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연구방법

3. 분석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복합설계 방법을 통하여 추출된 표본을 조사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9.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은 복합표본 빈도분석을 통해 제시하였 고, 대사증후군집단과 일반적 사항에 대한 분포 및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였다. 만성신질환대상 자 집단과 대사증후군 요소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이용하였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변수를 통제한 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림[2,3,4]는 R ver.3.2.3 metafor package를 사용하였 다.

Ⅲ. 결과

1.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분포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및 만성신질환 분포 결과는 [표5] 와 같다.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7.4% 이고, 인구학적인 요인에서 성별 및 폐경여부에서는 남자는 만성신질환이 있는 경우가 238(3.2)명이었고, 여자 폐경전은 5(0.1)명이었으며, 여자 폐경후는 2 28(4.8)명 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대해 살펴보면 20대에서 40대 까 지 만성신질환 있는 경우가 적었으며, 50대 이후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점차 증가하였다. 결혼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기혼이 미혼보 다 만성신질환 있는 대상자가 더 많았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교육수 준이 높고, 소득이 낮으며, 직업이 없는 경우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 자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보다 대사 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이 있는 대상자가 더 많은 것으로 분 석되었다. (표5).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만성신질환 분포 를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성별, 폐경여부, 결혼여부, 교육수준, 소득, 직업상태, 대사증후군 여부는 p<.001수준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5) 연 령의 경우 통계적인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나, 대상자수 중 0명이 있어 확인하지 못하였다. (표5)

 Characteristic 만성신질환

2. 대사증후군 집단에 따른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

20대 이상의 전체 대상자 중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만성신 질환 대상자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 는 [표6,7]과 같다. 대사증후군 집단에 따른 만성신질환 대상자 분포 에 대해 살펴본 결과, 남자는 χ2=33.22,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자 폐경전은 χ2=8.98 p

<.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경후는 χ2=56.

97,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표6)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 유병률은 남자는 5.1%였 고, 여자 폐경전은 0.5%, 폐경후는 7.5%로 여자의 경우 폐경전보다 폐경후 만성신질환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사증후군 이 없을 때 보다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발생이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표6)

연령을 살펴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기혼이 미혼보다, 교육수 준이 높고, 소득수준이 낮으며, 직업이 있는 대상자보다 무직일 경우 대사증후군, 만성신질환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표7)

  만성신질환 대상자 χ2 60대 1568(57.2) 1174(42.8) 35(33.3) 70(66.7) 26.70**

70대

이상 1187(56.9) 899(43.1) 124(43.4) 162(56.6) 14.25*

미혼 1944(92.1) 166(7.9) 1(50.0) 1(50.0) 0.00 기혼 9721(70.6) 4041(29.4) 187(42.6) 252(57.4) 136.64**

중 졸

이하 4214(83.4) 837(16.6) 14(46.7) 16(53.3) 29.62**

고졸 4164(79.0) 1110(21.0) 48(48.5) 51(51.5) 28.66**

대 졸

이상 3275(59.2) 2258(40.8) 125(40.2) 186(59.8) 47.66**

1686(60.7) 1090(39.3) 80(41.0) 115(59.0) 42.28**

중하 2951(72.5) 1117(27.5) 47(42.7) 63(57.3) 35.50**

중상 3411(77.4) 995(22.6) 28(48.3) 30(51.7) 16.36**

3512(78.6) 956(21.7) 30(41.7) 42(58.3) 54.49**

관 리

2770(80.2) 686(19.8) 13(41.9) 18(58.1) 25.11**

서 비

스직 4469(72.2) 1723(27.8) 61(54.5) 51(45.5) 10.09**

무직 4387(71.1) 1786(28.9) 112(37.8) 184(62.2) 168.96**

표 6.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 (성별, 폐경여부)

(**p<.001, *p<.05)

표 7.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분포(일반적사항)

(**p<.001, *p<.05)

3.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과 대사증후군 요소

20대 이상 대상자 중 만성신질환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 비교를 위해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8] 과 같다. 대사증 후군이 아닌 집단과 비교한 카이스퀘어 검정 결과, 만성신질환 대상자 집단에 따라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별 조합 대상자는 p<.001, p<.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8) 대사증후군 아닌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 신질환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남자 여자 폐경전 여자 폐경후

A+B+C 4736(86.4) 110(71.4) ** 4262(98.5) 2(66.7) ** 2648(84.6) 75(63.0) **

746(13.6) 44(28.6) 66(1.5) 1(33.3) 483(15.4) 44(37)

A+B+D 4736(90.4) 110(83.3) * 4262(98.0) 2(50.0) ** 2648(87.8) 75(68.8) **

505(9.6) 22(16.7) 86(2.0) 2(50.0) 368(12.2) 34(31.2)

A+B+E 4736(89.9) 110(74.8) ** 4262(97.1) 2(50.0) ** 2648(83.8) 75(60.0) **

530(10.1) 37(25.2) 127(2.9) 2(50.0) 513(16.2) 50(40.0)

A+C+D 4736(88.9) 110(76.9) ** 4262(98.6) 2(66.7) ** 2648(84.7) 75(60.0) **

593(11.1) 33(23.1) 61(1.4) 1(33.3) 477(15.3) 46(38.0)

A+C+E 4736(88.0) 110(69.2) ** 4262(97.7) 2(66.7) ** 2648(78.3) 75(50.7) **

646(12.0) 49(30.8) 101(2.3) 1(33.3) 732(21.7) 73(49.3)

A+D+E 4736(90.7) 110(80.3) ** 4262(96.4) 2(50.0) ** 2648(82.3) 75(61.0) **

487(9.3) 27(19.7) 159(3.6) 2(50.0) 569(17.7) 48(39.0)

B+C+D 4736(88.4) 110(72.8) ** 4262(98.2) 2(66.7) ** 2648(80.6) 75(53.2) **

623(11.6) 41(27.2) 77(1.8) 1(33.3) 638(19.4) 66(46.8)

B+C+E 4736(89.8) 110(66.7) ** 4262(97.8) 2(66.7) * 2678(78.2) 75(50.0) **

538(10.2) 55(33.3) 97(2.2) 1(33.3) 745(21.8) 75(50.0)

B+D+E 4736(92.5) 110(77.5) ** 4262(96.8) 2(50.0) ** 2648(82.3) 75(57.7) **

382(7.5) 32(22.5) 139(3.2) 2(50.0) 571(17.7) 55(42.3)

C+D+E 4736(91.4) 110(71.0) ** 4262(97.6) 2(66.7) ** 2648(77.9) 75(50.3) **

446(8.6) 45(29.0) 107(2.4) 1(33.3) 753(22.1) 74(49.7)

A+B+C+D 4736(93.0) 110(84.0) ** 4262(99.3) 2(66.7) ** 2648(89.9) 75(72.1) **

357(7.0) 21(16.0) 32(0.7) 1(33.3) 296(10.1) 29(27.9)

A+B+C+E 4736(93.1) 110(76.4) ** 4262(98.8) 2(66.7) ** 2648(87.1) 75(64.1) **

352(6.9) 34(23.6) 52(1.2) 1(33.3) 392(12.9) 42(35.9)

A+B+D+E 4736(94.9) 110(85.9) ** 4262(98.5) 2(50.0) ** 2648(89.4) 75(70.1) **

254(5.1) 18(14.1) 67(1.5) 2(50.0) 313(10.6) 32(29.9)

A+C+D+E 4736(94.0) 110(81.5) ** 4262(98.9) 2(66.7) ** 2648(86.8) 75(64.7) **

302(6.0) 25(18.5) 46(1.1) 1(33.3) 404(13.2) 41(35.3)

B+C+D+E 4736(94.6) 110(78.0) ** 4262(98.8) 2(66.7) ** 2648(85.5) 75(60.0) **

268(5.4) 31(22.0) 52(1.2) 1(33.3) 449(14.5) 50(40.0)

A+B+C+D+E 4736(96.3) 110(85.9) ** 4262(99.4) 2(66.7) ** 2648(91.3) 75(73.5) **

182(3.7) 18(14.1) 25(0.6) 1(33.3) 251(8.7) 27(26.5)

표8.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과 비교한 χ2 결과

(**p<.001,*p<0.05),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과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는 [표9, 그림2, 그림 3, 그림 4]와 같다. 대사증후군이 아닌 집단 에 비해 대사증후군이 있을 경우 만성신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남자의 경우 공복혈당, 혈압, 복부비만, HDL 조합 (OR=4.22, 95% CI=2.35-7.55), 폐경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 L 조합(OR=2.50, 95% CI=1.42-4.39)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폐경전 여성과 폐경후 여성은 로지스틱 분석 결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폐경후 여성은 모든 조합들이 만성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폐경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조합, 중성지방, 공복혈당, HDL 조합,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 비만, HDL 조합 이상 3가지 조합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그 중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L 조합(OR=26.21, 9 5% CI=1.74-396.3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표 9, 그림 2, 그림 3, 그림 4)

변수 A+B+E 2.64(1.60-4.35)** 13.87(1.09-176.47)* 2.23(1.36-3.63)**

A+C+D 2.31(1.34-3.99)* 4.20(0.09-188.76) 2.00(1.25-3.21)* A+B+D+E 3.14(1.55-6.38)** 26.21(1.74-396.38)* 2.50(1.42-4.39)**

A+C+D+E 3.77(2.02-7.02)** 4.77(0.07-337.18) 2.03(1.24-3.33)*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그림 2.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남자)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그림 3.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폐경전 여성)

A=중성지방대상자, B=공복혈당대상자, C=혈압대상자, D=복부비만대상자, E=HDL 대상자

그림 4.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만성신질환 관계(폐경후 여성)

Ⅳ. 고찰

석되었다. 성별을 나누어 보았을 때는 남자는 대사증후군이 없는 경우 2.

한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만성신질환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으며,

대사증후군이 없는 집단보다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만성신질환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폐경후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폐경전보다 폐경후 대사증후군 및 만성신질 환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조합 중 남자 의 경우 공복혈당, 혈압, 복부비만, HDL 조합 (OR=4.22, 95% CI=2.35 -7.55)이, 폐경후 여성은 중성지방, 공복혈당, 복부비만, HDL 조합(OR=

2.50, 95% CI=1.42-4.39)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그리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는데, 첫째. cross section al study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가 만성 신질환에 미치는 영향의 선후 관 계를 밝히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만성 신질환은 여러 가지 원인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모든 원인을 고려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 다. 셋째. 본 연구에서 사용한 MDRD 공식은 대규모 역학 연구나 임상에 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한국인의 적용에 대해서는 의견 일치가 이루어 지 지 않았다는 점이다.

Ⅴ. 결론

S, Cheepudomwit S, Domrongkitchaiporn S, Unkurapinun N, Pakpeankit vatana V, et al. 2007; Kurella M, Lo JC, Chertow GM. 2005; Levey AS, Eckardt KU, Tsukamoto Y, Levin A, Coresh J, Rossert J, et al. 2 005)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는 만성신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후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사 증후군 구성요소인 중성지방, 혈압, HDL, 허리둘레, 공복혈당 수치는 관 리가 가능한 인자들로 만성 신질환의 위험이 되는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여자의 경우 폐경전과 폐 경후의 차이를 보이므로 폐경후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민건강보험공단, 2011, 2012.

박혜순, 오상우, 강재헌, 박용우, 최중명, 김용성, 최웅환, 유형준, 김형설, 한국인에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 2003.

박혜순, 신호철, 김병성, 이가영, 최환석, 신정아, 일차의료에 내원한 성인 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 12 (

2), 2003 108-123.

보건복지부, 2012.

유지수, 정정인, 박창기, 강세원, 안정아. 생활습관 요인이 대사증후군 유 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9;39(4):596-601.

질병관리본부, 2007, 2014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기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통계청, 2011, 20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2.

Abate N, Chandalia M, Cabo-Chan AV Jr, Moe OW, Sakhaee K. The metabolic syndrome and uric acid nephrolithiasis: novel features of re

nal manifestation of insulin resistance. Kidney Int 2004;65:386-92.

Agrawal S, Shlipak MG, Kramer H, Jain A, Herrington DM. The assoc iation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with incident cardiovascular events: multiethnic study of atherosclerosis. CardiolRes Pract.2012;2012:806102.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et al. (2 009)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 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 rculation 120: 1640–1645.

Alberti KG, Eckel RH, Grundy SM, Zimmet PZ, Cleeman JI, et al. (2 009)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World Heart Federation; International Atherosclero sis Society;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 rculation 120: 1640–1645.

Alberti KG, Zimmet P, Shaw J: IDF Epidemiology Task Force Consen sus Group.

The metabolic syndrome--a new worldwide definition. Lancet 366:10

Bagby SP. Obesity-initiated metabolic syndrome and the kidney: a re cipe for chronic kidney disease? J Am Soc Nephrol 2004;15:2775-9 1.

Beddhu S,Kimmel PL, Ramkumar N,Cheung AK: Association of met abolic syndrome with inflammation in CKD: results from the Third Na 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m J Kidney Dis 46:577-586, 2005.

Brancati FL, Whelton PK, Randall BL, Neaton JD, Stamler J, Klag MJ.

Risk of end-stage renal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c ohort study of men screened for MRFIT. Multiple Risk Factor Interve ntion Trial. JAMA 1997;278:2069-74.

Braun, S., Bitton-Worms, K., & LeRoith, D. (2011). The link betwee n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ncer.

InternationalJournalofBiologicalS

Braun, S., Bitton-Worms, K., & LeRoith, D. (2011). The link betwee n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ncer.

InternationalJournalofBiological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