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역번역문에 나타난 베트남어와 한국어 False Friend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역번역문에 나타난 베트남어와 한국어 False Friends"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False Friends 현상 연구

1)고상미**․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목 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볍 4. 연구 결과 5. 결론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학문 목적 베트남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을 살펴보고 False Friends의 생성 원인에 따라 분석하는 데에 있 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False Friends 를 의미를 기준으로 유형화시켰다. False Friends 유형은 크게 개념적 의미 차이 와 연상적 의미 차이로 분류하고, 개념적 의미 차이는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 우,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의미가 중첩된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 로 세분화시켰다. 연상적 의미 차이는 내포적 의미 차이, 사회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베트남 하노이 소재 대학교 학부생 15명을 대상으로 역번역 활동을 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도구는

* 본 연구는 2020년 1월16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BK21 플러스 지역어 기반 문화가치 창출 인재 양성 사업단 제7회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원고 중 일부를 수정․보완하여 제시하였음을 밝혀둔다.

** 제1저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 제1저자, 하노이 국립대학교 외국어대학 한국어학부 전임강사

**** 교신저자,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2)

여성가족부 및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발행한 뺷2019 다문화가족ㆍ외국인 생활 안내-한국생활 가이드북뺸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선정된 텍스트에서 연구자가 10문항을 선별하여 베트남어 번역문 텍스트를 제시하여 실험 참여자들이 이를 한 국어로 번역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자가 역번역문을 분석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를 추출해 내었고, 이를 8개의 False Friends 생성 원인에 따라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8개의 생성 원인 중 총 4개의 생성 원인에 의한 False Friends가 나타났다. 먼저 개념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발생시킨 사례는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였다. 다음으 로 연상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발생시킨 경우는 내포적 의미 차이 와 사회적 의미 차이에 의한 사례가 있었다.

주제어 : False Friends, 역번역, 오류 분석, 어휘 오류, 개념적 의미, 연상적 의미,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교육

1. 서론

베트남어는 유형론적으로 한국어와는 다른 언어계통에 속한다. 그러나 같은 한자권에 속해있기 때문에 많은 한자 어휘를 공유하고 있다. 이는 베 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학습을 촉진시키는 기제가 된다. 베트 남에서는 한자 표기를 하지 않으며, 한자 교육을 따로 하지 않지만 학습자 들은 베트남 한자어의 음과 의미를 바탕으로 한국 한자어를 학습하는 경향 을 보인다. 이처럼 특정 한자어가 한국과 베트남에서 동일한 의미로 쓰이면 학습자가 모어를 매개로 목표어 어휘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 어휘가 이처럼 긍정적인 전이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같은 한자어라고 해도 부정적인 전이를 일으켜 학습자의 오류를 유발하는 경우 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False Friends에 의한 오류이다. False Friends란 두 언어에서 겉모습(철자나 발음)이나 어원이 같거나 비슷하지만 의미나

(3)

용법(usage)이 다른 단어를 지칭한다(윤혜숙, 2003:147). 같은 한자어를 기 원으로 하더라도, 그 실제 의미는 다른 경우가 많으며 이는 언어 습득을 방 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베트남어와 한국어의 False Friends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그 특 징과 원인을 규명한다면 이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을 살펴보고 False Friends로 인한 오류의 원인 을 분석하고자 한다.

역번역은 기본적으로 학습자들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기 법이지만, 학습자들이 특정 어휘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포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False Friends 현상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역번역을 이용하면 단순히 False Friedns 현상을 보이는 어휘 짝 의 목록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언어 습득 양상을 입체적으 로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역번역의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단순하게 어휘를 치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모어 담화공동체의 언어 사용 양식과 목표어 담화공동체의 언어 사 용 양식을 넘나들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을 살펴보면 언어 간섭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일어나는지 복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번역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오류를 분석하고자 하 는데 특히 베트남어와 한국어 사이에서 의미의 유사성으로 인한 어휘 오류 에 초점을 두고 살피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동형이의어와 False Friends

언어학에서 한자권 안에 있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 한자를

(4)

대조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한자를 형태가 같다고 보고 ‘동형(同形)’으 로 설정하고 분석한다1). 그러나 과연 이들을 ‘동형’, 즉 동철자로 볼 수 있 을까? 김혜림(2003)은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가 글자도 다르고 소리도 다르 기 때문에 ‘동원기표소’라는 개념을 끌어들여 설명한다. ‘동원기표소’란 동 일한 漢字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국어 중에서 한자로 표기가 가능한 모든 글자와 중국어의 모든 글자(字)가 해당되는데, 동원기표소의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는 한자 표기상의 동형성과 음성적인 유사성인 유음성(類音 性)을 지니고 있다(김혜림, 2003:603-605)2).

도재학․허인영(2017)은 ‘동형이의어’라는 용어는 ‘한 언어 안의 단어 형 식’이라는 것이 전제되는데, 다른 두 언어를 비교, 대조함에 있어서는 이 전 제가 다소 느슨하게 적용된다고 지적하였다. 다시 말해 한국․ 중국․ 일본 한자어를 대조함에 있어서 현재 쓰고 있는 자형이 동일하지 않고3), 발음 또한 각 언어의 음운 체계가 달라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동음’이나 ‘동 철’이라는 용어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형이의(類形異義)’라는 관계 설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도재학․허인영, 2017:85-87).

1) 한자어 대조 연구에서 비교 대상 한자어가 형태가 동일(동형)하다는 전제하에 연구하 는 논의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조 대상 언어에 따라 분류해 보면 한․중 한자어 대조 연구에는 후문옥(2003), 김수희(2005), 곽상(2006), 김민경(2007), 김홍진(2007), 박 성은(2008), 왕호(2019) 등이 있다. 한․일 한자어 대조 연구에는 김창구(2003), 조혜경 (2010), 박종숙(2011), 야마기와 타카코(2012) 등이 있고, 한․베 한자어 대조 연구에는 이경현(2009), 레뚜언선(2009), 부티응옥안(2011), 마이느응우엣(2015), 현김화(2019) 등 이 있다.

2) 김혜림(2003)은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각각의 언어 체계 내에서 시각적 이미지와 청각적 이미지가 분명히 다르지만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중국어의 간체자는 정체자를 원용한 글자로 한자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소리 또한 한국으로 수용 당시의 중국 고대음이 다소 변형되었다. 그러나 한자음이라는 동일 원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청각적 이미지 역시 일정한 규칙을 동반한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설명 했다.

3) 중국에서는 간체자(簡體字), 일본에서는 신자체(新字體)를 쓰고 있다(도재학ㆍ허인 영, 2017:86).

(5)

베트남은 1945년 호치민이 한자폐지령을 공포한 이후에 한자를 표기 문 자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한국은 일상에서 주로 한글로 문자생활을 하며 한자는 보조적으로 사용할 뿐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를 어떻게 대조할 수 있을까? 김혜림(2003), 도재학․허인영(2017) 등의 연구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한 언어 안의 단어 형식’이 아닌 ‘두 언어 간의 단어 형식’을 대조할 경우에는 ‘동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설명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또한 제2언어 습득론 관점에서는 두 언어의 어휘를 단 순 대조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모어 간섭에 의한 학습자의 오류를 분 석하기 위한 연구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한 어휘 대조 연구에서 사용 하던 ‘동형동의’, ‘동형이의’ 등의 용어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고에 서는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를 대조함에 있어 번역학 용어인 ‘False Friends’의 개념을 가져와 설명하고자 한다. ‘False Friends’라는 용어는 Koessler와 Derocquigny가 1928년에 출판된 ‘Les faux-amis ou les trahisons du vocabulaire anglais; conseils aux traducteur’에서 처음 사용 하기 시작한 말로, 두 언어에서 겉모습(철자나 발음)이나 어원이 같거나 비 슷하지만 의미나 용법(usage)이 다른 단어를 지칭한다(윤혜숙, 2003:147).

따라서 False Friends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 있는 두 언어 사이에서 특히 많이 나타난다.

한국어에는 ‘False Friends’나 ‘Faux-Amis’의 개념을 지칭하는 번역어가 통일되지 않았다. 연구자에 따라 ‘나쁜 친구들(박여성, 2002a)’, ‘포자미(조 상은, 2004)’, ‘가짜친구(고종석, 2006)’, ‘거짓 짝, 사이비 친구(이희재, 2009)’,

‘가짜동족어(오경순, 2009)’ 등으로 달리 사용하였다(오경순, 2009:55). 맹주 억(2004, 2005)에서는 오류를 유발하는 부정적 속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 기 위하여 ‘박쥐말’이라고 명명하였으나 ‘박쥐말’은 개념을 파악하기에 모호 하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학술 용어로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윤혜숙(2003) 에서는 False Friends라는 용어를 번역하지 않고 원어 그대로 사용하였는 데, 그 까닭은 False Friends와 대응하는 적절한 우리말을 찾기가 어렵고

(6)

번역 용어는 원어가 가지고 있는 언어학적 의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고에서도 윤혜숙(2003)의 주장을 받아들여 False Friends를 번역하지 않고 원어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2.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

베트남어와 한국어는 같은 유형의 언어는 아니지만 두 언어 모두 한자어 의 비중이 높아서 False Friends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에서 ‘박사(博士)’는 대학원의 박사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수여되는 학위를 말하는데, ‘넓을 박(博)’자를 사용하므로 박사는 공부를 많이 하는 사람, 깊 이 연구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베트남어에서 ‘bác sĩ(博士)’는

‘의사’만을 지칭한다4). ‘博士’라는 동일한 한자어이지만 두 언어 간 의미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한국어와 베트남어 중에서 공통적으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한 자어가 많이 있다. 이 때문에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어휘를 학 습할 때 True Friends 어휘 짝을 이용하여 어휘의 의미를 파악하려는 경향 이 있다. 문제는 이 어휘 짝이 True Friends가 아닌 False Friends인 경우 이다. 이 경우 학습자는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4) 한국어 ‘박사(博士)’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베트남어는 ‘tiến sĩ(進士)’이다.

(7)

<그림 1> 베트남에서 사용 중인 한국어 교재

‘giao tiep’이라는 어휘를 한국어 어휘 ‘교접’으로 그대로 번역한 <그림 1>의 사례가 그 예이다. ‘giao tiep’은 한자어 어휘 ‘교접’에 해당하는데, 베 트남어에서 이 단어는 ‘대화하다’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러나 한국어의 ‘교 접’은 ‘서로 닿아서 접촉하다’의 의미이다. 이 두 어휘는 같은 한자어에서 왔지만 의미가 다른 False Friends에 해당한다.

False Friends의 생성 원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두 어휘 간 단순한 의미 차이에 의한 것들이 주류를 이룬다. 윤혜숙(2003)은 베트남 어와 한국어 사이의 False Friends를 부분적으로 속이는 False Friends와 완전히 속이는 False Friends로 나누어 의미 차이로 인해 생성된 False Friends를 설명하였다.

김혜림(2003)은 어휘 지시 의미에 기초한 성분분석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와 중국어 한자어의 의미를 대조한 연구이다. 의미 자질의 차이를 자질 모 형을 통해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그 설명이 결국 사전적 의미 차이와 유사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맹주억(2004)에서는 어원적 의미 대조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의 False Friends 생성 원인을 설명하였다. 생성 원인은 한중 두 언어의 어휘 의미가 다른 경우, 의미 범주가 부분적으로 중첩된 경우, 한국어의 의미 범

(8)

주가 중국어보다 큰 경우, 반대로 중국어의 의미 범위가 한국어보다 큰 경 우로 구분하였다.

맹주억(2005)에서는 사전적 의미 대조가 한계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하면 서 의미 및 통사, 화용 등의 측면에서도 대조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주 장하였다. 그에 따라 문맥적 번역의 범주를 설정하고 어감의 차이, 사회생 활 환경의 차이, 인간관계의 방향성의 차이, 품사의 차이, 배합(collocation) 의 차이로 나누어 False Friends의 생성 원인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기준으 로 세운 것들 간의 차이가 모호하고 층위가 다른 것들이 혼재되어 있다. 다 만 기존의 연구를 확장시켜 다양한 각도에서 False Friends의 생성 원인을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오경순(2009)은 형태는 같지만 어의(語義 lexical meaning)가 다른 한․

일 동형한자어(同形漢字語, 僞同義語)를 ‘가짜동족어’로 지칭하고 번역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번역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언어간섭 현상 중의 하 나인 ‘가짜동족어’를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서 어의(語義)가 전혀 다른 것 뿐만 아니라 어의 폭에 차이가 있는 것도 포함시켜 가짜동족어 목록을 제 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실제 번역문에서 나타난 가짜동족어의 예를 제시하 였는데 이 때 한쪽 방향으로만 번역된 텍스트가 아닌 한일, 일한 번역문 모 두를 제시하여 가짜동족어가 나타난 현상을 면밀히 살펴 볼 수 있었다. 그 러나 한․일 가짜동족어를 조사하기 위해 사전을 사용하여 개념적 의미만 을 대조하였다.

채옥자(2014)에서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자어 사용 오류를 분 석하였는데 그 중 동형이의 어휘 오류에서 부분적 의미가 다른 경우와 의 미가 전혀 다른 경우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이 논의 역시 개념적 의미만을 기준으로 분석한 것으로 앞선 윤혜숙(2003), 김혜림(2003), 오경순(2009)의 논의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개념적 의미를 대조하여 False Friends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개념적 의미의 대조만으로는 False

(9)

Friends의 생성 원인을 모두 설명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고는 개념적 의 미뿐만 아니라 연상적 의미까지 고려하여5)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 학습자들의 Fasle Friends 생성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Leech(1981:9-23)는 의미의 유형을 크게 개념적 의미, 연상적 의미, 주제 적 의미로 나누고, 이 중에서 연상적 의미를 다시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연상적 의미는 그것이 나타나는 상황이나 속성에 따라서 내포적 의미, 사회 적 의미, 감정적 의미, 반사적 의미, 배열적 의미 등으로 나누었다(윤평현, 2008:53). 본고에서는 Leech(1981)의 의미 유형을 근간으로 한국어와 베트 남어의 False Friends 분류 기준을 세우고자 한다. 그러나 Leech(1981)의 의미 유형 분류 중에서 감정적 의미와 주제적 의미는 제외시켰다. 감정적 의미는 화자의 개인적 감정이나 태도, 곧 정서가 언어에 반영되어 나타나는 의미인데, 주로 화자의 소리의 고저, 강세, 길이, 억양 등과 같은 운율적 요 소에 의하여 나타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어휘 대조에서는 알 수 없다. 또한 주제적 의미도 대조 기준에서 제외시켰는데, 이는 주제적 의미가 화자의 어 순, 초점, 강조 등 화자의 의도로 인해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화 자 개인의 문제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개 념적 의미 차이와 연상적 의미 차이로 크게 나누고 이를 다시 세분화시켰 다. 개념적 의미 차이는 의미역의 범위에 따라 한국 한자어가 의미가 넓은 경우, 베트남어 한자어가 의미가 넓은 경우, 의미가 중첩되는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로 하위분류하였다. 연상적 의미 차이는 내포적 의미 차 이, 사회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로 나누었다. 이 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5) 개념적 의미가 고정적이고 핵심적인 의미라고 한다면 연상적 의미는 구체적인 상황과 문맥 속에서 그 의미가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비고정적이며 비핵심적인 의미이다(윤평 현, 2008:53).

(10)

<표 1> 한․베 False Friends 유형 분류

개념적 의미 차이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의미가 중첩된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

연상적 의미 차이

내포적 의미 차이 사회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

3. 연구 방법

3.1. 실험 참여자

본 연구는 베트남 하노이 소재 대학교 학부생 15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 다. 실험 참여자들은 토픽 급수를 소지하고 있지는 않았으나 학부에서 한국 어 5급 단계 수업을 이수한 베트남 고급학습자들이었다. 이들은 모두 여자 였으며, 한국어 및 한국어문화 학부 3학년 학생들이었다6). 1, 2학년 때는 국내 어학당(한국어교육원)의 교육 과정과 같은 한국어 연수과정을 이수하 고, 3학년부터 통역과 번역 학습을 시작하기 때문에 실험 참여자로 3학년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6) 실험을 진행한 대학교의 한국어학부에 남학생이 없기 때문에 모두 여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학과 졸업 시에 졸업요건으로 토픽(TOPIK) 5급 이상이 필요하므로 대부분 4학년이 되어야 토픽 시험에 응시하기 때문에 현재 토픽 급수를 가 진 학생이 없었다. 하노이에서 토픽 시험 고사장이 한 곳 밖에 없어서 시험 접수 자체도 힘들고 토픽 급수의 효력이 2년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주 응시하지 않는다.

(11)

3.2. 실험 도구

역번역 활동은 기본적으로 학습자들의 번역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 육 기법이지만, 학습자들이 특정 어휘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False Friends 현상 연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Sinaiko와 Brislin(1973)은 평가자가 학습자의 모어를 구사하지 못해 도 학습자의 역번역문을 원문과 비교함으로써 번역을 검증할 수 있으며, Ma F.(2009)는 역번역은 독자들이 읽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역번역을 통하여 번역의 옳고 그름을 확인하여 번역된 문 장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데에도 유용하다고 하였다. 다시 말해 역번역 쓰기 활동은 단순한 학습자들의 오류나 실수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 이 제2언어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구체 적인 제2언어 습득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역번역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 생성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역벅역 활동을 위한 텍스트는 여성가족부 및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발행한 뺷2019 다문화가족ㆍ외국인 생활 안내 - 한국생활가이드북으로 선 정하였다. 이 텍스트를 실험 도구로 선정한 이유는 첫째, 한국의 문화와 한 국생활을 비롯하여 의료지원, 임신ㆍ출산 및 자녀교육, 사회보장제도, 취업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 되는 어휘 또한 일상 언어는 물론이고 전문용어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번역 활동을 하기에 적합하다. 둘째, 이 텍스트는 한 국 정부가 인정한 전문가에 의해 번역이 되었기 때문에 번역의 정확도 및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실험 문항은 원문 텍스트에서 10개를 선별하였는데, 번역본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다시 검토하기 위하여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베트남 번역가에 게 문항 선별을 의뢰하였다. 실험 문항을 선별할 때 실험 참여자의 수준에

(12)

맞는 번역문으로 순번역이 잘 된 것을 기준으로 삼아 검토하였다. 선정된 문항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표 2> 실험 문항 예시

한국어 원문

외국인노동자, 결혼이민자 등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다. 에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 교육, 상담 등 외국인의 한국생활을 돕기 위한 서비 스가 정부와 민간단체 차원에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이 어렵고, 한 국 문화가 낯설고, 한국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려운 입국 초기에 외국인 지원 기관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베트남어 번역문

Chính phủ Hàn Quốc và các đoàn thể cá nhân cung cấp các dịch vụ hỗ trợ để giúp đỡ cuộc sống ở Hàn Quốc cho gia đình đa văn hoá và người nước ngoài như: giáo dục tiếng Hàn, đào tạo về văn hoá Hàn Quốc, tư vấn vv..vv. Đặc biệt, khi gặp khó khăn về vấn đề giao tiếp, lạ lập với văn hoá Hàn Quốc hay khó khăn trong mối quan hệ với những người Hàn trong thời gian đầu mới nhập cảnh thì thông qua việc sử dụng các dịch vụ khác nhau của các cơ quan hỗ trợ gia đình đa văn hoá và người nước ngoài này sẽ là biện pháp vô cùng hữu dụng cho bạn.

3.3. 실험 절차

먼저 한국어 원문 텍스트가 있고, 이를 전문 번역가가 베트남어로 번역한 번역문이 있는 텍스트들 중에서 하나를 연구 도구로 선정한다. 다음으로 선 정된 텍스트에서 연구자가 10문항을 선별하여 베트남어 번역문 텍스트를 제시하면 실험 참여자들은 이를 한국어로 번역한다. 그런 다음 연구자가 그 결과물을 통해 False Friends로 인한 오류를 찾아내고 그 원인에 따라 False Friends를 분류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4. 연구 결과

앞서 2장에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 유형을 생성원인에 따라

(13)

8개 항목으로 나누었는데 실험 결과에서 추출해낸 False Friends를 그 유 형에 맞춰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개념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 를 생성한 사례는 한국어 의미역이 넓은 경우와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의미가 중첩되거나 의미가 완전히 다른 False Friends를 만들어내는 경우는 없었다. 연상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만들어내는 사례는 내포적 의미 차이에 의한 경우, 사회적 의미 차이의 경우가 나타났으나 반사적 의미와 배열적 의미에 의한 False Friends는 나타나지 않았다. 베트남 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한국어 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의 예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3> 한․베 False Friends의 예

개념적 의미 차이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利用)이용/ lợi dụng 베트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工業)공업/công nghiệp], (發展)발전/phát triển, (收入)수입/thu nhập 의미가 중첩된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

연상적 의미 차이

내포적 의미 차이: (勤勞) 근로/cần lao,(勞動) 노동/ lao động 사회적 의미 차이: (司法府)사법부/ bộ Tư pháp,(部長)부장/ bộ trưởng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

4.1. 개념적 의미 차이로 인한 False Friends

한국어와 베트남어에 있는 동일한 한자어이지만 두 언어에서 개념적(사 전적) 의미의 차이7)가 있는 경우가 있다. 완전히 의미가 다른 경우라면 고급 학습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적으나

7) 개념적 의미 차이의 대조는 사전의 의미를 대조하였는데, <표준국어대사전>과 <베트 남 한자사전>을 사용하였다.

(14)

한쪽이 의미를 포함하고 있거나 중첩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둘 사이의 차이 는 고급학습자일지라도 분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실험 결과에서는 의미 가 중첩되는 경우와 의미가 완전히 다른 False Friends는 나타나지 않았다.

4.1.1.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1) 利用: 이용/ lợi dụng[러이 쭝]8)

<원문> 한국 정부와 민간단체에서는 한국어교육, 한국문화 교육, 상담 등 다 문화가족. 외국인이 한국생활을 돕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 히 의사소통이 어렵고, 한국문화가 낯설어 한국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 려운 입국 초기에 다문화가족. 외국인 지원기관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번역문> "Chính phủ Hàn Quốc và các đoàn thể cá nhân cung cấp các dịch vụ hỗ trợ để giúp đỡ cuộc sống ở hàn quốc cho gia đình văn hóa và người nước ngoài như: giáo dục tiếng Hàn, đào tạo về văn hóa Hàn Quốc, tư vấn,… Đặc biệt, khi gặp khó khăn về vấn đề giao tiếp, lạ lẫm với văn hóa Hàn Quốc hay khó khăn trong mối quan hệ với những người Hàn trong thời gian đầu mới nhập cảnh thì việc sử dụng các dịch vụ khác nhau của các cơ quan hỗ trợ gia đình đa văn hóa và người nước ngoài này là rất hữu dụng."

<역번역문>

한국 정부와 개인 단체들은 다문화가족과 외국인에게 한국에서 삶을 도와 주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 교육, 상담 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한국 문화를 낯설음, 대화 문제에 대한 어려움이나 한국 입국 초기에 한국인과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때 다문화 가족과 외국인을 위한 지원 서

8) 추출해낸 False Friends를 ‘한자: 한국어/베트남어[발음]’ 순으로 표기하였다. 이하 동 일한 방식으로 표기하였다. 베트남어의 한국어 발음을 표기한 것은 한자어의 경우 두 언어 사이에 발음의 유사성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다.

(15)

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주 유익한다.

한국 정부와 개인 단체는 한국에서 살고 있는 다문화 가족 및 외국인을 위하여 한국어 교육, 한국 문화 교육 등과 같은 한국 생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거 나 조기 입국 시 한국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다문화 및 외국 가족 지원 기관의 여러 서비스를 사용하기가 매우 유용한다.

한국 정부 및 개인 단체가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 및 상담 등등을 통해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에게 한국생활에 대해 돕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온 지 얼마 안 돼서 소통 안 되거나 한국문화에 익숙하지 못했던 사람에게는 개인 단체의 여러 가지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주 좋습니다.

(1)에서 원문의 ‘이용하다’라는 어휘가 역번역문에는 대다수 ‘사용하다’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를 베트남어로 순번역 했을 때 번역가가 ‘이용(利用) 하다’를 ‘sử dụng’으로 번역하여서 피실험자들은 그대로 ‘사용하다’를 썼다.

‘이용하다’를 한자 그대로 옮기면 ‘lợi dụng’ 인데, ‘lợi dụng’은 베트남어에서 부정적인 의미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에서는 ‘이용하다’는 ‘대상 을 필요에 따라 이롭게 쓰다’는 긍정적 의미와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자신 의 이익을 채우기 위한 방편으로 쓰다’는 부정적 의미 두 가지 모두 사용된 다. ‘사용하다’는 ‘일정한 기능이나 목적에 맞게 쓰다’라는 의미인데 ‘이용하 다’와 유의어라서 바꿔 써도 무방한 경우가 있으나 문맥상 분명히 다르게 써야하는 상황이 있다. 예를 들어 ‘부모님께 존댓말을 이용하다(?)’의 경우 나, ‘버스를 사용하다(?)’와 같은 경우는 어색한 문장이 된다. 고급학습자들 에게는 이러한 미묘한 차이도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9).

9) 한국어가 모국어인 화자의 경우에도 ‘이용하다’와 ‘사용하다’를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 가 많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에도 ‘이용’과 ‘사용’의 구분에 대한 문의가 여러 차례 있었다. 국립국어원의 답변에 따르면 문맥에서 ‘이롭게’라는 뜻을 포함한, ‘이롭게 쓰다’

라는 뜻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용하다’를 쓰고, ‘쓰다’라는 뜻이 주되게 나타나는 경우 에는 ‘사용하다’를 쓰는 것이 적절하다.

(16)

(1)의 예시는 한국어의 의미역이 베트남어 의미역보다 더 넓기 때문에 대 응되지 않으므로 ‘이용(利用)’과 ‘lợi dụn(利用)’이 False Friends가 되었다.

4.1.2.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2) 工業: 공업/công nghiệp[꽁 응옙]

<원문>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관,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근로조 건의 기준, 근로자의 복지 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산업안전보건, 산업재 해보상보험과 그 밖에 고용과 노동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번역문> "Bộ Lao động & Tuyển dụng đảm nhiệm các công việc liên quan đến quản lý chính sách tuyển dụng, bảo hiểm tuyển dụng, đào tạo phát triển năng lực nghề nghiệp, tiêu chuẩn điều kiện lọa động, phúc lợi của người lao động, điều chỉnh quan hệ giữa người sử dụng lao động và người lao động, y tế an toàn công nghiệp, bảo hiểm bồi thường tai nạn công nghiệp và các công việc khác liên quan đến tuyển dụng và lao động."

<역번역문>

노동 및 채용부는 채용 정책 관리와 업무 능력 개발 교육, 노동 조건 기준, 노동자의 복지, 노동자 및 노동 사용자의 관계 조정, 공업안전의료, 사고보 험 및 기타 업무 등등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채용 및 노동부는 채용 정책, 채용 보험, 전문 역량 개발 및 역량 개발, 노 동 조건, 근로자의 복지, 고용주와 근로자의 관계 조정, 공업 안전 보건, 공 업 재해 보상 보험 및 기타 고용 및 노동 등에 관련 담당한다.

한국어에서 ‘공업’은 원료를 인력이나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유용한 물자 를 만드는 산업으로 제조업이나 건설업 따위의 제2차 산업을 의미한다. 그 러나 베트남어의 ‘công nghiệp’은 한자어 그대로 직역하면 ‘공업’(工業)인 데, 한국어 ‘공업’보다 의미가 넓다. 한국어에서 ‘공업’의 상위어이면서 좁은

(17)

의미로는 ‘공업’을 의미하는 ‘산업’과 의미역이 일치한다. 따라서 ‘công nghiệp’은 한국어의 ‘공업’과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의미 차원에서 상위어 라고 볼 수 있다. 즉, ‘công nghiệp’은 한국어의 ‘산업’과 대응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공업을 비롯해 재화나 서비스를 창출하는 모든 활동인 ‘산업’이 들 어가야 할 자리에 ‘공업’을 사용하게 되어 원문에서 벗어난 오류가 발생하 게 되었다.

(3) 發展: 발전/phát triển[팟 찌엔]

<원문> 한국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개인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이 매우 발달되어 있는 나라이다. 인터넷을 이용하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인터넷뱅킹, 행정업무 등을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다.

<번역문> Hàn Quốc là một quốc gia mà phần lớn mọi gia đình đều sử dụng máy vi tính cá nhân và mạng internet rất phát triển. Khi sử dụng internet, chúng ta có thể tìm được rát nhiều thông tin và giải quyết được nhiều việc như internet banking, công việc hành chính… một cách tiện lợi.

<역번역문>

한국은 대부분의 가족들이 노트북을 사용하고 인터넷이 아주 발전한 나라 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면 정보를 많이 검색할 수 있고 인터넷 뱅킹, 행정 업무 등 여러 일을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다.

한국은 대부분의 가정 개인 컴퓨터 사용하면서 인터넷 매우 발전하는 국가 입니다. 인터넷을 사용할 때 우리가 정보를 얻고 인터넷 뱅킹이나 행정업 무 등 같은 일을 편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3)의 베트남어 번역문에 ‘phát triển’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 모든 피실험자가 ‘발전하다’라는 단어를 선택하였다. ‘발달하다’는 한자어 그대로 직역하면 ‘Phát đạt’이 되며 이는 베트남에서 ‘번창하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18)

있다. 베트남어에서는 ‘phát triển’은 ‘발달하다’와 ‘발전하다’의 의미를 다 포 함하고 있어서 한국어 ‘발전하다’보다 의미역이 넓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발전하다’와 ‘발달하다’는 유의어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미묘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두 단어의 의미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공기하는 명사와 묶어서 사례 를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언어, 운동 신경 등은 일정한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다는 의미로 ‘발달’과 함께 쓰여야 하고, 경제, 과학 등은 보다 못한 상태에서 더 나은, 더 높은 과정으로 넘어 간다는 의미로 ‘발전’과 함 께 쓰여야 한다10).

(4) 收入: 수입/thu nhập[투 녑]

<원문> 한국은 소득에 따라 매달 일정금액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건강보험제 도를 실시하고 있다.

<번역문> Hàn Quốc thực hiện một hệ thống bảo hiểm sức khoẻ trong đó một người thanh toán một số tiền phí bảo hiểm hàng tháng nhất định tuỳ theo mức thu nhập và tài sản của họ.

<역번역문>

한국은 보건보험 시스템을 실행하는데 수입과 재산에 따라 매달에 일정 보험 금액을 내야 한다.

한국은 수입과 재산에 따라 매달 보험료를 납부하는 건강보험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다.

한국은 건강보험 시스템을 실행하는데 그 안에 각 개인은 수입과 재산에

10) 국립국어원 온라인 가나다에 ‘발전’과 ‘발달’의 차이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면

발전’과 ‘발달’의 의미 차이를 명확하게 가르는 것은 쉽지 않지만 대체적인 차이를 설명 해주었다. ‘발전’은 보다 못한 상태에서 더 나은 상태로 넘어가는 과정에 주된 의미가 있는 반면에 ‘발달’은 주로 일정한 수준에 이른 상태를 가리킨다고 하였다. 즉 ‘발달’은 과정이 아닌 상태라는 점에서 ‘발전’과 구별된다.

(19)

따라 매달에 고정적인 보험료를 결제해야 한다.

(4)의 경우, ‘소득’(所得)이라는 단어가 “일정 기간 동안의 근로 사업이나 자산의 운영 따위에서 얻는 수입”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베트남어로 그 대로 번역하면 ‘sở đắc’이 되는데 이 어휘는 불교 용어로 ‘소유’ 정도의 의미 를 가지고 있을 뿐 현대 사회에서 일상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다. 완전히 의 미가 달라졌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베트남어 ‘thu nhập’은 한자어로 ‘수입 (收入)’인데 한국어의 ‘소득’과 ‘수입’의 의미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한 국어 ‘소득’보다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3), (4)의 예시는 모두 베트남 한자어의 의미가 한국 한자어의 의미를 포괄하는 상위어의 위치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베트남어의 의미가 더 크기 때문에 한국어와 대응되지 않아서 False Friends가 되었다.

4.2. 연상적 의미 차이로 인한 False Friends

언어는 사회ㆍ문화를 반영하는 거울로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언어도 변 화하게 된다. 어원이 같은 한자어일지라도 다른 사회 속에 들어가 그 의미 가 달라졌을 수도 있고, 사회의 모습에 따라 새로운 어휘가 생겨났을 수도 있다. 이렇듯 가변적이고 비고정적인 연상적 의미는 제2언어 학습자들이 단순히 언어 자체만을 학습해서는 파악하기 어렵고, 목표어의 사회ㆍ문화 적 맥락을 이해해야만 파악할 수 있다.

‘동지(同志)’의 경우 한국에서는 목적이나 뜻이 같은 사람을 의미할 때만 사용되지만 베트남의 경우 북한에서처럼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호칭처럼 사용한다. 한국에서 이름 뒤에 ‘동지’를 붙여서 부른다면 쉽게 북한 사회를 떠올리게 된다. 사회 체제의 차이에 따른 어휘 사용의 다름을 보여주는 예 로 볼 수 있다.

또한 어떠한 개념이나 사물의 유무에 따라 어휘 사용에도 차이를 보일

(20)

수 있다. 베트남에서는 현재도 ‘등롱(燈籠)’이라는 어휘는 보편적으로 사용 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 구시가지나 전통시장, 관광지 같은 곳에서 등 롱 축제나 등롱을 파는 가게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등롱(燈籠)’은 처마 밑이나 기둥 외부에 거는 등기구(燈器具)의 일종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 서는 ‘등롱’이 사라졌기 때문에 ‘등롱’이라는 어휘도 거의 쓰이지 않게 되었 다. 대신 비슷한 사물로 여전히 남아있는 것은 불교 행사에서의 ‘연등’이나 사극에서 볼 수 있는 ‘초롱’, 한지 공예에서 ‘등불’ 정도가 있다. 따라서 베트 남의 ‘đèn lồng’을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한자어 그대로 ‘등롱’이 아닌 ‘등불’

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앞서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유형을 분류할 때 연상적 의미 차 이는 내포적 의미 차이, 사회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로 나누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반사적 의미 차이와 배열적 의미 차이로 인한 False Friends는 나타나지 않았고, 내포적 의미 차이와 사회적 의미 차이로 인한 False Friends 현상만이 나타났다.

4.2.1.내포적 의미 차이

(5) 勤勞: 근로/cần lao[껀 라오], 勞動: 노동/ lao động[라오 동]

<원문>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 및 공무원, 직원은 직장가입자가 된다.

<번역문> Tất cả người lao động, công chức của doanh nghiệp đều được gọi là đối tượng tham gia bảo hiểm theo doanh nghiệp.

<역번역문>

기업의 노동자, 공무원, 직원 등은 직장건강보험에 가입하는 대상이라고 합니다.

기업의 노동자, 공무원을 사업보험 대상이라고 한다.

사업의 노동자, 공인, 공무원은 사업 보험을 사는 사람이다

(21)

(5)에서 역번역문을 보면 원문의 ‘근로자’를 모두 ‘노동자’로 번역하였다.

‘근로(勤勞)’는 베트남어에서는 ‘cần lao’ 즉 ‘열심히 노동하다’의 의미를 가 지지만 ‘근로자’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노동자를 가리키는

‘người lao động’를 사용한다. 베트남에서는 노동이나 근로나 다르지 않게 받아들이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노동자’와 ‘근로자’가 의미상에 차이가 없 음에도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노동’이라는 어휘가 북한의 사회주의에 서 주로 쓰이기 때문에 기피하거나, ‘노동자’는 주로 ‘육체적인 노동을 하 는 사람’을 가리키는 어감이 있어서 ‘근로자’와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취업을 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면 계약서 를 쓰는데, 이때 ‘근로계약서’라는 양식을 사용한다. ‘노동계약서’라는 양식 자체가 없다. 따라서 베트남어 ‘lao động’을 한자어 그대로 한국의 ‘노동’으 로 번역하게 되면 한국어 모어 화자의 입장에서 볼 때는 어색한 문장이 되는 것이다.

4.2.2. 사회적 의미 차이

(6) 司法府: 사법부/ bộ Tư pháp[보 뜨 팝], 法務部: 법무부/대칭되는 단어 부재

部長: 부장/ bộ trưởng[보 쯔엉], 長官: 장관/대칭되는 단어 부재

<원문> 외국인이 대한민국에 입국하고자 할 때에는 유효한 여권과 법무부 장관이 발급한 사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번역문> Người nước ngoài khi muốn nhập cảnh vào Hàn Quốc cần phải có hộ chiếu còn thời hạn và visa do bộ trưởng bộ Tư pháp cấp.

<역번역문>

외국인들은 한국에 입국하려면 유효한 여권과 사법부 부장이 발급한 비자 가 있어야 한다.

(22)

한국에 입국하려는 외국인은 유효한 여권과 사법부 부장이 발급하는 비자 가 가져야 한다.

외국인들은 한국에 입국하고 싶으면 사법부 장관이 발급하는 유효 여권과 비자를 가져야 한다.

한국과 베트남의 사회ㆍ문화적으로 가장 큰 차이점은 정치체제의 차이 로 인한 것이다. 베트남 헌법은 국회가 최고 대표기관이며 최고 권력기관이 라고 규정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베트남공산당이 모든 것을 장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입법, 사법, 행정이 베트남공산당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계경문 외, 2009:33-34). 한국의 경우는 입법, 사법, 행정 의 삼권이 분명하게 분리되어 있는 민주주의 체제이다. 양국의 정치체제의 차이로 인해 사회제도, 정부 조직 등에서 그 차이가 나타나며 개념을 지칭 하는 어휘들도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6)의 원문에서 ‘법무부(法務部)’, ‘장관(長官)’이라고 하였으나 번역문에 서는 ‘bộ Tư pháp(사법부)’ ‘bộ trưởng(부장)’으로 바꾸었다. 이렇게 번역한 것은 베트남 정부 조직에서 법무부와 장관이 없기 때문이다. 베트남의 사법 부의 역할이 한국의 법무부의 역할에 상응하기 때문에 순번역에서는 한국 어 ‘법무부’를 베트남어 ‘bộ Tư pháp’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 하지만 역번역 과정에서 베트남어 ‘bộ Tư pháp’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경우 문맥에 따라

‘법무부’와 ‘사법부’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장관’의 경우도 마찬가 지이다. 베트남에는 장관이 없고 그에 상응하는 직책이 ‘bộ trưởng’인데 한 자어 그대로 바꾸면 ‘부장(部長)’이다. 한국에서 법무부나 사법부에는 ‘부 장’이라는 직책이 없으므로 역번역 시 베트남어 ‘bộ trưởng’을 한국어 ‘부장’

으로 번역하는 것은 오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은 학생들이 두 나라 정부 조직의 차이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교사가 가르쳐주어야 할 사항 이다.

(23)

5.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베트남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을 살펴보고 False Friends가 나타난 원인을 규 명하고 분류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False Friends를 의미를 기준으로 유형화시켰다. False Friends 유형은 크게 개념적 의미 차이와 연상적 의미 차이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세분화시켰다. 개념적 의미 차이는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베트남 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의미가 중첩된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로 나누었고, 연상적 의미 차이는 내포적 의미 차이, 사회적 의미 차이, 감정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역번 역 활동을 통해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를 추출해 내고 이를 그 생성원인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개념적 의미 차이에 의한 False Friends 유형 중에는 한국어 의미역이 넓은 경우와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가 나타났다. 반면.

개념적 의미 차이의 의한 False Friends 유형 중 의미가 중첩되거나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는 없었다. 이는 학습자들의 의미역의 차이를 인지하지 못 했을 때 False Friends를 생성해낼 가능성이 더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연상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만들어내는 사례는 내포적 의미 차이에 의한 경우, 사회적 의미 차이의 경우가 나타났으나 반 사적 의미와 배열적 의미에 의한 False Friends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내포적 의미 차이와 사회적 의미 차이를 중심으로 교사의 지 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 한자어를 학습할 때 어떤 부분에서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지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수의 고 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 다는 한계가 있다.

(24)

본 연구의 또 다른 한계점은 한국어와 베트남어 사이의 발음의 유사성과 False Friends의 상관성은 살피지 못했다는 것이다. 베트남 학습자들의 경 우 베트남어 한자어가 한국어와 동일한 ‘한자어’라는 인식보다는 한국어와 의 발음의 유사성을 통해 모어를 전이 시키는 경향도 있는데 이에 대한 연 구는 후속 과제로 넘기기로 한다.

참고문헌 1. 학술자료

곽 상(2006), 뺷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동형 한자어의 의미 기술과 지도 방 안 연구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계경문 외(2009), 뺷베트남의 정부 조직과 법 체계뺸, 한국법제연구원.

김민경(2007), 뺷한국어 한자 어휘 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국어권 중 급 학습자를 대상으로-뺸,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수희(2005), 뺷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교육 연구- 한자어휘를 중심으로-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정아(2009), 뺷직접쓰기, 번역하기, 역번역하기를 통한 영어 작문의 담화분석뺸,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창구(2003), 뺷한일 한자 어휘의 대조 분석과 교육적 접근-한국어 교재에 나타 난 한자 어휘를 대상으로-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혜림(2003), 「한․중 번역에서 나타난 同源記標素의 간섭에 대한 연구」, 뺷중국 어문학지뺸(14), 중국어문학회.

김혜림(2009), 「번역투와 포자미(faux amis)-중한 출판번역을 중심으로-」, 뺷중국 어문학지뺸(30), 중국어문학회.

김혜영(2009), 뺷국어 번역문과 번역 글쓰기뺸, 한국문화사.

김홍진(2007), 뺷현대 한․중 한자어의 동형이의어․이형동의어 비교 연구- HSK 8822甲․乙급 어휘를 중심으로-뺸,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레뚜언선(2009), 뺷한국어와 베트남어 한자어 대조 연구뺸,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류일영(2001), 뺷영어교육에서 번역의 필요성뺸,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마이느응우엣(2015), 뺷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동형이의어 교수․학습 방

(25)

안 연구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맹주억(2004), 「한국어와중국어 사이의 어휘 간섭 요인- 박쥐말(Ⅰ)」, 뺷외국어 교 육뺸, 11(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맹주억(2005), 「한국어와중국어 사이의 어휘 간섭 요인- 박쥐말(Ⅱ)」, 뺷외국어 교 육뺸, 12(3),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박노철(2004), 「영어교육에 있어서 번역 교육의 필요성 연구」, 뺷영어교육연구뺸, 28,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박성은(2008), 뺷중급 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 어휘 학습 전략 연구- 의 미 발견 전략을 중심으로-뺸,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여성(2002a), 「번역 교육을 한 번역 라디그마의 효용성」, 뺷지역학논집뺸제6집, 숙명여자학교 지역학 연구소.

박종숙(2011), 뺷동형 유의 한자어의 번역에 관한 통시적 기술분석 연구- 일한 문 학 출판 번역을 중심으로-뺸,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티응옥안(2011), 뺷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어 학습 전략뺸,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이짓보리숫 타넷(2013), 뺷역번역(Back Translation)이 한국어 쓰기의 언어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야마기와 타카코(2012), 뺷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에 관 한 연구- 동형동의 한자를 중심으로-뺸,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양혜숙(2010), 뺷역번역(back translation)활동을 통한 제2언어 학습자의 영어 글 쓰기에 나타난 학습자 언어 연구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2019), 뺷2019 다문화가족ㆍ외국인 생활 안내 - 한국생활가이드북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오경순(2009), 「한일 양언어의 번역과 ‘가짜동족어(false friends)’」, 뺷日本近代學 硏究뺸 25, 한국 일본근대학회.

왕 호(2019), 뺷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습득 양상 연구뺸,연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윤혜숙(2003),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방안 -True friends와 False Friends 목록 활용-」, 뺷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뺸 28, 연세대학교 언어 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윤평현(2008), 뺷국어의미론뺸, 도서출판 역락.

이경현(2009), 뺷한국어와 베트남어 동형한자어 비교연구뺸,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26)

논문.

이승연(2012), 뺷한국어 교육을 위한 응용언어학 개론뺸, 태학사.

이희재(2009), 뺷번역의 탄생뺸, 교양인.

조상은(2004), 「TAP(Think-Aloud Protocol)에 나타난 일한번역학습자의 번역 성향」, 뺷통번역교육연구뺸 2권 1호, 한국통번역교육학회.

채옥자(2014),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오류 분석」, 뺷용봉인문논총 45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허 용(2018), 「한국어 학습자들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문장의 특징 연구: 한국어교 육의 관점에서」, 뺷인하교육연구뺸, 인하대학교교육연구소.

현김화(2019), 뺷베트남인 초급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용 한자 목록 선정 및 학 습법의 연구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후문옥(2003), 뺷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뺸,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Xu Mingyue(2017), 뺷역번역이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의 조사․어미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종석 칼럼 「말들의 풍경 17. 우리말 안의 그들의 말」, 한국일보(2006.6.27) Brislin, R. W.(1970), Back-translation for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

Brown, H. D.(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3rd.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Corder, S.P.(1981), Error Analysis and Inter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llis, R. (1994),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Kobayahi, H., & Rinnert, C.(1992), Effects of First Language in Second Language Writing: Translation Versus Direct Composition. Language

Learning, 42(2).

Ma, F. (2009), Literal Translation, Free Translation, and Back Translation.

Degree of Mast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essler M. & Derocquigny J.(1928), Les faux-am is ou les trahisons

duvocabulaire anglais; conseils aux traducteur.

Leech, G.N.(1981), Semantics, London : Penguin Books.

Paegelow, R.S. (2008), Back Translation Revisited: Differences that Matter and Those that do not matter. The ATA Chronicle, 1.

(27)

Shuttleworth, M. & Cowie, M.(2004), Translation Study Dictionary.

Sinaiko, H. W., & Brislin, R. W.(1973). Evaluating language translations:

Experiments on three assessment method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7(3), 328–334.

Silva, T.(1990), Second language composition instruction: Developments, issues, and directions in ESL. In B. Kroll(Ed.), Second language

writing: Research insights of the classro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Tyupa, S. (2011), A theoretical framework for back-translation as a quality assessment tool. New Voices in Translation Studies, 7.

Uzawa, K. (1996), Second language learner's process of L1 writing, L2 writing, and translated writing from L1 into L2.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5(3).

2. 전자자료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접속일자: 2019.12.30) 네이버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main (접속일자: 2019.12.19) 베트남 한자 사전 https://hvdic.thivien.net (접속일자: 2019.12.19) 국립국어원 https://korean.go.kr/ (접속일자: 2019.12.30)

(28)

Abstract

A Study of Vietnamese-Korean False Friends in Back Translation Texts

11)Ko, Sang-mi*․Nguyen THi Hai Giang**․Baek, Seung-j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ietnamese-Korean False Friends words in back translation texts of Vietnamese Korean advanced learner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Korean-Vietnamese False Friends.

First of all,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False Friends and classified them based on Semantic meaning. We divided False Friends words into two categories: Conceptual meaning and Associative meaning. Conceptual meaning words are subdivided into cases where Korean words have a wide range of meanings, Vietnamese words have a wide range of meanings, when meanings overlap, and meanings are completely different. Associative meaning differences are divided into implicit meaning differences, social meaning differences, reflective meaning differences, and arrangement meaning differences. 15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Korean were chosen for the test. We selected “2019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ife Guide-Korean Living Guide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Korea Health and Family Promotion Agency as the tool for this experiment. We picked 10 paragraphs from the selected texts and presented the Vietnamese translation text, and the participants translated it into Korean. Then we analyzed the back translation and found False Friends words appeared in students’ works. As a result of experiment, 4 out of 8 of False Friends generation causes were discovered.

First, False Friends generated by conceptual meaning difference happened

* Chonnam University ** Vietnam National University

*** Chonnam University

(29)

when Korean had wider meaning and Vietnamese had wider meaning.

Next, there were cases where false friends were caused by associative meaning differences due to implicit meaning differences and social meaning differences.

Key Words : False Friends, back translation, error analysis, Vocabulary error, Conceptual meaning, Associative meaning, Vietnamese KAP Learners, Korean Education

<필자소개>

이름: 고상미 소속: 전남대학교

전자우편: ksm201149@naver.com 이름: 응우옌티하이쟝

소속: 하노이국립대학교

전자우편: wonhaekang@gmail.com 이름: 백승주

소속: 전남대학교

전자우편: rightodream@jnu.ac.kr 논문투고일: 2020년 1월 31일 심사완료일: 2020년 2월 24일 게재확정일: 2020년 2월 24일

(30)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