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속주행시간 지수 상위구간 중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지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E06(연풍IC~여주JC) 구간에 대한 지수상승 원인별 개선대책 수립방안을 그림 6.19와 같이 작성하였다.

해당구간의 경우 연속주행시간이 긴 차량들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지 않은 노선 단위의 휴게시설 설치로 연속주행시간이 높은 차량들이 이동하는 주요 경로의 휴게소 간격이 넓은 것으로 검토되었다.

예를 들어 여주JC~이천IC 구간은 동일노선을 기준으로 여주휴게소에서 문막휴게소 까지 거리가 약 25km로 최소기준을 만족하지만 연속주행시간이 높은 차량이 이동하는 경로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여주휴게소에서 중부내륙선의 충주휴게소 까지 거리가 약 37km로 상당히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졸음사고 관리를 위해서는 연속주행시간이 긴 차량들의 이동 경로를 대상으로 휴게시설의 설치 간격을 재 산출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 구간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전체 노선을 대상으로 연속주행시간 지수를 고려한 휴게시설 설치간격을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주JC 이후 지체발생으로 인해 지수 값 상승 폭이 크게 증가하며, 이러한 정체현상은 졸음운전시 사고발생 확률을 더욱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주행시간이 높으면서 정체발생 빈도가 높은 경주IC~활천IC, 기흥IC~수원신갈IC, 하남JC~상일IC, 북충주IC~충주JC 등의 경우 정체발생 구간에 횡방향 그루빙 등의 시설물 설치를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정체구간 진입 전 적극적인 휴식 유도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지수 상위 10개 경로(49개 구간)의 경우 특정 구간을 기점으로 연속주행시간 지수 값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해당 경로에 포함된 구간에 대한 관리 외에도 지수 값 상승 이전 구간부터 지속적으로 휴식을 유도하여 거리증가에 따른 연속주행시간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림 6.21 주요 원인별 개선대책 수립 방안 검토_E06(연풍IC~여주JC)

제 7 장 결론 및 향후 연구내용

5. 연속주행시간이 높고, 높은 지수 값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졸음사고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17. Hui Zhang, The effect of fatigue driving on car following behavior, 2016

18. J. Perrier, Driving performance and EEG fluctuations during on-the-road driving following sleep deprivation, 2016

19. Lianzhen Wang, The impact of continuous driving time and rest time on commercial drivers' driving performance and recovery, 2014

20. Pauline K, Hours of work, and perceptions of fatigue among truck drivers, 1997

21. Ping-Huang Ting, Driver fatigue and highway driving: A simulator study, 2008

22. Safr NY, NYS Governor's Traffic Safety Committee

23. Sarah Otmani, Effect of driving duration and partial sleep deprivation on subsequent alertness and performance of car drivers, 2005

24. Satoshi hyodo,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driving time on the driver’s behavior using probe car data, 2016

25. T.L.Bunn, Sleepiness/fatigue and distraction/inattention as factors for fatal versus

nonfatal commercial motor

APPENDIX : 고속도로 구간별 연속주행시간 지수 등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

노선명 방향 구간명 등급 연속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