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간위상도의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8)

그림15. 공공실별 공간위상도 분석(한국)

전체적으로 현관과 욕실의 공간위상도가 낮은 것은 다른 공간보다 접근이 쉽지 않고 독립적인 공간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거실이 가장 높게 나온 이유는 내부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여 거실로부터 건물 전체의 구조를 인지하기에 용이함을 의 미한다. A4의 거실이 가장 높은 것은 다른실에 비해 위치적으로는 중앙에 있고 면 적부분에서도 가장 높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표14. 공공실별 공간위상도 데이터(일본) 실명

실명 현관 거실 주방/식당 침실 욕실

J1 1.044613 1.741022 0.824695 1.004613 0.602661 J2 0.945961 0.945961 0.867131 0.867131 1.156175 J3 1.040558 1.734263 0.991007 1.156175 0.800429 J4 1.010312 2.273203 1.136601 0.909281 0.790679 J5 1.156175 1.224185 1.891923 1.040558 0.867131 J6 1.156175 1.156175 1.734263 1.156175 0.717626 J7 1.398894 2.020625 1.069742 1.212375 1.010312 J8 1.300697 1.891923 0.945961 0.945961 0.743255 J9 1.515468 1.653238 6.061874 1.515468 0.826619 J10 1.305766 1.741022 0.824695 1.119228 0.921717 평균 1.187462 1.638162 1.634789 1.092697 0.843660

집합주택별로 분석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J1의 경우는 욕실이 가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2의 경우는 침실이 가장 낮고 욕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3의 경우는 욕실이 가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4의 경우는 욕실이 가 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5의 경우는 욕실이 가장 낮고 주방/식당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6은 욕실이 가장 낮고 주방/식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7 은 욕실이 가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J8은 욕실이 가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9는 욕실이 가장 낮고 주방/식당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J10의 경우는 주방/식당이 가장 낮고 거실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림16. 공공실별 공간위상도 분석(일본)

일본의 경우는 아파트마다 공공실의 위상도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위상도가 높다는 것은 다른 실에 비해 그만큼 중요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고 위상 도가 높은 실들을 보면 평면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J9의 주방/식당이 현저히 높은 것은 중심에 위치하면서 차지하는 공간의 면적도 크기 때 문이다.

(2) 영역별 분석

다음은 영역별로 공간위상도를 분석하여 보았다. 다음 표는 한국의 영역별 집합 주택의 공간위상도를 나타낸 것이다.

표15. 영역별 공간위상도(한국) 도면명

영역 K1 K2 K3 K4 K5 K6 K7 K8 K9 K10 평균

공적영역 1.40 1.39 1.42 2.20 1.46 1.35 1.14 1.45 1.35 1.48 1.46

반공적영역 1.20 1.05 1.21 1.33 1.46 1.39 1.15 1.02 1.36 1.38 1.25

사적영역 0.97 1.22 1.21 1.27 1.25 1.12 1.07 0.87 0.93 1.01 1.09

한국의 경우, 공적영역에서는 K7(1.14)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4(2.20)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공적영역에서는 K8(1.02)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5(1.46)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사적영역에서는 K8(1.27)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K8(2.26)가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전체평균을 보면 영역별 평균공간깊이는 공적영 역(평균1.46)이 가장 높고 사적영역(평균2.39)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분석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그림17. 영역별 공간위상도 분석(한국)

[그림 17]는 앞서 분석한 공공성의 평균공간깊이 분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공 적영역인 거실과 현관의 평균공간깊이가 가장 낮은것과 관련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사적영역인 침실이나 욕실의 평균공간깊이가 높은 것으로 분석된 결과, 침실이나 욕실 같은 개인 생활공간은 평면 구성상 사생활 침해를 덜 받을 수 있는 곳에 위 치한다고 할 수 있다.

표16. 영역별 공간위상도(일본) 도면명

영역 J1 J2 J3 J4 J5 J6 J7 J8 J9 J10 평균

공적영역 1.31 1.34 1.29 1.43 1.28 1.17 1.96 1.68 1.38 1.73 1.46

반공적영역 0.82 0.78 0.91 1.05 1.30 1.61 1.29 1.22 6.06 0.97 1.60

사적영역 0.84 1.09 0.90 0.86 1.18 0.99 1.31 1.08 1.29 1.15 1.07

그림18. 영역별 공간위상도 분석(일본)

일본의 경우, 공적영역에서는 J7(1.9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6(1.17)가 가장 낮 게 나타났다. 반공적영역에서는 J9(6.0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2(0.78)가 가장 낮 게 나타났다. 사적영역에서는 J9(1.29)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J1(0.84)가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전체평균을 보면 영역별 평균공간깊이는 반공적영역 (평균1.60)이 가장 높고 사적영역(평균1.07)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제2절 생활공간의 규모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