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Q 표본(진술문)의 선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

제 2 절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송의 지역성에 대한 지역 시청자의 주관적 태도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즉, 연 구문제 1∼3을 해결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사용했다. 또한 지역방송의 지역성에 대한 지역 시청자와 방 송인 간의 상호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즉, 연구문제 4∼6을 해결하기 위해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 여 분석했다. 이 절에서는 Q 분석방법 및 상호지향성 분석방법을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1차 수집된 Q 표본(진술문)은 모두 258개였다.

둘째, 예비 진술문의 추출이다. 앞서 문헌고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258개의 지역성과 관련 된 진술문들 중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설문에 알맞게 문장을 다듬는 작업이다. 이 과정은 신문방송학 분야 대학원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조사 전문가 2명이 진행했다. 조사 전문가들은 서로 토의를 해 나가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문장을 통합해 나갔으며, 진술문의 형태로 문장을 가다듬어 나갔 다. 이 과정을 통해 Q 예비 진술문을 62개로 취합했다.

셋째, Q 표본(진술문)의 확정단계이다. Q 방법론에서 Q 표본(진술문)의 수가 많으면 좋지만, 많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Q 표본(진술문)의 수가 너무 많게 되면 Q 분류(Q sorting)를 하기가 어렵 게 된다. 따라서 Q 표본(진술문)의 크기는 너무 커서도 안 되고, 너무 적어서도 안 된다. 원칙은 없지만 Q 표본(진술문)의 크기는 Q 표본을 구성하는 구성체에 따라 그 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김흥규, 2008).

커린저(Kerlinger, 1986)는 통계적 안정성과 신뢰성을 위해 60∼90개 정도의 Q 표본(진술문)이 적당하다 고 한 반면, 브라운(Brown, 1980)은 40∼50개 정도가 적당하다고 했다. 그런가 하면 김흥규(2008)는 40∼

60개 정도가 일반적이며, 20개 혹은 80개 이상의 Q 표본(진술문)을 사용한 연구도 있다고 했다.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예비로 추출된 62개의 진술문들을 다시 통합하고 정제하 여 최종 42개로 확정했다. 최종 확정된 42개의 Q 표본(진술문)은 아래와 같다.

01. 지역방송은 방송권역 내 사회적 상황과 현안을 많이 보도해야 한다.

02. 지역방송은 방송권역 외의 지역민에 대해서도 많이 보도해야 한다.

03. 지역방송은 방송권역 내 생활정보를 많이 전달해야 한다.

04. 지역방송은 방송권역 내 지역문화 창달과 발굴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없다.

05. 지역민의 권익을 보장하고 대변하는 것은 지역방송의 역할이 아니다.

06. 지역방송은 출입처나 행정기관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보도해야 한다.

07. 지역방송은 지역사회의 여론형성에 기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08. 지역방송은 지역사회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과 환경에 대한 감시 기능을 해야 한다.

09. 지역방송은 지역민의 이해와 관심을 반영해야 한다.

10. 지역방송이 지역 고유의 유무형 자산의 콘텐츠화에 노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1. 지역방송은 지역사회 관련 생활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12. 지역방송은 사회적 연대감과 관련된 보도를 할 필요가 없다.

13. 지역방송은 지역공동체 내 사람이나 사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14. 작은 지역 공동체의 삶을 반영하는 것은 지역방송의 역할이 아니다.

15. 지역방송은 지역사회 구성원 간의 소통과 활용에 기여해야 한다.

16. 지역민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지역방송이 방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7. 지역방송은 지역공동체 내 생활정보 교류와 유통에 기여해야 한다.

18. 지역방송이 다양한 계층과 소수자의 이해를 반영할 필요는 없다.

19. 지역방송은 지역의 혁신 주체간의 협력을 이끌어내야 한다.

20. 지역방송은 지역사회 정체성 확립에 기여해야 한다.

21. 지역방송은 지역사회의 사회자본 확충에 기여해야 한다.

22. 지역방송은 인근지역 간 공동번영을 추구하지 않아도 된다.

23. 지역방송은 지역 자치단체의 공약과 업무를 감시하고 비판해야 한다.

24. 지역방송이 지역기관의 마케팅 창구역할을 하는 것은 본연의 임무가 아니다.

25. 지역방송은 지역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

26. 지역방송이 지역문화자원을 세계적 수준으로 확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7. 지역방송은 다문화적 사회를 반영하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한다.

28. 지역방송은 지역뉴스 프로그램을 더 확대해야 한다.

29. 지역방송은 지역의 문화자원의 국제적 홍보를 해야 한다.

30. 지역방송은 글로벌 문화의 지역적 수용과 적용에 기여해야 한다.

31. 지역방송은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아야 바람직하다.

32. 지역방송은 전국에서 유능한 인재를 많이 채용해야 한다.

33. 지역방송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바람직한 제도가 아니다.

34. 지역방송은 중앙방송사의 의존도를 높여야 한다.

35. 지역방송은 지역사회의 경제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36. 지역방송의 지역성 구현과 경영진의 노력과는 큰 상관이 없다.

37. 지역방송은 지역 토착 프로그램을 더 많이 개발해야 한다.

38. 지역방송은 중앙방송과는 다르게 편성의 차별화를 기해야 한다.

39. 지역방송은 지역의 시청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해야 한다.

40. 지역방송은 프로그램 기획 및 구성작가를 강화해야 한다.

41. 지역방송은 지역사회의 고발 및 비판 프로그램을 더 많이 강화해야 한다.

42. 지역방송은 지역을 뛰어넘어 세계적인 사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