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학습 참여

대다수 농업인(70세 미만)이 최소 한 가지 이상의 학습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교육․훈련, 학습조직, 전문가자문, 개인학습 등 네 가지 활동에 대한 참여 유무를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은 37.4%, 학습조직은 63.5%, 전문가자문은 29.3%, 개인학습은 87.4%로 학습유형별로는 개인학습 참여 율이 가장 높았다. 농가유형별로는 정착․발전 단계 농업인들의 학습 참여 가 가장 활발하였다. 정착․발전 단계 농업인들은 다른 농업인들보다 개인 학습을 제외한 교육․훈련, 학습조직, 전문가자문 등 모든 학습유형에 대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23<표 4-2>. 영농품목별 학습 참여율을 보면 학습조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쌀 농가에 비해 과수, 채소, 축산 농가의 학습조직 참여율이 높았다는 점이 다<부표 2>.

농업인의 학습 참여 동기는 학습지향성이나 활동지향성보다는 목적지향 성이 높았다<표 4-3>. 학습에 참여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교육․훈련, 학 습조직, 전문가자문, 개인학습 등 네 가지 학습 활동에 대한 동기를 조사한 결과, 학습유형에 관계없이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욕구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목표지향적인 농업인이 가장 많았다. 평소 하고 있는 영농활동의 기초 원리 이해를 위해서 또는 배운다는 자체가 좋아서 참여하는 학습지향적인 농업인이 그 다음으로 많 았으며, 상대적으로 사회적 인정이나 관계 형성 그리고 소속집단의 요구와 같은 활동지향성 동기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활동지향적인 농업인이 가 장 적었다.24

사례수 (명)

학습 참여율(%)

교육․훈련a 학습조직b 전문가자문c 개인학습d

전 체 485 37.4 63.5 29.3 87.4

농가 유형

적응․정착 172 34.3 57.6 28.5 86.0

정착․발전 178 42.7 75.8 38.2 89.9

은퇴 준비 135 34.3 54.5 17.9 85.8

표 4-2. 농가유형별 학습 참여율

a) 연 1회 이상 참여하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참석 경험이 있는 경우 b) 가입하고 있는 학습조직에서 연 1회 이상 학습활동을 하는 경우 c) 연 1회 이상 전문가자문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d) 총 응답자 중 이웃농가와 영농관련 논의, 영농관련 신문․잡지․서적 구독, 농업관련 방송 시청(청취), 인터넷 검색, 농업관련 회의․세미나․전시회 참석 등의 다섯 유형의 활동을 한달에 한번 이상 하고 있는 경우

χ2: 교육․훈련=3.8, 학습조직=19.0***, 전문가자문=15.3***, 개인학습=1.5,

*** p<0.001

23 취농 이후 농업인의 형식학습(학위과정, 자격증과정) 참여비율을 조사한 결과, 2.9%였다.

24 김진화 등(1989)과 Kilpatrick 등(1999)의 농업인 학습동기와 관련한 선행 국내 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농가유형별 학습동기를 분석한 결과, 목표지향 동기를 가진 농업인이 농

2.2. 학습 방식

정착․발전 단계의 농업인들은 상대적으로 교육․훈련과 전문가자문 활용

있었다.

한편 학습유형별 프로그램이 어떤 학습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 하기 위해 자신이 수강한 학습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던 학습방법을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은 ‘강의실 강의’가 75.1%로 가장 많 았고, 이 밖에 ‘현장 강의’, ‘현장 토의’, ‘강의실 토의’, ‘실습/훈련’, ‘농가 견학’ 등이 일부 있었다. 학습조직은 ‘단체로 교육․훈련 참석’과 ‘외부 전 문가 초빙 강의’가 많았고, 그 다음은 ‘자체 토론회 또는 세미나’, ‘외부 전 문가 초빙 컨설팅’ 등이었다<그림 4-1>.

학습유형 조합(%)

1 2 3 4 5 하지않음 기타

전체 30.1 20.4 12.6 11.1 5.2 4.3 16.3 농가

유형

적응․정착 26.2 17.4 16.3 8.7 7.0 5.2 19.2 정착․발전 33.1 29.2 7.3 7.9 3.4 2.8 16.3 은퇴 준비 31.3 11.9 14.9 18.7 5.2 5.2 12.8

표 4-8. 농가유형별 학습유형 조합

1) 총 응답자(case) 중 ‘교육․훈련 + 학습조직 + 개인학습’ 인 자 2) 총 응답자 중 ‘교육․훈련 + 학습조직 + 전문가자문 + 개인학습’인 자 3) 총 응답자 중 ‘개인학습’인 자

4) 총 응답자 중 ‘교육․훈련 + 개인학습’인 자 5) 총 응답자 중 ‘학습조직 + 개인학습’인 자

그림 4-1. 농업인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방법 구성 현황

그림 4-2. 농업인이 평소 활용하는 학습기관

그림 4-3. 농업인이 평소 자문하는 전문가

농업인들이 평소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육․훈련 기관은 농촌진흥기관 이었고, 그 다음은 협동조합, 공공기관, 품목단체, 농자재회사, 농업인단체, 대학, 친환경농업단체, 민간교육단체 등이었다. 가장 많이 참석하고 있는 학습조직 유형은 작목반이었고, 그 다음은 영농조합법인, 농업인 단체(지 부), 품목 연구회, 새마을 영농회, 품목단체(지부), 품목조합, 농업회사법인 의 순이었다<그림 4-2>.

농업인이 평소 자문을 구하는 전문가로는 농업기술센터 직원(지도사, 기 술사), 선도농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농약방/자재상, 농협․축협 직원, 수의사, 관련 연구소 연구자, 대학 교수, 관련 협회 및 단체 관계자 등의 순이었다<그림 4-3>.

평소 하고 있는 개인학습으로는 ‘이웃과의 논의’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이 ‘신문․잡지․서적 구독’, ‘방송 시청․청취’, ‘인터넷 활용’, ‘관련 행사

2.3. 학습 실천

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설명량 15%). 네 가지 학습유형 중 학습조직을

Adjusted R2 0.064 0.249

표 4-12. 농업인 학습 실천에 대한 중회귀분석

***p<0.001, **p<0.01, *p<0.05l

그림 4-4. 사용하는 학습유형 개수 집단별 학습 실천의 차이

하지 않음 한 종류만 사용 두 종류 사용 세 종류 사용 네 종류 사용

F(4, 480)=13.53, p<0.001

사용하는 농업인은 5.78개, 세 종류를 사용하는 농업인은 6.70개, 네 종류 를 모두 사용하는 농업인은 8.83개로 사용하는 학습유형의 개수가 많을수 록, 학습 실천 분야의 개수도 많았고, 이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 이가 있었다<부그림 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