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07개정음악과교육과정에의한중3교과서국악영역분석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07개정음악과교육과정에의한중3교과서국악영역분석연구"

Copied!
4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0 1 2 년 2 월

교육학석사( 음악교육) 학위논문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3교과서 국악영역 분석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오 찬 화

(2)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3교과서 국악영역 분석 연구

A n Analytical Study on Korea Traditional Music Units in the 9th Grade Music Textbooks of Revised

Curriculum of 2007

2012년 2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오 찬 화

(3)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3교과서 국악영역 분석 연구

지도교수 김 혜 경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 음악교육) 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1 년 10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오 찬 화

(4)

오찬화의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 지 현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김 혜 경 인

심사위원 조선대학교 교수 박 계 인

2011 년 12 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5)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 1

2. 연구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1.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 4

2.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 7

Ⅲ. 중학교 3학년 국악 분석 ··· 12

1.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제재곡 분석 ··· 12

2. 중학교 3학년 5종 음악교과서 국악영역 분석 ··· 15

1)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15

2) 국악 악곡 종류에 따른 분석 ··· 22

3) 장단에 따른 분석 ··· 27

4) 지역별 민요 분석 ··· 31

Ⅳ. 결 론 ··· 36

참 고 문 헌 ··· 38

(6)

표 목 차

<표 1> 중학교 3학년 내용체계 ··· 9

<표 2> 5종교과서의 출판사와 저자명 ··· 12

<표 3> 중학교 3학년 5종 출판사 별 국악 제재곡 수 ··· 13

<표 4> 중학교 3학년 5종 교과서 제재곡 백분율 비교 ··· 14

<표 5> (주)금성출판서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16

<표 6> 더텍스트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17

<표 7> (주)미래엔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19

<표 8> 성안당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20

<표 9> 현대음악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 22

<표 10> 5종교과서 악곡 종류에 따른 제재곡 분류 ··· 23

<표 11> 악곡 종류에 따른 제재곡 악곡 수 ··· 25

<표 12> 출판사에 수록된 제재곡 장단 분류 ··· 27

<표 13> 다음은 장단에 따른 악곡 수 ··· 29

<표 14> 지역별 제재곡 분류표 ··· 31

<표 15> 5종 교과서 민요 지역별 제재곡 분류 ··· 33

(7)

그 림 목 차

[그림 1] (주)금성출판사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그래프 ··· 15

[그림 2] 더텍스트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그래프 ··· 17

[그림 3] 미래엔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그래프 ··· 18

[그림 4] 성안당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그래프 ··· 20

[그림 5] 현대음악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그래프 ··· 21

[그림 6] 장단의 구성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1 ··· 30

[그림 7] 지역별 민요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1 ··· 34

[그림 8] 지역별 민요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2 ··· 35

(8)

ABSTRACT

AnAnal yt i c alSt udyonKor e at r a di t i onalmus i cUni t si n t heNi nt hGr adeMus i cTe xt booksofRe vi s e d

Cur r i c ul um of2 0 0 7

Chan-HwaOh

Advisor:Prof.Hye-GyeongKim MajorinMusic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 ChosunUniversity

Musichasbeen apartoflifeamong theKorean peoplesincethebeginning.In fact,musicisin aninseparablerelationshipwiththem asithasaccompaniedthem when they arehappy orsad aswellasin everyday life.Knowing Korean music thus means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life.However,the Korean people tend toforgeteasily thevalueand importanceoftheirtraditionalmusic,and itis regarded as non-mainstream.Som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Music have been appointed as the World CulturalHeritage by UNESCO such as Pansori, Jongmyojeryeak,Gagok,and Korean circle dance,which means that Korean TraditionalMusic has been recognized forits value and thus emphasizes on the

(9)

importance ofkeeping and preserving itas partoftraditionalKorean culture.In the past,Korean TraditionalMusic was taught in similar academic system as Western music.Now istimetocomeupwith morepracticaleducationalplansfor itbasedonKoreanideasandtraditions.

The Revised Curriculum of2007 reflects socialand cultural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putsan emphasison theaccuratedelivery ofKoreaTraditionalMusic andKoreaTraditionalMusiceducation.

Thus this study setoutto examine the educationalprinciples ofthe Revised Curriculum of2007according toitsnature,objectives,andcontentandanalyzefive 9htgrademusictextbooks forfrom fivedifferentpublisherstobefirstintroduced in 2012according totheRevisedCurriculum of2007in termsofKoreaTraditional Musicunits.

Thestudy firstexamined with thefocuson revision,objectivesand contentof RevisedCurriculum of2007.Itthencategorizedthecontentbasedonthebig areas ofthepieces and music curriculum,namely,activities,understanding,and making music part of everyday life,based on the topics,as wellas presented it in percentage.Italso examined the music textbooks to see whetherthey contained Gukak pieces of diverse genres,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genres, and investigatedthebeatsusedinthem.Finally,folksongs,whichrecordedthehighest in percentagein thefolk musicunitsin themusictextbooks,weredividedamong differentregionsandanalyzed.

The study results willhopefully provide basic data for the teachers to give efficient Korea Traditional Music lessons in school and set criteria for the organizationoftextbookcontent.

(10)

Ⅰ. 서 론

1. 연구 목적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음악과 삶을 함께 해왔다. 우리의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기쁠 때나 슬플 때, 우리민족은 음악과 자연스레 함께해온 민족이다. 이렇듯 우리나라 음악 을 알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문화와 삶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음 악이 고리타분한 음악으로 인식 되면서 우리 음악의 가치와 중요성을 잊고 살고 있다.

음악에 장르에 대한 다른 연구에서도 국악에 대한 인식은 ‘고리타분하다’, ‘어렵다’ 등 부정적인 인식이 많음을 볼 수 있다(김원숙, 1982; 조용복, 1992; 주혜정, 2006; 한안 식, 1983).

오늘날 우리 음악인 종묘제례악, 판소리, 강강술래, 가곡 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 산으로 지정되고1), 가치를 인정받은 만큼 우리의 전통문화를 지키고 보존하는 것이 중 요하다. 과거 우리 음악을 서양음악의 학문적 체계에 의해 우리 음악을 가르쳤다면 우 리 사상 및 전통을 바탕으로 좀 더 실제적이 교육 방안이 필요할 때이다.

7차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 정보화ㆍ세계화ㆍ다양한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 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 교육을 강조하였다. 우리의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 한 시대, 양식 문화권의 음악을 접하여 우리의 음악 문화유산과 다른 나라의 음악 문 화유산을 비교하여 각 음악 문화의 음악적 특질과 그 역사적ㆍ문화적 가치를 이해함으 로써 우리의 음악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도록 한다 (교육인적자원부, 1997: 69).

1) 2003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 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이다. 여기에 우리 전통 문화 중 종묘제례악은 2001 년, 판소리는 2003년, 강강술래는 2009년, 그리고 가곡은 2010년에 각각 등재 되었다.

(11)

위의 내용에서 7차 교육과정에서 음악교과는 국악 교육을 필요성을 강조하였지만, 국악교육이 양적으로 확대되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볼 수 없다. 우리 음악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악 특유의 표현방법 또는 생소한 민요 등으로 인해 현직에 있 는 음악교사 역시 국악 부분을 지나치거나 서양 음악의 체계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는 등 여전히 국악교육은 기존은 음악교육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국악교육이라는 키워 드로 선행연구를 고찰해보면, 국악교육은 필요하나 여건이나 교사의 지도능력 부족으 로 인해 등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김지은, 2004; 이은주, 2010; 이진아, 2009).

그러므로 7차 교육과정을 수정ㆍ보완하여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음악교과에서의 국악 교육은 다음과 같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139).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 문제로 제기되어온 국악 내용 의 구체화 작업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번 개정의 방향에 맞게 국악 교육 내용을 선별, 체계화 하면서도 교사들에게 그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세화 하였다.

이에 국악에 대한 정확한 전달과 국악교육을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느끼게 해주 어야 한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음악과 교육 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중이다. 2010년 중학교 1학년의 시작으로 2011년 중학교 2학년, 2012년 중학교 3년으로 점차 확대 되었다. 2011년 현재 중학교 2학년 이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처음으로 적용된 해이다. 2012년에는 중학교 3학 년에서 개정 교과서가 적용될 예정이므로 이에 대한 분석ㆍ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더 욱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악교육은 국악 내용을 구체화 하였으며, 국악의 의미 를 올바르게 전달하며, 우리 음악의 교수법에 맞게 가르칠 것을 강조하고 있고,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새로운 교과서에 대한 국악 내용을 분석함으 로써 교육과정을 나누어 반영 하였는지, 또한 새로운 교과서에서의 국악 내용을 파악 하고, 국악에서만 분류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분석하여 교육내용을 알아보는데 목적 을 두고 있다.

(12)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문헌의 조사 방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의 국악 영역의 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을 통해 개정교육과정의 교육 방침을 알아보며,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의 국악 영역을 5종 전시본을 활동ㆍ이해ㆍ생활화로 구분하여 영역간의 구성 비율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 과서의 국악 수록곡 중에서 장르별, 장단별로 나누어 다양한 곡으로 구성 되었는지 살 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민속 음악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민요를 지역 별로 나누어 특징을 표로 제시하여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곡의 내용을 이해하고 파악 하여 분석한다.

(13)

Ⅱ. 이론적 배경

1.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2)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제 7차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 및 체재를 유지하며 사 회적ㆍ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것으로,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학교 음악 교육이 지향하 는 기본 철학과 목표, 그리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시키기 위한 음악 교육의 내용과 방 법, 평가의 내용들을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서로,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시대 적 변화를 읽고, 학문적 발달과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음악과 교육과정에 반 영하기 위한 개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구체적인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역할 및 음악 교육의 효과를 강조하였다. 음악은 인간에게 미적 경험 과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도 기여하며, 공동체의 가치와 문화 를 전승하여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통합에 기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악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은 곧 음악 교육의 본질이자 내용이 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음악, 음악 교과서의 이러한 역할과 효과를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분명하게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의도가 음악과의 내용과 방법 및 평가 영역에 모두 반영되도록 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의 적정화를 추구하였다. 내용의 적정화는 내용의 양과 수준 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내용 양의 적정성은 조정 수업 시수와 중복되는 내용이나 유사 개념을 고려해 내용을 선별,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개정 교

2)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체육, 음악, 미술)」교육인적자원부 고시 공 고 제2007-79호를 요약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음.

(14)

육과정에서는 가창, 기악 등의 활동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부분을 통합하여 공통 내 용으로 제시하고,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각 활동에 고유 한 내용만을 선별하여 지시함으로써 양의 적정화를 이루려고 노력하였다. 이해 영역의 경우,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년별로 필요한 내용만을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육과 정 내용상의 양적 적정화를 추구하였다.

내용 수준의 적정선 조정은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학년 별로 필수적으로 지도해 야 하는 내용만을 선별하여 제시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동일한 음악적 개념을 학년별 위계(位階)를 두어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용이 점점 어려워 졌으 나,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필요한 개념이나 활동 내용만을 선정하여 위계화 함으로써 학년별로 지도해야 할 내용도 분명해지고 양과 수준의 적정화를 이루게 하였다.

셋째,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 향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는 일찍부터 요구되었지만 그것을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 것인 지에 대한 고민은 그다지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번 교육과정 개정 에서는 이전 교육과정에서 문제로 제기되어 온 국악 내용의 구체화 작업에 중점을 두 었으며, 이번 개정의 방향에 맞게 국악 교육 내용을 선별, 체계화하면서도 교사들에게 그 의미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상세화 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활동 영역의 시 조의 초장, 창작 국악곡 한 대목 듣고 따라 부르기, 판소리 한 대목 듣고 따라 부르기, 가곡 초장 듣고 따라 부르기 등 이러한 내용들은 ‘교수ㆍ학습 방법’의 내용 영역별 지 도상의 유의점에서 국악 학습을 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내용에 상세하게 제시되었다.

넷째, 음악 교육의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학교에서 배우는 음악과 학생들이 향유하는 음악이 분리되어 왔고, 이러한 분리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교육과정에는 반영되지 못했다. 때문에, 학교에서 배우는 음악이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음악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생활화를 대 영역 으로 제시하였다. 생활화 영역에 대한 학습은 평가를 통해서보다는 학생의 자발성과 음악적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음악

(15)

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 것부터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학교 내외에서의 음악 행 사에 참여하기, 학교 내외에서 음악 발표하기 등 학교에서 활동할 수 있는 생활화 내 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수용하도록 하였다. 세계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세계의 다양한 문화의 이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세계 음 악 문화에 대한 이해력 증진은 이제 음악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경험하도록 장려하고 있지 만, 교육과정 상에 나타난 음악들은 우리나라와 서양의 전통 음악이 주류를 이루고 있 다. 이러한 내용적 한계를 극복하여 다양한 문화권과 시대, 그리고 다양한 매체를 활 용한 음악까지 폭넓게 수용하고, 학교 여건 등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학생들이 이들 음 악을 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서 그 내용을 다양하게 포함하였다.

여섯째, 음악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택 과목 교육과정은 학생의 소양 증진과 함께 진로ㆍ적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에서 운영되는 것이다. 학생의 소양 증진을 위해 다양한 장르와 매체의 음악을 접할 수 있도록 내용 을 구성해야 하며, 진로ㆍ적성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의 경험과 수준, 진로를 고려하여 심도 있는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선택 과목에 대한 교육과정 개정은 선택 과목의 구체적인 내용에 중점을 두고 이루어졌다.

위의 내용은 포괄적이고 연계성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우리 음악 문화의 창달을 위 한 국악교육, 활동 중심의 음악 교육, 문제 해결력과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음악 교육, 타당성 있는 음악과 평가 등의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 및 체재 유지하 면서 이후 국가ㆍ사회 및 문화적 변화와 학문적 발달, 그리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 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16)

2.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분석

3)

1) 음악과 성격

가. 음악의 본질

음악은 사람의 느낌과 생각을 소리를 통해 표현하고 향수하는 예술로, 예로부터 인 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쳐 왔다. 사람은 음악 활동을 통하여 미적 경험과 즐거움을 얻 고 잠재된 음악성과 창의성을 계발하며 음악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인식함으로써 자 아실현의 가능성과 삶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된다.

나. 음악교과의 본질

음악 교과는 학생에게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고 음악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과 음악성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를 함양하도록 체계적으로 도와줌으로써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교과이다. 그러므로 음악을 느끼게 하고, 음악의 기본 감각과 기초 기능을 기르며, 음악 경험의 질적 향상과 다양화를 위해 탐 구하고 연마하도록 하는 한 편, 창의력을 발휘하면서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수용하도록 지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 음악 교과의 목적

3)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체육, 음악, 미술)」교육인적자원부 고시 공 고 제2007-79호를 요약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음.

(17)

음악 교과는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스스로 경험하게 하며, 그러한 경험을 통하여 음악적 능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애호심을 함양하게 함으로써 음악의 가치를 인식하고 생활화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둔다.

2) 목 표

다양한 악곡 및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고, 음악의 기본 능력 과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와 음악을 생활 화 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중학교 교육과정의 음악과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형식의 악곡과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한다.

둘째. 음악을 개성 있게 표현하고, 악곡의 내용과 구조를 파악하면서 감상하게 한다.

셋째. 다양한 음악 개념과 기본적인 기보 체제를 이해하게 한다.

넷째. 음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3) 내용

2007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활동, 이해, 생활화의 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활동영역에서는 표현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가 있고, 이해 영역으로는 리듬, 장단, 화성, 형식, 악기종류와 음색, 악곡의 특징, 악곡의 종류로 나누어져 있다. 생활화 영역은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독립된 영역 으로 구분되어 있다. ‘생활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의 음악 활동을 통하여 습득된 창의적, 예술적, 능력을 일상생활 속에 적용ㆍ실천함으로써 개인과 공동체로 하여금 보다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다. 중학교 3학년 (9학년) 내용을 살펴보 면 다음<표 1>과 같다.

(18)

학년

영역 9학년

활 동

표현하기

ㆍ악곡의 특징을 살려 표현하기 ㆍ지휘에 맞추어 표현하기 ㆍ악보 보고 표현하기

노래 부르기

ㆍ가곡, 민요 부르기

ㆍ판소리 한 대목 듣고 따라 부르기 ㆍ다른 나라(아메리카) 노래 부르기 ㆍ간단한 3부 합창하기

악기 연주하기

ㆍ가락 악기로 연주하기 ㆍ합주하기

음악 만들기

ㆍ즉흥적으로 표현하기 ㆍ다양한 형식의 가락 짓기

ㆍ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재구성하기 ㆍ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ㆍ악곡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며 감상하기

ㆍ여러 문화권의 음악 비교하며 감상하기 ㆍ다른 예술과 관련성 탐색하기

이 해

리듬 없음

장단 ㆍ여러 가지 장단

가락 없음

화성 없음

형식 ㆍ주제와 변주, 푸가, 확대 형식 악기의

종류와 음색 없음

악곡의 특성 없음

<표 1> 중학교 3학년 내용체계

(19)

악곡의 종류

ㆍ시대에 따른 악곡의 종류

(근ㆍ현대 국악, 공통 관습 시대의 음악, 현 대 음악 등)

생 활 화

ㆍ음악을 즐기는 태도

ㆍ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

ㆍ학교 내외의 음악 행사에 참여하기 ㆍ학교 내외에서 음악 발표하기 ㆍ생활 속에서 음악 활용하기

ㆍ사회 속에서 음악의 역할 탐구하기

가. 활동

교육과정 활동 영역에서 ‘표현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표현하기’는 노래와 연주 활동 영역에 공통적으 로 포함되는 학습요소를 규정한 것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활동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활동 영역은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감상하기’ 이 네 가지로 이해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수업계획을 수립할 때 에도 ‘표현하기’를 독립적인 활동으로 다루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첫 부분에 제시된 ‘표현하기’의 학습요소는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하기’

영역의 학습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하되, ‘표현하기’ 학습 요소의 성취는 학생이 보다 수 월하게 요소를 표현할 수 있는 하위 학습 영역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이해

교육과정에는 이해 영역이 통합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좀 더 체계적인 설명을 위해 유사한 요소들을 리듬, 장단, 화성, 형식, 악기의 종류와 음색, 악곡의 특징, 악곡의 종 류로 범주화 하였다.

(20)

다. 생활화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내용 체계에서 ‘생활화’영역을 별도의 독립된 영역 으로 구분ㆍ제시하고 있다. 음악활동은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누릴 수 있는 일반 적인 예술 활동이다. ‘생활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의 음악 활동을 통하여 습득된 창의적, 예술적 능력을 일상생활 속에 적용ㆍ실천함으로써 개인과 공통체로 하여금 보 다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있다.

(21)

호 출판사 저자

1 (주)금성출판사 양종모, 우광혁, 신현남, 윤성원, 김한순, 독고현

2 더텍스트 김미숙, 김혜선, 권혜인

3 (주)미래엔 장기범, 송무경, 임원수, 김유경, 김경태

4 성안당 정욱희, 설창환, 이희종, 이내선, 유대안, 이정원, 최청와 5 현대음악 윤경미, 장보윤, 곽은순, 곽성원

Ⅲ. 중학교 3학년 국악 분석

1. 중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제재곡 분석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적용한 새로운 개정 음악교과선 2010년부터 출간되 었다. 즉 중1 음악교과서는 2010년에 16종의 교과서가 편찬되었고, 중2 음악교과서는 2011년에 8종의 교과서가 편찬 되었으며, 곧이어 중3 음악교과서는 2012년에 5종이 출간될 예정이다.4) 다음 <표 2>는 교육현장에 적용될 중학교 3음악 5종 교과서의 출 판사와 저자명이다.

<표 2> 5종교과서의 출판사와 저자명

2012에 출간되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 분석은 교과서에서 국악영역이 차지하는 비 중, 국악 곡을 개정교육과정의 대영역인 활동, 이해, 생활화로 분류하였다. 또 대영역

4) 본 연구자는 출판사 이름을 토대로 교과서를 명명하였다.

(22)

출판사 총 제재곡 수

국악 제재곡

그 외 제재곡 (주)

금성출판사 56곡 14곡 42곡

더텍스트 81곡 25곡 56곡

(주) 미래엔 61곡 18곡 43곡

성안당 52곡 17곡 35곡

현대음악 83곡 26곡 57곡

평균 66.6곡 20곡 46.6곡

에서 분류되는 세부적인 내용 포함하였다. 출판사별 제재곡의 구성에 차이가 있어 5종 교과서에 제시된 악곡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참고곡의 경우에도 출판사별 로 제시가 되지 않은 경우도 있어 모두 제외하였다. 다음 <표 3>은 출판사 국악 제재 곡 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중학교 3학년 5종 출판사 별 국악 제재곡 수

위의 <표 3>에서 나타나듯이 5종 출판사의 총 악곡수의 평균은 66.6곡, 국악 제재 곡도 평균 20곡이다.

(주)금성출판사는 총 56의 제재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악 제재곡은 14곡으로 교과 서의 구성과 특징은 8개의 큰 단원으로, 국악 제재곡이 있는 3단원 다른 나라의 음악 단원을 제외한 1ㆍ2ㆍ4ㆍ5ㆍ6ㆍ7ㆍ8에 각 단원에 맞는 제재곡이 포함되어 있다. 내용 역시 제재곡, 음악의 역사, 생활 속의 음악 등 다양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 하였으며, 학습 요점 및 노래의 이해, 활동 등을 통해 학습을 방향을 제시하였다.

더텍스트는 총 81곡의 제재곡으로 구성되었으며, 국악 제재곡은 25곡으로 교과서의 구성과 특징은 12개의 큰 단원으로, 국악 제재곡은 독립된 단원으로 분류되어 있다. 2 단원 흥겨운 우리가락, 4단원 신명나는 우리장단, 6단원 우리 민요 좋을시고, 8단원 국악 소리 여행, 10단원 춤추며 노래하며, 12단원 우리나라 악기 여행의 단원에 국악

(23)

(주)금성 출판사

더텍 스트

(주)미래

엔 성안당 현대

음악 평균

국악 제재곡 25 32 29.5 32.6 31.3 30.1

국악 제재곡

외 75 68 70.5 67.4 68.7 69.9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제재곡이 포함되었으며, 학습 목표, 악곡의 길잡이, 음악 이야기, 음악의 생활화 등을 다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미래엔은 총 61의 제재곡으로 국악 제재곡은 18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악 제 재곡이 포함된 단원은 총 6개의 단원에 포함되어 있다. 이 교과서의 특징을 노래 부르 기, 악기 연주하기, 감상하기, 음악 만들기, 국악배우기 다섯 가지 영역으로 활동ㆍ이 해ㆍ생활화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이 교과서의 경우 국악배우기라는 영역이 따 로 분리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성안당은 총 제재곡은 52곡으로 국악 제재곡은 17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단원은 9단원으로 국악단원은 따로 분리되어 독립된 단원을 가지고 있다. ‘2단원 우리 소리’,

‘우리음악’, ‘5단원 아리랑을 아시나요’, ‘8단원 창작 국악이 좋아요’ 3단원으로 안에 국악 제재곡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단원별로 학습요점, 생각하기, 알아보기, 나아가기, 탐구활동, 생활 속의 음악 등의 순서로 구성되어 단계적 학습을 유도하였으며, 보충ㆍ 심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현대음악은 총 83곡의 제재곡과 국악 제재곡은 2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과서의 단원은 8개의 큰 단원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국악은 ‘4단원 음악으로 아메리카를 여행 해요’를 제외한 다른 단원에 포함되어 있으며, ‘3단원은 우리 음악의 멋을 느껴요’라는 독립된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과서는 활동ㆍ이해ㆍ생활화에 맞추어 단원을 구 성한 것이 특징이다. 다음 <표 4>는 보다 수록된 제재곡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 백분율로 변환한 수치이다.

<표 4>중학교 3학년 5종 교과서 제재곡 백분율 비교

※소수점 첫째자리 까지 표기함

중학교 3학년 5종 교과서의 국악 제재곡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29.8 곡으로

(24)

나타났다. 가장 국악 제재곡의 비율이 높은 출판사는 성안당이며, 가장 낮은 출판사는 (주)금성출판사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출판사가 평균이상이거나 평균에 가까운 수치를 보이고 있는 반면 (주)금성출판사는 국악 제재곡의 비율이 다른 출판사들보다 현저히 낮음을 볼 수 있다.

2. 중학교 3학년 5종 음악교과서 국악영역 분석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음악활동과 음악에 대한 3가지 대 영역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통합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음악교과서의 내용도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 역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지만, 과거와 달리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을 지향하고 있어 세 가지 영역을 구분하기란 어렵다(김청아, 2011: 36). 따라서, 5종 교과서의 악 곡 구성에 차이가 있어 분석에는 감상곡에 제시된 다양한 국악곡들은 포함시켰으며, 참고곡이나 제시곡은 제외하였다.

1)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가. (주) 금성출판사

금성출판사의 전체 내용 중 국악 제재곡이나 내용은 25%에 해당한다. 활동에 해당 하는 곡은 8 , 이해영역은 5, 생활화 영역은 1이다. 다음[그림 1]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에 대한 비율 그래프이다.

[그림 1] (주)금성출판사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25)

대 영역 소 영역 제재곡

활동

노래 부르기

진도아리랑, 강원도아리랑, 생일전날, 신고산 타령, 부 여 바심 소리,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악기

연주하기 산조가야금 연주하기, 아이보개

이해

감상하기

상고ㆍ삼국시대(범패)

고려시대(보허자, 문묘제례악)

조선 전ㆍ후기시대(종묘제례악, 가야금 산조) 근ㆍ현대시대(송광복, 만수산 드렁칡)

생활화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

활동영역에는 노래 부르기와 악기연주하기, 감상, 이해는 우리나라 음악의 역사, 가 곡에 대한 이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생활화 영역에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에 대해 담겨 있다. 활동영역의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를 제외시키면 활동에 감상 영역 이 있지만 이해와 생활화의 대 영역에서도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내용으 로 보았을 때, 국악 곡의 비율은 낮았지만 곡의 구성은 다양하게 교육과정과 연관 지 어 잘 구성 되었다.

또한 활동영역 손으로 가락선을 그리며 시김새를 익히기, 율동과 함께 장단 익히기 등 다양한 활동과 이해 영역에서의 관련 사진 삽화와 참고곡의 악보가 수록되었으며, 다른 영역과 연계되는 학습활동 하도록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주)금성출판사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금성출판사에서는 국악영역의 생활화 부분이 내용도 없을 뿐만 아니라 독창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여진다.

나. 더텍스트

(26)

대 영역 소 영역 제재곡

활동 노래 가시버시 사랑, 꽃분네야, 쾌지나 칭칭나네, 상주 모

더텍스트는 전체 81곡 중에서 국악 내용이 담긴 곡은 26곡으로 32%에 해당한다.

활동에 해당하는 국악 곡은 16, 이해영역은 7, 생활화 영역은 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그림 2]는 활동ㆍ이해ㆍ생활화에 대한 비율 그래프 이다.

[그림 2] 더텍스트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활동영역에서는 노래 부르기와 악기연주하기, 감상영역이 있으며, 악기 연주하기에 서는 변형장단을 연주하기, 단소 연주가 구성되어 있다. 감상영역 또한 국악 창작곡과, 노동요, 남사당놀이, 가곡 ‘우락’, 종묘제례악이 있다. 생활화 영역은 국악 연주 이렇게 감상하기, 영화와 드라마로 만나는 우리나라 전통음악, 광고 속 전통음악의 단원으로 생활화의 영역 말 그대로 우리 생활 속에서의 국악을 찾아보는 내용이 담겨 있다. 활 동과 이해 생활화 영역에 관련된 사진과 이해영역을 돕기 위해 만화가 삽입됐으며,

‘음악 이야기’ 라는 내용을 수록하여, 관련된 곡에 대한 간단한 음악적 상식 또는 학습 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 되었다(<표 6>참조). 전체적으로 국악곡이 많이 담겨져 있지만, 이해영역의 국악 창작곡에 참고곡으로 2000년 이후의 최근 국악 창작 곡이 제외된 점이 보완되어야 한다.

<표 6> 더텍스트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27)

부르기

심기 소리, 이어도 사나, 새타령, 판소리 춘향가 中 쑥대머리, 천안삼거리, 경복궁 타령, 탈춤추세, 풍년 놀이, 당징지

악기

연주하기 변형장단 연주하기, 단소 연주

이해 감상하기

창작국악(토성의 달무리, 세우영) 노동요

남사당 놀이 가곡(우락) 종묘제례악

생활화 없음

다. (주)미래엔

(주)미래엔의 전체 내용 중 국악 내용은 29.5%로 5종교과서 평균에는 조금 못 미치 는 수치이다. 전체 61곡 중에서 활동 14, 이해 3, 생활화 1로 구성 되어 있다. 다음 [그림 3]은 활동ㆍ이해ㆍ생활화에 대한 비율 그래프 이다.

[그림 3] (주)미래엔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활동영역은 노래 부르기로 민요와 판소리 부르기 등과 악기 연주로는 여러 가지 장

(28)

대 영역 소 영역 제재곡

활동

노래 부르기

소금장수, 강원도 아리랑, 신고산 타령, 군밤타령, 새 타령, 해주 아리랑, 아름다운 나라,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한강수 타령, 멸치 후리는 소리, 햇빛소 리

악기

연주하기 변형장단 만들기, 여러 가지 장단, 소금 연주하기

이해 감상하기

단가(진국명산) 근ㆍ현대사 국악

자랑스러운 전통문화 유산

생활화 없음

단 연주하기, 소금 연주하기가 담겨 있다. 이해 영역은 근ㆍ현대음악의 이해, 자랑스러 운 전통문화 유산, 선비의 음악 가곡이 구성되어 있다(<표 7>참조).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한 만화의 삽입은 좋았으나 설명이 너무 간단하며, 변형장단을 직접 만들어 보는 내 용을 제외하면 장단을 치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하기 등 좀 더 흥미를 유발할 수 있 는 다양한 활동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 생활화 영역은 다양한 지역문화 축제 알아보 기로 다소 국악의 생활화 부분이 많이 부족하였다.

<표 7> (주)미래엔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라. 성안당

성안당의 전체 내용 중 국악 곡의 비율은 32.6%로 5종교과서의 평균보다 조금 더 국악내용을 담고 있다. 전체 악곡 52중에서 국악 곡은 17곡으로, 활동 9, 이해 5, 생 활화 3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활동ㆍ이해ㆍ생활화의 3가지 영역의 전체 구성 비율 이 적당하다. 다음[그림 4]는 활동ㆍ이해ㆍ생활화에 대한 비율 그래프 이다.

(29)

대 영역 소 영역 제재곡

활동

노래 부르기

뱃노래,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태평가, 둥당애 타 령, 니리구 얼싸, 서우젯 소리, 아리랑, 어디로 갈까 악기

연주하기 가야금 연주법 이해 감상하기 시대에 따른 악곡

[그림 4] 성안당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국악 단원이 분리되어 수록되었으며, 각 단원은 활동ㆍ이해ㆍ생활화를 서로 연계하 여 통합학습을 활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보충ㆍ심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각 단원이 들어가기 전에 관련된 사진과 삽화를 그려 넣어 단원의 목표와 활동 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성안당은 활동영역은 노래 부르기는 민요와 판소리, 악기 연주하기는 가야금 연주법 을 배워보는 단원이 들어가 있다. 특히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이 동시에 담고 있는 다양한 아리랑은 단원은‘아리랑’, ‘아리랑의 발자취’, ‘전통아리랑’, ‘생활 속 아리랑’,

‘오늘날 아리랑’ 아리랑이라는 주제로 한 단원으로 묶어 3가지 영역을 통합적인 수업 활동을 하기에는 적합한 단원이다(<표 8>참조). 다만, 아리랑의 단원이 비중을 너무 차지한 나머지 다른 국악 이해영역의 구성이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하겠다.

<표 8> 성안당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30)

창작국악 감상하기(방황, 섬진강) 다양한 아리랑(전통아리랑)

생활화 다양한 아리랑(오늘날 아리랑, 생활속 아리랑)

마. 현대음악

현대음악은 전체 83곡으로 가장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그 중에서 국악은 26곡, 31.3%로 구성하고 있다. 활동ㆍ이해 영역은 많은 악곡을 다루고 있어 교육과정에 충 실 하려는 것이 보이나 국악의 생활화 영역이 제외된 국악 통합수업을 하기에는 부족 해 보이며, 생활화영역에 대한 부분이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 다음 [그림 5]는 활동ㆍ 이해ㆍ생활화에 대한 비율 그래프 이다.

[그림 5] 현대음악 활동ㆍ이해ㆍ생활화 영역 비율

현대음악은 전체 많은 악곡 수와 더불어 국악영역 역시 생활화 영역의 부재로 활동 과 이해의 영역의 구성이 매우 다양하며, 관련된 사진자료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활 동영역의 경우 민요 판소리 뿐 아니라 가락 지어 즉흥연주, 풍물 연주, 춤 등이 구성 되어 있으며, 이해 영역 또한 우리나라의 춤, 가곡, 국악의 형식, 역사, 문묘 제례악 등 다양한 곡으로 구성하고 있다. 특히 3단원 ‘우리 음악의 멋을 느껴요’는 각 지역의 대 표적 민요를 부르면서 지역의 특징을 잘 설명되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 이해 영

(31)

대 영역 소 영역 제재곡

활동

노래 부르기

뱃노래, 오돌또기, 춤, 한강수타령, 풍구타령, 새타령, 쾌지나 칭칭나네, 양청도드리, 자진 농부가, 판소리 심 청가 中 어화둥둥

악기

연주하기 풍물연주, 가야금 연주, 아름다운 나라

이해 감상하기

우리나라 춤음악 가곡 (편락)

문묘제례악, 보허자, 여민락

창작국악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 8주자를 위한 추초문)

생활화 없음

역의 감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 8주자를 위한 추초문 등 매우 다양 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표 9>).

<표 9> 현대음악 활동ㆍ이해ㆍ생활화 분석

5종 교과서를 전체적으로 분석해 활동ㆍ이해ㆍ생활화를 비교해 보면, 활동영역이 가 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해, 생활화 순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마다 조금의 차이 있지 만 전체적으로 활동영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국악 생활화 영역은 구성의 비율 도 낮을 뿐 아니라 생활화 영역이 없는 교과서도 있어 교육과정에 맞는 활동ㆍ이해ㆍ 생활화를 연관 지어 수업을 하는 것은 아직 국악영역에서는 어려워 보인다. 그러므로 국악 생활화 영역에 대한 다양한 내용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국악 악곡 종류에 따른 분석

우리나라 음악은 크게 전통음악과 창작음악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전통음악 은 통일안(국악교육협의회, 1996)에 의해 궁정음악, 선비음악, 민속음악, 종교음악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궁중음악은 궁중을 중심으로 생성·발전한 음악으로 제례ㆍ연향ㆍ조회ㆍ군례악 등 다

(32)

출판사 구분 제재곡

(주)금성 출판사

전 통 음 악

궁정음악 보허자,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선비음악 소년 행락이 다진커든

민속음악

진도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신고산 타령, 부 여바심소리,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범패, 산조

양한 궁중의 행사에 사용되었던 음악이다. 역사적으로 궁중음악은 삼국시대, 고려의 음악은 자료나 음악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고 조선 이후, 보통 15세기 이후의 음악이 궁중음악에 해당된다. 선비음악은 음악의 발생장소와 수용층이 궁중이 아닌 민간의 음악을 말하는 것으로 궁중음악의 대치개념으로 쓰이며, 민속음악은 궁중 음악에 비해 종류가 다양하다. 성악계통의 음악으로는 민요ㆍ판소리ㆍ잡가ㆍ가사ㆍ가 곡ㆍ시조 등을 들 수 있고 기악 계통의 음악은 산조ㆍ시나위ㆍ풍류ㆍ풍물 등이 있다.

민속음악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어서 생성과 발전에 대해 정확히 알기 어려우나 민요 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 음악의 형태는 18세기 전후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5) 종교음악은 우리음악에 있어서 종교음악이라는 의미는 대부분의 정악, 민 속악 등이 모두 포함 될 수 있으나 여기서 말하는 종교음악이라 함은 무속음악, 불교 음악 등으로 제한된 의미를 갖는다(송민경, 2010: 47).

반면, 창작국악이란 전통국악과 달리 작곡가가 존재하고, 오선보를 기본 악보로 하 며, 1939년 이후에 작곡된 국악으로 국악기를 활용한 작곡형태와 국악기의 음색에 서 양음악의 형식을 접목하여 작곡한 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을 그 개념으로 한다(국악교 육협의회, 1996: 23).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국악교육에 중점을 두고 체계화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국악 영역의 내용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국악 곡에도 다양한 악곡의 종류가 있으며, 출판사 별로 제외된 악곡 종류가 있기 때문에 장르별 국악 곡을 분석하였다.

다음 <표 10>은 5종 교과서를 악곡 종류에 따라 제재곡을 분류한 것이다.

<표 10> 5종교과서 악곡 종류에 따른 제재곡 분류

5) 국립국악원 용어 사전 (http://gugak.go.kr)

(33)

창작음악 생일전날, 아이보개, 송광복, 만수산 드렁칡

더텍스트 전 통 음 악

궁정음악 종묘제레악, 계면가락도드리

선비음악 우락

민속음악

쾌지나 칭칭나네. 상주모심기 소리, 이어도 사나, 새타령, 경복궁 타령, 수심가, 노동요, 천안삼거리, 판소리 춘향가 中 쑥대머리, 남 사당 놀이

창작음악 가시버시 사랑, 꽃분네야, 탈춤추세, 당징지, 토성의 달무리, 세우영

(주)미래엔 전 통 음 악

궁정음악 종묘제례악, 대취타 선비음악 초수대엽, 편수대엽

민속음악

강원도 아리랑, 신고산 타령, 군밤타령, 새타 령, 해주 아리랑, 한강수 타령, 멸치 후리는 소리,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단가 中 진 국명산, 피리산조

창작음악 소금장수, 아름다운 나라, 축제, 침향무, 추 억의 서랍

성안당

전 통 음 악

궁정음악 -

선비음악 -

민속음악

뱃노래, 태평가, 둥당애 타령, 니리구 얼싸, 서우젯 소리, 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 랑, 진도아리랑, 강원도 아리랑, 영천 아리 랑, 해주아리랑, 판소리 흥보가 中 화초장, 산조, 창극

창작음악 모깃불, 하늘바람, 방황, 섬진강, 어디로 갈

(34)

현대음악 전 통 음 악

궁정음악 양청도드리, 문묘제례악, 보허자, 여민락

선비음악 편락

민속음악

뱃노래, 오돌또기, 한강수 타령, 봉산풍구타 령, 새타령, 쾌지나 칭칭나네, 자진 농부가, 판소리 심청가 中 어화둥둥

창작음악 춤, 아름다운 나라, 농가월령기, 청소년을 위 한 국악관현악, 8주자를 위한 추초문

교과서 구분

(주)금성 출판사

더텍 스트

(주)미

래엔 성안당 현대

음악 합계

전 통 음 악

궁정 음악

군례악 1 1

11

연례악 1 1 3 5

제례악 2 1 1 1 5

선비 음악

가곡 1 2 1 4

가사 5

시조 1 1

풍류

민속 음악

민요 4 7 7 12 7 37

50

산조 1 1 2

판소리 1 1 1 1 1 5

단가 1 1

가야금 병창 시나위

다음 <표 11>은 제재곡을 악곡 종류에 따라 세분화 시켜 나누고 제재곡 수를 분석 하였다.

<표 11>악곡 종류에 따른 제재곡 악곡 수

(35)

풍물놀이 1 1 2 종교

음악

무속음악

불교음악 1 1

기타 무용음악 1 1 2

창 작 음 악

성악곡 1 5 3 3 3 15

28

기악곡 3 2 4 2 2 13

합계 16 19 21 18 20 94

(주)금성출판사의 전통음악과 창작국악의 다양한 종류의 악곡이 실려 있다. 전통음악 영역에서 모든 영역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전통음악에서도 종교음악의 ‘범 패’가 실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궁중음악에서 종묘제례악과 더불어 보허자, 문묘 제례악이 있어서 다양한 국악 곡을 접할 수 있다.

더텍스트는 민속음악 중 민요와 창작음악의 성악곡 위주 구성 되어있다. 또 민속음 악에서 풍물놀이 연주하기가 있으며, 궁중음악에서 연례악인 계면가락 도드리와 가곡

‘우락’이 실려 있다.

(주)미래엔은 궁중음악 중에서 군례악이 대취타가 제시되어 있으며, 가곡도 편수대 엽, 초수대엽 2곡이 실려 있으며, 판소리와 함께 단가 진국명산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성안당은 민요 7곡과 판소리 창작음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리랑을 아시나요’라는 단원으로 우리나라의 아리랑을 소개하는 단원으로 통합학습으로는 어울리는 단원이지 만 궁중음악이나 선비음악이 제외된 것으로 보아 교과서의 다양한 종류의 악곡을 소개 하기에는 제약을 받은 듯 보인다.

현대 음악은 전통음악에서도 궁중음악의 비중이 많으며, 민속음악, 선비음악도 골고 루 포함되어 있다. 특히, 전통음악에서 기타 영역으로 전통 무용 음악에 대한 부분을 학습 활동으로 제시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비교적 전통음악과 창작음악, 그리고 전통음악에서의 궁중음악, 선비음 악, 민속음악, 종교음악, 기타 등 다양한 영역의 곡으로 구성하였다. 아쉬운 점으로 보

(36)

완해야 할 부분은 민속음악에서 종교음악이나 기타(무용반주 등)영역은 5종교과서에서 단 3곡밖에 소개 되지 않았다. 그중에서도 금성 출판사가 종교음악 1, 무용음악 1, 현 대음악에서 무용음악 1로 종교음악이나 그 외기타 음악 영역을 소개하는 출판사도 제 한적 이다. 그러므로 민속음악 영역에서 민요나 판소리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악곡 제시하여 음악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수록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3) 장단에 따른 분석

장단은 국악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써 곡을 반주하거나, 악곡의 명칭을 설명할 때 쓰인다(이경민, 2011: 8). 장단은 단순히 리듬꼴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리듬과 템 포가 결합된 총체적 개념이며, 정해진 리듬꼴도 실제 연주에서는 연주자(고수)의 즉흥 적인 해석에 따라 자유롭게 변주하여 친다. 불교음악인 범패나 문묘제례악, 또는 매우 느린 민요, 특히 상여소리나 김매기 소리 등의 경우는 장단을 찾기 어렵지만, 대부분 의 국악곡은 일정한 리듬형에 의하여 음악이 짜여진다. 장단을 갖지 않는 특수한 경우 를 제외하면, 국악의 연주에는 기악이든 성악이든 언제나 장단의 반주가 따르며, 장단 은 다양한 길이와 리듬으로 구성된다. 정해진 길이의 장단에서 장구나 북을 치는 것을 점(點)6)이라고 한다.7)

국악교육에서 장단은 활동영역의 노래 부르기와 함께 활발히 이루어지 활동으로 대 부분이국악곡이 장단을 가지고 있다.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창작 국악곡의 경우도 장 단을 차용하여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우리 음악에서 장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음악교육에서 국악은 노래 부르기와 장단이 함께 연계되 어 수업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장단에 따른 국악곡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 음 <표 12>는 각 출판사에 수록된 제재곡을 장단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표 12>출판사에 수록된 제재곡 장단 분류

6) 장구 장단에서 점을 구성하는 것은 다음 네 가지이다.

덩(떵) - 장구의 북편과 채편을 동시에 치는 것, 덕 - 장구의 채로 채편을 치는 것 기덕 - 앞 짧은 꾸밈음을 붙여 '덕'을 치는 것, 쿵(궁) - 장구의 북편을 치는 것 더러러러 - 채로 채편을 굴려 소리 내는 것

7) 국립국악원 용어 사전 (http://gugak.go.kr)

(37)

출판사 장단 제재곡

(주)금성 출판사

세마치 진도아리랑

중중모리 흥보가 중 화초장 엇모리 강원도 아리랑 자진타령 신고산 타령

시조장단 소년 행락이 다진커든

정악장단 보허자,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더텍스트

자진모리 이어도 사나

굿거리 가시버시 사랑, 천안삼거리, 쾌지나 칭칭나네, 탈 춤추제, 새타령

중중모리 새타령

중모리 꽃분네야, 상주 모심기 소리, 춘향가 중 쑥대머리

가곡장단 우락

정악장단 종묘제례악, 계면가락 도드리

(주)미래엔

세마치 도라지, 해주 아리랑

자진모리 소금장수

중중모리 새타령, 흥보가 중 화초장 엇모리 강원도 아리랑

중모리 단가 진국명산 자진타령 신고산 타령

가곡장단 초수대엽, 편수대엽 정악장단 종묘제례악, 대취타

성안당

세마치 아리랑, 해주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자진모리 둥당애 타령

굿거리 뱃노래, 니리구 얼싸, 서우젯 소리, 태평가, 하늘바 람

엇모리 강원도 아리랑, 영천 아리랑

현대음악 굿거리 뱃노래, 오돌또기, 한강수 타령, 풍구타령, 아름다

(38)

운 나라

중중모리 새타령, 자진 농부가 자진모리 춤, 쾌지나 칭칭나네

가곡장단 편락

정악장단 양청도드리, 문묘제례악, 보허자, 여민락

교과서 장단

(주)금성 출판사

더텍 스트

(주)미

래엔 성안당 현대

음악 합계

세마치 1 2 4 7

자진모리 1 1 1 2 5

굿거리 5 5 5 15

중중모리 1 1 2 2 6

엇모리 1 1 2 4

중모리 3 1 4

자진타령 1 1 2

위의 분류는 창작곡과 시조, 가곡을 포함한 분류이며, 시조의 경우 5박ㆍ8박, 가곡의 경우 16박ㆍ10박 장단이 사용되나 통합적으로 시조, 가곡 장단이라 분류하였다. 군례 악, 연례악, 제례악, 영산회상 등 민속악이 아닌 궁중음악과 선비음악의 기악곡을 통합 하여 정악8) 장단으로 칭하였으며, 감상곡이나 이해영역에 속한 곡들로 장단에 따라 분 류 하였다. 정악의 범위에는 시조와 가곡ㆍ가사가 포함되나 본 연구에서는 따로 분리 하여 나누었다. 다음<표 13>은 각 출판사에 수록된 제재곡의 장단 악곡수를 분류한 것이다.

<표 13> 출판사별 장단에 따른 악곡 수

8) 정악은 전통음악 중 "아정(雅正)한 음악"을 가리키는 말로 "민속악"에 대가 되는 개념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아악(雅樂)과 정악(正樂)을 구분하여 정악은 1910년 무렵부터 영산회상과 가곡 등에 새로 붙여진 이름인 양 소 개되고 있으나, 실상 아악과 정악은 같은 성격을 띤 음악이다. 즉 아정한 음악이나 정대한 음악이라는 말은 같은 뜻이다. 정악에 속하는 음악을 여러 갈래로 분류해 보면, 먼저 관현악 합주에는 거문고 중심의 음악(줄풍 류)과 향피리 중심의 음악이 있고, 관악합주에는 향피리 중심의 음악(대풍류 .삼현육각)과 당피리 중심의 음악이 있으며, 취타에는 대취타 . 취타 . 길군악이 있다. 그리고 성악곡으로 가곡 . 가사 . 시조가 있다.

(39)

시조장단 1 1

가곡장단 1 2 1 4

정악장단 3 2 2 4 11

합계 8 13 12 12 14 59

위의 <표 13>을 보면 출판사 별로 제시되지 않은 장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 장 고르게 다양한 장단이 수록된 출판사는 (주)미래엔으로 시조장단과 굿거리 장단을 제외한 다양한 장단은 곡이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굿거리 장단이 가장 59곡 중 가장 많은 15곡(25.42%)으로 수록되었으며, 정악장단은 11곡(18.64%)으로 다양한 장르의 곡이 정악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많은 곡이 수록되었다. 세마치는 7곡 (11.86%)로 특히 성안당에서 4곡이 수록되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 다. 중중모리 장단은 6곡(10.17%)으로, 4군데의 출판사에 수록되었다. 엇모리, 중모리, 가곡 장단은 각 4곡(6.78%)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진타령은 2곡(3.39%)으로 시조가 1 곡(1.69%)으로 나타났다. 다음[그림 6]은 장단의 구성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다.

[그림 6]장단의 구성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대부분의 곡들이 흥겨운 장단이거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장단위주로 수록된 것으 로 보인다. 하지만 세마치나 자진모리 굿거리 장단이 차지하는 구성 비율은 초등학교

(40)

출판사 지역 제재곡

(주)금성출판사

경기민요 부여바심소리 남도민요 진도 아리랑

동부민요 강원도아리랑, 신고산 타령

서도민요 없음

제주민요 없음

더텍스트 경기민요 천안삼거리, 경복궁 타령

음악교과부터 연계했을 경우 앞의 세 장단 차지하는 45.76%로 악곡 구성이 매우 많다 고 판단된다. 이에 중중모리의 장단 또는 중모리, 엇모리 장단이나 수록되지 않은 진 양 장단, 휘모리 장단 등 다양한 장단의 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 지역별 민요 분석

민요는 민중들 사이에서 생겨나 민중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는 노래들을 말한다.

일정한 규범이나 악보가 없이 전승되는 음악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많은 변 모의 과정을 거쳐 오늘날에 이른 것으로(이성천 외, 2004: 170), 우리 민요는 통속민 요와 토속민요로 구분되며9), 지역적 특성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민요는 우리 민족의 문화적 유산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우리 민족의 정서와 뿌리를 알고 계속 전승시키기 위해 중학교 과정에서는 여러 지역의 다양한 민요를 특 징을 살려 노래 부를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차윤경, 2010: 38). 그러므로 본 연구 에서는 민속 음악의 영역 중에서 음악교과서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민요부분에서 어 떤 지역의 민요가 수록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표 14>는 5종교과서의 지역별 분류표이다.

<표 14> 지역별 제재곡 분류표

9) 통속민요는 이미 넓은 지역에 퍼져서 음악적으로 많이 세련되어진 민요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아리랑, 밀양 아리랑, 도라지 타령 등을 말하며, 토속민요는 어느 한 지연에 한정되어 불러지고 있는 민요들을 말한다. 향 토적 특성을 깊이 간직한 노래로 노동요, 어요, 의식요 등 기능 및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한다.

(41)

남도민요 새타령

동부민요 쾌지나 칭칭 나네, 상주 모심기 소리 서도민요 수심가

제주민요 이어도 사나

(주)미래엔

경기민요 군밤타령, 한강수 타령 남도민요 새타령

동부민요 강원도아리랑, 신고산 타령 서도민요 해주 아리랑

제주민요 멸치 후리는 소리

성안당

경기민요 태평가, 아리랑

남도민요 둥당애 타령, 진도 아리랑

동부민요 뱃노래, 정선 아리랑, 밀양 아리랑, 영천 아리 랑, 강원도 아리랑

서도민요 해주아리랑, 니리구 얼싸 제주민요 서우젯 소리

현대음악

경기민요 한강수 타령, 풍구 타령 남도민요 새타령, 자진 농부가 동부민요 뱃노래, 쾌지나 칭칭나네

서도민요 없음

제주민요 오돌또기

위의 <표 14>에서 나타나듯이 금성출판사에 수록된 민요는 총 4곡으로 서도민요와 제주도 민요가 없으며, 현대음악에서도 서도민요의 노래가 수록되지 않았다. 그 외 다 른 출판사의 교과서를 보면 경기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서도민요, 제주민요가 골고

(42)

출판사 지역

(주)금성

출판사 더텍스트 (주)미래엔 성안당 현대음악 합계

경기 민요

경기도 2 2 2 2 8

9

충청도 1 1

남도

민요 전라도 1 1 1 2 2 7 7

동부 민요

경상도 2 1 3 2 8

강원도 1 1 2 4 13

함경도 1 1

서도 민요

황해도 1 2 3

4

평안도 1 1

제주

민요 제주도 1 1 1 1 4 4

합계 4 7 7 12 7 37

루 제시되었다. 다음 <표 15>는 지역별로 나눈 제재곡의 개수를 정리한 표이다.

<표 15> 5종 교과서 민요 지역별 제재곡 분류

민요를 지역별로 크게 경기, 충청도 지역을 경기민요, 전라도는 남도민요, 경상도ㆍ 강원도ㆍ함경도를 동부민요, 황해도ㆍ평안도는 서도민요, 제주도는 제주민요로 지역별 로 민요를 나눌 수 있다. 위의 표와 같이 경기 민요에서 경기도 지역 민요는 8곡으로 (21.6%), 충정도 민요는 1곡(2.7%)이며, 전라도 민요는 7곡(18.9%)으로 5종 교과서에 서 모두 포함되었다. 동부민요는 경상도 8곡(21.6%), 강원도 4곡(10.8%), 함경도 1곡 (2.7%)으로 총 13곡이 교과서에 실렸으며, 동부민요 중에서도 경상도 지역을 민요의 곡들이 많이 포함 되었다. 서도 지역은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으로 총 5종 교과서 중에 서 4곡(11%)이 수록되었으며, 황해도 민요(8.1%)는 3곡으로 (주)미래엔 출판사에서 1 곡, 성안당에서 2곡, 평안도 민요(2.7%)는 1곡으로 더텍스트에 수록되었다. 제주 민요 도 총 4곡(10.6%)이 실렸다. 전체적으로 경기 민요(24%), 남도 민요(19%), 동부 민요

(43)

(35%), 서도 민요(11%), 제주 민요(11%)로 대중적인 많이 불러지는 지역인 경기도 민 요, 전라도 민요, 경상도 민요가 위주로 수록되었다.

경기민요에서는 출판사 별로 다양한 민요가 수록되었으며, 그 중 한강수 타령이 2번 수록 되었다. 남도 민요의 경우 다양한 민요가 수록되지 않았지만 대표적인 남도 민요 인 진도아리랑이 2번, 새타령이 3번 소개 되었다. 동부 민요의 경우 강원도 아리랑 3 번, 신고산 타령 2번, 쾌지나 칭칭나네 2번 등 동부 지역권에 속한 지역이 많아서 대 표적인 곡들이 많이 수록되었다. 서도 민요는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의 민요로 평안도 지역의 노래보다 황해도 지역의 민요가 많이 수록되었으며, 그 중 해주아리랑이 2군데 출판사에 수록되었다. 제주민요의 경우 서우젯 소리, 오돌또기, 멸치 후리는 소리 등 각자 다르게 수록되었으며 각 출판사 마다 1곡 이하로 수록 되었으며, 제주민요의 경 우 수록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다음[그림 7]은 지역별 민요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다.

[그림 7] 지역별 민요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1

위 [그림 7]에 나타나듯이 민요의 지역 구분을 크게 나누어 보았을 때는 비교적 적 절하게 구성이 된 것처럼 보이지만, 지역을 세분화 시켜 나누어 보았을 때의 민요의 비율을 다음 [그림 8]과 같다.

(44)

[그림 8] 지역별 민요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2

위 [그림 8]에 나타나듯이 좀 더 지역을 세분화 시켜 나누어 보았을 때 경기민요에 포함된 충청도와, 동부민요에 포함된 함경도와 강원도 지역의 수록곡 구성 비율이 낮 으므로 다양한 지역의 민요의 구성과 한편으로 대중적으로 많이 불러지는 경기도, 전 라도, 경상도 지역의 민요의 구성에 있어서도 좀 더 다양하게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

브랜드이미지가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많은 양의 정보탐색을 통해 브랜드를 비교하고,여러 판매장을 돌아보며 직접 확인하고,제품의 특성을

Coadministration of naringenin increased the absorption rate constant (Ka),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AUC) and peak concentration (C max

임상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관련변인 분석에서 김정희(1996)는 연령,인간중심의 조직 특성,공식화,근무병원,자원의 부적합성,승진,복지후생 등을

15)오경란,&lt;국악놀이를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 연구(의왕시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gt;,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2006),p.16... 아동의

직장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Eroticism make-up will be the best solution to appeal to the buyer and expression of make-up that is based on pure emotions and sexual tangle is developed by the needs of

Krough-Poul sen 5) reported that occl usalcontact was resul ted from afferent i mpul seoftheperi odontall i gamentandotherorofaci almuscl eacti vi ty andthe

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생활재활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의 생활재활교사는 사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