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강의 (28)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이우금 교수

(2)

결강 보강 결강사유 일시 수업 일시 수업 10월9일 (수) 1~2교시 12월18일 (수) 1~2교시 (기말시험) 한글날 휴무 <퀴즈 make up 계획>  대상: 결석으로 퀴즈(1~6) 를 못 본 학생  일시: 12월11일 (수) 까지  문자 또는 전화로 일정 조절

(3)

3-4. 최종 값 정리  미분정리에서 𝑠 가 0 에 접근하는 극한을 취하면,  미분정리: ℒ 𝑓′(𝑡) = 𝑠 ∙ ℒ 𝑓(𝑡) − 𝑓 0 = 𝑠 ∙ 𝐹 𝑠 − 𝑓(0)  𝑠 가 0 에 접근하는 극한: lim 𝑠→0 𝑓′(𝑡) ∙ 𝑒 −𝑠𝑡 ∞ 0 𝑑𝑡 = lim𝑠→0 𝑠 ∙ 𝐹 𝑠 − 𝑓 0 ---- (1)  위 식 (1) 에서 좌변의 𝑓′(𝑡) 는 𝑡 의 함수이므로, 𝑠 에 무관함  lim 𝑠→0 𝑓′(𝑡) ∙ 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𝑓′(𝑡) ∙ lim𝑠→0 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𝑓′(𝑡) ∞ 0 𝑑𝑡  0∞ 𝑓′(𝑡) 𝑑𝑡 의 상한을 극한을 이용하여 다시 정리하면 0∞ 𝑓′(𝑡) 𝑑𝑡 = lim 𝑡→∞ 𝑓′(𝑡) 𝑡 0 𝑑𝑡 ∴ 𝑓′(𝑡0∞ 𝑑𝑡 = lim 𝑡→∞ 𝑓(𝑡) 0 𝑡 = lim 𝑡→∞ 𝑓 𝑡 − 𝑓(0) = lim𝑡→∞ 𝑓(𝑡) − 𝑓(0)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lim 𝑠→0 𝑓′(𝑡) ∙ 𝑒 −𝑠𝑡 ∞ 0 𝑑𝑡 = lim𝑡→∞ 𝑓(𝑡) − 𝑓(0) --- (2)  식 (1)의 우변: lim 𝑠→0 𝑠 ∙ 𝐹 𝑠 − 𝑓(0 식 (2)의 우변과 같아야 하므로  lim

𝑠→0 𝑠 ∙ 𝐹 𝑠 − 𝑓(0) = lim𝑡→∞ 𝑓(𝑡) − 𝑓(0) lim𝑠→0 𝑠 ∙ 𝐹 𝑠 = lim𝑡→∞ 𝑓(𝑡) : 최종값 정리

1

(4)

예시) 함수 𝑓(𝑡) 의 라플라스 변환이 다음과 같을 때, 𝑓(𝑡) 의 최종 값을 구하라. (1) 𝐹 𝑠 = 2𝑠+10 𝑠3+6𝑠2+5𝑠  최종 값 정리: lim 𝑡→∞ 𝑓(𝑡) = lim𝑠→0 𝑠 ∙ 𝐹 𝑠 = lim𝑠→0 𝑠 ∙ 2𝑠+10 𝑠3+6𝑠2+5𝑠 ∴ lim 𝑡→∞ 𝑓(𝑡) = lim𝑠→0 2𝑠+10 𝑠2+6𝑠+5 = 10 5 = 2 (2) 𝐹 𝑠 = 2𝑠+5 𝑠 𝑠+1 𝑠+2  최종 값 정리: lim 𝑡→∞ 𝑓(𝑡) = lim𝑠→0 𝑠 ∙ 𝐹 𝑠 = lim𝑠→0 𝑠 ∙ (2𝑠+5) 𝑠 𝑠+1 𝑠+2 ∴ lim 𝑡→∞ 𝑓(𝑡) = lim𝑠→0 2𝑠+5 𝑠+1 𝑠+2 = 0 0 ? ? ?

 부분분수로 분해: 2𝑠+5 𝑠+1 𝑠+2 = 𝐴 𝑠+1 + 𝐵 𝑠+2  통분하여 𝐴 & 𝐵 를 구함: 2𝑠+5 𝑠+1 𝑠+2 = 𝐴 𝑠+2 +𝐵(𝑠+1) 𝑠+1 (𝑠+2) = 𝐴+𝐵 𝑠 +(2𝐴+𝐵) 𝑠+1 (𝑠+2) 𝐴 = 3 & 𝐵 = 1 ∴ lim 𝑡→∞ 𝑓(𝑡 = lim𝑠→0 2𝑠+5 𝑠+1 𝑠+2 = lim𝑠→0 3 𝑠+1 + 1 𝑠+2 = 3 + 1 2 = 3 1 2 부분분수분해

(5)

3-5. 적분정리  시간함수 𝑓(𝑡) 의 1차 적분 𝑓 𝑡 𝑑𝑡 의 라플라스 변환  ℒ 𝑓(𝑡) 𝑑𝑡 = 𝑓(𝑡) 𝑑𝑡 ∙ 𝑒−𝑠𝑡 0 𝑑𝑡  부분적분: 𝑝′ 𝑡 = 𝑒−𝑠𝑡 & 𝑞 𝑡 = 𝑓 𝑡 𝑑𝑡 𝑝 𝑡 =−1 𝑠 𝑒 −𝑠𝑡 & 𝑞𝑡 = 𝑓(𝑡) ℒ 𝑓(𝑡) 𝑑𝑡 = 𝑓(𝑡) 𝑑𝑡 ∙ −1 𝑠 𝑒 −𝑠𝑡 0 ∞ − 𝑓 𝑡 ∙ −1 𝑠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𝑓 𝑡 𝑑𝑡 𝑡=∞ ∙ − 1 𝑠𝑒 −∞ 𝑓 𝑡 𝑑𝑡 𝑡=0 ∙ − 1 𝑠𝑒 0 +1 𝑠 𝑓 𝑡 ∙ 𝑒 −𝑠𝑡 ∞ 0 𝑑𝑡 ∴ ℒ 𝑓(𝑡) 𝑑𝑡 = 1𝑠 𝐹 𝑠 + 1 𝑠 ∙ lim𝑡→0 𝑓 𝑡 𝑑𝑡 ※ 𝑛𝑜𝑡𝑒: lim 𝑡→0 𝑓 𝑡 𝑑𝑡 = 𝑓 (∗1)(0) 𝑓(∗1)(0) 𝑡 → 0 일 때 계산한 적분의 초기값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ℒ 𝑓(𝑡) 𝑑𝑡 = 1𝑠 𝐹 𝑠 +1 𝑠𝑓 (∗1)(0)  만약, 𝑓 ∗1 0 = 0 이면: ℒ 𝑓 𝑡 𝑑𝑡 = 1 𝑠 𝐹 𝑠 + 1 𝑠𝑓 ∗1 0 ℒ 𝑓 𝑡 𝑑𝑡 = 1 𝑠 𝐹(𝑠) ℒ 𝑓 𝑡 = 𝐹(𝑠) 0 0 1 lim 𝑡→0 𝑓 𝑡 𝑑𝑡

(6)

3-5. 적분정리 (계속)  시간함수 𝑓(𝑡) 의 2차 적분 𝑓(𝑡) 𝑑𝑡2 의 라플라스 변환  ℒ 𝑓 𝑡 𝑑𝑡2 = 0∞ 𝑓(𝑡) 𝑑𝑡2 ∙ 𝑒−𝑠𝑡 𝑑𝑡  부분적분: 𝑝′ 𝑡 = 𝑒−𝑠𝑡 & 𝑞 𝑡 = 𝑓(𝑡) 𝑑𝑡2 𝑝 𝑡 =−1 𝑠 𝑒 −𝑠𝑡 & 𝑞𝑡 = 𝑓(𝑡) 𝑑𝑡 ℒ 𝑓(𝑡) 𝑑𝑡2 = 𝑓(𝑡) 𝑑𝑡2 ∙ −1 𝑠𝑒 −𝑠𝑡 0 ∞ − 0∞ 𝑓(𝑡) 𝑑𝑡 ∙ −1𝑠𝑒−𝑠𝑡 𝑑𝑡 = 𝑓(𝑡) 𝑑𝑡2 𝑡=∞ ∙ − 1 𝑠 𝑒 −∞ − 𝑓(𝑡) 𝑑𝑡2 𝑡=0 ∙ − 1 𝑠𝑒 0 +1 𝑠 𝑓(𝑡) 𝑑𝑡 ∙ 𝑒 −𝑠𝑡 ∞ 0 𝑑𝑡 ∴ ℒ 𝑓(𝑡) 𝑑𝑡2 = 1 𝑠 ∙ ℒ 𝑓(𝑡) 𝑑𝑡 + 1 𝑠 ∙ lim𝑡→0 𝑓(𝑡) 𝑑𝑡 2 ※ 𝑛𝑜𝑡𝑒1: lim 𝑡→0 𝑓(𝑡) 𝑑𝑡 2 = 𝑓(∗2)(0) 𝑓(∗2)(0) 𝑡 → 0 일 때 계산한 2차 적분의 초기값 ※ 𝑛𝑜𝑡𝑒2: ℒ 𝑓(𝑡) 𝑑𝑡 = 1𝑠 𝐹 𝑠 + 1 𝑠 𝑓 ∗1 (0) 1차 적분의 라플라스 변환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ℒ 𝑓(𝑡) 𝑑𝑡2 = 1 𝑠 ∙ 1 𝑠 𝐹 𝑠 + 1 𝑠 𝑓 (∗1)(0) +1 𝑠 ∙ 𝑓 ∗2 (0) = 1 𝑠2𝐹 𝑠 + 1 𝑠2𝑓 ∗1 (0) + 1 𝑠 ∙ 𝑓 ∗2 (0) ℒ 𝑓(𝑡) 𝑑𝑡 0 1 lim 𝑡→0 𝑓(𝑡) 𝑑𝑡 2

(7)

3-5. 적분정리 (요약)  시간함수 𝑓(𝑡) 의 1차 적분 𝑓(𝑡) 𝑑𝑡 의 라플라스 변환  ℒ 𝑓(𝑡) 𝑑𝑡 = 0∞ 𝑓(𝑡) 𝑑𝑡 ∙ 𝑒−𝑠𝑡 𝑑𝑡 = 1 𝑠𝐹 𝑠 + 1 𝑠𝑓 (∗1)(0)  시간함수 𝑓(𝑡) 의 2차 적분 𝑓(𝑡) 𝑑𝑡2 의 라플라스 변환  ℒ 𝑓(𝑡) 𝑑𝑡2 = 0∞ 𝑓(𝑡) 𝑑𝑡2 ∙ 𝑒−𝑠𝑡 𝑑𝑡 = 1 𝑠2𝐹 𝑠 + 1 𝑠2𝑓 ∗1 (0) + 1 𝑠 ∙ 𝑓 ∗2 (0)  시간 함수 𝑓(𝑡) 의 n차 적분 ⋯ 𝑓(𝑡) 𝑑𝑡𝑛 의 라플라스 변환  ℒ ⋯ 𝑓(𝑡) 𝑑𝑡𝑛 = 1 𝑠𝑛𝐹 𝑠 + 1 𝑠𝑛𝑓 ∗1 0 + 1 𝑠(𝑛−1)𝑓 ∗2 0 + ⋯ + 1 𝑠 𝑓 (∗𝑛)(0), (𝑛 ≥ 2)  모든 초기값이 0 이면: 𝑓 ∗1 0 = 𝑓 ∗2 0 = ⋯ = 𝑓 ∗𝑛 0 = 0 ∴ ℒ ⋯ 𝑓(𝑡) 𝑑𝑡𝑛 = 1 𝑠𝑛 ∙ 𝐹 𝑠 ※ 𝑛𝑜𝑡𝑒: lim 𝑡→0 𝑓 𝑡 𝑑𝑡 = 𝑓 ∗1 0 lim 𝑡→0 𝑓(𝑡) 𝑑𝑡 2 = 𝑓(∗2)(0) ⋮ lim 𝑡→0 ⋯ 𝑓(𝑡) 𝑑𝑡 2 = 𝑓(∗𝑛)(0)

(8)

예시1) 1 3 𝑔(𝑡) 𝑑𝑡 + 𝑔 𝑡 = 2 에서 𝑔 𝑡 의 라플라스변환 을 구하라. (단, 초기값은 𝑘) (1) 라플라스변환: 1 3 𝑔(𝑡) 𝑑𝑡 + 𝑔 𝑡 = ℒ 2

1 3ℒ 𝑔(𝑡) 𝑑𝑡 + ℒ 𝑔(𝑡) = ℒ 2 (2) 적분정리: ℒ 𝑔(𝑡) 𝑑𝑡 = 1 𝑠𝐺 𝑠 + 1 𝑠 𝑔 ∗1 0

ℒ 𝑔(𝑡) 𝑑𝑡 = 1 𝑠𝐺 𝑠 + 𝑘 𝑠 (3) 𝑔 𝑡 의 라플라스 변환: ℒ 𝑔(𝑡) = 𝐺(𝑠) (4) 단위 계단함수의 라플라스변환: ℒ 2 = 2 𝑠  From (1) ~ (4)  1 3ℒ 𝑔(𝑡) 𝑑𝑡 + ℒ 𝑔(𝑡) = ℒ 2 1 3 1 𝑠𝐺 𝑠 + 𝑘 𝑠 + 𝐺(𝑠) = 2 𝑠 ∴ 1 3𝑠+ 1 ∙ 𝐺 𝑠 = 2 𝑠 − 𝑘 3𝑠 1+3𝑠 3𝑠 ∙ 𝐺 𝑠 = (6−𝑘) 3𝑠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𝐺 𝑠 = 3𝑠(6−𝑘) 3𝑠(1+3𝑠) = (6−𝑘) (1+3𝑠) 함수 𝑔(𝑡) 의 라플라스 변환 𝑘

(9)

예시2) 𝑒 𝑡 = 1 𝐶 𝑖(𝑡) 𝑑𝑡 + 3𝑡 에서 𝑒 𝑡 의 라플라스 변환(𝐸 𝑠 )을 구하라. (단, 초기값은 0) (1) 라플라스변환: ℒ 𝑒 𝑡 = ℒ 1 𝐶 𝑖(𝑡) 𝑑𝑡 + 3𝑡

ℒ 𝑒 𝑡 = 1 𝐶 ∙ ℒ 𝑖 𝑡 𝑑𝑡 + 3 ∙ ℒ 𝑡 (2) 𝑒 𝑡 의 라플라스 변환: ℒ 𝑒(𝑡) = 𝐸(𝑠) (3) 적분정리: ℒ 𝑖(𝑡) 𝑑𝑡 = 1 𝑠𝐼 𝑠 + 1 𝑠𝑖 ∗1 0

ℒ 𝑖(𝑡) 𝑑𝑡 = 1 𝑠 𝐼 𝑠 (4) 단위경사함수의 라플라스 변환: ℒ 𝑡 = 1 𝑠2  From (1) ~ (4)  ℒ 𝑒 𝑡 = 1 𝐶 ∙ ℒ 𝑖 𝑡 𝑑𝑡 + 3 ∙ ℒ 𝑡 𝐸 𝑠 = 1 𝐶∙𝑠 ∙ 𝐼 𝑠 + 3 𝑠2 0

(10)

3-6. 복소미분정리  함수 𝑓(𝑡) 의 라플라스변환 𝐹(𝑠) = 𝑓(𝑡)𝑒∞ −𝑠𝑡 0 𝑑𝑡 를 𝑠 에 대해 미분하면,  𝑑 𝑑𝑠 𝐹 𝑠 = 𝑑 𝑑𝑠 𝑓(𝑡)𝑒 −𝑠𝑡 ∞ 0 𝑑𝑡 𝑠 에 대한 미분이므로 𝑡 에 무관 ∴ 𝑑 𝑑𝑠 𝐹 𝑠 = 𝑑 𝑑𝑠 𝑓(𝑡)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𝑓(𝑡) 𝑑 𝑑𝑠 𝑒 −𝑠𝑡 ∞ 0 𝑑𝑡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𝑑 𝑑𝑠 𝐹 𝑠 = −𝑡 ∙ 𝑓(𝑡)𝑒 −𝑠𝑡 ∞ 0 𝑑𝑡 = −ℒ 𝑡 ∙ 𝑓(𝑡) ℒ 𝑡 ∙ 𝑓(𝑡) = − 𝑑 𝑑𝑠 𝐹 𝑠  𝐹(𝑠) = 𝑓(𝑡)𝑒0∞ −𝑠𝑡𝑑𝑡 를 𝑠 에 대해 2번 미분  𝑑2 𝑑𝑠2 𝐹 𝑠 = 𝑑2 𝑑𝑠2 𝑓(𝑡)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𝑓(𝑡) 𝑑2 𝑑𝑠2 𝑒 −𝑠𝑡 ∞ 0 𝑑𝑡  𝑑 2 𝑑𝑠2 𝑒 −𝑠𝑡 의 계산: 𝑑2 𝑑𝑠2 𝑒 −𝑠𝑡 = 𝑑 𝑑𝑠 𝑑 𝑑𝑠 𝑒 −𝑠𝑡 = 𝑑 𝑑𝑠 −𝑡 ∙ 𝑒 −𝑠𝑡 = 𝑡2 ∙ 𝑒−𝑠𝑡 ∴ 𝑑2 𝑑𝑠2 𝐹 𝑠 = 𝑡 2 ∙ 𝑓(𝑡)𝑒−𝑠𝑡 ∞ 0 𝑑𝑡 = ℒ 𝑡 2 ∙ 𝑓(𝑡)

ℒ 𝑡2 ∙ 𝑓(𝑡) = 𝑑2 𝑑𝑠2 𝐹 𝑠  𝐹(𝑠) = 𝑓(𝑡)𝑒∞ −𝑠𝑡 0 𝑑𝑡 를 𝑠 에 대한 n번 미분 ℒ 𝑡 𝑛 ∙ 𝑓(𝑡) = (−1)𝑛 𝑑𝑛 𝑑𝑠𝑛 𝐹 𝑠 −𝑡 ∙ 𝑒−𝑠𝑡

(11)

예시) 𝑔 𝑡 = 𝑡 ∙ 𝑠𝑖𝑛(𝜔𝑡) 에서 𝑔 𝑡 의 라플라스변환을 구하라 (1) 라플라스변환: ℒ 𝑔 𝑡 = ℒ 𝑡 ∙ 𝑠𝑖𝑛(𝜔𝑡) (2) ℒ 𝑔(𝑡) 𝑔 𝑡 의 라플라스 변환: ℒ 𝑔(𝑡) = 𝐺(𝑠) (3) ℒ 𝑡 ∙ 𝑠𝑖𝑛(𝜔𝑡) 복소미분 정리 ℒ 𝑡 ∙ 𝑓(𝑡) = − 𝑑 𝑑𝑠 𝐹 𝑠 활용  𝑓 𝑡 = 𝑠𝑖𝑛(𝜔𝑡) 의 라플라스변환: 𝐹 𝑠 = ℒ 𝑠𝑖𝑛(𝜔𝑡) ∴ ℒ 𝑡 ∙ 𝑠𝑖𝑛(𝜔𝑡) = − 𝑑 𝑑𝑠ℒ 𝑠𝑖𝑛(𝜔𝑡) (4) ℒ 𝑠𝑖𝑛 𝜔𝑡 : 사인함수의 라플라스변환 ℒ 𝑠𝑖𝑛 𝜔𝑡 = 𝜔 𝑠2+𝜔2 From (1) ~ (4)  ℒ 𝑔 𝑡 = ℒ 𝑡 ∙ 𝑠𝑖𝑛(𝜔𝑡) ℒ 𝑔 𝑡 = − 𝑑 𝑑𝑠ℒ 𝑠𝑖𝑛(𝜔𝑡) ∴ 𝐺 𝑠 = − 𝑑 𝑑𝑠 𝜔 𝑠2+𝜔2 = 2𝜔𝑠 𝑠2+𝜔2 2 ※ 𝑛𝑜𝑡𝑒: 𝑑 𝑑𝑠 𝜔 𝑠2+𝜔2 = 𝜔 𝑑 𝑑𝑠 𝑠 2 + 𝜔2 −1 𝑠2 + 𝜔2 = 𝑡 로 치환 2s = 𝑑𝑡 𝑑𝑠 𝜔 𝑑 𝑑𝑠 𝑠 2 + 𝜔2 −1 = 𝜔 𝑑 𝑑𝑡 𝑡 −1 𝑑𝑡 𝑑𝑠 = −𝜔 𝑡 −2 ∙ 2s = − 2𝜔𝑠 𝑠2+𝜔2 2 𝜔 𝑠2+ 𝜔2

(12)

3-7. 복소적분정리  함수 𝑓(𝑡) 의 라플라스변환 𝐹(𝑠) = 𝑓(𝑡)𝑒∞ −𝑠𝑡 0 𝑑𝑡 를 𝑠 에 대해 0에서 ∞ 까지 적분하면,  𝑠∞ 𝐹 𝑠 𝑑𝑠 = 𝑓(𝑡)𝑒𝑠0∞ −𝑠𝑡 𝑑𝑡 𝑑𝑠 𝑠 에 대한 적분이므로 𝑡와 𝑓 𝑡 에 무관 ∴ 𝐹 𝑠𝑠∞ 𝑑𝑠 = 𝑓(𝑡)0∞ 𝑒𝑠∞ −𝑠𝑡𝑑𝑠 𝑑𝑡 ※ 𝑛𝑜𝑡𝑒: 𝑒∞ −𝑡𝑠 𝑠 𝑑𝑠 = − 1 𝑡𝑒 −𝑡𝑠 𝑠 ∞ = −1 𝑡𝑒 −𝑡∙∞ − −1 𝑡𝑒 −𝑡𝑠 = 1 𝑡𝑒 −𝑡𝑠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𝐹 𝑠𝑠∞ 𝑑𝑠 = 𝑓(𝑡) ∙ 1 𝑡 ∙ 𝑒 −𝑡𝑠 ∞ 0 𝑑𝑡  복소적분 정리: ℒ 𝑓(𝑡) 𝑡 = 𝐹 𝑠 ∞ 𝑠 𝑑𝑠 0 ℒ 𝑓(𝑡) 𝑡

(13)

3-8. 시간이동 정리  함수 𝑓 𝑡 − 𝑎 는 𝑓(𝑡) 𝑡 = 𝑎 만큼 이동한 그래프  𝑡 < 𝑎 에서 𝑓 𝑡 − 𝑎 = 0 인 함수 𝑓 𝑡 − 𝑎 의 라플라스변환  라플라스변환: ℒ 𝑓 𝑡 − 𝑎 = 𝑓 𝑡 − 𝑎 ∙ 𝑒0∞ −𝑠𝑡 𝑑𝑡  (𝑡 − 𝑎) 를 𝜏 로 치환: 𝑡 − 𝑎 = 𝜏 𝑡 = 𝜏 + 𝑎 적분구간 변화  양변을 𝑡에 대해 미분: 𝑑 𝑑𝑡 𝑡 = 𝑑𝜏 𝑑𝑡 𝑑𝑡 = 𝑑𝜏 • ℒ 𝑓(τ) = −𝑎∞ 𝑓 𝜏 𝑒−𝑠(𝜏+𝑎) 𝑑𝜏 = −𝑎∞ 𝑓 𝜏 𝑒−𝑠𝜏 ∙ 𝑒−𝑠𝑎 𝑑𝜏 = 𝑒−𝑠𝑎 −𝑎∞ 𝑓 𝜏 𝑒−𝑠𝜏 𝑑𝜏 ∴ ℒ 𝑓(τ) = 𝑒−𝑠𝑎 −𝑎∞ 𝑓 𝜏 𝑒−𝑠𝜏 𝑑𝜏 = 𝑒−𝑠𝑎 −𝑎0 𝑓 𝜏 𝑒−𝑠𝜏 𝑑𝜏+ 𝑓 𝜏 𝑒0∞ −𝑠𝜏 𝑑𝜏 ※ 𝑛𝑜𝑡𝑒: 𝑡 < 𝑎 에서 𝑓 𝑡 − 𝑎 = 0 이므로, τ = −𝑎, 0 에서 𝑓 𝜏 = 0 𝐹𝑖𝑛𝑎𝑙𝑙𝑦, ℒ 𝑓 𝜏 = 𝑒−𝑎𝑠 ∞ 𝑓 𝜏 𝑒−𝑠𝜏 0 𝑑𝜏 = 𝑒 −𝑎𝑠𝐹(𝑠)  환원: ℒ 𝑓 𝑡 − 𝑎 = 𝑒−𝑎𝑠𝐹(𝑠) 𝑓(𝑡) 를 𝑡 = 𝑎 만큼 이동한 그래프의 라플라스 변환 𝑡 = 0 𝜏 = −𝑎 𝑡 = ∞ 𝜏 = ∞ 0

(14)

예시) 𝑓 𝑡 = 𝑡 − 4 3 의에서 𝑓 𝑡 의 라플라스 변환을 구하라.  방법(1) : 치환적분 이용  라플라스 변환: ℒ 𝑡 − 4 3 = 0∞ 𝑡 − 4 3𝑒−𝑠𝑡 𝑑𝑡  (𝑡 − 4) 를 𝜏 로 치환: 𝑡 − 4 = 𝜏 𝑡 = 𝜏 + 4 • 적분구간 변화  양변을 t 에 대해 미분: 𝑑 𝑑𝑡 𝑡 − 4 = 𝑑𝜏 𝑑𝑡 𝑑𝑡 = 𝑑𝜏 ∴ ℒ 𝜏3 = 𝜏∞ 3𝑒−𝑠(𝜏+4) 0 𝑑𝜏 = 𝑒 −4𝑠 ∞ 𝜏3𝑒−𝑠𝜏 0 𝑑𝜏 = 𝑒 −4𝑠 3! 𝑠4 = 6𝑒−4𝑠 𝑠4  환원: ℒ 𝑡 − 4 3 = 𝑒−4𝑠 ∙ 3! 𝑠4 = 6𝑒−4𝑠 𝑠4  방법(2) 시간이동 정리 활용  시간이동 정리: ℒ 𝑓 𝑡 − 𝑎 = 𝑒−𝑎𝑠𝐹(𝑠)  주어진 함수 𝑓 𝑡 = 𝑡 − 4 3 는 𝑓 𝑡 = 𝑡3 을 𝑡 = 4 만큼 이동한 그래프  𝑓 𝑡 = 𝑡3 의 라플라스 변환 𝐹 𝑠 = 3! 𝑠4 = 6 𝑠4 ∴ ℒ 𝑡 − 4 3 = 𝑒−4𝑠ℒ 𝑡3 = 6𝑒−4𝑠 𝑠4 𝑡 = 0 𝜏 = −4 𝑡 = ∞ 𝜏 = ∞

(15)

<라플라스 변환의 정리 요약> (1) 선형정리: ℒ 𝑎 ∙ 𝑓1 𝑡 ± 𝑏 ∙ 𝑓2(𝑡) = ℒ 𝑎 ∙ 𝑓1 𝑡 ± ℒ 𝑏 ∙ 𝑓2(𝑡) = 𝑎𝐹1(𝑠) ± 𝑏𝐹2(𝑠) (2) 미분정리 (모든 초기값이 0): ℒ 𝑓𝑛(𝑡) = 𝑠𝑛 ∙ 𝐹 𝑠 𝑓 0 = 𝑓0 = ⋯ = 𝑓(𝑛−1) 0 = 0  1계 미분 (n=1): ℒ 𝑓′(𝑡) = 𝑠 ∙ ℒ 𝑓(𝑡) − 𝑓 0 = 𝑠 ∙ 𝐹 𝑠 − 𝑓(0)

 2계 이상 미분 (n≥2): ℒ 𝑓𝑛(𝑡) = 𝑠𝑛 ∙ 𝐹 𝑠 − 𝑠 𝑛−1 ∙ 𝑓 0 − 𝑠 𝑛−2 ∙ 𝑓′ 0 − ⋯ − 𝑓(𝑛−1) 0 (3) 초기값 정리: lim 𝑡→0𝑓(𝑡) = 𝑓 0 = lim𝑠→∞ 𝑠 ∙ 𝐹 𝑠 (4) 최종값 정리: lim 𝑡→∞𝑓 𝑡 = lim𝑠→0 𝑠 ∙ 𝐹 𝑠 (5) 적분정리 (모든 초기값이 0 이면): ℒ … 𝑓(𝑡) 𝑑𝑡 = 1 𝑠𝑛 ∙ 𝐹 𝑠  1차 적분: ℒ 𝐹(𝑡) = 1 𝑠 𝐹(𝑠) + 1 𝑠𝑓 (−1) 0  2차 이상 적분: ℒ … 𝑓(𝑡) 𝑑𝑡 = 1 𝑠𝑛𝐹 𝑠 + 1 𝑠𝑛𝑓 −1 0 + 1 𝑠(𝑛−1)𝑓 −2 0 + ⋯ + 1 𝑠 𝑓 (−𝑛)(0) (6) 복소미분 정리 (𝑠 에 대한 n번 미분): ℒ 𝑡𝑛 ∙ 𝑓(𝑡) = (−1)𝑛 𝑑𝑛 𝑑𝑠𝑛𝐹 𝑠 (7) 복소적분 정리: 𝑓(𝑡) 𝑡 = 𝐹(𝑠) ∞ 𝑠 𝑑𝑠 (8) 시간이동 정리: ℒ 𝑓 𝑡 − 𝑎 = 𝑒−𝑎𝑠𝐹(𝑠) 𝑓(𝑡) 를 𝑡 = 𝑎 만큼 이동한 그래프의 라플라스 변환

참조

관련 문서

이처럼 퇴치 소리에 대한 조류의 반응에 따라 동적으로 퇴치 소리의 재생 순서를 결정하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소리들을 이용하여 최대한 적응을 방지할 수 있을

기존에 연구가 진행된 혈액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 정상인에 비해 당뇨 환자의 일반타액단백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었고, 이번 실험을

[r]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

26) Charles Dempsey, Poussin and Egypt , in: Art Bulletin, Vol.. 즉 , 1650 년대의 일부 순간에 따르면 푸생 자신이 성립한 완숙도는 고전적인 또는 성서의 장면을

미발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미발행 석사학위논문,

Electronic properties of graphitic carbons Graphite is a well-known electric conductor in industry. Contacts in

우석대학교 공자아카데미 又石大学孔子学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