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2 한국어 어휘교육 신현숙교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2 한국어 어휘교육 신현숙교수"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어 어휘 교육: 의미망을 활용한 이야기하기

신현숙 (상명대학교)

0. 서론

의미망 (semantic networks)을 활용한 이야기하기 (story telling)에 초점을 맞추어 재미있는 한국어 어휘 교 수-학습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어떤 기준으로 한국어 의미망을 구축할 수 있는지, 의미 망을 바탕으로 어떤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는지, 한국어 어휘 교육 현장에서 어떤 이야기를 활용할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본다.

1. 전체-부분 관계 (part-whole relation/ meronymy)

우리는 전체와 부분 관계를 인지할 수 있는 의미망을 바탕으로 어휘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전체]를 지 시하는 의미를 가진 어휘 항목과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이나 [요소] 등을 지시하는 어휘 항목을 하나의 의미망 속에서 교수-학습할 수 있다. 한 예로 {얼굴}을 가르칠 때는 {눈/ 눈썹/ 코/ 입/ 입술} 등을 활용한 이야기나 노래로 교수-학습할 수 있고, {몸}을 교수-학습할 때는 {머리/ 얼굴/ 어깨/ 팔/ 다리/ 손/ 발} 등을 활용한 이 야기나 노래 또는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그림이야기로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와 [부분] 관계를 지시하는 의미망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어휘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1) a. {손}: {손톱, 손가락, 손등, 손바닥, 손금, 손마디} 등 b. {무지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 등 c. {소리}: {바람 소리, 매미 소리, 발소리, 찌개 끓는 소리, 손톱 깎는 소리, 학교 종소리} 등 자료 (1)에서, {손/ 무지개/ 소리}는 [전체]로 인지할 수 있고, 다음에 제시한 어휘 항목은 [부분]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손}에서 {손등}과 {손바닥} 또는 {무지개}에서 {빨강}과 {주황} 등은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그림이야기 속에서 교수-학습할 수 있다. {소리}를 지시하는 어휘 항목은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 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가르칠 수 있다. 나아가 한국어 사용자가 인지하는 {소리} 특히 다양한 의성어/ 의태어는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다. 2. 동음이의어 (homonymy) 언어 형식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어휘 항목도 의미망 개념으로 논의할 수 있다. 언어 사용자는 형식과 의미 관 계를 인지하면서 하나의 의미망을 구축한다. 연상 작용이나 추리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의미망 속에서 어휘 항목을 활성화하고, 문맥이나 쓰임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하거나 생성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언어 사용자의 인지구조를 반영하여 형식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어휘 항목의 관계를 청각이나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야기하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 a. {배}: [과일], [교통수단], [신체의 일부], [수량] 등과 같이 다른 의미를 지시한다. b. {사과}: 이 형식에서도 [과일], [잘못을 인정하는 표현] 등 다른 의미를 인지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우리는 미안함을 표시하기 위하여 과일 {사과}를 보내기도 하는 등 재미있는 의사소통을 한 다. 3. 일반-구체 관계 (hyponymy) 어휘 항목이 지시하는 의미 관계가 [일반]과 [구체]인 자료가 이에 속한다. [일반] 의미는 어휘 항목이 지시하 는 공통의미로 인지할 수 있고, [구체] 의미는 어휘 항목이 지시하는 개별의미로 인지할 수 있다. (3) a. {과일}: {사과, 배, 참외, 수박, 감, 살구, 자두, 머루, 다래} 등 b. {김치}: {배추김치, 열무김치, 보쌈기치, 동치미, 깍두기} 등 자료 (3)에 따르면 {과일}이나 {김치}가 지시하는 의미망 속에서 우리는 매우 다양한 어휘 항목을 교수-학 습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의미망은 {음식}이라는 좀 더 일반화된 의미망으로 확장할 수 도 있고, {대구 사과/ 안동 사과} 등과 같이 구체적인 의미망으로 확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의 미망을 활용할 때는 학습 목표, 학습자 요구, 학습자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의미망을 구성하여야 한다. 예

(2)

를 들면, 학습목표가 {과일}에 관한 어휘항목을 배우는 것이라면 시각/ 미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야기, {김 치}와 같이 한국 음식이나 문화에 관한 것이라면 시각/ 미각/ 촉각 등을 인지할 수 있는 이야기로 교수-학습 내용 을 구성할 수 있다. 4. 유의어 (synonymy) 언어 형식은 다르지만 유사한 의미를 지닌 어휘 항목도 의미망을 활용한 이야기로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의어 의미망을 구성하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대우표현 등 다양한 어휘 항목도 이야기 속 에서 그 차이가 드러난다면 좀더 흥미롭게 어휘를 교수-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4) a. 쉬다: 놀다, 휴식하다, 결석하다, 결근하다 b. 책상: 데스크, 테이블 c. 밥: 진지, 수라 자료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언어 형식은 다르지만 의미가 유사한 어휘 항목을 교수-학습할 때도 시각/ 청각 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야기를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4 a)에서 {쉬다}와 {놀다}, {놀다}와 {휴식하다}, {쉬다}와 {휴식하다} 등 같거나 유사한 의미를 지시하는 어휘 항목의 공통의미와 개별의미를 교수-학습 내용 으로 구성할 때 우리는 상황이 다른 그림이야기를 활용할 수 있다. 5. 반의어 (antonymy) 언어 형식도 다르고 의미도 아주 다르게 인지하는 반의어 의미망 또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구 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옛날이야기를 활용할 수도 있고, 그림이야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초점을 두는 것은 그림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림과 함께 전개되는 이야기이다. (5) a. 죽다 : 살다 b. 춥다 : 덥다 c. 아래 : 위 // 안 : 밖 // 속 : 겉 // 내 : 외 d. 크다 : 작다 // 넓다 : 좁다 // 높다 : 낮다 e. 아버지 : 어머니 // 할아버지 : 할머니 // 딸 : 아들 자료 (5)와 같이 반의어 의미망을 활용한 이야기는 좀더 재미있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흥부와 놀부/ 콩쥐 와 팥쥐/ 소공자와 소공녀 등과 같이 어린 학습자가 알고 있는 이야기도 활용할 수 있고, {죽다 살아나다/ 춥지도 덥지도 않은 시원한 날씨/ 아래 위도 몰라보고/ 속 다르고 겉 다른 사람/ 크지도 작지도 않은/ 높낮이/ 아들 딸 구별 말고} 등 성인 학습자가 알고 있는 이야기도 교수-학습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6. 의미 구성성분 (semantic component) 어휘 항목이 지시하는 다양한 의미 구성성분도 의미망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동사가 지시하는 의미 구성성분 [동작] 등도 의미망을 구성할 수 있고, 명사가 지시하는 의미 구성성분 [개체]도 의미망을 구성한다. (6) a. [동작]: {가다/ 자르다/ 먹다/ 입다/ 노래하다/ 춤추다} 등 b. [동작으로 인지]: {결석하다/ 쉬다/ 예뻐지다/ 늙는다} 등 (7) a. [개체]: {아버지/ 호랑이/ 장미/ 시계} 등 b. [개체로 인지]: {꿈/ 사랑/ 행복/ 기쁨} 등 (6-7)과 같이 어휘 항목이 지시하는 의미 구성 성분 또는 의미자질 (semantic feature)을 바탕으로 구축한 의 미장도 다양한 이야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을 활용한 이야기/ 개체를 활용한 이야기는 학습자의 경험이나 학습 자의 희망 등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다양한 몸짓언어로도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생성하는 이야기는 학습자의 흥미는 물론 효과적인 어휘 학습에도 크게 기여한다. 특히 학습한 어휘 항목을 오래 기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 적이다. 7. 문장 유형 (sentence pattern) 문장 유형도 의미망 속에서 논의할 수 있고 이야기하기로 교수-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문/ 감탄/ 설명/

(3)

명령/ 부정/ 긍정/ 추측/ 현재/ 과거] 등과 같은 의미를 지시하는 문장 유형을 바탕으로 우리는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8) a. [의문]: {지금 가니?/ 그렇게 좋아요?/ 아침 드셨어요?} 등 b. [감탄]: {날씨가 정말 좋구나!/ 그 친구 정말 멋있다!} 등 c. [설명]: {학생들이 왔습니다./ 연필은 책상 위에 있어요.} d. [명령]: {아침에 일찍 떠나라!/ 큰 꿈을 가져라!} 등 e. [부정]: {아니요./ 안 갈래요./ 춤은 못 춘다./ 불가능하다.} 등 f. [긍정]: {예./ 그래./ 그렇지요./ 맞아요./ 좋은 생각입니다.} 등 g. [추측]: {클 것 같아요./ 눈이 오겠다./ 내일은 오겠지.} 등 h. [현재]: {해가 뜬다./ 비가 오고 있다./ 학교가 보인다.} 등 i. [과거]: {꽃이 피었다./ 우리는 방에 있었다./ 갔다가 왔다.} 등 한국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문장 유형은 (8)에 제시한 문장 유형보다 훨씬 다양하다. 교육 목표에 따라 문장 유 형을 활용하여 재미있는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부정 표현을 활용한 이야기를 구성할 때는 [부정] 의미망을 활 용할 수 있고, 시간 표현을 활용한 이야기를 구성할 때는 [현재/ 과거/ 추측] 등과 같은 의미망을 활용할 수 있 다. 학습자 수준에 따라서 이야기 내용은 어휘 층위, 구절 층위, 문장 층위 또는 다양한 문장 유형에 초점을 맞 추어 교수-학습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연극이나 뮤지컬과 같은 이야기를 활용한다면 정확한 발음 교 육과 함께 느낌이 살아있는 어휘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8. 사건 구조 (event structure) 실제 담화를 살펴보면 사건 구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의미망이 있다. 따라서 사건 구조를 인지할 수 있는 다양 한 이야기도 어휘 교육 내용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관용어, 속담 등은 어휘 층위/ 구절 층위/ 문장 층위/ 담 화 층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관용어와 속담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9) a. {간 (이) 떨어지다}: [몹시 놀라다] b. {간 (이) 붓다}: [지나치게 대담해지다] c. {간 (이) 작다}: [대담하지 못하고 몹시 겁이 많다] (9)에 제시한 자료는 <표준국어대사전: 관용구>에서 뽑은 것이다. 우리는 이와 같이 신체의 일부를 지시하는 명사 {간}이 쓰인 관용구로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사용자가 어휘 항목으로 인지하는 관용어 어휘 교육 또한 다양한 이야기를 활용하여 학습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동사 {가다}의 교수-학습 내용을 구성할 때도 다음과 같은 속담이야기를 활용할 수 있다. (10) a. {가는 [가던] 날이 장날} b. {가는 말에 채찍질 c.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다} 형식이 쓰인 속담을 통하여 {가다}의 용법과 의미를 교수-학습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도 우리는 다양한 이야기를 교수-학습 내용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건 구조를 인지할 수 있는 의미망은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피동 범주/ 사동범주 등과 같은 다양한 통 사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어휘 항목도 사건 구조 의미망 속에서 교수-학습할 수 있다. 학습자 주변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사건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이야기는 어휘 교육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사건과 관련되는 인물을 바 탕으로 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어휘 항목을 학습하는 데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1) a. {먹다: 먹이다/ 먹히다/ 먹도록 만들다/ 잡수시게 하다} 등 b. {놀다: 놀리다/ 놀아주다/ 놀게 만들다/ 노시게 해드리다} 등 c. {살다: 살리다/ 살도록 하다/ 살게 만들다/ 살아나다} 등 9.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의미망 항목과 자료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4)

항 목 자 료 전체-부분 관계 {손}: {손톱, 손가락, 손등, 손바닥} 등 동음이의어 {배}: [과일], [교통수단], [신체 일부] 등 일반-구체 관계 {과일}: {사과, 배, 참외, 수박, 감} 등 유의어 {쉬다}: {놀다, 휴식하다, 결석하다} 등 반의어 {죽다}: {살다}, {춥다}: {덥다} 등 의미 구성성분 [동작]: {가다, 자르다, 먹다, 입다} 등 문장 유형 [의문]: {지금 가니?, 그렇게 좋아요?} 등 사건 구조 {간 떨어지다}: [몹시 놀라다] 등 <표>에 제시한 바와 같이, 우리는 다양한 항목으로 의미망을 구성할 수 있고, 의미망을 활용하여 시각/ 청각/ 미각 등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과 결과 는 한국어 어휘 교육 현장 특히 새로운 어휘 교수-학습 방법과 내용을 재미있게 구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John Field. 2003. Psycholinguistics. Routledge: 92-137.

Saeed, John I., 1997. Semantics,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53-7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참조

관련 문서

채옥자(2014)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자어 사용 오류를 분 석하였는데 그 중 동형이의 어휘 오류에서 부분적 의미가 다른 경우와 의 미가 전혀

즉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지던 학습 내용을 집에서 학습하고, 집에서 했던 숙제를 교실 수업 시간에 하는 것입니다.. 교실 수업 전 학습 활동은 인터넷,

위의 두가지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비교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 다.첫째,일반적인 음악과 교수-학습 과정안은 제재곡 중심으로 음악을 학습하기

탄소로 만드는 다양한 물질, 재료 혁명..

○ 일반계 고등학교에 적용할 통합과학 중심의 창의적인 STEAM 수업모델 및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영재학급과 연계된 창의적인 STEAM 수업모델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체육과 지도 영역 중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리듬 및 표현운동 중 전통 춤사위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ㆍ적용하고 다양한 춤사위 표현 운동의

[r]

나도 이렇게 동작을 인식하는 인공지능을 체험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야기를 듣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