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균공간깊이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61)

각 실의 평균공간깊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 대상을 현관, 거실, 주방/식당, 침 실, 욕실로 선정하였다. 이 공간들은 3장에서 행하여진 실의 종류 분류에서 한국과 일본이 공통적으로 나타난 공간이다. 주방과 식당은 하나의 실로 합쳐서 내부 공간 의 접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 공공실 분석

표9. 공공실별 평균공간깊이 데이터(한국) 실명

도면명 현관 거실 주방/식당 침실 욕실

K1 3.692308 1.538462 2.230769 2.076923 2.769231

K2 2.416667 1.500000 2.083333 2.000000 2.416667

K3 2.416667 1.500000 2.250000 1.750000 2.666667

K4 2.200000 1.300000 2.000000 1.600000 2.200000

K5 2.333333 1.533333 2.200000 2.066667 2.466667

K6 2.307692 1.538462 2.153846 1.923077 3.384615

K7 2.647059 1.823529 2.647059 2.176471 2.764706

K8 2.684211 1.842105 2.789474 4.578947 2.789474

K9 2.631579 1.789474 2.631579 2.842105 2.736842

K10 2.357143 1.571429 2.214286 2.142857 2.500000

평균 2.568666 1.593679 2.320035 2.315705 2.669487

[표 9]은 한국아파트 각 실의 평균공간깊이를 분석하여 보았다. 도면별로 분석하 여 보면 다음과 같다. K1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현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2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현관과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K3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4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현 관과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K5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6은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K7은 거실 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K8은 거실이 가장 낮고 침실이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K9는 거실이 가장 낮고 침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K10의 경우 는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림11. 공공실별 평균공간깊이 분석(한국)

K1∼K10까지 거실과 주방/식당의 평균공간깊이가 낮은 것은 다른 공간보다 쉽 게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이고, 현관과 침실과 욕실이 높게 나온 것은 그만큼 다른 공간보다 격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거실과 주방/식당은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온 식구가 모일 수 있는 가정생활의 중심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10. 공공실별 평균공간깊이 데이터(일본) 실명

실명 현관 거실 주방/식당 침실 욕실

J1 2.363636 1.818182 2.727273 2.363636 3.363636

J2 2.692308 2.692308 2.846154 2.846154 2.384615

J3 2.538462 1.923077 2.615385 2.384615 3.000000

J4 2.500000 1.666667 2.333333 2.666667 2.916667

J5 2.384615 2.307692 1.846154 2.538462 2.846154

J6 2.384615 2.384615 1.923077 2.384615 3.230769

J7 2.083333 1.750000 2.416667 2.250000 2.500000

J8 2.230769 1.846154 2.692308 2.692308 3.153846

J9 2.000000 1.916667 1.250000 2.000000 2.833333

J10 2.090909 1.818182 2.727273 2.272727 2.545455

평균 2.326865 2.012354 2.337762 2.439918 2.877448

[표 10]은 일본아파트 각 실의 평균공간깊이를 분석하여 보았다. 도면별 분석결 과는 다음과 같다. J1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2의 경우는 욕실이 가장 낮고 주방/식당과 침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3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침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4의 경우는 거실이 가장 낮고 욕 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5의 경우는 주방/식당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6은 주방/식당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7은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8은 거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9는 주방/식당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10의 경우 거실이 가장 낮고 주방/식당과 침실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림12. 공공실별 평균공간깊이 분석(일본)

일본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평균공간깊이가 현관, 거실이 낮게 나왔고, 주방/식당, 침실, 욕실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현관과 거실, 욕실은 다른 공간에 비해 접근이 용이하게 분석되었고, 주방/식당, 침실, 욕실은 접근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나. 영역별 분석

다음은 3장에서 말한바와 같이 주거공간을 3영역으로 분류하여 평균공간깊이를 분석하여 보았다. 한국의 경우 공적영영-전실, 현관, 거실, 발코니, 간이화단, 대피 공간, 반공적영역-주방/식당, 테라스, 세탁실, 사적영역-침실, 욕실, 파우더실, 드레 스실로 구분하였고, 일본의 경우 공적영역-전실, 현관, 복도, 거실, 발코니, 공용옷 장, 반공적영역-주방/식당, 다다미방, 벽장, 사적영역-침실, 화장실, 욕실, 세면실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표11. 영역별 평균공간깊이 데이터(한국) 도면명

영역 K1 K2 K3 K4 K5 K6 K7 K8 K9 K10 평균

공적영역 2.65 2.60 2.50 1.92 2.60 2.54 3.05 2.82 2.83 2.77 2.63

반공적영역 2.35 2.63 2.25 2.00 2.20 2.15 2.65 3.00 2.50 2.21 2.39

사적영역 2.75 2.26 2.34 2.73 2.83 3.09 2.87 3.54 3.35 2.80 2.86

한국의 경우, 공적영역에서는 K7(3.0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4(1.9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공적영역에서는 K8(3.0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4(2.0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적영역에서는 K8(3.5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2(2.26)가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전체평균을 보면 영역별 평균공간깊이는 사적영 역(평균2.86)이 가장 높고 반공적영역(평균2.39)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림13. 영역별 평균공간깊이 분석(한국)

이것은 앞서 분석한 공공성의 평균공간깊이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적영 역인 거실의 평균공간깊이가 가장 낮은것과 관련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사적영역인 침실이나 욕실의 평균공간깊이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 침실이나 욕실같은 개 인 생활공간은 평면 구성상 사생활 침해를 덜 받을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표12. 영역별 평균공간깊이 데이터(일본) 도면명

영역 J1 J2 J3 J4 J5 J6 J7 J8 J9 J10 평균

공적영역 2.33 2.60 2.41 2.32 2.57 2.69 2.12 2.31 2.18 2.15 2.37

반공적영역 2.73 3.10 2.77 2.46 2.54 2.00 2.21 2.38 1.25 2.50 2.39

사적영역 2.77 2.52 2.90 2.79 2.45 2.67 2.21 2.55 2.25 2.27 2.54

일본의 경우, 공적영역에서는 J6(2.1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7(2.12)가 가장 낮 게 나타났다. 반공적영역에서는 J2(3.1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9(1.25)가 가장 낮 게 나타났다. 사적영역에서는 J3(2.90)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7(2.21)가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전체평균을 보면 영역별 평균공간깊이는 사적영역(평 균2.54)이 가장 높고 공적영역(평균2.3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림14. 영역별 평균공간깊이 분석(일본)

이것은 앞서 분석한 공공성의 평균공간깊이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적영 역인 거실, 주방/식당의 평균공간깊이가 가장 낮은것과 관련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사적영역인 침실이나 욕실의 평균공간깊이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 한국과 마 찬가지로 개인 생활공간은 평면 구성상 사생활 침해를 덜 받을 수 있는 곳에 위치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영역별 평균공간깊이는 전체적으로 접근성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