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한국에 대한 관심 정도

한국에 대한 관심을 묻는 질문에 49.4%(403명)가 중간 정도라고 응답했으며, 13.0%(106명)가 큰 관심, 1.7%(14명)가 매우 큰 관심이 있다고 답하여 14.7%(120명) 의 스웨덴인이 적극적 한국 지지층임을 알 수 있다. 남성의 18.2%(73명)가 한국 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하여 여성(11.3%, 47명) 보다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χ²=37.89, p<0.05). 스웨덴의 남성이 여성보다도 폭넓게 관심이 있다 는 것을 통계적 유의성으로 확인시켜 주고 있다. 관심분야는 한국의 자연/지리

(42.3%), 역사(37.5%), 사회(30.8%), 전통문화(29.5%) 순이었으며, 한국어에 대한 관심 은 8%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간 49%

거의 관심 없음 16%

조금 관심 있음

20%

큰 관심 있음 13%

<그림 3-4> 한국에 대한 관심 정도(단위: %) 매우 큰 관심 있음 2%

조사 대상자들은 관심 있는 한국 문화를 꼽는 질문(5개 선택)에 음식, 문화유 산, 건축, 공예, 영화, 스포츠 순으로 응답했으며, 특히 1순위를 꼽는 질문에는 음식이 234명으로 압도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6> 관심 있는 한국문화(5개 선택 총합)(단위: 명) <그림 3-7> 관심 있는 한국 문화(1순위)(단위: 명) 자연지리

전통문화 현대문화 사회 경제 정치 역사 한국어

한국어 문화유산 음식 건축 패션 공예 전통음악 무용 연극 종교 문학 대중음악 스포츠 영화 드라마 회화 및 디자인 온라인 게임 기타

한국어 문화유산 음식 건축 패션 공예 전통음악 무용 연극 종교 문학 대중음악 스포츠 영화 드라마 회화 및 디자인 온라인 게임 기타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거의 관심 없다

3.4 5.2 7.1 3.3 9.8 12.8 4.8 21

조금 관심 9.4 14.9 19.9 14.1 21.8 25.2 13 36.7

중간 44.9 50.5 48.2 51.8 49.3 44.9 44.7 34.2

큰 관심 37.1 26.8 20.7 27 16.8 15.5 33.7 6.1

매우 큰 관심

5.2 2.7 4.2 3.8 2.3 1.5 3.8 1.9

<그림 3-5> 한국 관심 분야(단위: %)

경로 98 288 450 284 102 233 49 58 22 97 79 140 171 178 42 167 107 63

경로 9 40 234 29 8 20 5 3 2 14 3 20 32 31 5 17 27 23

(2) 한국 문화 경험 여부 및 경험 의사

온/오프라인을 통해 접해 본 한국 문화로 음식에 52.2%(426명)가 답하여 응답자의 과반이상이 한국 음식을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음악 33.3%(272명), 영화 23.0%(188명), 스포츠 15.2%(124명), 온라인 게임 14.5%(118명), 한국어 14.0%(114명) 등이 응답하였다. 문화유산, 건축, 패션, 공예, 전통음악, 무 용, 연극, 종교, 문학, 드라마, 회화 및 디자인 등은 두 자리 숫자에 머물렀다.

● 스웨덴인의 14.7%가 한국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적극적 지지층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자연/지리, 역사, 사회, 전통문화 순으로 관심이 높았다. 앞선 문항에서 한국의 IT산업 발달, 경제적 수준 등을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과 달리 실제적 관심은 비경제적 부분인 것을 알 수 있다.

● 구체적으로 음식에 가장 높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문화유산, 건축, 공예, 스포츠, 영화 등이 상위순위에 포함된다. 이는 한국의 전통문화 등을 소개한 방송의 영향과 태권도에 대한 관심, 기생충 등 글로벌 영화제에서 선전한 영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림 3-8> 온/오프라인을 통해 접해 본 한국 문화 <그림 3-9> 온/오프라인을 통해 접해 본 한국 문화 한국어

문화유산 음식 건축 패션 공예 전통음악 무용 연극 종교 문학 대중음악 스포츠 영화 드라마 회화 및 디자인 온라인 게임 경험해본적없음 기타

한국어 문화유산 음식 건축 패션 공예 전통음악 무용 연극 종교 문학 대중음악 스포츠 영화 드라마 회화 및 디자인 온라인 게임 경험해본적없음 기타 경로

14 5.9 52.2 7.2 9.9 5.9 2.9 3.4 0.9 3.7 3.2 33.3 15.2 23 3.8 3.3 14.5 26.7 2.3

남성 14 9 55.9 10.7 6.5 7.5 4.5 2.5 1.2 3.2 3 33.4 25.9 28.7 2.2 3 25.7 19.2 1.5

여성 14 2.9 48.7 3.9 13.3 4.3 1.4 4.3 0.5 4.1 3.4 33.3 4.8 17.6 5.3 3.6 3.6 34 3.1

경험, 재경험해보고 싶은 한국 문화도 음식이 66.2%(540명)로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외에 영화 166명(20.3%), 문화유산 165명(20.2%), 공예 140명(17.2%), 건축 137명(16.8%) 등이 뒤를 이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한국어

한국어를 경험/재경험하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은 전체 응답자 816명 중 7.7%에 해당하는 63명이다. 남성은 5.2%(21명), 여성은 10.1%(42명)로 여성 응답자가 약 2배에 달한다. 세대별로는 20대 14.8%(25명), 10대 13.6%(3명)가 응답하여 상대 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외의 세대는 10%미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는 0명. 70대는 1명을 기록하였다. 한국의 대중음악, 게임, 드라마 소비 등을 주도하 고 있는 젊은층에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여성청소 년층에서 대중음악의 인기가 높아 이를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② 문화유산

문화유산을 경험/재경험하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은 전체 응답자 816명 중 20.2%에 해당하는 165명이다. 남성은 21.7%(87명), 여성은 18.8%(78명)로 남 성응답자 비율이 다소 높다. 문화유산 경험/재경험 의사는 50대 이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50대의 27.6%(45명), 60대의 26.7%(31명), 70대의 21.9%(14명) 등이다. 20~40대는 10% 이상이 경험/재경험 의사를 밝혔다.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7.7 5.2 10.1

맞다 20.2 21.7 18.8

아니다

92.3 94.8 89.9

아니다 79.8 78.3 81.2

<그림 3-10> 한국어(단위: %)

<그림 3-11> 문화유산(단위: %)

③ 음식

816명의 전체 응답자 중 66.2%에 해당하는 540명이 한국의 음식을 경험/재 경험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남성의 67.3%(270명), 여성의 65,1%(270명)가 응답하 여 남성의 비율이 다소 높았다. 음식에 대한 경험/재경험 의사는 전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30대는 72.5%(124명), 50대는 70.6%(115명)로 두 연령대에서 특 히 높았다.

④ 건축

건축을 경험/재경험하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16.8%에 불과하다. 남성의 19.2%(77명), 여성의 14.5%(60명)가 경험/재경험 의사를 밝혀 남성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60대의 23.3%(27명)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40대는 10%미만, 나머지 연령대는 10%이상의 응답률을 보였다. 건축 양식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는 스웨덴 언론에서 템플스테이에 대한 방송이 영향 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사찰에 대한 관심이 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된 것 이다. 경복궁, 덕수궁, 남대문, 동대문 등의 건축물도 한국 관련 학습교재 및 정 보에 다수 다루어져 건축에 대한 관심이 있는 60대 이상의 성인에게 큰 인상을 남겼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3-12> 음식(단위: %)

<그림 3-13> 건축(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66.2 67.3 65.1

맞다 16.8 19.2 14.5

아니다

33.8 32.7 34.9

아니다 83.2 80.8 85.5

⑥ 패션

패션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7.5%(61명)만이 패션에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여성 중의 9.6%(40명), 남성 중

의 5.2%(21명)이 응답하여 남성이 여성 응답자의 2배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패 션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패션의 경험/재경험 의사는 20대 의 12.4%(21명)가 응답하여 제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30대 11.7%(20명), 10대 9.1%(2명)로 그 다음을 이었다.

⑦ 공예

공예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은 스웨덴인은 17.2%(140명) 수준인 것으로 드 러났다. 성별로는 여성 20.0%(83명), 남성 14.2%(57명)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 다. 공예의 경험/재경험 의사를 밝힌 세대는 50대와 60대가 각각 23.9%(39명), 23.3%(2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웨덴 사람들의 한국공예에 대한 관심은 의 외로 다른 항목보다 높게 나타난다. 한국의 도자기, 한지, 전통부채, 나전칠기 등 을 다룬 한국 관련 정보와 TV 다큐멘터리 등을 통해 한국 공예를 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웨덴 사람들의 공예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반영 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림 3-14> 패션(단위: %)

<그림 3-15> 공예(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7.5 5.2 9.6

맞다 17.2 14.2 20

아니다 92.5 94.8 90.4

아니다 81.2 78.3 79.8

⑧ 전통음악

전통음악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은 스웨덴인은 3.8%(31명)로 매우 낮은 응 답률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성의 4.2%(17명), 여성의 3.4%(14명)로 남성의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50대의 6.1%(10명)가 응답하였다.

⑨ 무용

무용을 경험/재경해보고 싶은 응답자도 5.5%(45명)으로 낮은 수준이다. 성별 로는 여성의 8.9%(37명), 남성의 2.0%(8명)로 여성의 비율이 4배 이상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세대별로는 10대 18.2%(4명), 20대 7.1%(12명), 7.0%(12명) 순으로 응 답하였다.

<그림 3-16> 전통음악(단위: %)

<그림 3-17> 무용(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3.8 4.2 3.4

맞다

5.5 2 8.9

아니다 96.2 95.8 96.6

아니다

85.5 80.8 83.2

⑩ 연극

한국의 연극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의 비율은

1.6%(913명)으로 전체 문항 중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1.7%(7명),

여성의 1.4%(6명)로 비슷한 성별 비율을 보이고 있다. 세대별 응답률 또한 0~2%

대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⑪ 종교

종교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5.6%(46명)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5.8%(24명), 남성의 5.5%(22명)가 응답하였다. 세대별로는 70의 9.4%(6명) 가 응답하여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림 3-18> 연극(단위: %)

<그림 3-19> 종교(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1.6 1.7 1.4

맞다 5.6 5.5 5.8

아니다

98.4 98.3 98.6

아니다 94.4 94.5 94.2

⑫ 문학

한국의 문학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6.0%(49명)로 나 타났다. 남성의 6.2%(25명), 여성의 5.8%(24명)가 응답하였다. 특히 60대의 10.3%(12명)가 응답하였으며, 나머지 연령대는 10%미만의 응답률을 보여주었다.

6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한국의 문학을 접하고 읽은 경험이 있거나, 예테보리 도서박람회에 한국특집 행사에 참가해 본 경험이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⑬ 대중음악

대중음악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11.3%(92명)으로 나타 났다. 남성의 11.7%(47명), 여성의 10.8%(45명)가 응답해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대중음악에 대한 경험/재경험 의사는 30대 이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 히 10대의 18.2%(4명), 20대의 16.6%(28명), 30대의 14.0%(24명)가 응답하였다. 젊 은 층일수록 한국 K-Pop에 많은 관심이 집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20> 문학(단위: %)

<그림 3-21> 대중음악(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6 6.2 5.8

맞다 11.3 11.7 10.8

아니다 94 93.8 94.2

아니다 88.7 88.3 89.2

⑭ 스포츠

한국의 스포츠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11.3%(92명)로 나 타났다. 남성의 19.5%(78명)가 응답하여 여성의 3.4%(14명) 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세대별로 9%~14% 수준으로 비교적 고 르게 분포되었다.

⑮ 영화

한국 영화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은 20.3%(166명)로 상대 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26.7%(107명), 여성의 14.2%(59명)이 응답하여 남 성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영화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은 세대는 50대의 27.6%(45명), 40대의 25.2%(28명)으로 다른 세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 여주었다. 영화에 대한 관심은 영화 기생충의 아카데미상 수상 등 언론에 한국 영화의 국제적 수상 소식 등이 자주 소개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림 3-22> 스포츠(단위: %)

<그림 3-23> 영화(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11.3 19.5 3.4

맞다 20.3 26.7 14.2

아니다 88.7 80.5 96.6

아니다 79.7 73.3 85.8

⑯ 드라마

드라마를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은 2.9%(24명)에 불과하 였다. 여성의 4.8%(20명)가 응답하여 남성의 1.0%(4명)보다 높은 응답률을 보였 다. 특히 10대의 9.1%(2명)가 응답하였으며, 20~50대는 2~5%내외의 응답률을 보였다. 60대와 70대는 0명이 응답하였다.

⑰ 회화 및 디자인

한국의 회화/디자인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은 11.2%(91명)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15.9%(66명)가 응답하여 남성의 6.2%(25명) 보다 2배 이상의 높은 응답률을 보여주었다. 10대의 13.6%(3명)가 응답하여 가 장 높았으며, 50~70대의 약 12%가 응답하였다.

<그림 3-24> 드라마(단위: %)

<그림 3-25> 회화 및 디자인(단위: %)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2.9 4.8 1

맞다

11.2 6.2 15.9

아니다 97.1 99 95.2

아니다

88.8 84.1 93.8

⑱ 온라인 게임

온라인 게임을 경험/재경험해보고 싶다고 응답한 스웨덴인은 9.6%(78명)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17.7%(71명)가 응답하여 여성의 1.7%(7명)보다 상당 수 준으로 높은 비율을 드러내었다. 온라인 게임을 경험/재경험하고 싶은 세대 는 20대가 20.7%(35명)로 전 세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는 30대 10.5%(18명), 10대 9.1%(2명) 순이다.

<그림 3-26> 온라인(단위: %) 전체

남성 여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맞다 9.6 17.7 1.7

아니다 90.4 94.8 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