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첫 이용 유형) 18년 기준 첫 호스피스 진입 유형으로는 입원형이 전체의 75.6%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문형(입원) 15.3%, 가정형 5.9%, 자문형(외래) 3.3%의 순임

­ 최근의 주요 변화는 17년 자문형 도입으로 전동을 요하는 입원형 보다 자문형 으로 처음 진입하는 환자들이 증가하였고, 그 결과 입원형으로 호스피스에 처음 진입하는 환자들의 절대적 수가 감소함 (17년 14,334명 → 18년 13,521명)

[요약그림 7] 생애말기환자의 첫 호스피스 이용 유형

○ (연계이용 유형) 호스피스의 여러 유형을 연계이용 하는 환자의 비중은 2016년 5.8%

에서 2018년 15.2%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호스피스 유형의 확대에 영향을 받은 것임

­ 하나의 유형만을 이용하는 환자의 경우 입원형의 비중은 2016년 92.1%에서 2018년 73.8%로 감소한 반면, 자문형(입원)의 경우 도입된 2017년 2.0%에서 2018년 7.7%로 증가

www.hira.or.kr xxiii 호스피스 단독이용 vs. 연계이용 호스피스 단독이용 內 세부 유형

[요약그림 8] 호스피스 유형별 연계현황 (2016-2018)

○ (2개 유형 연계이용) 2개의 유형만 연계 이용한 환자를 100으로 보았을 때, 18년 기준

「입원형+자문형(입원)」이 42.9%로 가장 많았고, 「입원형+가정형」은 33.0%로 두 유형의 점유율이 75.9%로 나타남

­ (연계이용 순서) 18년 기준 「자문형(입원) → 입원형」으로 이동한 환자는 전체 연 계이용자의 47.2%로 가장 많았고, 「가정형 → 입원형」은 25.4%, 「입원형 → 가정형」은 11.7%로 나타남

․ 「자문형(외래) → 입원형」으로 이동한 환자도 2개유형만 이용한 전체 환자의 8.9%로 나타나 자문형은 입원형으로 전환하기 전의 연결고리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보임

․ 역으로 「입원형 → 자문형(입원)」으로 변경하는 경우는 18년 기준 2개 유형 연계이용자 전체의 1.2%, 「입원형 → 자문형(외래)」로 변경하는 경우는 0.2%로 연계이용 내에서는 자문형을 마지막 이용으로 하는 환자의 비율이 낮 았음

․ 입원과 외래의 조합인 「가정형+입원형」에 있어서는 마지막 이용의 형태가 입 원인 유형이 외래인 유형보다 2배 더 높게 나타남

­ (마지막 이용유형) 연계환자 대상으로 마지막 의료이용 형태를 살펴보면 입원형 또는 자문형(입원)을 마지막 유형으로 하는 경우는 18년 기준 전체 연계이용환자의 82.8%(2개 유형이용자 74.8%, 3개 유형이용자 7.2%, 모두 이용자 0.8%) 수준

․ 외래기반의 이용에는 가정형과 자문형(외래)가 있으며, 가정형을 마지막 이용으로

xxiv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하는 경우는 18년 기준 전체 연계이용 환자의 16.3%, 자문형(외래)를 마지막 이 용유형으로 하는 환자는 0.8%로 나타남

2016년 (N = 805) 2018년 (N = 2,417)

[요약그림 9] 2개의 호스피스 유형 연계이용 환자의 이동경로 (2016 vs. 2018)

○ (사망前진입시점) 말기환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조기진입이 권고됨에 따라 진입시점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사업의 성과지표로 사용되기도 하며, 분석결과 평균 진입시점이 점점 더 늦어지는 경향이 있으나 이는 자문형(입원) 환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유형별로 구분할 경우 대체로 변동이 없거나 차이는 미미하지만 조금 더 일찍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 (단독vs.연계) 호스피스 단독이용자의 사망前 평균 진입시점은 16년 29.4일 →

18년 25.2일로 4.2일 늦어졌고, 연계이용자의 평균 진입시점은 16년 74.9일

→ 18년 47.5일로 27.4일 늦어짐

․ 사망前 진입시점을 중앙값으로 분석한 결과, 단독이용자의 사망前 진입 중앙값은

16년 16일→18년 15일, 연계이용자의 중앙값은 16년 52일→18년 35일로 나타나 중앙값으로 살펴보아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음

ü 이러한 경향은 자문형(입원) 이용자의 증가로 단독이용자의 경우 입원형태의 이용 패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계이용의 경우 입원형 내에서의 연계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작용했기 때문에 전반적인 사망前 진입시점 단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임

www.hira.or.kr xxv

․ 보다 패턴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단독이용자만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유형별 사망前 진입시점을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에서 사망前 평균 진입시점과 중앙값 모두 16년(또는 17년) 대비 18년 증가하여 과거보다는 상대적으로 조기에 호스피스‧완화의료로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ü 호스피스 단독이용자의 사망전 평균 진입시점은 18년 기준 입원형 25.4일, 자문형(입원) 17.1일, 자문형(외래) 59.4일, 가정형 34.0일로 나타나, 자문형(외래)가 가장 초기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ü 18년의 경우 관찰기간이 길지 않아 관찰의 절단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연도별 비교를 위해 이용 이후 1년 이내 사망자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더 짧게 나타났을 수 있음

ü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형간 연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문형(입원)으로 진입하는 경우가 가장 임종시기에 임박하여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 (거주지 고려한 연계이용 현황) 1차 의료를 가장 많이 이용한 지역을 거주지로 조작적 정의 한 뒤, 직전 입원의료서비스 이용 지역과 첫 호스피스 이용 지역의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16~19.3월까지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환자 중 59.9%가 거주지에서 첫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 호스피스 이용 직전 타지역에서 입원하였으나 거주지로 이동하여 첫 호스피스를 이용한 환자의 비율은 9.4%로 나타남

­ 전체의 73.8%가 호스피스 이용 직전 입원서비스를 이용했던 지역과 첫 호스피스 이용지역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체로 같은 지역 내에서 이용하고, 지역을 이동하여 호스피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1/4정도로 나타남

xxvi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요약그림 10] 첫 호스피스 이용 시점에서의 지역 이동 경로 (2016-2019.3월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