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동태적 추이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동태적 추이분석"

Copied!
1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D3 6 0|20 1 3 .1 0..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효과 동태적 추이분석. 송 미 령 민 자 혜. 연 구 위 원 초청연구원.

(2)

(3) i.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연구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연구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4 .분석의 전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2장 산업연관분석의 정의 및 내용 1 .산업연관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 .산업연관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제3장 모형 설정과 투입구조 개관 1 .산업연관표 선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2 .산업부문 투입구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 제4장 산업연관분석 결과 1 .생산유발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2 .공급지장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4 3 .가격변화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2 제5장 동태적 추이 1 .생산비중 및 파급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1 2 .생산유발 및 공급지장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2 3 .물가파급효과의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8.

(4) i i. 제6장 결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7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 9.

(5) i i i. 표 차 례. 제2장. 표 2 1 . 생산유발계수표의 의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6 제3장. 표 3 1 .2 0 0 9 년 연장표( 2 0 1 1 년 발표) 를 기준으로 한 산업부문 재분류 · · · · · ·3 4 표 3 2 . 농자재산업의 비중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6 표 3 3 . 농자재산업의 비중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7 표 3 4 . 농자재산업의 비중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7 표 3 5 . 농자재산업의 비중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8 표 3 6 . 농자재산업의 비중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8 표 3 7 . 농자재산업의 비중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표 3 8 . 농자재산업의 비중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9 제4장. 표 4 1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4 표 4 2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5 표 4 3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6 표 4 4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7 표 4 5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8 표 4 6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9 표 4 7 . 농자재산업부문의 후방생산유발계수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0 표 4 8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표 4 9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3.

(6) i v. 표 4 1 0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1 9 9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표 4 1 1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2 0 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5 표 4 1 2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2 0 0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6 표 4 1 3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2 0 0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7 표 4 1 4 . 농자재산업부문의 전방생산유발계수 ( 2 0 0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8 표 4 1 5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9 표 4 1 6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0 표 4 1 7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표 4 1 8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 표 4 1 9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3 표 4 2 0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4 표 4 2 1 .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유발효과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5 표 4 2 2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85 )· · · · · · · · · · · · · · · · · · · · · · · · · · ·6 7 표 4 2 3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90 )· · · · · · · · · · · · · · · · · · · · · · · · · · ·6 8 표 4 2 4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95 )· · · · · · · · · · · · · · · · · · · · · · · · · · ·6 9 표 4 2 5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0 )· · · · · · · · · · · · · · · · · · · · · · · · · · ·7 0 표 4 2 6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3 )· · · · · · · · · · · · · · · · · · · · · · · · · · ·7 1 표 4 2 7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5 )· · · · · · · · · · · · · · · · · · · · · · · · · · ·7 2 표 4 2 8 . 산업부문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9 )· · · · · · · · · · · · · · · · · · · · · · · · · · ·7 3 표 4 2 9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5 표 4 3 0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6 표 4 3 1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7 표 4 3 2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8 표 4 3 3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9 표 4 3 4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0 표 4 3 5 . 농자재산업부문의 공급지장효과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표 4 3 6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85 )· · · · · · · · · · · · · · · · · · · · · · · · ·8 4 표 4 3 7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90 )· · · · · · · · · · · · · · · · · · · · · · · · ·8 5.

(7) v. 표 4 3 8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1 9 95 )· · · · · · · · · · · · · · · · · · · · · · · · ·8 6 표 4 3 9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0 )· · · · · · · · · · · · · · · · · · · · · · · · ·8 7 표 4 4 0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3 )· · · · · · · · · · · · · · · · · · · · · · · · ·8 8 표 4 4 1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5 )· · · · · · · · · · · · · · · · · · · · · · · · ·8 9 표 4 4 2 . 공급 감소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 2 0 09 )· · · · · · · · · · · · · · · · · · · · · · · · ·9 0 표 4 4 3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9 4 표 4 4 4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9 5 표 4 4 5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9 6 표 4 4 6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9 7 표 4 4 7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9 8 표 4 4 8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9 9 표 4 4 9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1 0 % 가정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1 0 0 제5장. 표 51. 연도에 따른 농림수산품부문의 전체산업 대비 비중 변화 · · · ·1 0 5 표 52. 연도에 따른 농자재부문의 수출입 및 변화율 · · · · · · · · · · · · · · · · · · · · · · · · ·1 0 5 표 52. 연도에 따른 농자재부문의 수출입 및 변화율 ( 계속)· · · · · · · · · · · · ·1 0 6 표 53. 농자재산업 각 부문별 수출 공헌도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8 표 54.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효과 그리고 산출액 비교 · · · · · · · · · · · · · · ·1 1 5 표 55. 연도에 따른 농자재산업의 수요 및 산출액 변화 · · · · · · · · · · · · · · · · · · ·1 1 7 표 56. 연도에 따른 농자재산업의 비용 상승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9 부 록. 부표 1 1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1 9 8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2 7 부표 1 2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1 9 9 0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2 8 부표 1 3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1 9 9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2 9 부표 1 4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2 0 0 0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3 0 부표 1 5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2 0 0 3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3 1.

(8) v i. 부표 1 6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2 0 0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1 3 2 부표 1 7 . 산업부문의 총수요 및 총공급 ( 2 0 0 9연장표)· · · · · · · · · · · · · · · · · · · · · · ·1 3 3 부표 2 1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1 9 8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4 부표 2 2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1 9 9 0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5 부표 2 3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1 9 9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6 부표 2 4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2 0 0 0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7 부표 2 5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2 0 0 3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8 부표 2 6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2 0 0 5실측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9 부표 2 7 . 농자재산업부문의 투입구조 ( 2 0 0 9연장표)· · · · · · · · · · · · · · · · · · · · · · · · · · ·1 4 0 부표 3 1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1 9 8 5 )· · · · · · · · · · · · · · · · · · · · · · ·1 4 1 부표 3 2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1 9 9 0 )· · · · · · · · · · · · · · · · · · · · · · ·1 4 2 부표 3 3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1 9 9 5 )· · · · · · · · · · · · · · · · · · · · · · ·1 4 3 부표 3 4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2 0 0 0 )· · · · · · · · · · · · · · · · · · · · · · ·1 4 4 부표 3 5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2 0 0 3 )· · · · · · · · · · · · · · · · · · · · · · ·1 4 5 부표 3 6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2 0 0 5 )· · · · · · · · · · · · · · · · · · · · · · ·1 4 6 부표 3 7 . 농자재산업의 가격상승효과:5 % 가정 ( 2 0 0 9 )· · · · · · · · · · · · · · · · · · · · · · ·1 4 7.

(9) v i 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 1 . 산업연관표의 일반적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제5장. 그림 5 1 . 농업 대비 농자재산업 산출액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2 그림 5 2 .1 인당 육류 소비량 추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3 그림 5 3 . 전체산업 대비 농자재산업 산출액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4 그림 5 4 . 전체농자재부문 수출입 비중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7 그림 5 5 . 농자재부문 부가가치율 변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0 9 그림 5 6 . 농자재산업의 생산파급계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1 그림 5 7 . 농자재산업 각 부문의 생산유발효과 크기 변화 · · · · · · · · · · · · · · · · · · ·1 1 2 그림 5 8 . 농자재산업 각 부문의 공급지장효과 크기 변화 · · · · · · · · · · · · · · · · · · ·1 1 3 그림 5 9 .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효과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 4 그림 5 1 0.농자재,농림수산품 산출액의 전체산업 대비 비중 · · · · · · · · · · · · · ·1 1 6 그림 5 1 1.농자재산업 비용 상승효과:전체산업 평균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0 그림 5 1 2.농자재산업 비용 상승효과: 산업의 비중을 고려한 물가파급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0.

(10)

(11) 1. 제. 서. 1. 장. 론. 1.연구의 배경 농자재산업은 농업의 생산부문을 뒷받침하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 간산업임.예를 들면,우리나라 농업총생산액 약 4 2 조 원 가운데 종자,비료,농 약,농기계 등 농자재시장의 규모는 1 2 ~1 3 조 원 정도로 약 3 0 %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농자재산업은 기술적인 면 이외에도 농업생산,나아가 농업소득과 밀접한 관 련을 갖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에,농업정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책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려나 있었음. 관심과 정책적인 배려 부족으로 인해 비료산업과 농기계산업 생산업체들은 경영악화로 존폐의 기로에 서 있으며,종자산업은 국내 굴지의 기업들이 외국 기업에 인수 합병되어 종자주권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1 )최근 정부는 뒤늦게 농자재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 내 TF를 꾸려. 농자재산업발전대책을 마련하는 등 국내 기반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 으나,여전히 많은 어려움에 봉착해 있음..

(12) 2. 새로운 정부에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농자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 한 연구와 지원이 중요한데,농자재산업과 농업과의 관계에 대해 현재까지 이 루어진 연구들을 매우 미미함. 1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농자재산업 중심의 산업연관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임. -현재 농식품과 관련되어 산업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박경일 등( 2 0 1 2 ) ,. 송영은 등( 2 0 0 8 ) ,지인배( 2 0 1 3 ) 가 있으며,물가 파급효과를 분석한 연구 로는 허신행· 김창길( 1 9 8 9 ) ,채종훈( 2 0 1 0 ) ,안동환 등( 2 0 1 2 ) ,안동한· 김성 훈( 2 0 1 2 )등이 있음.그러나 이 연구들은 농식품부문을 다루기는 하였 지만,농자재산업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연구들임. 따라서 농자재산업이 전· 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즉 파급효과 분석을 바탕 으로 이 산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음. 1 )유일하게 2 0 1 3 년에 KREI 에서 처음으로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측모형과 가. 격모형을 사용하여 농자재산업이 농림수산품부문에 미치는 영향 및 중요 1 도를 계측함.. 2 )하지만 이것은 1 개 연도 자료를 이용한 연관분석으로 시계열에 따른 연관. 정도의 변화를 계측하지는 못하고 있어 중· 장기적인 관계분석을 위해서는 농자재산업과 농림수산품부문이 연도별로 어떤 연계를 가지고 있으며,농 자재산업이 전‧후방으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1 박현태. 등.2 01 2 .「농자재산업의 산업연관분석과 가격변화 영향」.농림업 후방연관 산업의 전략적 발전방안 R6 6 51.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3. 2.연구의 목적 국내 중요한 농자재부문을 선정한 다음,이 농자재부문이 ( 농업을 포함한)다 른 산업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더 나아 가 이러한 중요도 및 산업연관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어떻게 변해 왔는가 를 동태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1 )기본적으로 농자재산업의 생산증대가 미치는 생산유발효과,공급량 감소. 가 농림수산품부문과 다른 산업부문에 미치는 공급지장효과,그리고 농자 재산업부문의 비용 상승이 농림수산품부문과 다른 산업부문 그리고 국가 경제 전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함. 2 )그리고 시간의 흐름( 다년 산업연관분석) 에 따라 그 연관성이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분석하고자 함. 농자재산업과 농업을 포함한 다른 산업부문과의 연관성에 대한 수리적 분석 은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용하고자 함. 1 )그리고 이러한 산업연관 및 영향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해왔. 는가를 동태적으로 살피고자 함. 또한 시계열의 변화에 따른 산업연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향도 및 비중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함. 물론 이 작업을 얼마나 정교하게 하느냐가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본 연구에 서는 총 7 개 시점의 산업연관결과가 제시될 것임.이 7 개 시점의 자료를 가지 고는 정교한 시계열 예측모형을 설정하여 추정하기 어려운 바,7 개 시점에 따 른 추세변화를 바탕으로 향후 추세를 논하는 정도로 분석하고자 함..

(14) 4. 3.연구의 내용 현행 산업분류의 세세분류에 제시되어 있는 농약,비료,농기계,종자,사료 산업을 농자재산업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함. 1 )농자재산업이 농업 및 기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위에. 서 언급한 다섯 개의 농자재산업별로 영향분석을 위한 산업연관분석틀을 구성하고자 함. 2 )이를 바탕으로 농자재산업의 생산,공급,가격 변화가 농림수산품부문을. 포함한 타산업과 생산,물가 등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자 함. 3 )더 나아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산업연관계수들과 주요 거시경제지표와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함. 현재 산업연관표에서 앞에서 언급한 다섯 가지 농자재산업을 따로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는 연도는 1 9 8 5 년부터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따라서 1 9 8 5 년부터 최근까지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실측표와 가장 최근의 연 장표를 바탕으로 수요측모형,공급측모형 및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농자재산업 의 중요도와 산업연관효과의 동태적인 변화를 살펴보고자 함.. 4.분석의 전제 4.1.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농자재산업 가운데 시장규모가 크며,산업연관표의 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가 가능한 농약,비료,농기계,종자,사료산업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15) 5. 자 함. 2 1 )물론 큰 틀에서는 질소화합물도 농자재산업에 해당됨.. -‘ 2 00 9산업연관표생산자가격평가표’ 에 의하면 질소화합물의 총공급량. 중 7 8 %에 해당되는 물량이 비료 제조 원료로 사용되었으며,나머지 2 2 % 정도는 일반산업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현재 질소화합물은 산업분류에 있어서 소분류 0 6 2‘ 비료 및 농약’중에. 서 기본분류 1 5 2‘ 질소화합물’ 로 구분되어 있음. 2 )따라서 질소화합물을 농자재산업으로 포함시켜 분석하여도 큰 문제가 없. 는 것으로 판단됨. 3 )그러나 질소화합물은 비료라는 산업 입장에서는 농자재의 후방산업에 속. 하기 때문에,본 분석에서는 포함시키지 않고자 함.또한 2 0 0 0 년대 이전에 는 이 질소화합물이 산업연관표에서 하나의 산업으로 따로 분류되어 있 않은 관계로 시계열의 연속성 문제도 있기 때문에 질소화합물은 포함시키 지 않고자 함.. 4.2. 연구 접근의 특징 일반적인 방법론인 생산유발효과 측면의 접근으로는 농림수산품부문에 있어 서 차지하는 농자재산업의 중요성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본 연구에 서는 추가적으로 공급측모형을 사용하고자 함. 1 )산업연관분석의 일반적인 방법론인 생산유발효과 측면의 접근으로는 농. 림수산품부문에 있어서 차지하는 농자재산업의 중요성을 파악하기가 쉽 지 않음. 2 )전통적인 수요측모형은 “ 한 산업의 생산 증대가 다른 산업의 생산을 얼마 2 국내. 산업연관표 작성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에게 문의 한 결과 질소화합물의 총공급량( 생산량+수입량)중 대부분이 비료 제조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고 함..

(16) 6. 만큼 유발하느냐” 와 “ 다른 산업들의 생산 증대가 해당 산업의 생산을 얼 마만큼 유발하느냐” 는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하기에는 적합한 방법론임.따 라서 생산유발모형을 이용하는 경우 농자재산업이 농림수산품부문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농자재부문의 생산 변화가 농림수산품부문의 생산을 얼마만큼 유발하느냐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음. 3 )그러나 농자재부문이 농림수산품부문의 후방산업에 속하기 때문에,농자. 재산업 생산이 늘어나도 농림수산품부문 생산이 이에 신축적으로 반응하 여 늘어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생산유발모형 적용의 한계가 있으며, 이 경우 농자재산업의 중요성은 과소평가될 수 있음.물론,생산유발모형 을 이용하여 분석해도 특정 수치가 나타날 것이나,이는 농자재산업부문 의 생산 증대에 영향을 받은 다른 산업부문의 변화가 농림수산품부문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임. 따라서 생산유발효과를 통해 농자재부분의 중요성이나 농림수산품부문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는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이보다는 농자재부문 생산물 의 가격 변화나 공급의 감소가 농림수산품부문의 생산물 가격이나 생산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됨. 1 )통상적인 투입산출분석 모형은 특정부문의 공급량의 변화가 야기시키는. 영향을 다루기에는 적절하지 못함.따라서 공급측모형을 이용하여 특정 부문의 공급량 감소로 인한 직· 간접적 영향을 평가하고자 함.. 4.3. 연구 결과의 한계 산업연관분석은 산업 간 연관성을 수리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는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그 결과를 해석 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함. 1 )모든 산업의 생산활동을 하나의 단순한 투입함수로 표시하기 위해 다음과.

(17) 7. 같은 두 가정을 전제로 함.① 산업 간 모든 거래는 투입물과 산출물 사이 의 기술적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적어도 단기간에 있어서는 안정적이 라는 투입( 기술) 계수 불변의 가정( a s s u mp t i o noff i x e di n p utc o e f f i c i e n t s ) 과,② 어떤 특정산업은 특정생산물만을 산출한다는 비결합생산의 가정 ( a s s u mp t i o no fn o n j o i n tp r o d u c t i o n ) 임. -그러나 불비례투입물( 不比例投入物) ,신기술 개발 및 신상품 출현 등으. 로 인한 생산기술구조의 변화,상품별 상대가격체계 변화로 인한 산업 간 투입( 산출) 구조의 변화 등은 현실경제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로서,이 두 가지 가정으로 인해 산업연관분석으로 얻어지는 결과는 현실경제와 다소 괴리가 발생할 수 있음. 2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물가파급효과 분석은 가격변동의 파급시차를 파악. 하기 곤란함.즉,가격변동의 파급시차를 감안하지 않아 경제여건에 따라 상품이나 부가가치항목의 가격변동이 시차에 따라 단계별로 점진적으로 반영되는 효과를 파악할 수 없음. 3 )투입비용이 증가할 때와 감소할 때의 파급효과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가격의 하방경직성으로 인해 투입비용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경우보다 물가파급효과가 적게 나타날 수 있음..

(18)

(19) 9. 제. 2. 장. 산업연관분석의 정의 및 내용. 1.산업연관표 1.1. 산업연관표의 정의 산업연관표는 일정 기간( 보통 1 년)동안의 산업 간 거래관계를 일정한 원칙 에 따라 행렬형식으로 기록한 통계표를 의미함. 1 )국민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산업부문은 서로 다른 산업부문으로부터 원. 재료,연료 등의 중간재를 구입하고,여기에 노동,자본 등 본원적 생산요 소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여 이를 다른 산업부문 에 중간재로 팔거나 최종소비자에게 소비재나 자본재 등으로 판매함. 2 )즉,국민경제 내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및 처분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 래를 일정한 원칙과 형식에 따라 기록한 종합적인 통계표를 지칭함. 3 )이로 인해 산업연관표는 필연적으로 다양한 경제활동들을 포괄하게 되는. 데,이때 이 경제활동 및 그 결과들의 상호비교를 위해서는 개별 활동의 3 특정적 단위가 아닌 화폐단위라는 공통척도로 평가하여 기술하게 됨..

(20) 1 0. 1.2. 산업연관표의 구조 그림 1-1. 산업연관표의 일반적 구조 중간수요. 1… j… n 1 . . i . .. 중간 투입. Xij ( 내생부문). 최종수요. 수입 총 중간 최종 ( 공제) 산출액 소비…투자…수출 수요계 수요계. Wi. Ci … I i … Ei. Yi. Mi. Xi. ( 외생부문). n 중간투입계. Uj. 피용자보수. Rj. 영업잉여 부가. 고정자본소모. 가치. S j ( 외생 부문 ) Dj. 순생산세. Tj. 부가가치계. Vj. 총투입액. Xj. 1)주:한국은행.2011.2009년 산업연관표.재작성.. <그림 1 1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산업연관표는 기본적으로 이러한 산업부문. 간 거래를 기록하는 부분과 노동,자본 등 본원적 생산요소의 구입부분,그리고 각 산업부문 생산물을 최종구매자에게 판매하는 부분 등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음. 산업연관표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읽을 수 있음.. 3 그러나. 실물단위가 아닌 화폐단위로 평가되어 있어 산업연관표를 기반으로 한 산업 연관분석은 분명한 한계를 내포하고 있음..

(21) 1 1 1 )세로( 열,c o l u mn) 방향은 각 산업부문이 재화 및 용역을 생산하기 위하여. 지출한 생산비용의 구성 즉,투입구조를 나타냄. -투입구조는 중간재 투입을 나타내는 중간투입부문과 임금,이윤,간접세. 등 본원적 생산요소의 구입비용을 나타내는 부가가치부문으로 구분되 며 그 합계가 총투입액이 됨. 2 )산업연관표를 가로( 행,r o w) 방향으로 보면 각 산업부문의 생산물이 어떤. 부문에 중간수요 또는 최종수요의 형태로 얼마나 사용되었는가를 알 수 있는데,이를 배분구조라 함. -배분구조는 다른 부문의 생산을 위하여 직접 투입되는 중간수요부문과. 소비재,자본재,수출 등의 최종재로 사용되는 최종수요부문으로 구분 됨. -중간수요부문에서 사용된 금액을 중간수요액이라 하고,최종수요부문에. 서 사용된 금액을 최종수요액이라 하며,중간수요액과 최종수요액의 합 계가 총수요액이 됨. -총수요액에서 수입액을 공제한 것을 총산출액이라고 하는데 각 산업부. 문의 총산출액과 세로 방향의 총투입액은 항상 일치함. 한편 재화와 서비스의 산업부문 상호 간의 거래인 중간수요와 중간투입을 기록하는 부분을 내생부문이라 하고,최종수요와 부가가치를 기록하는 부분을 외생부문이라고 함. 1 )내생부문이란 외생부문의 수치가 모형 밖에서 주어지면 이에 따라 수동적. 으로 모형 내에서 그 값이 결정되는 부분이란 의미로,산업연관표 작성에 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며 작성된 표의 분석이나 이용에 있어서도 가장 중 요한 부분임. 2 )외생부문은 내생부문과 관계없이 모형 밖에서 값이 결정되는 부분으로,. 이 외생부문 값의 변동이 국민경제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미치는가를 알아 보는 것이 산업연관분석의 기본 틀임..

(22) 1 2. 1.3. 산업연관표 작성 산업연관표 상의 부문별 총산출액은 일정 기간 생산된 재화 및 서비스를 생 산자가격으로 평가한 수치임. 수출입 추계작업은 품목별 수출입 벡터 작성과 수입거래표 작성으로 나뉘어짐. 1 )상품 수출입 벡터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산업연관표 부문분류와 작성원칙. 에 따라 재분류하고,서비스 수출입 벡터는 국제수지 자료와 외환수급통 계 자료 등을 이용하여 추계함. 2 )수출품은 본선인도가격( F. O. B. ) 으로 평가하고,수입품은 운임보험료포함. 가격( C. I . F. ) 으로 평가함. 최종수요 항목은 민간소비지출,정부소비지출,민간고정자본형성,정부고정 자본형성,재고증가 및 수출로 구성되어 있으며,최종수요 항목들의 구성 내역 을 파악하기 위해 재화흐름법,지출접근법,가계조사법,소매평가법 등의 추계 기법과 다양한 자료를 이용함. 부가가치 항목 중 피용자보수,영업잉여 및 고정자본소모는 광업제조업통계 조사보고서,서비스업통계조사보고서,기업경영분석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으 며,생산세 및 보조금은 국세통계연보,지방세정연감,정부 예결산서 등을 이용 하여 추계함.. 2.산업연관분석 2.1 산업연관분석의 의의 산업연관분석( i n t e r i n d u s t r ya n a l y s i s )또는 투입산출분석( i n p u t o u t p u ta n a l y s i s ) 은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하여 산업 간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분석.

(23) 1 3. 하는 기법임. 1 )일반적으로 국민경제의 순환과정은 소득 순환과 산업 간 생산물 순환의. 두 가지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음. 2 )소득 순환은 소득의 발생으로부터 분배 및 처분과정 즉,생산활동 결과로. 발생한 국민소득이 이윤,임금,이자 등의 형태로 분배되어 소비재와 자본 재의 구입이라는 처분활동을 거쳐 다시 다음의 생산과정으로 환류되어 가 는 과정임. 3 )이에 반해 산업 간 생산물 순환은 생산부문 상호 간의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를 나타내기 때문에 국민소득계정에서는 제외되나 산업 간 연관관계 를 파악하는 데는 매우 유용함. 4 )국민소득분석이 국민경제 전체 활동수준을 표시하는 장점을 지녔다면,산. 업연관분석은 구조적 측면에서 산업 간 연관관계( 산업 간 생산물 순환) 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음. 5 )또 산업연관분석은 최종수요가 유발하는 생산,고용,소득 등 각종의 파급. 효과를 산업부문별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정책의 수립, 정책효과의 측정 등에 활용되고 있음.. 2.2. 생산유발효과 분석 2. 2. 1.투입계수 투입계수는 각 산업부문이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에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산업으로부터 구입한 각종 원재료,연료 등 중간투입액과 피용자보수,고정자 본소모 등 부가가치를 해당 산업의 총투입액( =총산출액) 으로 나눈 것이며,산 업연관표 상에서는 식( 1 ) 과 같이 구해짐.   . ( 1 ).

(24) 1 4 1 )여기서 는 투입계수로써 j 산업 1 단위 생산을 위해 사용된 i 산업으로부터. 의 투입액을 의미하며,는 j 부문에 사용되는 i 재 투입액,는 j 부문의 총산출액을 의미함. 2 )투입계수는 각 부문 생산물 1 단위 생산에 필요한 각종 중간재 및 부가가. 치의 단위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산업부문의 생산기술구조,즉 투입과 산 출의 생산함수를 의미함. 투입계수는 투입과 산출의 기술적인 수량관계를 나타내므로 물량단위 거래 표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다양한 물량단위와 기초 자료 부족 등으로 물량단위 거래표 작성이 어렵기 때문에 금액단위 거래표로 부터 계산하여 이용하고 있음. 1 )물량단위로 작성된 산업연관표를 사용할 경우 행방향으로는 동일한 물량. 단위가 적용되므로 합산 등의 계산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열방향으로는 각기 다른 물량 단위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합은 경제적으로 아무 런 의미를 가지지 않음.그러나 금액단위 산업연관표는 행방향 및 열방향 모두 동일한 단위로 작성되므로 각종 계산이 가능하며,행과 열의 합이 일 치하여 산업연관표의 의미에도 부합하다는 장점이 있음. 투입계수의 종류에는 생산자가격평가표에서 도출되는 투입계수,국산거래표 에서 도출되는 국산투입계수,그리고 수입거래표에서 도출되는 수입투입계수 등이 있음.. 2. 2. 2.생산유발계수의 유도와 의미 산업부문 수가 많은 경우에는 투입계수를 이용하여 무한히 계속되는 생산파 급효과를 계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역행렬이라는 수학적인 방법으로 생산유발계수를 도출하여 이용. 산업연관표의 수급방정식은 식( 2 ) 과 같은데,이는 각 산업부문 생산물의 수급.

(25) 1 5. 관계에 있어서 중간수요와 최종수요의 합계에서 수입을 차감하면 총산출액과 일치한다는 의미임..       . ( 2 ). 1 )식( 2 ) 에서  는 산업연관표의 투입계수행렬이며, 는 총산출액벡터, 는. 최종수요액벡터, 는 수입액벡터를 의미함. 2 )이로부터 도출되는 최종수요의 생산유발액은 식( 3) 과 같음..           . ( 3 ). 3 )식( 3 ) 에서  는 주대각요소가 모두 1 이고 그 밖의 요수는 0 인 단위행렬을 . 의미함.그리고     는 최종수요의 일반적인 생산유발계수행렬이며, 또는 레온티에프( Le on t i e f )역행렬이라고도 함. 이와 같은 방식으로 투입계수를 이용하여 생산유발계수를 계산하면 최종수 요의 변화를 독립적으로 추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생산의 변화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데,생산유발계수는 1 단위의 최종수요가 주어지는 경우 각 산업의 생산 에 미치는 직· 간접의 파급효과를 나타내며 누적승수의 의미를 갖고 있음. 생산유발계수행렬의 요소를 라고 하면,그 의미는 <표 2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해석됨..

(26) 1 6 표 2-1 . 생산유발계수표의 의미. 1산업. 2산업. . . .. i 산업. 열합계. 1산업. 2 산업. r 1 1. r 12. 1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1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2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 단위 발생함에 따라 1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r 2 1. r 22. 1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2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2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 단위 발생함에 따라 2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 . .. . . .. r i 1. r i 2. 1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i 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2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 단위 발생함에 따라 i 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r · 1= Σr i 1. r · 2= Σr i 2. 1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전 산업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2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 단위 발생함에 따라 전 산업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 . .. . . .. j 산업. 행합계. r 1 j. r 1 ·= Σr 1j.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1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r 2 j. . . .. .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2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 . . .. r i j. .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i 산업부문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r · j= Σr i j. .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전 산업에서 나타나는 직· 간접 유발효과. 1,2,.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위씩 발생함에 따라 1산업부문에 서 나타나는 유발효과. r 2 ·= Σr 2j 1,2,.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위씩 발생함에 따라 2산업부문에 서 나타나는 유발효과 . . .. r i ·= Σr i j 1,2,. . . ,j 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1단위씩 발생함에 따라 I 산업부문에 서 나타나는 유발효과.

(27) 1 7. 2. 2. 3.생산유발효과 추정 특정 산업의 수요 증가가 다른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부가가치유발,고용 유발효과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식( 3 ) 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음. ∆       ∆. ( 4 ). 1 )여기서 ∆  는  부문을 제외한 다른 부문의 산출량의 변화,즉  부문의. 영향을 받은 타부문의 산출 증감을 나타냄.  는 투입계수행렬에서  부 문이 포함된 열과 행을 제외시켜 작성한 행렬, 는 투입계수행렬  에서  부문 원소를 제외한  부문 열벡터이며,∆는  부문 산출액의 변화 량을 의미함. 2 )식( 4 ) 를 이용하여 외생화된 특정 산업부문의 수요량 변화가 다른 산업의. 생산을 몇 단위 유발시키는지를 계산할 수 있음.. 2. 2. 4.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산업 간 연쇄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는 후방연쇄효과( b a c kwa r dl i n k a g ee f f e c t ) 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와 전방연쇄효과( f o r wa r dl i n k a gee f f e c t ) 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가 있음 ( Hi r s c h ma n1 9 58 ;J o n e s1 9 7 6 ;이정전 1 9 8 3 ) 영향력계수는 어떤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 한 단위가 발생할 때 전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인 후방연쇄효과( ba c k wa r dl i n k a g ee f f e c t ) 의 정 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식( 5 ) 에서 처럼 해당산업의 생산유발계수 열합계를 전 산업의 평균 생산유발계수로 나누어 구하게 됨. . .  . . . . .   .     . . ( 5 ).

참조

관련 문서

□ CCUS 목표치 달성을 위해서는 대대적인 정부지원과 민간 확산 필요 ㅇ 탄소중립 목표 및 NDC 상향으로 인한 전환 부문의 전원구성 변화,. 산업부문 감축목표 등을

He joyfully used techniques to enlarge the possibility of the instrumental representation with old master's works and his ability as a composer was

{.Yz \ œ _žk /n AAAAAAAAAAAAAAAAAAAAA . /

 J( 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D E

- 2005년에는 각국의 동향과 분석방법, 관련통계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 2006년 8월부터 산업부문의 에너지효율지표 작성을 위한

/' §'Ox 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I JJ J' t O/2I ¨©!C 'O(

Undiagnosed malignancy in patients with deep vein thrombosis: incidence, risk indicators, and diagnosis.. Monreal M, Fernandez-Llamazares J, Perandreu

• Crabb의 교회관은 첫째, 그리스도의 지체로서의 교회. 교회의 지도자가 모든 것을 감당하는 것이 아니라 지교회 모든 성도들이 감당해야 함.. -2단계는 권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