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B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59)

Ⅲ.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7년 ~ 2020년 갈등사례 분석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이 바로 그것이다. 즉,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과정·역 량중심 평가, 학생참여형 수업, 문이과 지식 통합을 그 핵심 목표로 하고 있다 (교육부, 2015).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은 학생 간 상대평가를 통한 변별, 교과 지식 의 반복적 문제풀이, 학생의 참여와 토론이 배제된 강의식·주입식 교육, 학부모 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양극화 등 고질적이고 복합적인 문제가 해결되 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고착되고 확대·재생산되고 있다고 비판받아 왔다.

(2) 교육과정 대안으로서의 IB 교육과정

이와 같은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여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합리화 하고, 교육부의 평가 관리 시스템에서 평가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방안 으로 국제 공인 교육과정 중 하나인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이하 IB)’를 한국 공교육에 도입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이 관 련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IB 교육과정은 교육과정과 평가를 포함한 교육체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애 초 외국에 거주한 경험이 있는 국제 각국 이동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다양 한 관점을 접하게 하고, 그들의 문화 간 이해를 고취시키기 위한 취지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1968년에 비영리 교육재단으로 IBO(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가 설립되어 개시된 교육과정이다.

이후, 미국·일본·에콰도르 등에서는 공교육 발전을 위해 IB를 도입하였으 며, 2021년 4월 기준 전 세계 158개국 5,300개 학교에서 이를 제공하고 있다 (http://www.ibo.org/). 전 세계 국가의 수가 239개임을 감안하면, 국가수로는 65%

이상의 국가에서 IB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는 셈이고, 90여 개국 2천 개의 대학이 IB 고등학교 과정의 성적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IB 교육과정은 Primary Years Programme(이하 PYP), Middle Year Programme(이하 MYP), Diploma Programme(이하 DP), Career-related Progrmme (이하 CP)로 구성되어 있다. PYP는 3세-12세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으로 한 국의 유·초등학교 수준에 해당하며, MYP는 11세-16세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의

중·고등학교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16세-19세를 대상으로 대학입학을 위한 학위 준비과정의 DP와 직업교육과정인 CP를 운영하고 있다(강효선, 2020).

IB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학습자상(IB learner profile)이 있다. 학습자상은 말 하자면 IB 이념이라 할 수 있는 지표인데,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즉, ① 탐 구하는 사람(inquirers), ② 지식이 풍부한 사람(knowledgeable), ③ 생각하는 사람 (thinkers), ④ 소통하는 사람(communicators), ⑤ 원칙과 도의를 지키는 사람 (principled), ⑥ 열린 마음을 지닌 사람(open-minded), ⑦ 배려하는 사람(caring),

⑧ 도전하는 사람(risk-takers), ⑨ 균형 잡힌 사람(balanced), ⑩ 성찰하는 사람 (reflective)이다. 이러한 학습자상을 통해 IB 교육의 목적은 지식과 인격의 조화 가 이루어진 인재, 세계에서 통용되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있다고 평가되고 있 다. 즉,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보다 더 평화롭고 나은 세계를 만들어가는 데 도움이 될 만한 탐구심이 강하고 지적이며 배려심을 지닌 인재 육성이 바로 IB 교육의 목표라고 한다(에리구치 칸도, 2021).

IBDP는 대입을 위한 고교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의 주요 요소인 교육철학,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 IBDP에서 요구하는 교원조직과 시설을 모두 갖추고 운 영 본부에 의한 평가 인정 방식을 준수하는 온전한 하나의 교육과정 체제이다.

IBDP가 대표적인 국제공인 교육과정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수업과 평가에 대 한 관리가 철저하여 세계의 많은 우수 대학들이 이를 입학요건으로 사용할 정도 로 신뢰를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되고 있다(박하식, 2013).

이와 같은 세계적인 동향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소수 국제학교에 서만 IB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운영했을 뿐, 일반 학교에서는 IB 교육과정 도입 사례가 없었다. 그렇기에 2021년 현재 IB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국내 학교의 수는 13개교에 불과하며, 이 중 국제학교를 제외한 일반학교는 경기외국어고등학 교 한 곳이지만(http://www.ibo.org/), 이마저도 국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특목 고에 해당된다. 반면에, 우리의 이웃나라이자 비슷한 교육제도를 가진 일본에서 는 최근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화를 도모하기 위해 전 국가적 차원에서 IB 교육과정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한다(이지은·강현석, 2018).

IB 교육과정 도입을 위한 절차는, 크게 관심학교 단계(IB 본부에 후보학교 신 청, 후보학교 인정), 후보학교 단계(IB 본부 컨설턴트의 방문, IB 본부에 인정학교

신청, IB 본부의 확인 방문), IB 인정학교(인정 결정, IB 본부의 평가방문)의 단계 로 나누어지며, 이 모든 단계에 걸리는 기간은 약 2년 6개월이 소요된다고 한다.

IB 후보 학교를 신청하고 인정학교가 되고 난 이후까지도 IB 학교 교원은 IB 본 부가 지정하는 각종 워크숍을 수강해서 이수해야 하며 이를 위한 경비를 지불해 야 한다. 또한, 인정학교 신청 및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상당 정도의 비용이 소 요되는데, 단순 계산해서 볼 때 인정학교가 되기까지는 약 2 ~ 3천만 원 정도가 소요되고, 인정학교가 되면 연회비로 매년 1천만 원, 5년마다 IB 본부 방문평가 로 약 4백만 원이 소요된다고 한다(정영근, 2018).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