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60-63)

다. 3차 예비검사

4)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요인1 요인2 요인3 요인4 요인5 요인6 요인7 요인8 요인9 요인10

성찰4 .44

성찰5 .62

성찰6 .49

대인 .70

대인1 .60 .30

대인2 .68

대인3 .66

대인4 .63

대인5 .62

대인6 .60

대인7 .42 .40

자연 .64

자연1 .74

자연2 .62

자연3 .72

자연4 .67

자연5 .53

자연6 .59

<표 Ⅲ-12> 3차 예비검사 손재능과 공간시각능력만을 포함한 요인 분석

요인 1 요인 2

손재능

.80

손재능1

.86

손재능2

.82

공 간 .43

.54

공간1 .45

.58

공간2 .58 .38

공간3 .39

.59

공간4

.66

공간5

.69

공간6

.65

공간7 .38

.64

주 1) 요인추출 방법: 주성분 분석.

2) 회전 방법: Kaiser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10개의 하위 영역들간의 상관의 정도는 <표 Ⅲ-13>과 같다. 총 변량의 25%를 설명하는 상관계수인 0.5를 기준으로 보자면, 신체・운동 기능은 특별 히 높은 상관을 보이는 영역이 없다. 손재능은 공간・시각능력과의 상관이 .58로 2차 예비검사(.61)와 같이 높게 나타났다. 손재능이 눈썰미를 포함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공간・시각력은 손재능 뿐만 아니라 창의 력(.60) 및 언어력(.52)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자기 보고식 검사이므로 언어 력이 많은 하위영역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공간・시각력 뿐만 아니라, 음 악능력(.58), 창의력(.58), 자기성찰능력(.59), 대인관계능력(.59)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언어능력이 이렇듯 다양한 능력들의 기초가 되는 능력이라는 점과, 다른 하나는 본 검사가 자기보고 방 식으로 능력을 측정하는 점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 언어능력만큼은 아니 지만 창의력의 경우, 공간・시각능력과(.60), 자기성찰(.52), 대인관계능력(.50) 과 높은 상관 정도를 보인다. 언어능력과 창의력과의 상관 이외에 자아성찰 능력과 대인관계능력도 상호 상관이 .53이다.

<표 Ⅲ-13> 3차 예비검사 하위영역간 상관계수

신체 손재능 공간 음악 창의 언어 수리 성찰 대인 자연

신체 1.00 .25 .46 .37 .44 .37 .34 .33 .40 .22

손재능 .25 1.00 .58 .33 .44 .35 .28 .35 .29 .38

공간 .46 .58 1.00 .48 .59 .52 .48 .49 .44 .39

음악 .37 .33 .48 1.00 .42 .58 .30 .39 .49 .27

창의 .44 .44 .60 .42 1.00 .58 .40 .52 .50 .37

언어 .37 .35 .52 .58 .58 1.00 .45 .59 .59 .37

수리 .34 .28 .48 .30 .40 .45 1.00 .36 .31 .27

성찰 .33 .35 .47 .39 .52 .59 .36 1.00 .53 .43

대인 .40 .29 .44 .49 .50 .59 .31 .53 1.00 .35

자연 .22 .38 .39 .27 .37 .37 .29 .43 .35 1.00

5) 3차 예비검사 결과에 따른 문항 수정

문항-전체상관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두 문항(신체2, 공간3)의 경우 논리 적으로 타당한 하위요소라 판단하여 그대로 포함하기로 결정하였다. 신체2문

항은 2차 예비검사의 결과에 따라서 수정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 소 이질적인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논리적으로14) 유연성은 신체・운동능력의 한 요소라는 판단 아래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 하였다.

요인 분석의 결과, 손재능과 공간시각능력이 서로 엉키는 듯한 결과가 나 왔으나, 요인의 수를 10개로 하지 않고 고유값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총 요인의 수는 13~15개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에는 손재능과 공간・시각력이 분리되어 나타나고, 다만 공간시각문항 1, 2, 3과 4, 5, 6이 다른 요인으로 구 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손재능과 공간・시각력의 구별이 미약하기는 하지만, 둘을 통합할 정도는 아니라 판단하여 그대로 하 위영역으로 포함하기로 결정하였다. 한편, 공간시각의 7번 문제는 요인 분석 상에서 수리・논리력 요인과의 상관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지만, 입체도형 의 모습을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것은 공간・시각력의 명백한 하위요소라 판 단하여 수정 없이 포함하기로 결정하였다.

14 문항 분석의 가장 큰 목적은 문항으로서 결함이 있는 것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어서 적합하지 않은 문항들을 밝히는 데 있다. 문항 분석을 통해서 문제점을 찾아낼 수는 있지 만 그 원인과 가능한 해결책은 검사 개발자가 찾아내어야 한다. 문항 분석은 독창성, 노 력과 문항 제작 기술을 대신할 수 없으며, 통계적으로 다소 불만족스런 결과가 나왔더라 도 논리적인 이유가 있다면 문항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Ebel & Frisbie, 1991, Barnard, 1999에서 재인용).

Ⅳ. 검사의 표준화 및 특성 분석 :

문서에서 한 국 직 업 능 력 개 발 원 (페이지 6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