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on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relation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3)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하여-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이 순 영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지도교수 전 기 홍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01 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이 순 영

(5)

이순영의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전 기 홍 인

심 사 위 원

강 대 용 인

심 사 위 원

임 홍 석 인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년 12월 30일

(6)

국문요약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구성 요소들의 조합에 따른 만성신질환 관계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민 건강영양조사 제 5기의 201 0, 2011, 2012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데이터에서 조사 대상자는 총 2 5,534명 중 20 세 이상인 19,1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을 가 진 사람들의 대사증후군 요소들의 각 조합에 따른 만성신질환의 분포를 비교하였고,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만성신질환과의 관련성을 보았다. 20세 이상 성인 대상자 중 연령증가, 기혼, 교육수준이 높고, 소 득이 낮으며, 무직일 경우 대사증후군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 신질환 유병률은 2.7%였고, 대사증후군이 있는 대상자에서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남자가 5.1%, 여자 폐경전은 0.5%, 여자 폐경후는 7.5%로 여 자일 경우 폐경전과 폐경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에 따른 만성 신질환과의 관련성을 비교한 결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은 만성신질 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로 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집단보다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위험 승산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여성일 경 우 폐경전과 폐경후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증후군은 신기능 저하 및 만성신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대사 증후군 구성요소인 공복혈당, 혈압, HDL cholesterol은 관리가 가능하다 는 점에서 본 요소들과 관련된 만성신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연구는 중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7)

차 례

국문요약 ··· ⅰ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용어의 정의 ··· 4 4. 이론적 배경 ··· 5 1) 대사증후군 ··· 5 2) 만성신질환 ··· 11 3)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관계 ··· 15 Ⅱ. 연구방법 ··· 17 1. 연구모형 ··· 17 2. 연구대상과 자료 ··· 18 1) 연구대상자 ··· 18 2) 변수설명 ··· 20 3. 분석방법 ··· 21 Ⅲ. 결과 ··· 22 1.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대상자분포 ··· 22 2. 대사증후군집단에 따른 만성신질환 대상자분포 ··· 24 3.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과 대사증후군 요소와의 관련성 ··· 26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 28 Ⅳ. 고찰 ··· 33 Ⅴ.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51

(8)

표 차례

표 1.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 4 표 2. 만성신질환 단계분류 ··· 14 표 3. 만성신질환 위험요인 ···14 표 4. 연구에 사용된 변수 ··· 20 표 5. 일반적 사항 및 분포 ··· 23 표 6.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성별, 폐경여부) ··· 25 표 7.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일반적사항) ··· 25 표 8.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과 비교한 χ2 결과 ··· 27 표 9.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 29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모형 ···17 그림 2.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남자) ···30 그림 3.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폐경전) ···31 그림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폐경후) ···32

(9)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의 유병률이 서로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에 의해서, 대사 증후군 위험요인들과 만성신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증가와 함께 만 성신질환 및 말기 신부전의 유병률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이들 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Ⅲ)에 따르면 470만 명이 대 사증후군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국인구의 24%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또한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의 Third Adults Treatment Panel (ATP III) 기준(2001)에 근거한 Lim 등의 연 구에 의하면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998년 23.6%를 보였으나 2001년 에는 28.0%로 크게 증가하였다.

만성신질환은 보통 말기가 될 때까지 증상이 없으며, (Kinchen K,

Sadler J, Fink N, et al. 2002)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연도별 만성 신질환 유병률 (만30세 이상) 은 2008년 3.8%, 2009년 2.6%, 2010년 2.8%, 2011년 3.3%, 2012년 3.2%, 2013년 3.9%로 2009년 이후 증가 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만 65세 이상은 2008년 14.9%, 2009년 11. 2%, 2010년 13.0%, 2011년 14.3%, 2012년 14.1%, 2013년 16.5%로 2 009년 이후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Third Nati 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HANES)에 따르면 미 국의 만성신질한 유병률은 1994년-1998년 사이에 10%에서 1999-200 4년 기간에 13.1%로 증가하였다. (Coresh,2007).

(10)

많이 이뤄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리고 ,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사이의 연관성과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들 인과관계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으며(Thomas G, Sehgal AR, Kashyap SR, Srinivas TR, Kirwan JP, Navaneethan SD, 2011), 일부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간의 연관성을 찾을 수 없다는 결과가 도출 되면서 연관성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World Journal of Nephrology 2014 Novemeber 6, 3(4): 210-219)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는 만성신질환 발생, 진행과 관련이 있으며(O thman M, Kawar B, El Nahas AM,2009), 대사증후군은 만성신질환 발 생의 위험요소로 의심되고 있으나, 이러한 두 질병군 사이에 직접적인 인 과관계를 규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은 만성신 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되나, 각각의 요소들 이 만성신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Brancati FL, Whelton PK, Randall BL, Neaton JD, Stamler J, Klag M J; ) 그러므로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들 의 대사증후군 요소들의 각 조합에 따른 만성신질환의 분포를 비교하고,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만성신질환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한다.

(11)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사증후군과 구성요소에 따른 분포를 파악하고,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수와 구성요소 조합별 분 포와 만성신질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고 대사 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과의 관련성을 확인 해보고자 한 다.

(12)

구성요소 정의 허리둘레 남자 > 90cm 여자 > 80cm 중성지방 ≥ 150mg/dl HDL cholesterol 남자 < 40mg/dl 여자 < 50mgdl 혈압 ≥ 130/85mm/Hg or 고혈압약 복용 공복혈당 ≥ 110 mg/dl or 당뇨치료 3. 용어의 정의 3.1 대사증후군

본 연구에서는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 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에 따 라 정의하였다.(표1)

표 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출처 : NCEP-ATP III

3.2 만성신질환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 e (MDRD) 연구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공식은 다음과 같 다.

eGFR=186X(original sCr)-1.154Xage-0.203 (X0.742, if female). ( Le

(13)

4. 이론적 배경 1)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병태생리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아 연구자마다 다른 기준을 제시하기도 한다. 198 8년 Reaven이 이러한 증상들의 공통적인 원인이 체내의 인슐린 작용 이 잘 되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임을 주장하고, metabolic syndrome X 또는 Syndrome X 등으로 명명했다. (Haffner SM, Valdez RA, Hazud a HP, Mitchell BD, Mora1es PA, Stern MP 1992; Ferrannini E, Ha ffner SM, Mitchell BD, Stern MP 1991; Reaven GM. Banting Lect ure 1988) 1988년 이후, WHO는 대사증후군을 위한 진단기준을 제시하 였고, 이를 수정하여 1999년 공표하였다. 진단기준은 제2형 당뇨, 내 당능 장애가 있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경우 중 1가지 이상을 포 함하고, 다음 4가지 항목 중 2개 이상이 포함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첫째, 고혈압 (>140/90mmHg), 둘째, 중성지방 상승 (>150mg/dl) 또는 HDL 감소 (남자>35mg/dl, 여자>39mgdl), 셋째, central obesity (남자>0.9, 여자>0.75) 또는 BMI >30kg/m2, 넷째, 미세단 백뇨 (≥ 20 mg/min 또는 alb/Cr ≥ 30 mg/g).(WHO 1999) 그러나 대사증후군 진단에 필수적인 항목인 인슐린 저항성을 평가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WHO 진단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어 2001년에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의 Third Adults Treatment Panel (ATP III)에서 새로운 진단기준을 제 시하였다. (NCEP ATP III 2001) 기준은 [표1] 과 같다. [표1]에 제

(14)

시된 5개 항목 중 3개 이상일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NCEP-APTIII 진단기준은 임상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보편화된 검사 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장 많이 인용되는 기준이며, 외래나 역학조 사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005년에는 세계당뇨병 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에서 통합적인 대사증후 군 진단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NCEP-APTIII 기준을 변형하여 새로운 진단 기준을 제시하였다.(IDF 2005) 허리둘레의 기준을 각 나 라의 기준에 맞게 적용하도록 하였고, 한국의 경우 남자 90cm, 여자 80cm이상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 의 기준이상과 함께 다음 항목에서 2개 이상이 포함하는 경우로 정의 하였다. 첫째, 중성지방 ≥ 150mg/dl, 둘째, HDL cholesterol 남자 < 40mg/dl, 여자 < 50mg/dl, 셋째, 수축기혈압 ≥ 130 mm/Hg, 이완기 혈압 > 85mm/Hg, 넷째, 공복혈당 ≥ 100 mg/dl 또는 당뇨병이 있는 경우이다.(Alberti KG, Zimmet P, Shaw J 2005)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추이를 보면 1998년 24.9%에 서 2007년 31.3%로 나타났다.(국민건강영양조사 1998, 2001, 2005, 2007)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의 Thi rd Adults Treatment Panel (ATP III) 기준 (2001)에 근거한 Lim S 등의 연구에 의해서도,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1998년 23.6%에서 2001 년에는 28.0%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Lim S, Park KS, Le e HK, Cho SI 2005). 2012년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대사증후군 은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과 복부비만 등이 동시에 발생하는 일종 의 질환으로 우리나라 국민 남녀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 후군 유병률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은 인구학적, 사회경제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

(15)

다. 연령 증가에 따라 남녀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여성들의 경 우 50대 이후대사증후군의 빈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보건 산업진흥원, 2002), 60대 이후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약 2배 이상 높 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박혜순 등, 2003). 이것은 여성의 폐경에 이르러 호르몬의 의한 결과이거나 남성들의 40-50대에 연령이 증가 함에 따라 심혈관 질환에 의한 남성의 조기 사망률이 현저히 높음으 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병률이 높아진다는 결과로 간주되고 있다. (박혜순, 오상우, 강재헌, 박용우, 최중명, 김용성, 최웅환, 유형준, 김 형설 2003 ) 여성의 폐경과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폐경이 되면 에스 트로겐 농도의 감소로 체지방 및 복부로의 지방분포를 증가시키고( C rawford SL, Casey VA, Avis NE, McKinlay SM, 2000), HDL 콜레 스테롤은 감소,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은 증가하며 (Carr MC, 2003), 이와 같은 체내 지방 분포의 변화는 인슐린 저항 성을 높여 결과적으로 폐경이 대사증후군 위험요소로 작용한다고 하 였다. 구체적으로는 200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통해서 연 령별 남녀 대사증후군 유병률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2005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3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 군 유병률은 전체 32.3%, 남자32.9%,여자 31.8%로 나타났으며, 45세 이상 남성은 28.5%, 여성은 35.2%로 나타나며, 65세 이상 남성은 2 2.3%, 여성은 54%로 연령별 비교 시 남자는 50대까지 계속 증가하다 가 이후 70대까지 감소한 반면, 여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증 가하여 70대 여자의 유병률은 63.4%로 남자 34.1%에 비해 거의 2배 정도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1998년, 2001년, 2005년, 2007년 실시된

(16)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와 미국에서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Nation 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Ⅲ 의 1999 -2006년 데이터를 비교해 분석했을 때, 한국인의 20세 이상 대사증 후군 유병률은 1998년 조사에서는 24.9%였다가 2007년에는 31.3% 로 6.4%p 증가했고, 2006년 미국의 대사증후군 평균은 29.2%에서 3 4.2%로 5%p 증가했다. 이는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증가 속도가 미국 인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으로도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 세이다.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 S) III 와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NHANES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 국에서 연령 보정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9.2%에서 34.2%로 증가했다

(Mozumdar A, Liguori G ,2011) NHANES III의 기준에 따르면, 약

4700백만 사람들은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미국 성인 인 구의 약 24%이며, 50세 이상의 사람들에서 44%를 포함한다. (Ford ES, Giles WH, Dietz WH , 2002) 이들 기준을 사용하면, 1988-199 4년 미국 성인들 중에 연령 보정되지 않은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2 1.7%이다 (Ford ES, Giles WH, Dietz WH, 2002). 이중 남자는 2

4%, 여자는 23.7% 였으며, (Ford ES, Giles WH, Dietz WH, 200

2).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60~70대에서는 40% 이상이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 Ford.E.S, Giles.W.H, Mokdad.A.H, 2004).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 뇌졸중 등 다양한 대사이상을 포함

한 인구의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 환의 위험율을 높이고 또한 심혈관계 질환과 다른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을 높이는데 관련이 있다. (Alberti KG, Eckel RH, Grundy S

(17)

M, Zimmet PZ, Cleeman JI, et al. 2009; Jing C, Paul M, Lee H, D aniel WJ, Vecihi B, Vivian F, Paul KW, Jiang H. 2004; Lakka HM, Laaksonen DE, Lakka TA, Niskanen LK, Kumpusalo E, Tuomilehto J. 2002). 그리고,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은 암, 뇌혈관 질환, 심장질 환이며(통계청,2011), 이는 대사증후군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심혈 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 연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결과를 보면, 53.2%로 이를 뒷받침해준다 (유지수, 정정인, 박창기, 강세원, 안정아, 2009 ).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면 정상인에 비해 2형 당뇨병은 6배, 심혈관 질환은 2배 발생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방암, 대장암 등 과 같은 암의 발생위험도 높아 건강수명단축 및 사망률이 증가된다. (Braun, S., Bitton-Worms, K., & LeRoith, D. 2011). 외국의 자료에 의해서도, 대사증후군으로 인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2-3배 가량 증 가함을 알 수 있다. (Cull CA, Jensen CC, Retnakaran R, Holman R R. 2007;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én B, Lahti K, Niss én M, et al. 2001) 한국인 대사증후군 환자의 경우에도 심혈관계 질 환의 위험도 및 사망률이 정상군에 비해서 2-4배 정도 높게 분석 되 었다 ( Suh S, Lee MK. 2014; Kim MH, Kim MK, Choi BY, Shin YJ. 2004 ). 대사증후군에는 5가지 구성요소들이 있고 이를 각각 살펴보면, 첫째. HDL cholesterol 이 남자는 40mg/dl 미만, 여자는 50mg/dl 미 만인 경우, 둘째. 허리둘레(=복부비만)가 남자는 90cm 초과, 여자는 80cm 초과인 경우, 셋째. 중성지방 수치가 150mg/dl 이상, 넷째. 공복 시 혈당이 110mg/dl 이상, 마지막으로 혈압이 130/85mmHg 이상(= 고혈압)인 경우를 말한다. 1998년, 2001년, 2005년, 2007년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20세 이상 한국인 중 ‘좋은 콜레스

(18)

테롤’로 알려진 HDL cholesterol 이 낮은 대상자의 유병률은 1998년 36.4%에서 10년 만에 50.2%로 13.8%p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 중 남자는 25.5%에서 34.7%, 여자는 47.9%에서 59.3%로 나타났다. 복 부비만인 대상자의 유병률은 32.5%에서 41.3%로 8.8%p 증가했으며, 성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남자는 20.4%에서 27.5%, 여자는 42.2%에 서 51.2%로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았다. 중성지방 수치가 기준에 해 당하는 대상자는 28.3%에서 33.2%로 4.9%p 증가하였고, 공복 시 혈 당이 110mg/dl 이상인 대상자는 23.9%에서 26.3%로 2.4%p 증가했 다. 4가지 요소로 인한 유병률은 증가한 반면, 고혈압 유병률은 41.0%에서 34.5%로 6.5%p 감소했다. 미국인의 경우 HDL 콜레스테 롤 요소를 뺀 나머지 4개 요소는 모두 증가했으며, 특히 복부 비만 유 병률이 49.6%로 가장 컸다.

(19)

2) 만성신질환

만성신질환이란 신손상의 증거가 있거나 사구체여과율이 60 mL/min/1.73 m2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상태 를 말한다.(Stevens LA, Levey AS. 2009; Vassalotti JA, Stevens L A, Levey AS. 2007;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2)

만성신질환은 보통 말기가 될 때까지 증상이 없으며, (Kinche

n K, Sadler J, Fink N, et al. 2002) 추정 사구체여과율로 대변되는 신기능에 따라 다섯 단계로 나눈다. 1단계는 사구체여과율이 ≥90 m L/min/1.73 m2, 2단계는 60-89 mL/min/1.73 m2, 3단계는 30-59 mL/min/1.73 m2, 4단계는 15-29 mL/min/1.73 m2, 5단계는 <15 m L/min/1.73 m2로 분류한다. (Remuzzi G, Benigni A, Remuzzi A. 20 06) 사구체 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은 ( Stevens LA, Coresh J, Greene T, Levey AS. 2006) 신장 기능 장애의 정도 를 평가하고 질병 진행 및 치료 반응 모두를 모니터링 하는 데 사용

되며 (Johnson CA, Levey AS, Coresh J, et al. 2004), 측정이 어려

우나 혈청크레아틴 수치, 나이, 성별, 인종, 신체수치로 예측이 가능하 다. 이는 [표2] 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안정적 만성신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GFR를 추정하기 위한 가 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MDR

D) 연구 방정식을 이용 한다 (Levey AS, Coresh J, Greene T, et a

l. 2007). 현재까지, MDRD 공식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유럽인, 아 시아인과 당뇨병이 없거나 신장질환, 신장이식 수혜자 및 잠재적 신장 제공자를 포함하는 많은 인구에서 만성 신질환 환자는 평가되어 지고 있다.

(20)

만성신질환(CKD)은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와 함께 늘어나고 있으며, Jalisco, 대만, 미국은 백만의 인구당 각각 467, 450 과 359의 매우 높은 비율의 ESRD 발생율을 보고했었다. 이 선의 아 래로, 백만 인구당 210-285의 ESRD 발생율은 일본, 싱가포르, 바레 인, 헝가리, 말레이시아, 한국, 태국, 포르투갈, 그리스에서 보고되어 졌다. 더 낮은 백만 인구당 25 에서 100의 ESRD 발생율은 우크라이 나, 러시아, 카타르, 아이슬란드, 핀란드, 스코틀랜드에서 보고되어졌 다. 다른 모든 나라에서는, 보통 백만 인구당 103에서 191 사이의 ES

RD 발생율을 가진다.(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 2014; Kore

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2) NHANES 에 따르면 미국의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약 16%라고 추정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성인에 서의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대략 13%로 나타났다. (Imai E, Horio M, Watanabe T, Iseki K, Yamagata K, et al. 2009)

1986년부터 시작한 대한신장학회의 말기신부전환자 등록사업 에 등록된 우리나라의 이식 또는 투석 등 신대체요법 환자 수는 1986 년 2,534명, 1996년 18,072명, 2007년 48,675명으로 20년 사이에 2 0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는 63,341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으며, 2000만명의 미국인들은 중증의 만성 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7; Kei

th DS, Nichols GA, Gullion CM, Brown JB, Smith DH. 2004 ; Sniv ely CS, Gutierrez C. 2004) 만성 신질환의 위험요인으로는 고혈압,

만성신질환 가족력, 60세 이상의 나이로 알려져 있다. (Johnson CA,

Levey AS, Coresh J, et al. 2004) 이러한 만성신질환 위험요인의 정 의는 다음 [표3] 과 같다.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 2)

(21)

국민건강영양조사 3기부터 5기(2008년-2012년)까지의 자료 를 이용하여 만성 신질환 유병자의 동반 만성질환을 분석한 결과, 고 혈압이 44.5%로 가장 많았으며 고혈압과 당뇨병 25.6%, 당뇨병 8. 0%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남자는 고혈압 42.1%, 고혈압과 당뇨병 2 5.8%, 당뇨병 10.5%, 여자는 고혈압 47.0%, 고혈압과 당뇨병 25.3%, 당뇨병 5.4%로 남자보다 여자에서 고혈압 동반비율이 높았으며 당뇨 병은 여자가 남자의 절반 수준 이었다 (질병관리본부, 2014; 국민건강 통계, 2013). 만성신질환은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질병이 발생하고 상당기 간 지난 후에 진단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콩팥기능상실로 진행하거나 심뇌혈관질환 동반 등의 합병증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까지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높은 유병률과 발생률, 뇌졸중, 심장질환, 당뇨 및 감염 등의 합병증, 의료비 증가를 야기하는 등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문제이 다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2).

(22)

표 2. 만성신질환 단계 분류

출처 : GFR, glomerular filbration rate; CVD, cardiovascular diseas e.

표 3. 만성신질환 위험요인

(23)

3)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최근 세계적으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증가와 함께 만성신질 환 및 말기 신부전의 유병률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이들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 Eckel RH, Gr undy SM, Zimmet PZ, 2005 ; Bagby SP,2004)

첸 등의 연구에 따르면 NHANES III의 대사증후군 환자 7800 명을 21년 이상 추적관찰 하였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보 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이 만성신질환의 위험이 2.6배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수에 따라 만성신질환 위험 승 산이 1.89 이며,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5가지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을 경우 하나의 요소를 가진 것 보다 만성신질환 위험 승산이 5.85 이다. (Chen J, Muntner P, Hamm LL, et al. 2004) 이와 비슷한 연구로 한국 성인 60,921명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에 따르면 대사증후군 이 없는 대상자보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대상자가 만성신질환 유병률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를 많이 포함할수록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증가하였다. ( Chang IH, Han JH, Myung SC,

et al. 2009)

그러나 만성신질환과 대사증후군의 동반질환 관련 연구결과

(Outcome study) 는 제한적이며, (Agrawal S, Shlipak MG, Kramer

H, Jain A, 2012)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은 복잡하고, 양 방향적인 관계를 공유한다. 그리고,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사이의 연관성과 관련된 많은 수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들 인과관계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으며(Thomas G, Sehgal AR, Kashyap SR, Srinivas TR, Kirwan

(24)

ology 2014 Novemeber 6, 3(4): 210-219) 에 따르면 대사증후군과 만성 신질환의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다고 기술하고 있다. 대사증후 군은 만성신질환 발생의 위험요소로 의심되고 있으나, 이러한 두 질병 군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Branca ti FL, Whelton PK, Randall BL, Neaton JD, Stamler J, Klag MJ; )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들은 만성신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관여하는 중요 한 인자로 생각되나, 각각의 구성요소들 조합이 만성신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Brancati FL, Whelt on PK, Randall BL, Neaton JD, Stamler J, Klag MJ; )

(25)

Ⅱ.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구체적인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본 연구 모형은 대사증 후군의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이 가지는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 이다.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는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나누어서 관찰하였으며, 이때,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사 회경적요인으로 교육수준, 직업상태, 소득으로 분류하여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분류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 과 만성신질환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을 분석, 결과도출을 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26)

2. 연구대상과 자료 1)연구 대상자 본 연구를 위해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 2011년, 2 012년) 3개년의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조사대상자 총 25,534명 중 20 세 이상인 19,1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1995년 에 공표된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독립적으로 시행하던 ‘국민영양조사’와‘국민건강조사’를 통합한 전국 규모의 건강 및 영양조 사로 국민의 건강행태, 만성질환 유병현황, 식품 및 영양섭취실태에 관 한 법정조사이며,「통계법」제17조에 근거한 지정통계이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3년 주기 단기조사체계로 운영하였고, 2007년 이후 연중 조사체계로 개편되어 매년 시행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모집단 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으로 제5기 (2010-2012) 에는 매년 19 2개 표본 조사구를 추출하여 3,800가구의 만1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대상으로 1~12월까지 실시하였다. 제 5기 (2010-2012) 표본 추출틀은 2009년 주민등록인구와 2008 년 아파트시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제 5기 (2010-2012)의 경 우 2005년 인구주택 총 조사 이후의 조사구 및 가구 변동을 반영하기 위 해 최신의 추출틀로 변경하였다. 제 5기 (2010-2012) 의 일반주택 표본 조사구는 2009년 주민등록인구의 통, 반, 리 조사구에서, 아파트 표본 조사 구는 아파트시세조사 자료의 아파트단지조사구에서 추출하였다. 시도별 (서 울, 6대 광역시, 경기, 경상․강원, 충청, 전라․제주) 로 1차 층화하고, 일반지 역은 성별, 연령대별 인구비율 기준 26개 층, 아파트지역은 단지별 평당 가 격, 평균평수 등 기준 24개 층으로 2차 층화한 후 표본 조사구를 추출하였다. 표본조사구 내에서는 계통추출방법으로 조사구당 20개의 조사 대상가구

(27)

를 추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 설문조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구 성되어 있으며, 건강 설문조사와 검진조사는 이동검진센터에서 실시하였 고, 영양조사는 대상가구를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28)

구분 변수 변수 설명 비고 인구학적 요인 성별 1=남자 2=여자 폐경 전 3=여자 폐경 후 연령 1=20대 2=30대 3=40대 4=50대 5=60대 6=70대 이상 결혼여부 0=기혼 1=미혼 1=기혼 2=미혼 사회경제적 요인 교육수준 1=중졸이하 2=고졸 3=대졸이상 1= 초졸, 중졸 직업상태 1=관리직 2=서비스직 3=무직 1=관리자, 사무 2=서비스, 농림어업, 기능원, 단순노무 소득 1=하 2=중하 3=중상 4=상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HDL 대상자 0=무 1=유 남자 < 40mg/dl 여자 < 50mgdl 중성지방 대상자 0=무 1=유 ≥ 150mg/dl 복부비만 대상자 0=무 1=유 남자>90cm 여자>80cm 고혈압 대상자 0=무 1=유 ≥130/85mm/Hg or 고혈압약 복용 공복혈당 대상자 0=무 1=유 ≥ 110 mg/dl or 당뇨치료 만성신질환 만성신질환 0=무 사구체여과율 60미만 2) 변수 설명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는 [표4]와 같다. (표4). 표 4. 연구에 사용된 변수

(29)

3. 분석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복합설계 방법을 통하여 추출된 표본을 조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9.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은 복합표본 빈도분석을 통해 제시하였 고, 대사증후군집단과 일반적 사항에 대한 분포 및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였다. 만성신질환대상 자 집단과 대사증후군 요소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였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림[2,3,4]는 R ver.3.2.3 metafor package를 사용하였 다.

(30)

Ⅲ. 결과

1.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분포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분포 결과는 [표5] 와 같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7.4% 이고, 인구학적인 요인에서 성별 및 폐경여부에서는 남자는 만성신질환이 있는 경우가 238(3.2)명이었고, 여자 폐경전은 5(0.1)명이었으며, 여자 폐경후는 2 28(4.8)명 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대해 살펴보면 20대에서 40대 까 지 만성신질환 있는 경우가 적었으며, 50대 이후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점차 증가하였다. 결혼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기혼이 미혼보 다 만성신질환 있는 대상자가 더 많았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교육수 준이 높고, 소득이 낮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 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보다 대사 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자가 더 많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표5).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만성신질환 분포 를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 폐경여부, 결혼여부, 교육수준, 소득, 직업상태, 대사증후군 여부는 p<.001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5) 연 령의 경우 통계적인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대상자수 중 0명이 있어 확인하지 못하였다. (표5)

(31)

 Characteristic 만성신질환 무 만성신질환 유 전체 χ2 인구 학적 요인 성별/ 폐경 여부 남자 7190(96.8) 238(3.2) 7428 191.35** 여자 폐경전 4799(99.9) 5(0.1) 4804 여자 폐경후 4558(95.2) 228(4.8) 4786 연령 20대 1858(100.0) 0(0) 1858 30대 3266(99.9) 1(0.1) 3267 40대 3164(99.7) 8(0.3) 3172 50대 3354(98.5) 50(1.5) 3404 60대 2864(96.1) 114(3.9) 2978 70대 이상 2262(87.5) 322(12.5) 2584 결혼 여부 기혼 14501(96.7) 491(3.3) 14992 82.26** 미혼 2236(99.9) 3(0.1) 2239 사회 경제적 요인 교육 수준 중졸 이하 5164(99.4) 31(0.6) 5195 238.12** 고졸 5445(98.1) 103(1.9) 5548 대졸 이상 5704(94.6) 324(5.4) 6028 소득 하 2992(93.1) 222(6.9) 3214 196.42** 중하 4288(97.2) 123(2.8) 4411 중상 4618(98.6) 64(1.4) 4682 상 4664(98.4) 77(1.6) 4741 직업 상태 관리직 3527(99.1) 31(0.9) 3558 142.10** 서비스직 6392(98.2) 115(1.8) 6507 무직 6355(95.3) 311(4.7) 6666 대사 증후군 구성 요소 대사 증후군 무 11666(98.4) 188(1.6) 11854 177.37** 유 4212(94.3) 253(5.7) 4465 표 5 .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분포 (**p<.001)

(32)

2. 대사증후군 집단에 따른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만성신 질환 대상자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 는 [표6,7]과 같다. 대사증후군 집단에 따른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 에 대해 살펴본 결과, 남자는 χ2=33.22,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자 폐경전은 χ2=8.98 p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경후는 χ2=56. 97,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표6)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남자는 5.1%였 고, 여자 폐경전은 0.5%, 폐경후는 7.5%로 여자의 경우 폐경전보다 폐경후 만성신질환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사증후군 이 없을 때 보다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발생이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표6) 연령을 살펴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혼이 미혼보다, 교육수 준이 높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직업이 있는 대상자보다 무직일 경우 대사증후군, 만성신질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표7)

(33)

  만성신질환 대상자 χ2 무 유 남자 대사증후군 무 4736(97.7) 110(2.3) 33.22** 유 1989(94.9) 106(5.1) 여자 폐경전 대사 증후군 무 4262(99.9) 2(0.1) 8.98* 유 423(99.5) 2(0.5) 여자 폐경후 대사증후군 무 2648(97.2) 75(2.8) 56.97** 유 1793(92.5) 145(7.5)  변수 만성신질환 무 만성신질환 유 χ2 대사증후군 무 대사증후군유 대사증후군 무 대사증후군유 연 령 20대 1664(94.7) 93(5.3) 0 0 30대 2716(87.7) 380(12.3) 1 0 40대 2345(78.5) 643(21.5) 5(71.4) 2(28.6) 0.41 50대 2186(68.1) 1023(31.9) 23(54.8) 19(45.2) 4.39 60대 1568(57.2) 1174(42.8) 35(33.3) 70(66.7) 26.70** 70대 이상 1187(56.9) 899(43.1) 124(43.4) 162(56.6) 14.25* 결 혼 여 부 미혼 1944(92.1) 166(7.9) 1(50.0) 1(50.0) 0.00 기혼 9721(70.6) 4041(29.4) 187(42.6) 252(57.4) 136.64** 교 육 수 준 중 졸 이하 4214(83.4) 837(16.6) 14(46.7) 16(53.3) 29.62** 고졸 4164(79.0) 1110(21.0) 48(48.5) 51(51.5) 28.66** 대 졸 이상 3275(59.2) 2258(40.8) 125(40.2) 186(59.8) 47.66** 소 득 하 1686(60.7) 1090(39.3) 80(41.0) 115(59.0) 42.28** 중하 2951(72.5) 1117(27.5) 47(42.7) 63(57.3) 35.50** 중상 3411(77.4) 995(22.6) 28(48.3) 30(51.7) 16.36** 상 3512(78.6) 956(21.7) 30(41.7) 42(58.3) 54.49** 직 업 상 태 관 리 직 2770(80.2) 686(19.8) 13(41.9) 18(58.1) 25.11** 서 비 스직 4469(72.2) 1723(27.8) 61(54.5) 51(45.5) 10.09** 무직 4387(71.1) 1786(28.9) 112(37.8) 184(62.2) 168.96** 표 6.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 (성별, 폐경여부) (**p<.001, *p<.05) 표 7.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일반적사항) (**p<.001, *p<.05)

(34)

3.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과 대사증후군 요소 20대 이상 대상자 중 만성신질환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 비교를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8] 과 같다. 대사증 후군이 아닌 집단과 비교한 카이스퀘어 검정 결과,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에 따라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별 조합 대상자는 p<.001,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8) 대사증후군 아닌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 신질환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5)

남자 여자 폐경전 여자 폐경후 만성 신질환 무 신질환 유만성 신질환 무만성 신질환 유만성 신질환 무만성 신질환 유만성 A+B+C 무 4736(86.4) 110(71.4) ** 4262(98.5) 2(66.7) ** 2648(84.6) 75(63.0) ** 유 746(13.6) 44(28.6) 66(1.5) 1(33.3) 483(15.4) 44(37) A+B+D 무 4736(90.4) 110(83.3) * 4262(98.0) 2(50.0) ** 2648(87.8) 75(68.8) ** 유 505(9.6) 22(16.7) 86(2.0) 2(50.0) 368(12.2) 34(31.2) A+B+E 무 4736(89.9) 110(74.8) ** 4262(97.1) 2(50.0) ** 2648(83.8) 75(60.0) ** 유 530(10.1) 37(25.2) 127(2.9) 2(50.0) 513(16.2) 50(40.0) A+C+D 무 4736(88.9) 110(76.9) ** 4262(98.6) 2(66.7) ** 2648(84.7) 75(60.0) ** 유 593(11.1) 33(23.1) 61(1.4) 1(33.3) 477(15.3) 46(38.0) A+C+E 무 4736(88.0) 110(69.2) ** 4262(97.7) 2(66.7) ** 2648(78.3) 75(50.7) ** 유 646(12.0) 49(30.8) 101(2.3) 1(33.3) 732(21.7) 73(49.3) A+D+E 무 4736(90.7) 110(80.3) ** 4262(96.4) 2(50.0) ** 2648(82.3) 75(61.0) ** 유 487(9.3) 27(19.7) 159(3.6) 2(50.0) 569(17.7) 48(39.0) B+C+D 무 4736(88.4) 110(72.8) ** 4262(98.2) 2(66.7) ** 2648(80.6) 75(53.2) ** 유 623(11.6) 41(27.2) 77(1.8) 1(33.3) 638(19.4) 66(46.8) B+C+E 무 4736(89.8) 110(66.7) ** 4262(97.8) 2(66.7) * 2678(78.2) 75(50.0) ** 유 538(10.2) 55(33.3) 97(2.2) 1(33.3) 745(21.8) 75(50.0) B+D+E 무 4736(92.5) 110(77.5) ** 4262(96.8) 2(50.0) ** 2648(82.3) 75(57.7) ** 유 382(7.5) 32(22.5) 139(3.2) 2(50.0) 571(17.7) 55(42.3) C+D+E 무 4736(91.4) 110(71.0) ** 4262(97.6) 2(66.7) ** 2648(77.9) 75(50.3) ** 유 446(8.6) 45(29.0) 107(2.4) 1(33.3) 753(22.1) 74(49.7) A+B+C+D 무 4736(93.0) 110(84.0) ** 4262(99.3) 2(66.7) ** 2648(89.9) 75(72.1) ** 유 357(7.0) 21(16.0) 32(0.7) 1(33.3) 296(10.1) 29(27.9) A+B+C+E 무 4736(93.1) 110(76.4) ** 4262(98.8) 2(66.7) ** 2648(87.1) 75(64.1) ** 유 352(6.9) 34(23.6) 52(1.2) 1(33.3) 392(12.9) 42(35.9) A+B+D+E 무 4736(94.9) 110(85.9) ** 4262(98.5) 2(50.0) ** 2648(89.4) 75(70.1) ** 유 254(5.1) 18(14.1) 67(1.5) 2(50.0) 313(10.6) 32(29.9) A+C+D+E 무 4736(94.0) 110(81.5) ** 4262(98.9) 2(66.7) ** 2648(86.8) 75(64.7) ** 유 302(6.0) 25(18.5) 46(1.1) 1(33.3) 404(13.2) 41(35.3) B+C+D+E 무 4736(94.6) 110(78.0) ** 4262(98.8) 2(66.7) ** 2648(85.5) 75(60.0) ** 유 268(5.4) 31(22.0) 52(1.2) 1(33.3) 449(14.5) 50(40.0) A+B+C+D+E 무 4736(96.3) 110(85.9) ** 4262(99.4) 2(66.7) ** 2648(91.3) 75(73.5) ** 유 182(3.7) 18(14.1) 25(0.6) 1(33.3) 251(8.7) 27(26.5) 표8.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과 비교한 χ2 결과 (**p<.001,*p<0.05),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36)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는 [표9, 그림2, 그림 3, 그림 4]와 같다.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 에 비해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남자의 경우 공복혈당, 혈압, 복부비만, HDL 조합 (OR=4.22, 95% CI=2.35-7.55), 폐경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 L 조합(OR=2.50, 95% CI=1.42-4.39)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폐경전 여성과 폐경후 여성은 로지스틱 분석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폐경후 여성은 모든 조합들이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폐경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조합, 중성지방, 공복혈당, HDL 조합,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 비만, HDL 조합 이상 3가지 조합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그 중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L 조합(OR=26.21, 9 5% CI=1.74-396.3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9, 그림 2, 그림 3, 그림 4)

(37)

변수 OR(95% CI) 남자 여자 폐경전 폐경후 A+B+C 2.07(1.31-2.27)** 9.14(0.30-280.57) 1.76(1.06-2.89)* A+B+D 1.77(0.94-3.31) 18.00(1.55-208.43)* 2.22(1.30-3.80)* A+B+E 2.64(1.60-4.35)** 13.87(1.09-176.47)* 2.23(1.36-3.63)** A+C+D 2.31(1.34-3.99)* 4.20(0.09-188.76) 2.00(1.25-3.21)* A+C+E 2.91(1.84-4.62)** 3.23(0.07-157.69) 1.94(1.25-2.99)* A+D+E 2.81(1.57-5.02)** 9.98(0.74-134.22) 2.07(1.29-3.31)* B+C+D 1.98(1.20-3.29)* 5.59(0.11-291.81) 2.15(1.42-3.26)** B+C+E 3.13(1.99-4.92)** 4.45(0.09-210.97) 1.95(1.31-2.92)** B+D+E 3.21(1.87-5.54)** 11.40(0.91-143.26) 2.30(1.46-3.63)** C+D+E 3.51(2.15-5.74)** 2.33(0.03-260.09) 2.13(1.41-3.22)** A+B+C+D 2.16(1.11-4.18)* 16.06(0.67-391.02) 1.99(1.13-3.50)* A+B+C+E 3.45(2.02-5.90)** 9.76(0.29-326.73) 2.00(1.19-3.37)* A+B+D+E 3.14(1.55-6.38)** 26.21(1.74-396.38)* 2.50(1.42-4.39)** A+C+D+E 3.77(2.02-7.02)** 4.77(0.07-337.18) 2.03(1.24-3.33)* B+C+D+E 4.22(2.35-7.55)** 8.56(0.13-544.91) 2.29(1.44-3.63)** A+B+C+D+E 3.96(1.89-8.30)** 18.18(0.70-472.75) 2.19(1.21-3.96)* 표 9.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 신질환 관계 (남자, 폐경 전, 폐경 후) Ref=대사증후군이 없는 집단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p<0.001. *p<0.05, 일반적 사항 통제

(38)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39)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40)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41)

Ⅳ. 고찰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 (2010년, 2011년, 2012년) 데 이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을 가진 대상자 의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별 분포와 만성신질환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 다. ATP III 기준으로 정의한 2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은 27.4%였고,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 30세 이상 성인의 대 사증후군 유병률은 25.6%(보건복지부,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년, 2012년 만19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각각 23.33%, 23.20% 로 본 연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더 높게 분석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 단 2011,2012) 이는 대사증후군 정의를 본 연구에서는 약물복용 여부를 포함시켰으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은 약물복용 대상자를 포함시 키지 않은 부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대사증후군의 인구학적요인 및 사회경제적 요인 분포를 보았을 때 여자이며, 연령이 높고, 결혼을 했을 경우, 그리고 소득이 낮고, 교육 수 준이 높으며, 무직인 경우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자의 경 우 폐경전보다 폐경후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MDRD 공식을 이용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평가 하였고, 그 결과 만성 신질환 유병률은 2.7%로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년, 2011 년, 2012년 각 2.8%, 3.3%, 3.2%로 비슷한 유병률을 보였다. 대사증후군 유병여부와 만성신질환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대사증 후군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만성신질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분

(42)

석되었다. 성별을 나누어 보았을 때는 남자는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 2. 3%,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5.1%였고, 여자 폐경전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 0.1%,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0.5%이며, 여자 폐경후는 대사증후 군이 없는 경우 2.8%,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7.5% 결과를 보였다. 또 한 여자의 경우 폐경전, 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에 따라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별 조합 대 상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사증 후군의 만성신질환에 대한 관계에 대한 연구는 현재 여러 가설이 제시되 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치된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관련된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Chen et al. 은 20세 이상의 미국 성인 6,217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장질환과의 관련성을 연구 한 결과에서 고혈압이 있을 경우 만성 신장 질환이 발생할 위험도가 2.39 배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기준치보다 더 낮을 경우 만성 신장 질환의 발생위험도가 1.85배, 중성지방 수치가 기준치를 초과할 경 우에는 1.58배 더 증가하였으나, 공복혈당과 허리둘레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그리고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만성신장질환 발생위험도가 2.21 배 증가하였다. Kurella et al. 은 45-64세 사이의 당뇨병이 없는 미국인 10,096 명을 대상으로 한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코호트 연구에서 9년간 관찰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만성신질환 발생위 험도가 1.43이었으며,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별 만성신질환 발생위험도 는 복부비만은 1.18, 고혈압 1.99, HDL 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는 1.27, 중성지방의 증가는 1.34, 공복혈당의 증가는 1.11 이었다. (Kurella M,L o JC, Chertow GM, 2005) Beddhu et al. 은 20세 이상의 미국 성인 15,314명을 대상으로

(43)

한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대사증후군 기준치를 충족시키는 구성요소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만성신장 질환의 발생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가운데는 고혈 압, 복부비만,HDL 콜레스테롤치의 저하가 만성신장질환의 발생과 관련 이 있었다고 하였다. (Beddhu S,Kimmel PL, Ramkumar N,Cheung A K, 2005)

Tanaka et al. 은 일본 오키나와의 병원검진 프로그램으로 30∼7 9세의 성인 6,980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과의 상관관계 를 규명하였다(비교 위험도 1.54, 95% CI 1.28∼1.85, p<0.001). (Tan aka H, Shiohira Y, Uezu Y, Higa A, Iseki K, 2006)

Cheng et al.은 대만의 1,456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3년간 추적 관 찰하여 대사증후군을 진단받거나 각각의 구성인자를 충족하는 군에서 대 조군에 비해 만성신질환의 유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발병 률 또한 높아 대사증후군이 만성신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보여주 었다. (Cheng HT,Huang JW,Chiang CK,Yen CJ,Hung KY,Wu KD, 201 2)

위의 결과를 보면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의 관련성에 대해 유의 한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한편, Fox et al. 에 의하면 2,398명의 만성 신질환이 없는 대상자들을 7년간 관찰한 전향적 코흐트연구인 프래밍험 심장 연구(Framingham Heart Study)에서 공복혈당장애 또는 내당능 장 애를 가진 자들의 신질환 발생의 odds ratio가 유의 했으나, 연령, 성별 그리고 연구 시작 당시의 사구체여과율을 보정한 odds ratio는 의미를 가 지지 못했다고 하였다. (Fox CS, Larson MG, Leip EP, Meigs JB, Wilso n PW, Levy D, 2005)

(44)

대사증후군이 없는 집단보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폐경후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폐경전보다 폐경후 대사증후군 및 만성신질 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 중 남자 의 경우 공복혈당, 혈압, 복부비만, HDL 조합 (OR=4.22, 95% CI=2.35 -7.55)이, 폐경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L 조합(OR= 2.50, 95% CI=1.42-4.39)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는데, 첫째. cross section al study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가 만성 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의 선후 관 계를 밝히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만성 신질환은 여러 가지 원인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모든 원인을 고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 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MDRD 공식은 대규모 역학 연구나 임상에 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한국인의 적용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가 이루어 지 지 않았다는 점이다.

(45)

Ⅴ.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7.4%로 분석 되었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만성신질환 발생률은 남자는 5.1%로 대사증후군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2.8% 높았으며, 폐경전 여성의 경우 각각 0.1%, 0.5%로 큰 차이가 없었고, 폐경후 여성의 경우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7.5%로 대사증후군이 없는 대상자보다 4.7% 높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이는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유병률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 다. 또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 관계를 본 결과 대사증 후군이 없는 집단보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당뇨병, 심 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결국 그로 인한 합병증이 증가하는 것으 로 알려져 왔다.( Hanley AJ, Karter AJ, Williams K, Festa A, D'Agosti no RB Jr, Wagenknecht LE, et al. 2005; Abate N, Chandalia M, Cabo -Chan AV Jr, Moe OW, Sakhaee K. 2004) 만성신질환은 흔히 조기에 발견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진행하여 심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로 알려진 대 사증후군 등의 조기 발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Kitiyakara C, Yamwong S, Cheepudomwit S, Domrongkitchaiporn S, Unkurapinun N, Pakpeankit vatana V, et al. 2007; Kurella M, Lo JC, Chertow GM. 2005; Levey AS, Eckardt KU, Tsukamoto Y, Levin A, Coresh J, Rossert J, et al. 2 005)

(46)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후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 증후군 구성요소인 중성지방, 혈압, HDL, 허리둘레, 공복혈당 수치는 관 리가 가능한 인자들로 만성 신질환의 위험이 되는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폐 경후의 차이를 보이므로 폐경후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7)

참고문헌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2012. 박혜순, 오상우, 강재헌, 박용우, 최중명, 김용성, 최웅환, 유형준, 김형설, 한국인에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 2003. 박혜순, 신호철, 김병성, 이가영, 최환석, 신정아, 일차의료에 내원한 성인 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 12 (2), 2003 108-123. 보건복지부, 2012. 유지수, 정정인, 박창기, 강세원, 안정아.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 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9;39(4):596-601. 질병관리본부, 2007, 2014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기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통계청, 2011, 20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2.

Abate N, Chandalia M, Cabo-Chan AV Jr, Moe OW, Sakhaee K. The metabolic syndrome and uric acid nephrolithiasis: novel features of re

(48)

nal manifestation of insulin resistance. Kidney Int 2004;65:386-92.

Agrawal S, Shlipak MG, Kramer H, Jain A, Herrington DM. The assoc ia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with incident cardiovascular events: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CardiolRes Pract.2012;2012:806102.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et al. (2 009)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 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

rculation 120: 1640–1645.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et al. (2 009)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 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

rculation 120: 1640–1645.

Alberti KG, Zimmet P, Shaw J: IDF Epidemiology Task Force Consen sus Group.

(49)

Bagby SP. Obesity-initiated metabolic syndrome and the kidney: a re cipe for chronic kidney disease? J Am Soc Nephrol 2004;15:2775-9 1.

Beddhu S,Kimmel PL, Ramkumar N,Cheung AK: Association of met abolic syndrome with inflammation in CKD: results from the Third Na 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m J Kidney Dis 46:577-586, 2005.

Brancati FL, Whelton PK, Randall BL, Neaton JD, Stamler J, Klag MJ. Risk of end-stage renal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 ohort study of men screened for MRFIT. Multiple Risk Factor Interve ntion Trial. JAMA 1997;278:2069-74.

Braun, S., Bitton-Worms, K., & LeRoith, D. (2011). The link betwee

n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ncer. InternationalJournalofBiologicalS

ciences,7(7),1003-1015.

Carr M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 2404-11

Chang IH, Han JH, Myung SC, et al.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 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Korean population. Nephro logy(Carlton).2009;14(3):321–326.

(50)

ronic kidney disease in US adults. AnnInternMed.2004;140(3):167–17 4.

Cheng HT, Huang JW,Chiang CK,Yen CJ,Hung KY,Wu KD: Metabolic s 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as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of chr onic kidney disease and rapid decline in renal functioninelderly. JClin Endocrino Meta 2012;97:1268-76.

Coresh J, Selvin E, Stevens LA, Manzi J, Kusek JW, Eggers P,Van L ente F, Levey AS.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JAMA2007;298:2038-47.

Crawford SL, Casey VA, Avis NE, McKinlay SM. A longitudinal study of weight and the menopause transition: results from the Massachuse tts Women's Health Study. Menopause 2000; 7: 96-104.

Cull CA, Jensen CC, Retnakaran R, Holman RR. Impact of the metabol ic syndrome on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outcom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78. Cir culation 2007;116:2119-2126.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The metabolic syndrome. Lancet 2005;365:1415-28.

(51)

0 years of

age and over, by sex, age, race and ethnicity, and body mass index:

United States, 2003-2006. NationalHealthStatisticsReports,13,1-8.

Esmailnasab, N., Moradi, G.& Delaveri, A.(2012). Risk factors of non

-communicable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IranianJournalofPubl

icHealth.41(7),77-85.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 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 anel III). JAMA 285:2486-2497, 2001.

Ferrannini E, Haffner SM, Mitchell BD, Stern MP: Hyperinsulinemia:th e key feature of a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syndrome. Diabetolosi a 34: 416-422, 1991.

Ford ES, Giles WH, Dietz WH.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 n Examination Survey. JAMA.2002;287(3):356–359.

Ford.E.S, Giles.W.H, Mokdad.A.H,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 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2004;27(10);2444-2449.

Fox CS, Larson MG, Leip EP, Meigs JB, Wilson PW, Levy D. Glycem ic status and development of kidney disease: the Framingham Heart S tudy. Diabetes Care 2005;

(52)

28:2436-40.

Haffner SM, Valdez RA, Hazuda HP, Mitchell BD, Mora1es PA, Stern MP: Prospective analysis of the insulin-resistance syndrome (syndro me X). Diabetes 41: 715-722, 1992.

Hanley AJ, Karter AJ, Williams K, Festa A, D'Agostino RB Jr, Wagen knecht LE, et al. Predic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ith alternati ve definitions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Insulin Resistance Athe rosclerosis Study. Circulation 2005; 112:3713-21.

IDF Press Conference. The IDF consensus worldwide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Imai E, Horio M, Watanabe T, Iseki K, Yamagata K, et al. (2009) Pr 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Japanese general population. Clin Exp Nephrol 13: 621–630.

Ishii S, Tanaka T, Akishita M, Ouchi Y, Tuji T, Iijima K, et al. Meta bolic syndrome, sarcopenia and role of sex and age: cross-sectional analysis of kashiwa cohort study. PLoS One 2014;9:e112718.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én B, Lahti K, Nissén M,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24:683-689.; 9.

(53)

Jing C, Paul M, Lee H, Daniel WJ, Vecihi B, Vivian F, Paul KW, Jian g H. The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U.S. Ad ults. Ann Intern Med 2004;140:167-174.

Johnson CA, Levey AS, Coresh J,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

r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part I. Definition, disease stages, evaluation, treatment, and risk factors. AmFamPhysician.2004;70(5):8 69-876.

Johnson CA, Levey AS, Coresh J,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 r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part I. Definition, disease stages, evaluation, treatment, and risk factors. AmFamPhysician.2004;70(5):8 69-876.

Keith DS, Nichols GA, Gullion CM, Brown JB, Smith DH. Longitudinal follow-up and outcomes among a population with chronic kidney dise ase in a large managed care organization. ArchInternMed.2004;164( 6):659-663.

Kim MH, Kim MK, Choi BY, Shin YJ.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 ndrome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in Korea. J K orean Med Sci 2004; 19:195-201.; 11.

Kinchen K, Sadler J, Fink N, et al: The timing of specialist evaluatio n in chronic kidney disease and mortality. Ann Intern Med 137:479-483, 2002

(54)

Kitiyakara C, Yamwong S, Cheepudomwit S, Domrongkitchaiporn S, U nkurapinun N, Pakpeankitvatana V,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a Southeast Asian cohort. Kidney Int 2007; 71:693-70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Study on th e Socioeconomic Burden of Chronic Kidney Disease.

Kurella M, Lo JC, Chertow GM.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for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non diabetic adults. J Am Soc Nephrol 2005;16:2134-40.

Kurella M,Lo JC, Chertow GM: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for chronic kidney disease among nondiabetic adults. J Am Soc Nephrol 1 6: 2134-2140, 2005.

Lakka HM, Laaksonen DE, Lakka TA, Niskanen LK, Kumpusalo E, Tu omilehto J.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 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JAMA 2002:288:2709-2716.

Levey AS, Bosch JP, Lewis JB, Greene T, Rogers N, Roth D: A mor e accurate method to estimate glomerular filtration rate from serum c reatinine: A new prediction equation. Ann Intern Med 130:461-470, 1999 17.

(55)

Levey AS, Coresh J, Greene T, et al. Expressing the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equation for estimating glomerular filtratio n rate with standardized serum creatinine values. ClinChem.2007;53 (4):766-772.

Levey AS, Eckardt KU, Tsukamoto Y, Levin A, Coresh J, Rossert J, et al.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a positio n statement from Kidney Disease: Improving Global Outcomes (KDIG O). Kidney Int 2005;67:2089-100.

Levey AS, Greene T, Kusek J, Beck G: A simplified equation to predi ct glomerular filtration rate from serum creatinine. J Am Soc Nephrol 11:155A, 2000.

Lim S, Park KS, Lee HK, Cho SI.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over the period 1998-2001 as determin ed by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ia betes Care 2005;28:1810-1812.

Lim S, Shin H, Song JH, et al.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 ndrome in Korea. Diabets Care 2011;34(6):1323-1328.

Locatelli F, Pozzoni P, Vecchio LD, Renal manifestations in the metab olic syndrome. J Am Soc Nephrol. 2006;17:S81-S85.

(56)

Mozumdar A, Liguori G. Persistent increase of prevalence of metaboli c syndrome among U.S. adults: NHANES III to NHANES 1999-2006. Diabetes Care 2011; 34:216–219.

National Kidney Foundation [NKF].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d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diabetes and chronic kidney disease. AmJKidneyDis.2007;49(Suppl2):S1-S180.

NATIONAL KIDNEY FOUNDATION: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 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 ation. AmJKidneyDis39(Suppl1):S1–S266, 2002

Othman M, Kawar B, El Nahas AM. Influence of obesity on progressi on of non-diabetic chronic kidney disease: a retrospective cohort stu dy. NephronClinPract2009;113:c16-c23[PMID:19590231DOI:10.1159/0 00228071].

Pinto-Sietsma SJ, Navis G, Janssen WM, de Zeeuw D, Gans RO, de Jong PE. A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is related to renal function i mpairment, even in lean subjects. Am J Kidney Dis 2003;41:733-41.

Reaven GM. Banting Lecture 1988.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1988:37(12):1595-1607.

Remuzzi G, Benigni A, Remuzzi A. Mechanisms of progression and re gression of renal lesions of chronic nephropathies and diabetes. JClinI

(57)

Schaeffner ES, Kurth T, Curhan GC, Glynn RJ, Rexrode KM, Baigent C, et al. Cholesterol and the risk of renal dysfunction in apparently h ealthy men. J Am Soc Nephrol 2003;14:2084-91

Snively CS, Gutierrez C. Chronic kidney disease: prevention and treat ment of common complications. AmFamPhysician.2004;70:1921-1928, 1929-1930.

Stevens LA, Coresh J, Greene T, Levey AS. Assessing kidney functio n— measured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NEnglJMed.200 6;354(23):2473-2483.

Stevens LA, Levey A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or C KD testing. AmJKidneyDis2009;53(suppl3):S17–26.

Suh S, Lee MK.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K orea. J Atheroscler Thromb 2014;21 Suppl 1:S31-S35.

Tanaka H, Shiohira Y, Uezu Y, Higa A, Iseki K. Metabolic syndrome

and chronic kidney disease in Okinawa, Japan. KidneyInt

2006;69:369-74.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

98–2007

(58)

than SD. Metabolic syndrome and kidney disease: a systematic revie

w and meta-analysis. ClinJAmSocNephrol2011;6:2364-2373[PMID:21

852664DOI:10.2215/CJN.02180311.

Thomas GN, Ho S Y ,Janus E D ,Lam K S ,Hedley A J, Lam T H ; Hong Kong Cardiovascular R isk Factor Prevalence Study Steeri ng Committee: The U S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me A 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prevalence of the metaboli c syndrome in a Chinese population. Diabetes Res Clin Pract 67: 251 -257, 2005.

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 2014 Annual Data Report, Vol. 2, Chapter 10: International Comparisons, ].

Vassalotti JA, Stevens LA, Levey AS. Testing for chronic kidney dis ease: a position statement from 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 AmJ KidneyDis2007;50:169–80.

WHO Consultation.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1– 33, 1999.

수치

표  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표 2. 만성신질환 단계 분류
그림 2.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남자)
그림 3.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폐경전 여성)
+2

참조

관련 문서

Respiratory acidosis and metabolic alkalosis : chronic lung disease and diuretics 5.. Mixed acute and chronic respiratory acidosis : chronic lung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partial updat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Clinical

광양시의 창조도시 구성요소가 창조활동과 산업연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를 설명하는 R 2 값은 0.

자기조절과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조절( p=. 005) 이 직무만족을 높여 주는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Using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공복혈당 상태에 따라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유병률을 보면,혈압 이상은 정상혈당군의 51.. 46 ) 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두 번째

Metabolic syndrome patients suffer from more acute ischemic events for the same amount of atherosclerosis than the controls.. MetS

-&gt; 여기서 relation 들은 , 로 구분하고 나열된 relation 들로 Carte sian product 연산을 한다. • 결과 릴레이션은 from 절에 나열된 모든 릴레이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