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년)

706,885 717,432 718,677 699,753 700,518 716,577 701,652 716,369

재이용량

(만㎥/년)

78,110 87,232 90,744 94,288 102,746 112,105 111,323 111,273

재이용률(%)

11.0 12.2 12.6 13.5 14.7 15.6 15.9 15.5

법적 대상

개소수 (개소)

하수도통계 상 법적 대상/미대상 구분 없음

36 90 93 92 68

하수처리량

(만㎥/년)

24,893 105,662 109,200 109,029 76,116

재이용량

(만㎥/년)

3,452 16,361 21,640 20,435 16,216

재이용률(%)

13.9 15.5 19.8 18.7 21.3

법적 미대상

개소수 (개소)

하수도통계 상 법적 대상/미대상 구분 없음

561 535 526 568 603

하수처리량

(만㎥/년)

674,860 594,856 607,377 592,623 640,253

재이용량

(만㎥/년)

90,836 86,385 90,465 90,888 95,057

재이용률(%)

13.5 14.5 14.9 15.3 14.8

자료: 환경부(2019), 「2018 하수도통계」

<표 Ⅱ-73> 연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 ′18년 기준 하수처리시설의 시설용량을 구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개소수로는 5,000㎥/일 이하의 시설이 376개소로 가장 많고(56.0%), 5,000~30만㎥/일 사 이의 시설이 179개소로 그 다음(26.7%)을 차지

- 시설용량으로는 30만㎥/일을 초과하는 시설이 전체 시설용량의 51.5%인 13,319천㎥/일을 차지

- 연간 재이용량을 시설용량 구간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30만㎥/일을 초과하 는 시설이 471,759천㎥/년으로 가장 많고(42.4%), 3만~10만㎥/일 사이의 시설이 245,140천㎥/년으로 그 다음(22.0%)을 차지

134

물 재이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 환경부(2019), 「2018 하수도통계」

<그림 Ⅱ-58> 하수처리시설 시설용량 구간별 분포 (2018년 기준)

❍ ′18년 기준 하수처리수 총 재이용량의 46.8%(5.2억㎥/년)는 세척수, 청소수, 냉각수 등의 장내용수로 재이용하고 나머지 53.2%(5.9억㎥/년)은 하천 유지용 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의 장외용수로 재이용 되고 있음. 특히 하천 유지용 수는 전체 재이용량의 43.2%(4.8억㎥/년)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11~′18년 기간 동안 장외용수 재이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내용수 재이용량은 ′16년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음. 또한 ′17년까지 장내용수 재이용량이 장외용수 재이용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18년에는 장외용수 재이용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장외용수 재이용량 중 하천 유지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1~′18년 기간 동안 평균 72.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

구분 (만㎥/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총 재이용량 78,110 87,232 90,744 94,288 102,746 112,105 111,323 111,273 장내 재이용 40,393 43,711 45,496 49,887 53,139 56,799 56,476 52,058 장외 재이용 37,718 43,521 45,248 44,401 49,607 55,306 54,847 59,215 하천유지용수 26,496 29,576 28,821 32,144 36,916 39,663 42,984 48,048

공업용수 1,210 1,353 1,360 3,058 5,348 6,223 6,355 7,524

농업용수 4,356 2,972 2,067 2,372 1,648 1,243 2,738 1,221

장외 중수도 550 164 660 332 126 56

장외기타 5,106 9,456 12,340 6,495 5,568 8,122

청소·화장실용수 42 62

세척·살수용수 684 557

조경용수 1,192 1,027

친수용수 843 775

지하수 충전 9 0

주: 2017년부터 장외용수 분류기준이 하천 유지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청소·화장실용수, 세척·살수용 수, 조경용수, 친수용수, 지하수 충전으로 변경됨

자료: 환경부(2019), 「2018 하수도통계」

<표 Ⅱ-74> 용도별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나.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 규모 분포 현황

❍ 하수처리시설 설치·운영 현황을 살펴보면,

- ′11년 505개소, 25,143천㎥/일(시설용량)이었던 것이 ′18년에는 671개소, 25,846천㎥/일로 증가함. ′18년 기준, 개소수는 ′11년 대비 166개소 증 가하였고(32.9%), 시설용량은 703천㎥/일 증가(2.8%)

❍ 연간 재이용량은 ′11년 78,110만㎥/년에서 ′18년 111,273만㎥/년으로 42.

5% 증가하였으나, ′16년을 기점으로 소폭 하락추세

❍ 법적 미대상 시설이 법적 대상 시설의 개소수, 시설용량, 재이용량 모든 부문에 서 훨씬 높게 나타남

- 법적 대상 시설은 ′15년에 개소수가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시설 용량 및 재이용량도 크게 증가하였으나 이후 유의미한 변화가 거의 없다가

′18년 개소수 및 시설용량, 재이용량이 감소

136

물 재이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법적 미대상 시설은 ′15년에 개소수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함에 따라 시 설용량 및 재이용량이 감소하였으나, ′16년부터 시설용량 및 재이용량이 증가추세

자료: 환경부(2019), 「2018 하수도통계」

<그림 Ⅱ-59> 하수처리시설 설치 및 이용 현황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전체

시설수 (개소) 505 546 569 597 625 619 660 671

시설용량 (천㎥/일) 25,143 30,262 25,142 24,841 25,144 25,279 25,836 25,846 재이용량 (만㎥/년) 78,110 87,232 90,744 94,288 102,746 112,105 111,323 111,273

법적 대상

시설수 (개소)

하수도통계 상 법적 대상/미대상 구분 없음

36 90 93 92 68

시설용량 (천㎥/일) 994 3,782 3,907 4,263 3,089

재이용량 (만㎥/년) 3,452 16,361 21,640 20,435 16,216

법적 미대상

시설수 (개소)

하수도통계 상 법적 대상/미대상 구분 없음

561 535 526 568 603

시설용량 (천㎥/일) 23,847 21,361 21,373 21,574 22,757

재이용량 (만㎥/년) 90,836 86,385 90,465 90,888 95,057

자료: 환경부(2019), 「2018 하수도통계」

<표 Ⅱ-75> 하수처리시설 설치 및 이용 현황

구간