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향후 연구과제

문서에서 국토정보연구부문 (페이지 46-56)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가장 아쉬움이 남은 부분은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도시 건설에 있어서의 비물리적인 측면의 항목들에 대한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사회․경제적, 문화적 요소들의 핵심은 역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사회․경 제, 문화, 인구학적 속성 자료들을 범죄데이터들과 연계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는 물리적 환경 혹은 지역에 한정된 그룹화된 데이터들의 연구에서 벗 어나 개별 주민들을 직접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차 후 연구에서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도시를 구성하는 주민들에 대한 연구 를 같이 수행하여 범죄예방을 보다 실질적으로 도모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현행 법제도 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에 대한 논 의를 하였지만 법제도 조항의 개선안을 구체적으로 다루지는 않았다. 다만 큰 방향에 서 법제도적인 측면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양하게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차 후 연구에 있어서는 구체적으로 법제도 조항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된다면 실 제 현실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참고문헌

강석진·안은희·이경훈. 2005.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한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방안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2): 21-38

강준모·김현정. 2007. 도시 내 공원녹지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곽영길․오세연, 2008. “도시의 지역적 특징과 범죄와의 관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7(2): 65-92

김걸·김병선. 2009. 토지용도별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사례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3): 83-97.

김기득·곽대훈. 2003.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연구: 사례연구를 중심으 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김동근·윤영진·안건혁. 2007. 토지이용에 따른 도시범죄에 대한 연구: 개발밀도 및 용도와 도시 범죄밀도 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2(7): 155-168.

김영 외. 1986. 방범대책을 고려한 방어공간으로서의 아파트설계방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2(1): 33-43.

김용화 외 10인. 2005.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방안」, 서울: 경찰청.

김인, 1993, 도시지리학원론. 법문사, 서울

김종오ㆍ성용은. 2006. 유해환경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범죄 심리연구』, 2(2): 58-70.

김진선. 2005. 도시공원의 야간이용과 조명의 적합성 모형」,『 도시계획』, 40(3): 205-217.

김홍식. 2001. 근린공원에서의 방어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건효. 1992. 「공동주택의 범죄 방어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도시계획론」. 서울: 보성각.

민병호 외. 1992. 고층아파트의 범죄발생실태 및 범죄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 문집』, 8(10): 65-72.

박강철 외, 1994. “주택지에서 범죄발생공간의 유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총서」

1994(1): 11-237

박강철. 1995. 「주택지에서 범죄발생공간의 유형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형사정 책연구원.

박명규. 2003.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한 범죄예측지도의 구현: 서울시 성북구를 사례로, 경희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시 저층 주거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2(6): 13-28.

박승훈, 2010, “강력범죄와 재산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의 물리적 환경특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5(6): 59-72.

박영경. 1992. 범죄예방을 위한 초고층아파트의 안전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박현호. 2005. 가두 방범CCTV의 과학적 운영 방안: 영국의 CCTV 영향평가 연구사례를 중심으 로. 『한국경찰연구』, 4(1): 11-22.

박현호. 2006.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제도적 고찰 - 유럽의 사례를 통한 한국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5(2): 79-88.

박형민 외. 2009.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2)」, 한국형사정책연구 원.

Alex, H. and Kate, B., 2001, Mapping and Analysing Crime Data: Lessons from Research and Practice, Taylors & Francis Inc, New York.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utocorrelations-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 93-115. 213-262.

Anselin, L., 2000, Spatial Analysis of Crim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Crime and Justice, 14, 213-262.

Bailey, T. C. and Gatrell, A. C., 1995, Interactive Spatial Data Analysis. Longman, Essex, England.

Baker, R. D., 1996, Testing for space-time clusters of unknown size,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3. 543-554.

Baldwin, J. and Bottoms, A. E., 1976, The urban criminal: a study in Sheffield. Tavistock Publications

Bellair, P. E., 1997,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ty Crime: Examining The Importance of Neighbor networks, Criminology, 35(4), 677-701.

Besag, J. and Newell, J., 1991, The detection of clusters in rare disease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54, 256-274.

Bevis, C. and Nutter, J. B., 1977, ""Changing street layouts to reduce residential burglary,"

Paper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American Society of Criminology, Atlanta, GA.

Block, R., 1977, Violent crime: environment, interaction, and death. Lexington Books, Lexington.

Bottoms, A. E. and Wiles, P., 1995, Crime and Insecurity in the City. In: Fijnaut, C., Goethals, J. (Eds.), Changes in society, crime, and criminal justice in Europe : a challenge for criminological education and research. Kluwer Law International.

Bottoms, A. E., 1994, Environmental criminology. In: Maguire, M., Morgan, R., Reiner, R.

(Eds.),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Clarendon Press, Oxford.

Braga, A. A., 2001, The effects of hot spots policing on crime,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78, 104-125.

Brantingham, P. J. and Brantingham, P. L., 1978, Environmental Criminology. Sage Publications, Beverly Hills, CA.

Brantingham, P. J. and Brantingham, P. L., 1993, "Nodes, paths and edges: Considerations on the complexity of crim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1), 3-28.

Brantingham, P. L. and Brantingham, P. J., 1995, Criminality of place: Crime generators and crime attractors, European Journal of Criminal Policy and Research, 3(3), 5-26.

Bursik, R. and Grasmick, H. G., 1993, Neighborhoods and crime: the dimensions of effective community control. Lexington Books, New York.

Bursik, R. J., 1999, The informal control of crime through neighborhood networks, Sociological focus, 32(1), 85-97.

Bursik, R., 1986, Ecological stability and the dynamics of delinquency. In: Reiss, A. J., Tonry, M. (Eds.), Communities and Crim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Bursik, R., 1988, Social disorganization and theories of crime and delinquency: problems and prospects, Criminology, 26, 519-551.

Clark, P. J. and Evans, F. C., 1954, Distances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 445-453.

Cohen, L. E. and Felson, M.,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588-608.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Coleman, J. S.,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Crowe, T., 2000,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Design and Space Manageemnt Concpets, 2nd eds.

Curtis, L., 1974, Criminal violence: national patterns and behavior. Heath, Lexington.

Cuzick, J. and Edwards, R., 1990, Spatial clustering for inhomogeneous population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1), 73-104.

Donnellly, P. G. and Kimble, C. E., 1997, "Community organizing, environmental change, and neighborhood crime," Crime and Delinquency, 43(4), 493-511.

Eck, J. E. and Weisburd, D., 1995, Crime places in crime theory. In: Eck, J. E., Weisburd, D. (Eds.), Crime and Place. Criminal Justice Press, Monsey.

Elliott, P. and Wartenberg, D., 2004, Spatial epidemiology: Current approaches and future challenges,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2, 998-100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CEN). 2007. ENV 14383-2: European Standard for the Reduction of Crime and Fear of Crime by Urban Planning and Building Design.

Geary, R. C., 1954, The contiguity ratio and statistical mapping, The incorporated statistician, 5, 115-145.

Getis, A. and Aldstadt, J. 2004. Constructing the Spatial Weights Matrix Using a Local Statistic. Geographical Analysis. 36. 90-104.

주제발표 3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 방안

임은선 연구위원

[여 백]

3

공생발전을 위한

협력적 입지모형 개발과 활용 방안

임은선 ․ 차미숙 ․ 이영주

1. 공공시설 입지와 공생발전의 의의 2. 협력적 입지모형의 역할과 기능 3. 실험적용 결과와 시사점

4. 협력적 입지모형의 활용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5. 맺음말

[여 백]

[그림 3-1] 공공시설 입지의 협력 대상과 공생발전의 의의

문서에서 국토정보연구부문 (페이지 46-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