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산업연관분석

2.3. 공급측모형

2.3.1.공급측모형의 필요성

앞에서 논의된 생산유발효과는 수요측모형(demand-sidemodel)에 의거한 접 근으로서,농자재와 농림수산품부문 간의 관계 분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 계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1)이 수요측 모형을 이용하는 경우,본 산업연관분석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들 중 (1)“농림수산품부문의 수요량 변화가 농자재부문의 생산 을 얼마만큼 유발하느냐?”는 분석할 수 있지만 (2)“농자재부문의 수요량 변화가 농림수산품부문의 생산을 얼마만큼 유발하느냐?”는 분석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음.

-참고로 <표 1>에 제시된 생산유발계수 행렬 요소 중 의 의미를 보면, 이는 1산업부문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1단위 발생함에 따라 2산업 부문에서 나타나는 간접 유발효과를 의미함.

2)일반적으로 농자재부문이 농림수산품부문의 후방산업에 속하기 때문에 (즉,농림수산품부문이 농자재산업의 전방산업에 해당되기 때문에),농림 수산품부문의 수요증가로 인해 생산이 늘어나게 되면 농자재의 수요(따라 서 생산)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나,반대로 농자재산업의 생산이 늘어난 다고 농림수산품부문의 생산이 이에 반응하여 늘어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 인 현상임.

3)따라서 연구문제 (2)에 해당되는 생산유발계수 값이 계산에 의해 나오더 라도 적은 수치가 예상되며,그 수치 또한 직접적인 생산파급효과가 아니 라 다른 산업부문을 통한 간접적인 파급효과라고 할 수 있음.

-예를 들면,비료산업의 생산증대로 인해 고용이 몇 단위 늘고 이에 따라 구내식당에서 쌀의 소비가 늘어나는 경우 이로 인해 쌀의 투입이 증가 하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볼 수 있음.

4)물론 연구문제 (1)에 해당되는 “농림수산품부문의 수요증가가 농자재산업

에 미치는 영향”은 분석할 수 있음.

5)그러나 본 연구의 주제인 “농자재산업이 농림수산품부문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하는 것은 이 생산유발효과모형을 이용 해서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됨.

-따라서 생산유발효과를 통해 농자재부분의 중요성이나 농림수산품부문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는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이보다는 농자 재부문 생산물의 가격 변화나 공급의 감소가 농림수산품부문의 생산물 가격이나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고 판단됨.

통상적으로 투입산출분석 모형은 최종수요나 특정산업부문으로부터 발생하 는 충격이 후방에 있는 특정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있음 (Oosterhaven1996).

1)즉,통상적인 생산유발효과모형은 최종수요나 특정산업부문으로부터 발생 하는 충격이 후방에 있는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 문에,특정부문의 공급의 변화가 야기시키는 충격을 분석하기에는 적절하 지 못함 (Ghosh1958;Giarratani1976).

2)이 경우 공급측모형(supply-sidemodel)을 이용하여 특정부문의 공급량 감 소로 인한 직·간접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음 (DavisandSalkin1984; Gruver1989;RoseandAllison1989).

2.3.2.산출역행렬 유도

Davar(1994)는 기본 산업연관자료를 가지고 공급측모형(supply-sidemodel) 을 이용하여 공급지장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으며,국내에서는 이유아·김 진수·허은녕(2005),이승철·이승재·한종호(2009),곽소윤·유승훈(2010),임응순 (2010)등의 연구에서 활용되었음.

1)이 모형은 특정부문의 산출액이 어느 산업에 얼마나 투입되는가를 살피는

데서 시작되며,이러한 접근방법은 모형을 열의 시각에서 보지 않고 행의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구체화됨.

2)이를 바탕으로 산출역행렬(outputinversematrix)을 도출하여 특정 생산요 소의 투입이 부족했을 때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산업의 산출 감소효과를 계산할 수 있음.

이 공급측모형에서는 생산유발효과 추정을 위해 사용한 투입계수 대신에 산 출계수()를 이용하게 되는데,이는 다음 식(7)에 의해 유도됨.

  (7)

1)여기서 는 i부문 생산량 중 j부문에 공급된 양을 의미하며,는 i부문 의 총산출액을 의미함.

2)즉,특정산업부문의 생산이 다른 산업부문의 중간수요로 사용된 액수를 그 산업의 총산출액으로 나눈 것임.

산업연관표에서 j라는 산업을 열의 방향에서 바라보자면 중간투입액,부가가 치액,총투입액(총산출액)이 기록되는데,이는 j부문의 투입구조를 나타내며, 이는 식(8)로 표현될 수 있음.

     (8)

1)식(8)에서 는 산출계수행렬이며,는 부가가치벡터를 의미함.이 식을

를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      (9)

2)여기서   은 산출역행렬을 의미하며,각 원소  는 i부

문 부가가치 한 단위 변화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j부문 산출의 변화량을 의미함.

3)이 산출역행렬(공급승수)을 이용하여 특정부문의 공급액 한 단위가 감소 하였을 경우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산업부문의 산출감소효과 (potentialcontractingeffect)를 계산할 수 있음.

2.3.3.공급지장효과 추정

식(9)는 공급유도형 모형이라 불리며,분석대상인 특정부문을 외생화하여 다 음과 같이 공급지장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 (HoweandSmith1994).

∆′ ∆   (10)

1)여기서 ∆′는 부문이 제외된 산출액 변화 벡터를 의미하며,는 산 출계수행렬에서 부문 원소를 제거한 부문 행벡터이며,∆는 부문 산출액의 변화,는 산출계수행렬에서 부문에 해당되는 행과 열을 제 거한 행렬을 의미함.

2)식(10)을 이용하여 외생화된 특정 산업부문의 공급량 감소가 다른 산업의 생산을 몇 단위 감소시키는지를 계산할 수 있음.

2.3.4.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

공급승수를 특정부문 생산액 한 단위가 감소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직·간접 적인 산출 감소효과라고 본다면,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였던 것처럼 같은 방식 에 의해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를 구할 수 있음.

이 경우 영향력계수는 어떤 산업부문에서 한 단위 공급 감소가 발생할 때 전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즉 전방연쇄효과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해당산 업의 공급승수의 행합계를 전 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하게 됨.

  



  

  

  (11)

1)식(11)의 분모는 i부문에 1단위 공급액 감소가 생기는 경우,자체부문을 포 함하여 모든 산업부문에 미치는 생산액 감소효과를 합계한 것임.

2)영향력계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해당부문의 공급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전체산업에 미치는 공급지장효과가 모든 부문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크다 는 것을 의미.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공급감소가 각각 한 단위씩 발생할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즉 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공 급승수 열합계를 전 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하게 됨.

  



  

  

  (12)

1)식(12)의 분모는 각 산업부문에서 공급이 한 단위씩 감소한 경우,j산업부 문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생산감소효과를 의미함.

2)감응도계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다른 산업으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는 산 업이라고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