차용어

모음 전환에 따른 의미 분화

(31)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3 근대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3.1 음운

‘ㆍ’의 소실

‘ㅐ, ㅔ’의 단모음화

(32)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3 근대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3.1 음운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 모음체계

① 원순모음화(18C): 양순음 아래의 /ㅡ/ 모음이 /ㅜ/ 모음으로 바뀜

② 전설모음화(19C): /ㅅ ㅈ ㅊ/ 아래의 /ㅡ/ 모음이 /ㅣ/ 모음으로 바뀜

(33)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3 근대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3.1 음운

기타

자음체계

평음 ㅂ ㄷ ㄱ ㅈ ㅅ ㅎ

유기음 ㅍ ㅌ ㅋ ㅊ

경음 ㅽ ㅼ ㅺ ㅾ ㅆ ᄻᅠ

비음 ㅁ ㄴ ㆁ

유음 ㄹ

: 경음화와 유기음화가 활발히 일어남

예) 곶다 > 꽂다 고키리 > 코끼리

(34)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3 근대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3.2 문법

활용어미

격조사

(35)

2 1

우리말의 시대별 모습

2.3 근대한국어 시대의 우리말

2.3.3 어휘

차용어의 유입 고유어의 변화

예) 어엿브-: 불쌍하다 > 예쁘다 어리-: 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 졈-: 어리다 > 젊다

얼골: 형체 > 낯

(36)

1

주요 개념 및 용어

3

한국어사, 역사비교언어학, 내적 재구, 계통론, 어

족, 알타이어족설(퉁구스어군, 터키어군, 몽골어

군), 부여계 언어, 한계 언어, 한국어의 계통적 변

모, 한국어의 시대구분(고대한국어, 중세한국어,

근대한국어), 음운변화, 문법변화, 어휘변화,

(37)

1

참고문헌

• 고영근(1987),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 국어사연구회(1997), 「국어사연구」, 태학사.

• 김동소(2005), 「한국어 특질론」, 정림사.

• 남성우(1986), 「15세기 국어의 동의어 연구」, 탑출판사.

• 박창원(1996), 「중세국어 자음연구」, 한국문화사.

• 송기중(2003), 「역사비교언어학과 국어계통론」, 집문당.

• 안병희(1992), 「국어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 안병희 ·이광호(1990),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 이기문(1998), 「국어사개설」, 태학사.

• 이기문 ·장소원(2008), 「국어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이익섭(2000), 「국어학개설」, 학연사.

• 이익섭·장소원(1994), 「국어학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허웅(1963), 「중세 국어 연구」, 정음사.

• 허웅(1975),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 홍윤표(1994), 「근대국어연구」(1), 태학사.

(38)

13주차.

우리말의 옛 모습

(39)

1

형성평가

4

1) 한국어와 알타이어족의 관계에 대해 말해 보자.

2) 한국어의 계통적 변모에 대해 말해 보자.

3) 한국어의 시대구분에 대해 말해 보자.

4) 한국어는 음운, 문법, 어휘의 면에서 어떤 모습

을 보였는지 말해 보자.

참조

관련 문서

서쪽에서 본 서북쪽 성곽 모습 서북쪽 성벽 목책열과 부강시내

달리 분류되지 않는 농림수산식품.. Human Computer

알파입자는 매우 낮은 투과력을 가지고 있어서 종이 한 장이나 피부의 표피에 의해 막아진다 얇은 금속도 알파입자를 흡수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방출된

그러나 인간의 언어는 현 재는 물론 과거나 먼 미래에 대한 의사 소통도 가능하다.. 그리고 동물의 언어 와 인간의 언어는 정보 축적

이주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은 기존 마을에서 기존 농어촌 주민들과 함께 어울리 면서 적응하려는 경향이 높아 기존 마을 내 입주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 음..

물결과 연기의 모양으로 배가

메이커 활동을 통한 STEAM 프로그램 운영 활동

달리 분류되지 않는 수산자원/어장 환경... 달리 분류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