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2 연속주행시간 지수 선정

4.2.4 지수 후보군에 대한 적정성 평가

구분 임계구간 교통량 VaR CVaR FSI

CONZONE ID CVaR

※ 참고 : CVaR의 위험수준(α값) 변화에 따른 에러율 검토

또한 표 4.3의 음영부분 구간의 경우 2시간 이상 연속주행 한 차량도 많고, 연속주행시간도 길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CVaR은 이런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ZONE ID CVaR1% CVaR5% CVaR10% FSI Veh<2h 2h<Veh<3h 3h<Veh<4h Veh>4h

0101CZE120 121.0 108.0 98.5 0.07 184 1 0 0

졸음사고 건수 기준 구간

4.2.4.4 민감성

마지막으로 연속주행시간 지수는 연속주행시간이 긴 차량 대수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며, 이를 검토하기 위해 2시간 이상 주행차량 대수와 각각의 지수와의 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 분석 결과 CVaR의 경우 그림 4.8과 같이 연속주행차량 대수가 적을 경우에는 어느 정도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100대 이상일 경우에는 지수 값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8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과 CVaR과의 관계

◦ FSI의 경우 그림 4.9와 같이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대수가 적을 경우와 많은 경우 모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9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과 FSI의 관계

또한 연속주행지수는 구간별 연속주행시간 변화에도 민감하게 변화해야 하며, 이를 위해 연속주행시간 지수와 구간별 연속주행시간 합계와의 관계를 앞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 검토 결과 CVaR은 앞서 주행차량 대수와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연속주행시간이 높은 부분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10 2시간 이상 연속주행시간 합계와 CVaR 지수의 관계

◦ FSI의 경우 연속주행시간의 합계가 높은 부분에서도 CVaR에 비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11 2시간 이상 연속주행시간 합계와 FSI의 관계

이밖에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 대수를 일자별로 분류하여 지수 변화와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CVaR(1%)에 비해 FSI가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4.12 일자별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과 CVaR 지수의 관계

그림 4.13 일자별 2시간 이상 연속주행차량과 FSI의 관계

4.2.4.5 소결

지수로서 필수적으로 가져야 할 6가지 요건인 목적과 부합성, 명료성, 수량화 가능성, 측정 가능성, 포괄성, 민감성을 기준으로 연속주행시간 지수 후보군에 대한 적정성 평가를 시행한 결과 표 4.6과 같이 FSI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VaR 또한 지수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양호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이후 분석 과정에서 연속주행시간 지수는 FSI를 의미하며, 이밖에 CVaR 지수 또한 연속주행시간 지수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로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요건 판단기준 임계시간

교통량 VaR CVaR FSI

목적과 부합성 지수개발 목적의 달성 가능성을 기준으로 정

성적으로 판단 △ △ ○ ◎

명료성 분석지표가 궁극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의

미를 쉽고 간결하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함 ○ ○ ○ ◎

수량화 가능성 분석지표가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이 정량적

으로 수량화가 가능해야 함 ◎ ◎ ◎ ◎

측정 가능성 적합한 방법을 통해 실제로 측정이 가능해야함 ◎ ◎ ◎ ◎

포괄성 목적과 관련한 다양한 부문의 효과를

직·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함 △ △ ○ ◎

민감성 평가대상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함 △ △ ○ ◎

◎ : 우수 ○ : 양호 △ : 보통 표 4.6 지수 후보군에 대한 적정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