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간구조에 의한 비교·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7)

제3절 분석에 의한 한·일 공간구조와 규모의 비교 결과

그림26. 영역별 평균공간깊이 비교

[그림 26]은 영역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3개의 영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한국의 경우 공적영역(2.6)보다 사 적영역(2.9)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공적영역(2.4)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본 의 경우는 차이가 거의 없게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사적영역, 공적영역, 반공적영역의 순으로 평균공간깊이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적영역의 평균공간깊이가 사적영역보다 낮은 것은 집합주택별 로 평균공간깊이가 가장 낮은 거실이 공적영역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양국 반 공적영역이 모두 같은 것은 주거내에서 가족들이 주방/식당을 포함하는 반공적영역 에 동일한 빈도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27. 공공실별 전체공간위상도 비교

[그림 27]은 5개의 공공실별로 전체공간위상도를 비교해 본 것이다.

5개의 영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한국의 경우 거실(3.0)이 가장 높 게 나타났고, 욕실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본의 경우는 거실(1.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욕실(0.8)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거실, 침실, 주방/식당, 현관, 욕실 순으로 공간위상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거실이 다른 실에 비하여 현저히 높음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평균공간깊이 와 반비례함을 알 수 있고 공적영역이 사적영역보다 높은 이유에 속한다. 반면에 일본에서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주방/식당에서는 한국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평균공간깊이와 반비례함을 알 수 있고 일본 은 한국보다 공동체 문화가 떨어지므로 거실이 낮고 주방/식당과 비슷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림28. 영역별 전체공간위상도 비교

[그림 28]은 영역별로 구분하여 비교해 보았다.

3개의 영역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한국의 경우 반공적영역(1.3)보다 공적영역(1.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적영역(1.1)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일본 의 경우는 공적영역(1.5)보다 반공적영역(1.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적영역(1.1)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에서는 공적영역, 반공적영역, 사적영역의 순으로 위상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적영역의 위상도가 가장 높은 것은 단위공간별 위상도에서 가장 높 은 수치를 나타내고 평균공간깊이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던 거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일본에서는 반공적영역, 공적영역, 사적영역 순으로 위상도가 높게 나타낫다. 공적영역보다 반공적영역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다다 미방과 주방/식당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거실을 가장 중요시하는 한국과 달리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는 실 없이 각실을 비슷한 비중을 두고 사용하고 있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