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학습 참여

학습 참여 요구와 관련하여 참여 과정에서 농업인이 얼마나 큰 장애를 경험하며, 그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농업인 중 거의 과반수 가 학습 참여 장애를 경험하고 있었다. 학습 참여에 대한 장애 경험 여부 를 조사한 결과, 농업인의 52.0%가 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유형별로는 교육․훈련에 28.2%, 학습조직에 14.6%, 전문가자문에 22.7%

그리고 개인학습에 대해서는 29.1%가 학습 참여과정에서 장애를 경험하고

이유가 다른 학습유형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전문가자문의 경우, 다

반대 경향이었다<표 4-15>. 영농품목별로는 채소나 축산 농가는 상대적으

그림 4-5.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방법 구성에 대한 농업인 선호 각 학습유형의 프로그램이 어떤 학습방법으로 구성되는 것을 선호하는 지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은 ‘농업 현장에서의 강의’를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 ‘강의실 강의’, ‘현장 토의’, ‘농가 견학’, ‘실습/훈련’ 등의 순 이었다<그림 4-5>. 학습조직은 ‘단체로 외부 교육․훈련 참석’과 ‘외부 전 문가 초빙 강의’가 가장 선호되었고, 그 다음은 ‘외부 전문가 초빙 컨설팅’,

‘자체 토론회 및 세미나’ 등이었다.

28

사례수 (명)

학습유형(%)

교육․훈련 학습조직 전문가자문 개인학습

전 체 485 36.9 9.7 25.4 28.0

농가 유형

적응․정착 172 36.0 8.1 33.1 22.7

정착․발전 178 37.6 12.4 25.8 24.2

은퇴 준비 135 36.8 9.7 25.4 28.1

표 4-16. 농업인이 선호하는 학습유형

χ2=21.8, p<0.001

28 라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각 연구에서 학습의 내용으로 삼고 있는 지 식이나 기술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농업인 들은 형식학습보다는 비형식 또는 무형식학습을 선호하는데, 그 이유는 독립성 과 자기충족감, 상황에 특화된 학습을 원하고, 평소 훈련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 로 이왕이면 잘 모르는 강사가 아닌 익숙한 자원으로부터의 정보 취득을 원하 고, 자신들의 신념에 의문을 제시하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은 두려워하기 때문 이다(Kilpatrick 등1998).

그림 4-6. 농업인이 선호하는 전문가

한편, 농업인들이 가장 자문하고 싶어하는 전문가로는 지도사, 기술사가 꼽혔으며, 그 다음으로 관련 연구소 연구원, 선도농가, 농축협 직원, 농약/

자재상, 전문컨설팅 회사 등의 순이었다<그림 4-6>.

한편, 학습유형별로 참석 경험이 있는 농업인들에게 학습 경험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습 경험 참석시 비용부담 여부, 참여 자발성 여부에 따라 도움 정도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표 4-17>. 교육․훈 련, 학습조직의 경우 교육․훈련비의 일부 또는 전액을 자비 부담한 농업 인이 무료로 학습 경험을 한 농업인보다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통 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훈련, 학습조직, 전문가자문 등에 자발적으로 참석한 농업인이 기관 권유로 참석한 농업인보다 통계적으로 도움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3.3. 학습 실천

농업인들은 자신들이 학습한 내용을 현장에서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는 개인적인 능력 부족 요인보다는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배운 것 에 대한 확신 부족 등과 실천을 뒷받침하지 못하는 영농 여건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 학습 형태를 통해 새롭게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례수a

품목별로는 쌀이나 채소 농가와 과수나 축산 농가 간에 다소 차이가 있었 다. 쌀이나 채소 농가는 상대적으로 ‘영농 활동에 굳이 변화를 주지 않아 도 큰 어려움 느끼지 않아서’나 ‘배운 것과 영농 현실과의 괴리’ 등의 요인 다음으로 ‘적용에 필요가 영농여건 부족’을 중요한 장애 요인으로 보고 있 지만, 과수나 축산 농가는 영농여건 부족보다는 ‘배운 것이 실제 이익을 가져올까에 대한 의구심’, ‘실제 활용 경험 부족’ 등을 더 큰 장애 요인으 로 생각하고 있었다<부표 13>.

사례수 (명)

실천 장애요인 (%)

1 2 3 4 5 6 7 8 9

전 체 485 31.6 20.5 14.0 11.8 8.7 4.5 3.3 2.7 1.4 농가

유형

적응․정착 172 34.9 14.5 11.0 12.2 12.2 5.2 5.2 1.7 1.2 정착․발전 178 22.5 28.7 16.9 11.8 7.3 5.1 1.1 3.4 1.1 은퇴 준비 135 39.6 17.2 14.2 11.2 6.0 3.0 3.7 3.0 2.2

표 4-18. 학습 실천 장애요인

1) 영농 활동에 굳이 변화를 주지 않아도 큰 어려움 느끼지 않아서 2) 배운 것과 영농 현실과의 괴리

3) 적용에 필요한 영농여건 부족

4) 배운 것이 실제 이익을 가져올까에 대한 의구심 5) 실제 활용 경험 부족

6) 적용에 따른 사후지도 여건 부족

7) 배운 것이 너무 복잡하여 어떻게 활용할지 모르겠음 8) 내 능력에 대한 확신 부족

9) 주변 사람들의 신뢰 부족 χ2=33.7, p<0.0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