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산업연관분석 결과

1. 생산유발효과

1.2. 생산유발계수

1.2.1.농자재산업의 전·후방생산유발계수

농자재산업을 중심으로 한 후방생산유발계수가 <표 4-1>에서 <표 4-7>까지 제시되어 있는데,이는 각 부문 1단위의 최종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타산업부 문 생산에 미치는 직·간접의 파급효과를 나타냄.

1)예를 들어 2009년 연장표를 보면,종자 및 묘목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증가하는 경우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이 부분의 생산은 최종적으로

1.8015단위 늘어나고,가장 크게 생산파급효과가 발생하는 부문은 부동 산 및 사업서비스 그리고 금융 및 보험,전력 가스 및 수도부문인데 각각 0.1165,0.0982,0.0701단위 생산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함.

-전술한 바와 같이,사료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개 농자재산업부문은 농 림수산품부문 생산물을 중간재로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농자재산 업의 생산량 증가가 농림수산품부문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사료부 문을 제외하고는 소수점 셋째 자리 수에 해당되는 매우 미미한 수치가 나타남.

-물론 이 또한 증대된 농자재산업의 생산이 농림수산품부문의 중간원료로 투입되어 나타난 수치라기보다는 농자재산업부문의 생산량 증가로 인해 다른 산업부문이 영향을 받고 이것이 다시 농림수산품부문 산출물에 대 한 수요 증가로 나타난 매우 거리가 먼 간접적인 효과로 볼 수 있음.

종자 및

종자 및

종자 및

종자 및

종자 및

종자 및

종자 및

한편,농자재산업을 중심으로 한 전방생산유발계수가 <표 4-8>에서 <표 4-14>에 걸쳐 제시되어 있는데,이는 다른 특정 산업부문의 수요가 1단위씩 증 가하는 경우 특정 농자재산업부문이 받게 되는 직·간접의 파급효과를 나타냄.

1)예를 들어 2009년 결과를 보면,농산물의 생산이 1단위 증가하는 경우 농자재산업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부문은 비료산업으로써 0.0741단 위의 생산이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음.그리고 다음으로는 농약,사료,농 업용기계,종자 및 묘목 순으로 생산파급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제시함.

-전체적인 측면에서 볼 때 농자재산업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산업은 축산업으로써 전체 농자재부문에 0.620단위의 생산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남.이 수치는 다른 산업뿐만 아니라 농림수산품부문 내에서도 월 등하게 큰 것으로 나타남.특히 농산물이 0.128단위로 나타났음을 감안 할 때,그 크기는 상대적으로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음.

-이는 축산업 부문이 사료부문에 미치는 생산유발계수가 상대적으로 매 우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는데,구체적으로는 0.590단위 생산을 유발 하는 것으로 나타남.

1.2.2.농자재산업의 생산유발효과

특정 농자재산업의 생산 증가가 다른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하 기 위해 식(4)에 제시된 것처럼,해당 농자재산업부문을 외생화시킨 후 1억 원 의 수요가 증가했다고 가정하여 분석을 진행함.5

결과가 <표 4-15>에서 <표 4-21>에 제시되어 있음.

1)이 결과에 대한 해석은 예를 들어 2009년 결과를 기준으로 볼 때,농약부문 의 수요가 1억 원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농림수산품부문 은 114만 7,000원,음식료품은 119만 원 등의 파급효과가 발생함을 의미함.

5생산유발효과에 1억을 곱해서 얻은 것이기 때문에 다른 액수의 변화를 가정하더라 도 그 영향의 상대적인 크기는 변하지 않음.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90120 0.470222 0.072730 0.003648 0.145407 0.002661 0.086517 0.016498 0.010957 0.005844 0.000681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4453 0.001637 0.001192 0.001900 0.002280 0.002016 0.002235 0.001895 0.005802 0.000740 0.001813

도소매 음식점 및 0.002576 0.001774 0.001647 0.000930 0.002407 0.001377 0.005076 0.002006 0.004725 0.048391 `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73219 0.520650 0.040546 0.004806 0.135184 0.001826 0.089946 0.013735 0.005215 0.004295 0.000823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4974 0.001838 0.001302 0.002248 0.002135 0.002081 0.002157 0.001890 0.003997 0.001061 0.001944

도소매 음식점 및 0.002693 0.001910 0.001830 0.001352 0.002597 0.001648 0.005644 0.002550 0.005256 0.048596 `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79910 0.539677 0.042198 0.014213 0.044526 0.001607 0.084868 0.013276 0.003410 0.002629 0.000592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3674 0.001351 0.001066 0.001563 0.001354 0.001208 0.001606 0.001277 0.002912 0.000790 0.001383

도소매 음식점 및 0.001899 0.001299 0.001236 0.001399 0.002042 0.001409 0.005390 0.002699 0.008458 0.037492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93837 0.523289 0.054655 0.017440 0.037968 0.001274 0.101253 0.008303 0.003713 0.002423 0.000288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3183 0.001181 0.000773 0.001217 0.001062 0.000836 0.001107 0.001017 0.002259 0.000494 0.001174

도소매 음식점 및 0.001334 0.033139 0.000900 0.002429 0.001200 0.000921 0.003457 0.002203 0.006648 0.027290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80477 0.495559 0.042410 0.026760 0.034584 0.001057 0.079098 0.006151 0.002730 0.001673 0.000232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2626 0.000887 0.000571 0.000892 0.000828 0.000664 0.000782 0.000753 0.001694 0.000360 0.000899

도소매 음식점 및 0.001011 0.024814 0.000758 0.000817 0.000989 0.000729 0.002596 0.001772 0.005011 0.022164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093935 0.414082 0.029106 0.017989 0.008767 0.001272 0.077810 0.005348 0.002326 0.001542 0.000189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2717 0.000901 0.000561 0.000978 0.000852 0.000721 0.000963 0.000774 0.001493 0.000348 0.000958

도소매 음식점 및 0.001193 0.025895 0.000726 0.001078 0.000768 0.001117 0.002504 0.001799 0.004081 0.024466

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0.128071 0.620108 0.037548 0.027063 0.011434 0.001732 0.123982 0.007040 0.003295 0.002205 0.000279

화학제품 비금속광 0.003608 0.001165 0.000759 0.001173 0.001069 0.000977 0.001269 0.000921 0.001936 0.000429 0.001178

도소매 음식점 및 0.001714 0.042255 0.000913 0.001548 0.001370 0.001848 0.003090 0.002603 0.005833 0.033393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종자 및 묘목 사 료 비 료 농 약 농업용기계

1)농자재부문 중에서 사료산업이 최종적으로 자체산업 생산 증가 및 타산업 의 생산 증가에 미치는 영향의 합계가 259,665천 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남.

2)반대로 가장 적은 액수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는 부문은 종자 및 묘목 으로 188,656천 원으로 나타남.

1.2.3.생산유발의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특정 농자재산업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 한 단위가 발생할 때 전 산업부 문에 미치는 영향인 후방연쇄효과를 볼 수 있는 영향력계수와 모든 산업부문 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변화할 때 어떤 특정산업이 받는 영향인 전방연쇄효과를 볼 수 있는 감응도계수를 도출하였고,결과가 <표 4-22>에서 <표 4-29>에 제시되어 있음.

1)2009년 산업연관표를 기준으로 볼 때,다섯 개 농자재산업 중 종자 및 묘 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영향력계수가 1이 넘는 수치가 나타남.

-영향력계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해당부문의 생산유발효과가 전체산업 부문 평균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

-특히 농약,농업용기계는 일반적으로 생산유발효과가 큰 산업으로 알려 진 건설과 제조업보다도 더 크게 나타남.6

2)2009년 산업연관표를 기준으로 감응도계수를 보면,부문별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사료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반면에 종자 및 묘목은 낮게 나타남.그리고 비료,농약,그리고 농기계는 비슷하게 나타났음.

-감응도계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다른 산업의 생산증가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음.

6물론 제조업은 식품산업을 제외한 모든 제조업을 같이 묶었기 때문에,생산유발효과 가 큰 부문과 작은 부문이 평균화되어 일반적인 예상보다 작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높음.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

영향력계수 감응도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