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nfluence of health behaviors on glycemic control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according to medications intak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Influence of health behaviors on glycemic control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according to medications intake"

Copied!
6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남녀노인 당뇨병환자의 약물복용 여부에 따라

건강행태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주 영 대

(2)

남녀노인 당뇨병환자의 약물복용 여부에 따라

건강행태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이 윤 환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2월 19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주 영 대

(3)

주영대의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4)

차 례

국 문 요 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연구의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용어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Ⅱ.연 구 방 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1

.연구 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2

.연구 대상과 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8

3

.분석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3

Ⅲ.연 구 결 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1

.일반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2

.혈당조절 여부 관계 파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3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0

Ⅳ.고 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5

Ⅴ.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참 고 문 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0

(5)

표 차 례

표 1.연구에 사용된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표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4

표 3

.대상자의 건강행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6

표 4

.대상자의 정신 및 신체건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8

표 5

.남자대상자의 약물 복용 여부에 따른 건강행태와

혈당조절 간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표 6

.여자대상자의 약물 복용 여부에 따른 건강행태와

혈당조절 간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

표 7

.성별과 약물에 따른 혈당조절 영향 요인에 대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0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7

(6)

국 문 요 약

아주대학교보건대학원 보건정책과 관리 전공 주 영 대 고령사회에 들어서면서 노인 당뇨병 환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 분 명하다.노인 당뇨병 환자의 관리는 신체기능 저하,인지기능 장애,사회와 가 족의지지 결여 등으로 인해 젊은 연령의 당뇨병 환자 관리에 비해 훨씬 복잡 하고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더욱이 노인의 정서적 신체적 건강 행태는 성별에 따라 달라 질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혈당 조절 관리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따라서 이러한 생활 행태의 차이로 인해 노인 당뇨 합병증의 관리 가 노인 수명 증가 현상과 맞물려 더욱더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 성별 및 약물 복용 여부에 따른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의 차이에 중점을 둔 혈당 조절과의 연관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5기」를 통해 얻어진 원시자료 중 만 65 세 이상 당뇨병 유병환자 1,756명(남자:753명,여자:1003명)중 약물 의존 여부로 대상자를 세분화 하여 남성약물여부(비의존:217명,의존:536명),여성약물여부 (비의존:248명,의존:755)대상으로 자료를 분석 하였다.분석은 SPSS 19.0을 이 용하였으며,2007-2012 통합가중치를 고려한 복합표본분석으로 단순분석과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남성 약물 집단의 경우 80대 이상 고령층과 적절한 당뇨 교육 실시, 적당한 음주,양호한 구강 상태를 가진 집단에서 혈당조절이 양호한 수준을 보 였다.

(7)

둘째,비약물 남성 집단에서는 낮은 소득수준을 가진 경우와 민간 보험의 가 입,적당한 근력 운동,우울과 추가적 만성 질환이 없을수록 혈당 조절이 양호 한 수준을 보였다. 셋째,여성 약물집단에서는 적절한 당뇨 교육실시,격렬한 신체 활동을 자제 하며,신체건강 변수인 주관적 건강상태 및 구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추가적 만성질환 이환이 없는 경우,일상적 활동에 제한이 없을수록 혈당 조절이 양호 한 수준을 보였다. 넷째,비약물 여성 집단에서는 비만도가 정상이고,격렬한 신체 활동을 자제 하고 중등도 이하의 가벼운 운동을 실천하며,추가적 만성 질환에 이환되지 않 을수록 혈당 조절이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노인의 성별 따른 건강 행태 중 남성 노인에게서 특이적으로 우울증상의 변 수가 당뇨 관리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이에 따라 남성에서는 정서적 우울 지표에 따른 추가 만성질환들과의 관련성 연구가 필 요 할 것이라 생각된다.또한 여성에서는 비만지표에 따른 추가적 만성질환의 중증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 의존 여부에 따른 당뇨 조절 지표를 보면 비교적 약물 비의존적 집단 에서 양호한 당뇨조절 상태가 많았으며 소득 수준 하위의 집단에서 적절한 신 체 활동에 의한 효과적 당뇨 조절의 결과를 보인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저 소 득층 노인들에 대한 약물 의존적 접근보다는 신체 활동과 더불어 다각적인 비 약물적 요법에 무게를 둔 당뇨 조절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 다.

(8)

Ⅰ.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는 지난 반세기 동안 경제성장과 근대화에 따른 국민소득 및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학의 발달,보건위생의 개선 및 유아사망율의 저하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크게 증가되었다.이에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이상 노인이 전체 인구 중 7.2%를 넘으면서 고령화 사회에 이미 진입하였고 2010년에는 11.0% 2018년에는 14.3%이상 도달하여 고령사회가 되고 2026년에는 20.8%로 본격적 인 초 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2010).그에 따라 우리나라 의 노인 인구 비율이 점차 늘어나면서 노후 생활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노인 건강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통계청,2010). 노인은 다른 연령층과는 달리 신체 내의 각 기능과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행하지 못하며 자신의 행동이 의지와 어긋나는 노화 현상이 일어나 이로 인해 노인병(geriatricdisease)을 일으키기 쉽다(김동임 등,1998).이처럼 노인들의 건강 문제는 노화 과정에 따른 것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연령이 높아짐에 따라,노인들은 급성 질환보다 장기간의 요양과 섭생 이 필요하며 거의 완치가 불가능한 만성 질병으로 지속적인 합병증 예방과 장 기간의 지지적 간호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최영희등,2003).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노인인구에서의 만성질환 중 당뇨병 유병률은 청장년 층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지며 최근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한 역학연구 조 사 결과에 의하면 50대와 60대 남자에서 각각 16.5%,19.6%의 높은 당뇨병 유 병률(8.6%,9.6% 내당능장애군)을 보여 주었으며 여자에서도 50대와 60대에서 각각 13%,19.9%의 높은 유병률 (7.8%,8.1% 내당능자애군)을 보여 60대 이상 국민들 4명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조남한,2005).

(9)

이러한 당뇨병의 급격한 증가 현상은 890년대부터 시작된 서구화,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급격한 생활습관,식습관의 변화 및 노인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당뇨병의 연령별 추이 역시 변화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당뇨 병은 최근 20년간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특히 혈당 합병증에 의한 사망자 수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에 의 한 사망자 보다 더 많은 사망 수준을 나타내 있어 당뇨병에 대한 효율적인 관 리방법이 국가적으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최용우등,2007). 당뇨는 질병의 완치보다는 질병과정의 조절이 궁극적인 목표이기 때문에 전 반적인 생활습관의 관리를 요구하는 자가 관리가 중요하다(Nwasuruba등, 2007).자가 관리가 잘 수행될 때 질병의 조절이 가능하고 급,만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지만 자가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시력저하, 심혈관 질환,피부감염 등 위험한 합병증을 일으켜 당뇨환자에게 자가 관리는 의사의 치료 이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이미라등,2003).특히나 노 인들은 혈당자기 관리 능력이 상당히 낮다.자가 간호행위를 잘 수행 하지 못 하여 질병이 악화 되거나 회복이 지연되는 것을 자주 보게 된다(최정숙,2000). 노인들의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약물 비의존성 요법으로 신체적 활동의 증가,건강한 체중의 유지,건강한 식사,금연하기 등 (유주화,2013)과 같은 신체건강 생활 측면뿐만 아니라 노화에 따라 인지 기능 장애,노인성우울증 등의 정서 문제가 발생되는데,이러한 정신건강이 당뇨병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성 있다(정윤정,2011).또한 약물 요법으로는 경구용 혈당강하제와 인슐린요법이 있으며,통상적으로 경구용 혈 당강하제를 사용하나,공복 시 혈당이 200㎎/㎗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처음 부터 식사 요법 및 운동요법과 동시에 경구용 혈당 강하제를 함께 사용 할 수 있다.그리고 공복 혈당이 270㎎/㎗ 이상일 경우 처음부터 인슐린요법을 시행 하여 혈당 조절을 한 후에 경구용 혈당강하제로 바꾸어 치료할 수도 있다(이 현철,1999).

(10)

당뇨병은 완치가 어렵지만 정상적인 대사 조절을 위해 환자가 질병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꾸준히 적절한 자가 관리를 시행한다면 합병증과 사망률을 감 소시키고 건강한 삶을 유지 할 수 있다(이영란등,2008).이러한 이유로 최근 당화 혈색소 수치에 의한 혈당 조절 상태파악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2010년 미국당뇨병학회 표 준 진료 권고안에 의하면 혈당 환자의 혈당조절의 목표는 당화혈색소 7% 미만으로 낮추는 것이다.그러나 1년 동안 한 번도 당 화혈색소를 측정하지 않은 비율은 60.6%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전국표본 조사에 의한 우리나라의 혈당관리 실태를 보면 당뇨환자의 40%만이 당화혈색 소 7% 미만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석원등,2007). 이와 같이 노인 당뇨 대상자들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혈당 조절이 관리되고 있으며 기존 선행 연구를 보면 특히 성별에 따른 유전적 요인과 신체적 건강 생활 행동 양식의 차이가 노인 만성 질환 관리에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여성 노인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대사증후군에 의한 만성 질환 합병증에 대한 관리는 당뇨와 더불어 약물 의존 여부에 의한 생활양식의 행태적 특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고 알려지고 있다(박 미경,2008).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의 분석이 노인을 대상으로 신체건강과 정신 건강 등의 행위로 광범위 하고 복합적으로 이루지지 않고 있으며 더욱이 당화 혈색소 수치와 건강관리 행태간의 연관성 분석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혈당 유병자에 대한 유전 및 환경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약물 의존여부에 따라 건 강행태 및 정신건강 등과 당화 혈색소 수치와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향후 노인 혈당관리 및 노인 건강 생활 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 삶의 질 개선 연구 분 야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11)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07~2012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4,5기 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년층 당뇨환자에서 성별과 약물 의존 여부에 따른 개인건강 행태 및 정신건강과 같은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인 환경적 상태를 중점적으 로 하여 혈당관리 조절 지표라 할 수 있는 당화 혈색소와의 관계를 규명해 봄 으로써 보다 실 생활적이고 효과적인 노인 혈당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 되고 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대상자의 성별 및 약물 의존 여부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건강행 태,정신 및 신체 건강상태를 파악한다. 둘째,대상자의 성별 및 약물 의존 여부에 따른 인구 사회학적 특성,건강행 태,정신 및 신체 건강상태와 혈당 조절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대상자의 성별 및 약물 의존 여부에 따른 건강행태 특성과 혈당 조절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12)

3

.용어의 정의

1

)노인 당뇨병

노인 당뇨병이란 노화에 따른 근육의 상대적 감소,활동의 저하,인슐린 분 비 및 작용의 감소,말초 혈류의 감소,효소기능의 둔화 등에 의해 당뇨병에 이환된 노인을 의미한다(대한당뇨병학회,2003). 본 연구에서는 제 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얻어진 만65세 이상에서 의 사의 당뇨병 진단 여부에 근거하여 대상자를 정의 하였다.

2

)당화혈색소

당화혈색소는 혈중에 포도당이 결합된 혈색소를 의미하며 지난 2-3개월 동안 의 평균 혈당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며 당화혈색소의 정상수치는 7% 미만 이다(ADA,2010). 본 연구에서는 ADA(2010)의 기준인 7.0%에 따라 7.0%미만인 경우를 ‘당화 혈색소 양호 조절군’,7.0% 이상인 군을 ‘당화혈색소 비양호 조절군’으로 구분 하여 정의 하였다.

3

)건강행태

노인들이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행위로서 건강상태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적인 행동으로 대개 건강보호 및 예방행위나 건강위협 행위의 감 소 등을 말할 수 있다(김순이,1996). 본 연구에서는 제 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수집된 자료 중 흡연,음 주,BMI수치,신체활동,걷기,근력운동,유연성 운동으로 정의 하였다.

(13)

4

)정신 및 신체건강

정신적 건강이란 감정 조절력과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높고,늘 삶에 만 족을 느껴 기분이 안정되고 즐거움과 감사의 여유가 있으며 탐욕이 없고 긍정 적인 마음을 지니고 있는 상태이다(박대경,2012). 신체 건강이란 질병이 없는 건강한 몸의 상태를 말하며 몸과 마음,일과 휴 식,가정과 사회자신과 공동체 같은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루어 어느 것에도 균 형이 깨지지 않는 것,즉 걷거나 움직임에 대한 어려움이 없고 일상생활을 하 는데 불편함이 없는 상태를 건강한 상태라 한다(장명덕,2008). 본 연구에서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수집된 자료 중 정신 건강 변수로 우울증상 경험,스트레스 인지율,자살 생각율로 정의 하였고,신체 건 강 변수로 주관적 건강 상태,구강 건강상태,추가적 만성질환 유병 여부,활동 가능 여부로 정의 하였다.

(14)

4

.이론적 배경

1)노인 당뇨병 2)당화 혈색소 3)건강행태와 혈당 조절 관련성

1

)노인 당뇨병

당뇨병이란 혈액 내 포도당 농도가 증가되고 망막,신장 및 신경 등의 미세 혈관 합병증과 중풍,협심증,심근경색증 및 밀초 혈관 질환 등의 대혈관 합병 증을 초래하여 사망률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질환이다 (최영식,2000).평균수명 연장으로 급격한 인구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노인에게 당뇨병은 이전보다 더욱 위험한 질병으로 다가오고 있다.최근 통계를 보면 우 리나라 성인의 7~8%가 당뇨병 유병률이 조사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노인이 당 뇨병에 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장수미,2006). 노인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인 다음,다뇨,다식 및 체중감소가 없는 무증 상당뇨병 환자가 많아 지속적인 고혈당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한 후에 진단되 는 경우가 많다.특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장의 고혈당에 대한 역치가 증 가하게 되어 혈당이 200-250mg/dL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소변에서 포도당이 검출되지 않아 혈당으로 인한 다뇨 및 다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가 15%나된다(조동혁,2008).이로 인하여 노인에서는 당뇨병의 진단이 늦어지 고 증상을 가볍게 여겨 상태가 심각하고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회복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남홍우,2007).청장년층과 마찬가지로 노인 당뇨병 환자 또한 당뇨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고혈압,과체중 또는 비만과 같은 당뇨병과 관련된 질환에 이환되는 경우가 많다(유형준,2003).노인 당뇨 병 환자는 진단 당시부터 합병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당뇨병성 망막 증이나 신증뿐만 아니라 말초혈관질환,족부괴사,고혈압,급성심근경색증 및

(15)

뇌졸증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도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또한 노인에서 흔히 문제가 되는 노인증후군(다약제,우울증,인지기능장애,요실금,낙상,동통 등) 도 동반하기 쉬우므로 중년의 당뇨병 환자와는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남홍우, 2007).노인 당뇨병 환자에서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발생률이 약 7배 정도 더 증가하며,정상 노인에 비하여 사망률도 2배가 더 높고 하지 절단의 위험도가 10배나 증가하게 된다.또한 당뇨병의 신증과 망막병증에 의한 실명의 빈도도 당뇨병이 없는 노인보다 25배나 높으며,특히 급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더 높아 저혈압,고삼투압혈증,저칼륨혈증,인슐린분비 저하 및 혈전 색전증의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조동혁,2008)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당화혈색소를 7% 미만으로 유지 하는 것이 적절하나,노인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된 바는 거의 없는 실 정이다.일반적으로 미국당뇨병학회에서는 식전혈당이 130mg/dL 미만,그리고 당화혈색소 7% 미만으로 조절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이러한 권고안은 당뇨 병의 분류 및 연령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그러나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는 노인의 여러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관리와 적극적인 관리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다.기본적 관리는 체중감소나 근육소실을 초래할 정도의 고혈당을 예방하기 위하여 혈당을 대개 200mg/dL 정도로 유지하고 요당을 최 소화하는 것으로 공복혈당 160mg/dL미만,당화혈색소 8%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다.적극적 관리는 청장년 당뇨병환자와 같이 혈당조절을 철저히 하는 것 이며,특히 남아있는 여명이 많고 고혈압,고지혈증 및 흡연과 같은 위험인자 를 가진 환자에서는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대한당뇨병학회,2007).하지만 지나치게 엄격하게 혈당조절 목표를 적용하는 경우 저혈당의 발생 위험이 증 가할 수 있다.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저혈당은 심장이나 뇌기능에 심각한 결과 를 초래 할 수 있고,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이환율이나 삶의 질 측면에서 도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그러므로 노인 당뇨병 환자의 치료는 고혈당과 이에 따른 증상의 조절,미세혈관과 대혈관 합병증의 예방 및 교육을 통한 당

(16)

뇨병의 자가 관리와 건강 증진 등 다른 성인 당뇨병 환자와 다를 것이 없지만 노인 환자는 동반질환과 합병증의 정도,여명 및 삶의 질 등을 고려하여 철저 히 개별화해야 할 것이다(대한당뇨병학회,2007).

(17)

2

)당화 혈색소

사람의 적혈구 안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이라고 하는 산소운반에 필요한 단 백질이 들어있다.헤모글로빈 A에 탄수화물이 부착하면 당화혈색소를 형성하 고 이들은 전기영동에서 A1a,A1b,A1c세 개의 분획으로 분리된다.이중 HbA1c가 60-80%로 가장 많으며 B사슬의 N-발린 말단부위에 포도당이 결합된 것으로 진정한 평균 혈당을 반영하는 것이다(성연아,2008).이 당화혈색소는 적혈구가 수명을 다하는 2-3개월 동안 혈액 내에 존재하므로 당화혈색소의 농 도를 측정하여 최근 2-3개월간의 혈당의 평균치를 반영한다(대한당뇨병학회, 2007). 1976년 Koenig등이 당뇨병 환자에서 당화혈색소와 포도당 농도와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을 발표한 이후 30년 동안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 합병증의 위험 도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척도로 사용되었고,당뇨병 치료법과 교육의 효과를 비교할 수 있는 가장 유용한 지표로 자리매김을 하였다(이은정,2008).하지만 당화혈색소는 혈당조절의 판단을 위하여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공복상태와 무 관하게 검사할 수 있으나,현재 사용되는 당뇨병의 진단 기준에는 배제되었다 (성연아,2008). 최근에는 당화혈색소가 당뇨병의 선별 및 진단기준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지만,이는 검사실마다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참고치가 다르 며,기존의 당화혈색소 측정법은 HbA1c외의 HbA도 측정되어 진정한 평균혈 당이 반영된 것인지 확신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이에 미국,일본 및 스웨 덴에서 국가 고유의 표준화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왔으며,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학회를 중심으로 당화혈색소 표준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다(성 연아,2007).

2001년 미국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Association :ADA)에서 당화혈색 소 7% 미만을 혈당조절 목표로 권고하였고,이는 1993년 제1형 당뇨병 환자에 서 합병증과 혈당조절의 관계를 관찰한 The Diabetes Control and

(18)

Compli-cation Trial(DCCT)와 1998년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United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UKPDS)의 연구에서 당화혈색소 를 7%미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의 위험 및 치료비용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하였다(이은정,2007).하지만 2005년 당뇨병 환자 2,691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혈당조절 목표인 당화혈색소 7% 미만에 도달하는 환자 의 비율이 40.3%에 불과하며(대한당뇨병학회,2007),이는 김선향(2007)및 정선 하(2005)의 연구 등에서 각각 53.3%,56.2% 및 38.4%인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 다. 당뇨병은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병이며,그 빈도도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우리나라 노인의 당뇨병 유병률도 매우 높 게 보고되고 있다.2005-2006년 65세 이상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성남에서 시행된 Korean LongitudinalStudy on Health and Aging study(KLoSHA)의 연구에서 당뇨병 기왕력이 있는 환자가 15.8%,새로 당뇨병 진단된 환자가 16.7%로 당뇨병 유병률은 32.5%로 보고되었으며,공복혈당장애 16.1%,내당능 장애 28.6%로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장학철,2009). 노인에서 당화혈색소 목표치는 환자의 임상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야 한다.연령 자체보다는 질병의 상태,생활 기능,영양 상태 등이 더 중요한 예후 인자이며,당뇨병의 유병기간과 동반된 질환들에 따라 혈당 조절 목표가 조절 되어야 한다.비교적 건강하고 기능 수행 상태가 좋은 환자는 중년 환자 와 마찬가지로 6.5% 이하가 적절하지만,전반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여 명이 5년 미만,혹은 다른 조건으로 인하여 철저한 혈당조절이 해가 될 수 있 는 노인환자는 8% 정도로 덜 엄격하게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조동혁,2009).

(19)

3

)건강행태와 혈당 조절의 관련성

건강행태 중 신체활동과 관련된 운동요법은 식사요법,약물요법과 더불어 당 뇨병 관리의 3대 요소 중 하나로 공복 및 식후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며 인 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민경완 & 박상우,2006).식사요법이나 설폰요소제 를 복용하고 있는 비만형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45분간의 운동은 혈당을 약 50mg/dl가량 감소시키고,운동은 혈당 개선의 효과뿐만 아니라 비만,고혈압, 이상 지질혈증과 같은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에도 유용한 변화를 준다(민경 완 등,2005).안근희,한경아와 민경완(2005)은 일주일에 3회 이상,하루 30분 이상 운동을 1년간 실시한 결과 운동의 효과는 BMI보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 의 개선으로 먼저 나타났고 1년 후 평균 당화 혈색소가 8.9%에서 7.9%로 감소 하여 장기간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유해영(2004)의 연구에서도 제 2형 당 뇨병 환자의 운동습관은 보통 이상의 강도와 1시간 이상 운동을 한 집단이 그 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화혈색소가 더 낮았다고 하였다.이와 같은 운동의 유익 성을 반영하듯 제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요법을 실시하거나 생활 습관 중재 방법 중에 걷기나 스트레칭과 같은 신체 활동을 포함하여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김소헌 등,2004;유지수 등,2004)이 많이 시행되 어오고 있었다.그러나 민경완 등(2005)의 한국인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운동 습관에 관한 다기관 연구에 의하면 제 2형 당뇨병 환자 중 47.5%가 일주일에 한 번도 운동을 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당뇨병 학회에서 권장하는 운동 횟수 인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 실시 비율이 45.1%로 미국 당뇨병 환자의 운동 실 시 비율이 69%임을 고려할 때 매우 낮은 수준임을 보고하였다.또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장기간 지속하는 것은 더 어려운 일로 Nelson, Rriber & Boyko(2002)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운동을 시작한 지 2년이 되면 그 중 25%만이 운동을 지속한다고 보고하였다.한편 규칙적인 운동과 더불어 일 상생활에서 신체 활동량을 늘리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권장되고 있는데

(20)

Kingetal(2006)은 제 2형 당뇨병 환자 개개인의 활동 패턴에 따라 신체 활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들을 조정해 주는 것이 중요한 자기 관리법의 한 부분 임을 주장하였다. 당뇨병환자에서의 건강행태 중 비만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이 요 법은 섭취한 에너지 기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혈당을 포함한 체내 대사의 조 절 자체가 매우 민감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특히 적 절한 식사관리에 의한 체중 관리는 인슐린의 효과적인 작용을 위해서도 필요 하고 식이요법의 올바른 실천만으로도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Hoogeveen,1998). 건강행태 중 흡연이 당뇨병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 인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지만 적어도 일반인에 미치는 영향에 상응하는 또는 그 이상의 나쁜 결과를 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당뇨병 환자가 흡연 시 이환율이 증가하고 합병증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증가함이 일관성 있게 보고되고 있고 미세혈관병증의 조기 발현과도 관련되어 있으며 제 2형 당뇨병 의 발생에도 중요한 알려지고 있다(대한당뇨병학회,2005). 당뇨병과 음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적절한 음주(3-6잔/일)는 당뇨병 발병을 낮추지만 과도한 음주(6잔 이상/일)의 경우 발병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 다(Wannamethee,Shaper,Perry & Alberti,2002).그러나 당뇨가 발병한 환자에 게 음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장수미,최경애와 유형준(2004)은 술 권하는 사회라고 지칭될 정도로 음주에 대해 관대한 한국 사회에서 당뇨병 환 자의 지속적인 음주는 성공적인 당뇨병 관리를 저해하는 핵심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고 알코올이 저혈당에 영향을 미치고 과도한 음주는 췌장염, 위염 등 다양한 합병증의 발생과 각종 사고 및 자가 간호 불이행 등 혈당관리

(21)

를 더욱 어렵게 한다고 하였다. 건강행태에 따른 신체 건강상태 요소 중 본인의 구강 건강이 최근 당뇨병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치태 및 치석이 증가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Mandel,2005).또한 혈당 조절과 관련 하여 잘 조절된 당뇨환자의 치주 상태는 정상인의 치주 상태와 비슷하다고 하 였다(Bay,2000) 혈당조절 상태와 추가적 만성 질환의 이완 여부를 살펴보면,현대화된 생 활습관에 익숙해진 노인들은 인슐린 저항성,고혈압.심혈관 질환의 만성 노 인성 질환등과 강한 관계성을 보이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8)라는 연구에서 보듯이 불량한 현대 건강행태에 길들여진 당뇨 환자의 경우는 혈 당 조절 실패가 또 다른 만성 질환의 이환 및 다른 합병증을 초래 할수 있 을 것이다. 당뇨뿐만이 아니라 추가적 만성질환의 보유수는 일반적 노인의 활동 기능 제한 상태에 놓인 허약 노인들에게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Wood,2005)이는 노인들의 활동 기능 제한 상태가 본인의 신체기 능 상태를 간접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여러 만성질환의 관리 및 혈당 조절의 관리 지표로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고 있다. 건강행태와 관련하여 정신건강 중 가장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스트레스 는 2가지 방법으로 혈당치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첫째,스트레스에 대한 반 응으로 여러 가지 항조절호르몬(couter-regulary hormone)의 분비가 증가하여 포도당 대사에 영향을 준다.아세틸콜린은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노어에피 네프린과 베타 엔돌핀은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며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 질축(HPA axis)의 활성화로 당질코르티코이드의 분비를 증가시켜 간에서 포도

(22)

당 신합성을 항진시키고 세포에서의 포도당 섭취를 감소시킨다(안유현,2002). 인슐린이상대적으로 부족한 당뇨병 환자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혈당 의 증가가 대사될 수 없으며 따라서 스트레스는 당뇨병 환자에서 만성적인 고 혈당을 조장 할 가능성이 높다.결국 고혈당은 그 자체에 의해 췌장의 포도당 자극에 대한 반응능력을 저해하여 췌장의 분비능력에 영구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Surwit&Schneider,1993).두 번째로,스트레스 하의 당뇨병 환자들은 음 주,흡연,운동량감소,식사 요법이나 자가 혈당 검사를 할 시간이 부족하거나 잊어버리게 되어 자기 간호 활동이 감소하고 이는 혈당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 을 증가 시킨다(http://www.diabetes.org/type-1-diabetes/stress.jsp).

정신건강의 중요한 지표인 우울과 관련하여 혈당조절에 관한 24개의 선행연 구를 메타분석 한 것에 따르면 제1,2형 당뇨환자의 우울은 고혈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Lustmanetal.,2000),비 우울군에 비해 우울군이 지 속적으로 당화혈색소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Richardsonetal.,2008).아프리 카계 미국인에서 우울 증상이 심할수록 당화혈색소가 높고,혈당 합병증이 더 많은 것을 밝혀냈고(Wagner등,2009),도심에 거주하는 남성 인구에서 우울과 당화혈색소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Hailpern,2007).우울과 혈당조 절에 관한 연구에서 당뇨환자가 우울할수록 당화혈색소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김선향등, 2008; 김준영등, 2006; 박용순등, 2005; 정선하, 문정순, 2005; Erenetal.,2008,Garyetal.,2000;Papelbaum etal.,2010).CES-D 도구를 이용하 여 우울과 당화혈색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조사되었다(김선 향,강희선,2008).

우울과 혈당조절이라는 연장선에서 우울과 자살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우리 나라 자살자의 약 60%정도가 우울증을 경험하고 있으며,우울증환자의20~30% 정도만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06년도 정신질환 역학조사에

(23)

따르면 2001년도에 비해서 주요 우울장애의 평생 유병율이 4.0%에서 5.6%로 증가했고 일 년 유병율도 1.8%에서 2.5%로 증가 했다고 보고되었으며 우울증 은 우리나라의 높은 자살률(2006년 21.6명,우리나라 사망원인 5위)의 한 원인 으로 분석되어 문제가 심각하다(2008자살예방협회 심포지움).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최형임,2008)에서 ‘노인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는 우울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독립변수 즉,개인특성 과 사회적지지,부정적인 경험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노 인의 우울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유의미 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과 혈당 조절과의 관련성에 관한 국내 연구에서 주 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이상인 군에서는 우울증 점수가 6.7점인 반면 주관적 건 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한 군에서는 우울증 점수가 14.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다(박혜숙 등,2003).이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당뇨병 환자 에서 우울증을 동반한 경우,환자는 피로와 식욕의 변화 등을 겪게 되는데 환 자들은 이러한 신체적 자각 증상들을 당뇨병의 악화증상이라고 여기게 되는 경우가 많아 우울증이 없는 환자에 비해 스스로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 고 판단하는 경향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24)

Ⅱ.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2까지 진행되었던「국민건강영양조사 제4,5 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 성별 및 당 뇨 약물 의존여부에 따라 건강행태와 정신 및 신체건강 상태가 혈당조절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건강행태 개선을 통해 노인 혈당유병 자의 보다 효과적인 혈당조절 개선방안을 규명하기 위한 단면적 시점의 서술 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모형은 다음<그림 1>과 같다. 그림 1.연구모형

(25)

2.연구 자료와 대상자

1

)연구 자료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에서 기획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조사하고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5기 (2007~2012)」자료의 만 65세 이상의 성인 원자료 중 일부를 이용하였다.제4기 조사는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의 조사 구를 추출 틀로 활용하여 총 600개 조사구의 약 13,800가구를 추출하였으며, 선정된 가구 내 만 1세 이상 가구원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제5기 조사에는 매년 192개 표본 조사구를 추출하여 3,800가구의 만1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대 사상으로 1~12월까지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목표모집단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으로 양로원,군 대,교도소 등에 입소한 자와 외국인 등은 제외되었다.제5기(2010-2012)표본 추출 틀은 2009년 주민등록인구와 2008년 아파트시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제4.5기(2007-2012)의 일반주택 표본 조사구는 2005년과 2009년 주민등록인구 의 통반리조사구에서,아파트표본조사는 아파트시세조사 자료의 아파트단지조 사구에서 추출하였다.시도별(서울,6대 광역시,경기,경상,강원,충청,전라, 제주)로 1차 층화하고,일반지역은 성별,연령대별 인구비율 기준 26개 층,아 파트지역은 단지별 평당 가격,평균평수 등 기준 24개 층으로 2차 층화한 후 표본 조사구를 추출하였다.표본조사구 내에서는 계통추출방법으로 조사구당 20개의 조사대상 가구를 추출하였다.

2

)연구 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당뇨병학회에서 규정한 당뇨병 진단기준에 의거하 여 의사의 혈당진단 또는 공복혈당 126이상을 나타내는 대상자 1,756명 중 남 성 약물 비복용 집단 217명,복용집단 536명과 여성 약물 비복용 집단 248명,

(26)

복용 집단 755명으로 특정 대상별 세분화 작업을 거쳐 선정 하였다.당화 혈색 소 수치가 ADA(2010)의 기준인 7.0%에 따라 7.0%미만인 경우를 ‘당화혈색소 양호 조절군’,7.0% 이상인 군을 ‘당화혈색소 비양호 조절군’으로 구분하여 진 행 하였다.기존 당뇨진단 노인 환자 및 잠재적 위험성 증가를 가지고 있는 고 위험 당뇨의심 환자를 포함 하기위해 공복혈당 126이상의 노인 대상자를 선택 하였다.

3

)변수의 설명

2007-2012년에 실시된 제4,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65세 이상 성인에서 의사의 당뇨 진단을 받은 대상자 중 성별에 따른 약물 복용 의존 여부에 따라 인구 사회학적 특성,건강행태,정신 및 신체 건강상태 요인을 각 변수로 구분 하여 사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요인으로는 성별,거주지,연령,교육수준,직업유무,결혼 상태,수입상태,주거형태,기초생활수급여부,민간보험여부,당뇨교육여부로 정 하였다. 건강행태요인으로 현재흡연 여부는 매일 흡연 및 가끔 흡연중인 사람을 ‘현 재흡연군’,과거엔 피웠으나,현재 피우지 않음 ‘과거 흡연군’,피운적이 없음 ‘비흡연군’으로 분류하였다. 현재 음주여부는 최근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한 경우 ‘음주군’평생 음주 하지 않았거나 최근 1년간 한잔 미만의 음주를 한 경우 ‘비음주’로 분류 하였다. BMI수치는 2000년 국제 비만 연구 학회 (IASO)에서 아시아인 에게 권장한 비만 판단 기준치를 기준으로 'BMI23kg/m2미만'은 '정상'으로,'23kg/m2이상 ~25kg/m2미만'은 '과체중'으로,'25kg/m2이상'은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27)

신체활동 실천여부는 미국질병통제센터와 미국 스포츠 의학회(American CollegeofSportsMedicine)에서 지정한 신체활동지침과 이와 유사하게 세계 보건기구에서 제안하는 성인의 신체활동 권고수준으로 격렬한 신체활동은 최 근 1주일 동안 평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격렬한 고강도 활동으로 1회 20분이상 주3일이상의 운동으로 정하였으며,중등도 신체활동은 최근 1주일 동안 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중등도 활동으 로 1회 30분 이상,주5일 이상의 운동으로 정하였다.그리고 그 외의 기준으로 두 경우의 혼합 실시,또는 8-10개 부위의 근력운동을 최소 주2일 이상(8-12회 반복)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을 따라 금번 조사에 적용하여 분류 한 것을 활용하였다. 걷기실천여부는 걷기(1회 30분이상 주5일 이상 실천),근력운동 실천여부는 근력운동(근력운동을 주2일 이상 실천),유연성 운동실천 여부는 유연성 운동 (스트레칭 맨손체조 등 유연성 운동을 1주일에 2일 이상 실천)으로 정하였다. 정신건강요인으로 우울증상 경험유무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 유무로 정하 였고,스트레스 느낀 정도는 평소 일상생활 중에 느낀 스트레스의 많고 적음을 기준으로 정하였고,자살생각여부는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 해 본 경험으로 정하였다. 신체건강 상태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는 평소 본인이 생각하는 건 강의 상태를 기준으로 보통이상 양호 및 나쁨 등의 요인을 조사 하였으며,구 강건강상태의 경우는 평소 본인이 생각하는 구강건강의 상태를 기준으로 보통 과 좋음을 양호한 것으로 설정하였고 나머지는 나쁨과 매우 나쁨을 비양호한 것으로 설정 하였다.또한 당뇨이외의 추가적 만성질환 여부는 고혈압,암.심

(28)

혈관 질환,뇌졸중 중 하나 이상의 이완 경험이 있는 집단을 ‘유’,없는 집단을 ‘무’로 구분하여 설정 하였으며,활동제한 여부의 경우 현재 건강상의 문제나 신체 혹은 정신적 장애로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에 제한을 받고 있는지에 따라 변수를 ‘활동제한’과 ‘활동가능’으로 나누어 설정 하였다.

(29)

구분 변수 설명 약물 의존여부 의사의 당뇨진단 또는 공복혈당 126이상의 대상자 총 1,756명중 남성 - 753명, 여성 - 1003명 1. 남성 약물 비복용 - 217명, 복용 - 536명 2. 여성 약물 비목용 - 248명, 복용 - 755명 혈당 조절군 1. HbA1c 수치 - 7.0%미만 ‘혈당양호 조절군’, 2. HbA1c 수치 - 7.0%이상 ‘혈당 비양호 조절군’ 사회 인구 학적 특성 연령 1. 65-69세 / 2. 70-74세 / 3. 75-79세 / 4. 80세 이상 거주지 1. 읍면 2. 동 소득 사분위 1. 하 2. 중하 3. 중상 4. 상 결혼상태 1. 무배우자 (별거, 이혼, 사별) 2. 유배우자 민간보험여부 1. 미가입 2. 가입 당뇨교육 1. 미교육 2. 교육 건강 행태 흡연 1. 비흡연군 2. 흡연 경험군 음주 1. 비음주군(1년간금주및 한달 1회미만) 2. 음주군(한달 1회이상) BMI(㎏/㎡) 1. 23미만(정상) 2. 23-25미만(과체중) 3. 25이상(비만) 신체 활동 정도 중 등 도 신체활동 1. 실천안함 2.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 격 렬 한 신체활동 1. 실천안함 2. 중등도 신체활동 실천 걷기정도 1. 실천안함 2. 걷기 실천 근력운동 1. 실천안함 2. 근력운동 실천 유연성운동 1. 실천안함 2. 유연성 운동 실천 정신 건강 우울증상경험 (2주이상) 1. 있음 2. 없음 스트레스 정도 1. 있음 2. 없음 자살생각율 (최근1년간) 1. 있음 2. 없음 신체 건강 주관적 건강상태 1. 나쁨 2. 양호(보통이상) 구강건강상태 1. 나쁨 2. 양호 만성질환여부 1. 유(고혈압, 암, 심혈관질환, 뇌졸증 중 1개 이상) 2. 무 표 1. 연구에 사용된 변수

(30)

3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SPSS(StatisticalPackagefortheSocialSciences)version 19.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빈도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요인별 일반적인 특성을 빈도(백분율)로 제시하였고,유의 수준 P<0.05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 정하였다. 1)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의한 노인 당뇨 대상자들의 혈당 조 절 여부 관계 파악 복합 표본 빈도 분석 및 -test를 사용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건강행태 요 인,정신건강 요인의 특성 및 혈당 조절과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2)노인 당뇨대상자들의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LogisticRegression)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회적 요인,건강행태 요인,정신 및 신체건강상태 요인이 혈당 조절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31)

구분 남자(n=753) 여자(n=1003) 비약(n=217) 약물(n=536) 비약물(n=248) 약물(n=755) 연령 65~69세 40.0% 44.5% 25.2% 31.3% 70~74세 25.8% 28.2% 24.8% 29.2% 75~79세 14.9% 21.5% 32.6% 26.6% 80세 이상 19.3% 5.8% 17.4% 13.1% 거주지 읍면 28.1% 27.3% 31.3% 27.1% 동 71.9% 72.7% 68.9% 72.9% 수입상태 (소득 사분위) 하 51.9% 45.8% 60.9% 54.5% 중하 25.3% 26.3% 19.2% 21.7% 중 11.6% 15.6% 11.5% 14.0% 상 11.2% 12.2% 8.7% 9.8% 결혼상태 무배우자 (별거,이혼,사별) 12.9% 10.4% 60.9% 59.8% 유배우자 87.1% 89.6% 39.1% 40.2% 민간보험여부 아니오 74.0% 77.3% 82.5% 82.7% 예 26.0% 22.7% 17.5% 17.3% 당뇨교육여부 아니오 92.6% 78.8% 89.1% 85.4% 예 7.4% 21.2% 10.9% 14.6%

Ⅲ.연 구 결 과

1

.일반적 특성

1)인구 사회학적 일반적 특성

표 2.대상자의 당뇨약물 복용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징 (N=1756) 조사대상자의 당뇨 약물 복용 여부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표 2>와

(32)

같다.전체 노인 혈당 조상대상자 1,753명중 남성이 753명,여성이 1,002명이었 다.그리고 남성 약물 여부에 따라 비약물 217명,약물이 536명 이었고,여성은 비약물 248명,약물 755명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경우 남성 비약물과 약물 집단에서는 각각 65~69세가 40.0%,44.5% 였고 70~74세가 25.8%,28.2%이였으며 75세~79세가 14.9%,21.5%이고 80세 이 상이 19.3%,5.8%로 나타났다.여성의 경우는 비약물과 약물이 각각 65~69세가 25.2%,31.3%였고 70~74세가 24.8%,29.2%이였으며 75세~79세가 32.6%,26.6% 이고 80세 이상이 17.4%,13.1%로 나타났으며 75세~79세에서 남성 비약물 경 우 가장 빈도수가 낮게 나타났고 반대로 여성 비약물에서는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나머지 빈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빈도수가 감소하였다. 거주지의 경우 남성은 읍면에서 비약물 28.1%,약물은 27.3%였으며,도시거 주는 71.9%,72.7%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여성은 읍면에서 31.3%,27.1% 도시거주는 68.9%,72.9%로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거주 하였다. 수입 상태는 소득 사분위 기준 하,중하,중,상의 순으로 남성에서의 비약물 과 약물은 각각 하 51.9%,45.8%,중하 25.3%,26.3%,중 11.6%,15.6%,상 11.2%,12.2%였으며 여성은 하 60.9%,54.5%,중하 19.2%,21.7%,중 11.5%, 14.0%,상 8.7%,9.8%순으로 남녀 모두 약물여부에 따라 소득이 올라 갈수록 빈도수가 낮게 나타났다. 민간보험 가입 여부는 남성 비약물과 약물의 경우 각각 미가입이 74.0%, 77.3%,가입이 26.0%,22.7%였으며 여성의 경우 미가입이 82.5%,82.7%,가입 이 17.5%,17.3%로 여성에서 미가입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당뇨교육 여부는 남성 비약물과 약물 대상에서 미교육이 92.6%,78.6%,교육 실시가 7.4%,21.2%였으며,여성은 미교육이 89.1%,85.4%,교육실시가 10.9%, 14.6%로 남성과 여성 당뇨 약물 복용 집단에서 혈당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33)

구분 남자(n=753) 여자(n=1003) 비약물(n=217) 약물(n=536) 비약물(n=248) 약물(n=755) 흡연 비흡연 14.1% 16.8% 85.5% 85.0% 흡연 85.9% 83.2% 14.5% 15.0% 음주 비음주 47.4% 45.9% 80.1% 89.6% 음주 52.6% 54.1% 19.9% 10.4% BMI 정상 41.9% 41.2% 30.0% 30.8% 과체중 27.4% 25.8% 21.4% 20..0% 비만 30.8% 33.0% 48.6% 49.2% 격렬한 신체활동 미실천 87.1% 88.6% 94.3% 94.3% 실천 12.9% 11.4% 5.7% 5.7% 중등도 신체활동 미실천 89.7% 90.9% 88.1% 92.4% 실천 10.3% 9.1% 11.9% 7.6% 걷기운동 미실천 55.4% 48.1% 65.4% 65.8% 실천 44.6% 51.9% 34.6% 34.2% 근력운동 미실천 79.4% 76.8% 94.1% 95.1% 실천 20.6% 23.2% 5.9% 4.9% 유연성운동 미실천 69.6% 59.9% 74.4% 74.3% 실천 30.4% 40.1% 25.8% 25.7%

2

)건강행태 여부

표 3.대상자의 당뇨약물 복용여부에 따른 건강행태 (N=1756) 조사 대상자의 건강행태 여부는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다.흡연의 경우 남

(34)

성 비약물과 약물 대상자에서 각각 비훕연군이 14.1%,16.8%,흡연 경험군이 85.9%,83.2%였고,여성에서는 비흡연군이 85.5%,85.0%,흡연 경험군이 14.5%, 15.0%로 남성에서 흡연이 높게 나타났다.음주는 남성 비약물과 약물 대상자 에서 비음주군이 47.4%,45.9%였고,음주는 52.6%,54.1%였으며 여성에서 비음 주군이 80.1%,89.6%였으며,음주군이 19.9%,10.4%로 흡연과 마찬가지로 남성 에서 음주가 높게 나타나났으며,여성 비약물 집단에서 음주가 높게 나타났다. BMI의 경우 남성 비약물과 약물군에서 ‘23미만’정상이 41.9%,41.2%,‘23이 상~25미만’과체중이 27.4%,25.8%,‘25이상‘비만이 30.8%,33.0%였고,여성에 서 정상이 30.0%,30.8%,과체중이 21.4%,20.0%,비만이 48.6%,49.2%로 여성 에서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 활동의 경우 비약물과 약물에 따라 남성에서의 격렬한 신체활동은 각각 미실천이 87.1%,88.6%,실천이 12.9%,11.4%였으며,여성의 경우 미실천이 94.3%,94.3%,실천이 5.7%,5.7%로 나타났으며 중등도 신체활동은 남성의 미 실천이 89.7%, 90.9%, 실천이 10.3%, 9.1%였으며 여성의 미실천이 88.1%, 92.4%,실천이 11.9%,7.6%로 신체활동 남녀 모두 비약물 대상자에게서 실천율 이 높게 나타났다. 걷기운동의 경우 비약물과 약물 집단 순서에 따라 남성에서 걷기 미실천은 55.4%,48.1%,실천은 44.6%,51.9%였으며 여성에서는 미실천이 65.4%,65.8%, 실천이 34.6%,34.2%로 남성 약물 집단에서 걷기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다.근 력운동은 남성 비약물과 약물 집단에서 미실천이 79.4%,76.8%,실천이 20.6%, 23.2%였으며,여성에서는 미실천이 94.1%,95.1%,실천이 5.9%,4.9%로 남성 약물집단에서 근력운동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다.그리고 유연성 운동에서는 남 성 비약물과 약물 집단에서 각각 미실천이 69.6%,59.9%,실천이 30.4%,40.1% 였으며,여성에서는 미실천이 74.4%,74.3%,실천이 25.8%,25.7%로 남성 약물 집단에서 유연성 운동 실천율이 높게 나타났다.

(35)

구분 남자(n=753) 여자(n=1003) 비약물 (n=217) 약물 (n=536) 비약물 (n=248) 약물 (n=755) 정신 건강 우울감 아니오 86.1% 87.8% 69.7% 72.9% 예 13.9% 12.2% 30.3% 27.1% 스트레스 아니오 85.5% 86.8% 62.2% 70.0% 예 14.5% 13.2% 37.8% 30.0% 자살생각 아니오 81.8% 82.4% 64.2% 64.5% 예 18.2% 17.6% 35.8% 35.5% 신체 건강 주관적 건강 나쁨 34.8% 39.7% 44.4% 55.6% 양호 65.2% 60.3% 55.6% 44.4% 구강건강 나쁨 56.2% 60.6% 54.6% 57.1% 양호 43.8% 39.4% 45.4% 42.9% 만성질환 없음 48.8% 30.5% 36.5% 25.8% 있음 51.2% 69.5% 63.5% 74.2% 활동상태 가능 69.6% 70.7% 62.9% 56.6% 제한 30.4% 29.3% 37.1% 43.4% 당뇨 상태 혈당조절 위험 31.5% 47.2% 30.8% 45.4% 양호 68.5% 52.8% 69.2% 54.0%

3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표 4.대상자의 당뇨약물 복용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N=1756)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은 <표 4>와 같다. 정신건강에서 2주이상 연속 우울 증상 경험 유무를 보면 비약물과 약물 복

수치

표 차 례 표 1.연구에 사용된 변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표 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관련 문서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 Perform an annual test to assess urine albumin excretion in type 1 diabetic patients with diabetes duration of ≥ 5 years and in all type 2 diabetic patients starting a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o do effective nursing that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arly-stage lung cancer patients, nurses should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r]

산포도는 변량들이 평균 주위에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표준편차가 클수록 산포도는 커지고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멀리 흩어져 있음을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