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pace Syntax의 적용 사례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

가. 기존연구의 적용 사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여러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공간구문론이 공간의 이용자수 및 동선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임이 밝혀졌다. 즉 공간의 통합도와 연결도, 명 료도 등 공간구문 특성치가 높아질수록 공간의 이용인구 및 사회적 교류가 활발해 지고 건물배치와 인구에 대한 과밀감이 적어지며 동선 이용상의 편리도가 높아지 는 것으로 분석된다.9)

노재원10)은 공간구문론의 분석 방법을 통해 루이스 칸의 건축에 나타난 4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공간구조를 파악하고 정량적인 방법으로 도출된 위상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첫쨰 동심원적 공간배치가 공간구문 특성상 위계를 가지며 건축가의 창작의도를 드러난다는 점과, 또한 사용자의 공간 인식을 명료하게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둘째, 루이스 칸 건축에 있어서 동선이 미치지 않는 보이드 공간이 강한 의미를 갖는 단위공간 즉, 루이스 칸 건축의 핵심 개념인 ‘Room’으로서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9) 이규인, “공간구문모델에 의한 단지계획 대안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권 6호, 1995.

10) 노재원.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루이스 칸 건축의 공간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2.

이순환11)은 공간구문론을 적용하여 대형 할인점의 공간구조와 그 속에서 실제 고객동선의 관계성을 조사하여 상호간의 관계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공간위상도 및 공간연결도, 공간통제도의 값이 가장 높은 부분이 지하1층 부분에 위치하고 있 었고, 고객의 이용도 및 많은 고객의 쇼핑매출이 예상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었 다. 지하2층은 공간변수 값이 낮게 나타났고, 고객동선의 극대화라는 측면에서 식 품류를 공간의 깊이가 가장 깊은 곳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이는 타 경쟁 할인점과 비교하여 다소간의 상이한 공간구조로 사료되었다.

LI GUANGZHE12)은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평면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아파트의 특성과 차이를 밝혀냈고 또한 그로 인해 결정되는 주생활양식의 특징들을 규명하 였다. 도구로서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였고 통합도 합의 차이로 양국의 아파트 내 동 선 효율성의 차이와 공간의 분포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었으며 통합도 별 차이로 한국과 중국의 현관과 주방사용에 대한 문화적 차이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김태희13)는 기업이 추구하는 기업 이미지를 기업의 사옥이라는 공간을 통해서 표출하고 기업과 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커뮤니케 이션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대상은 포스코미술관, SK미술관, 로댕갤러리, 일주아트에 도구로서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 공간의 활용 률과 공간과 공간의 연계성, 접근성, 인지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 적용가능성과 한계

공간구문론은 그 적용 가능성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다. 우선 공간구문론이 다루 는 공간의 특질이 가치중립적이기 때문에 그 적용대상과 해석의 차원이 탈 지역적 이며 탈 문화적이다. 또한 시각적으로 쉽게 보여지거나 인지될 수 없는 공간조직의 위상학적 특성을 계량적인 방식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분석 대상 상호간의 객관적 이고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다.

11) 이순환, 공간구문로을 이용한 대형할인점 공간구조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2) LI GUANGZHE,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한국과 중국의 아파트평면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 명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3) 김태희, 공간구문론의 가시성을 적용한 기업 사옥 내 문화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7.

특히, 분석대상의 규모가 크거나 대상의 수가 많아 단순한 비교만으로 판단이 이 루어지기 어려울 경우 계량적 접근방법은 상당히 편리한 도구로서 작용한다. 그리 고 가장 중요한 이점의 하나는 건축공간의 의미가 제기하는 문제에 대한 제한적이 지만 명확한 정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건축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질문들이 공간구문론이 제공하는 엄격한 수리체계를 바탕으로 보다 엄격한 방식으로 정의되 어 질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를 통해 전개되어질 수 있는 논의의 가능성은 상당 히 포괄적이다.

공간구문론에 의한 연구방법은 크게는 건축물의 배치와 평면을 통해 건축물 내 부공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거나, 도시 또는 지역의 가로망과 배치 등을 통해 도로의 위상학적 이웃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도시라는 외부공간의 공간적 분포를 분 석하는 등 두 가지로 구분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공간구조의 분석결과를 통해 해 당 공간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함이며, 건축실무에 있어서는 건축공간계획안 의 결과를 예측하여 디자인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로서 인정 되고 있다.

하지만 계량적 분석방식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한계도 있다. 수학이나 과학의 공 식으로만 현실세계의 모든 측면을 설명할 수 없듯이, 공간구문론 만으로 건축공간 이 가지는 모든 특성을 설명할 수는 없다. 또한, 공간구문론의 분석은 평면적으로 만 이루어져 있다. 그렇게 때문에 여러 차원의 가정을 필요로하는 입체적인 부분은 결코 정확하게 해석할 수가 없다.

즉, 공간구문론은 수많은 제한과 한계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의 눈에 쉽게 보여지거나 인지될 수 없는 공간조직의 위상학적 특성을 계량적인 방식으로 보여 주기 때문에 분석대상 상호간의 객관적이고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다.

제3절 기존연구의 동향 및 방향 설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